맨위로가기

7족 원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7족 원소는 주기율표의 7족에 속하는 전이 금속 원소로, 망가니즈(Mn), 테크네튬(Tc), 레늄(Re), 보륨(Bh)을 포함한다. 이들은 물리적 성질에서 원자 번호가 증가함에 따라 녹는점, 끓는점, 밀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망가니즈를 제외한 모든 원소는 육방 밀집 구조를 갖는다. 화학적으로는 +7의 최대 산화수를 나타낼 수 있으며, 망가니즈를 제외한 다른 원소들은 다양한 산화 상태의 화합물을 형성한다. 망가니즈는 지각에 비교적 풍부하게 존재하며, 강철 제조에 사용되는 페로망가니즈 생산에 중요하며, 테크네튬은 핵의학 영상에 사용되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레늄은 촉매 및 특수 합금에 활용된다. 보륨은 인공적으로 합성된 원소로, 방사능 때문에 실용적인 용도는 제한적이다. 망가니즈는 인체에 필수 미량 영양소로 작용하지만, 다른 원소들은 알려진 생물학적 역할이 없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기율표 족 - 14족 원소
    14족 원소는 최외각 전자 4개를 가지며 탄소, 규소, 저마늄, 주석, 납, 플레로븀으로 구성되고 원자번호 증가에 따라 비금속에서 금속으로 변하는 경향을 보이며 탄소는 유기화합물 골격, 규소는 지각에서 풍부, 주석과 납은 금속 자원, 플레로븀은 짧은 반감기를 갖는다.
  • 주기율표 족 - 알칼리 토금속
    알칼리 토금속은 주기율표 2족에 속하는 금속 원소들의 집합으로, 반응성이 크고 다양한 화합물을 형성하며, 베릴륨과 라듐은 독성을 띤다.
7족 원소
개요
족 번호7족
명명 유래망간족
CAS 족 번호VIIB
구 IUPAC 족 번호VIIA
구성 원소망간(Mn), 테크네튬(Tc), 레늄(Re), 보륨(Bh)
왼쪽 족6족 원소
오른쪽 족8족 원소
원소 정보
망간
망간
망간상태: 고체
종류: 전이 금속
기원: 태초
원자 번호: 25
테크네튬
테크네튬
테크네튬상태: 고체
종류: 전이 금속
기원: 붕괴
원자 번호: 43
레늄
레늄
레늄상태: 고체
종류: 전이 금속
기원: 태초
원자 번호: 75
보륨상태: 불명
종류: 전이 금속
기원: 합성
원자 번호: 107

2. 물리적 성질

7족 원소는 다른 초기 d-블록 족의 경향을 따르지만, 5주기에서 6주기로 넘어갈 때 채워진 f-껍질이 핵에 추가되면서 경향성이 덜 두드러진다.[1] 망가니즈를 제외한 모든 7족 원소는 육방 밀집 구조(hcp)로 결정화되며, 망가니즈는 체심 입방 구조(bcc)를 갖는다. 보륨 역시 hcp 구조를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1]

7족 원소들은 d5s2 전자 구조를 갖는다. 아래 표는 망가니즈, 테크네튬, 레늄의 전자 배치, 이온화 에너지, 전자 친화도, 전기 음성도, 이온 반경, 금속 결합 반경, 녹는점, 끓는점, 산화 환원 전위를 나타낸다.

망가니즈
25Mn
테크네튬
43Tc
레늄
75Re
[Ar]3d54s2[Kr]4d55s2[Xe]4f145d46s2
719.1702749
1,509.11,472 
3,248.42,850 
4,940  
6,990  
9,200  
11,508  
0.6660.7460.815
1.60 1.46
67 (6배위)79 (6배위) 
39 (4배위) 52 (4배위)
67 (6배위)
112135137
1,5172,4303,459
2,2354,5385,869
1.23 (MO2/Mn2+)0.272 (MO2/M)0.22 (MO2/M)


2. 1. 7족 원소의 물리적 성질 (표)

7족 원소의 성질
이름Mn, 망가니즈Tc, 테크네튬Re, 레늄Bh, 보륨
녹는점1519 K (1246 °C)2430 K (2157 °C)3459 K (3186 °C)알 수 없음
끓는점2334 K (2061 °C)4538 K (4265 °C)5903 K (5630 °C)알 수 없음
밀도7.21 g·cm−311 g·cm−321.02 g·cm−326-27 g·cm−3?[2][3]
외관은백색 금속은회색은회색알 수 없음
원자 반지름127 pm136 pm137 pm128 pm?


3. 화학적 성질

7족 원소는 다른 족과 마찬가지로 전자 배치에서 패턴을 보이며, 특히 가장 바깥 껍질에서 두드러진다. 7족의 모든 원소는 +7의 산화 상태를 나타낼 수 있으며, 족이 내려갈수록 이 상태가 더 안정해진다. 테크네튬은 안정적인 +4 상태를, 레늄은 안정적인 +4 및 +3 상태를 나타낸다. 보륨은 +7 산화 상태 외에도 +4와 같은 낮은 산화 상태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1]

7족 원소에서 원자가 전자 및 내각 전자의 전자 구조는 d5s2 구조를 갖는다. 망가니즈, 테크네튬, 레늄의 이온화 에너지, 전자 친화도, 전기 음성도, 이온 반경, 금속 결합 반경, 녹는점, 끓는점, 산화 환원 전위는 아래 표와 같다.[2]

망가니즈
25Mn
테크네튬
43Tc
레늄
75Re
제1 이온화 에너지
(kJ mol-1)
719.1702749
제2 이온화 에너지
(kJ mol-1)
1,509.11,472 
제3 이온화 에너지
(kJ mol-1)
3,248.42,850 
전자 친화도
(전자 볼트)
0.6660.7460.815
전기 음성도
(Allred-Rochow)
1.60 1.46
이온 반경
(pm; M4+)
67 (6배위)79 (6배위) 
이온 반경
(pm; M7+)
39 (4배위) 52 (4배위)
67 (6배위)
금속 결합 반경
(pm)
112135137
녹는점
(K)
1,5172,4303,459
끓는점
(K)
2,2354,5385,869
산화 환원 전위 E0 (V)1.23 (MO2/Mn2+)0.272
(MO2/M)
0.22
(MO2/M)



7족 원소는 착화합물을 포함하면 s 전자 및 d 전자를 모두 제공한 +7에서 -1가의 상태까지 취할 수 있다. 테크네튬레늄은 성질이 비슷하지만 망가니즈는 그 성질이 다소 다르다. 테크네튬과 레늄의 단염은 +4, +5, +7 상태를 선호하는 반면, 망가니즈의 단염은 +2, +4, +6, +7 상태를 취한다. Mn(+2)의 자유 에너지는 현저하게 낮아 망가니즈는 Mn(+2) 상태가 가장 안정적이다. 고차 산화 상태의 망가니즈 화합물은 산화제로, 단체 망가니즈는 환원제로 유용하다.[2]

망가니즈는 반응성이 높아 할로젠, 산소, , 탄소, 질소 등 많은 비금속과 화합물을 형성한다. 강철에는 망가니즈가 포함되어 제철에서 중요한 첨가 원소이다. 테크네튬과 레늄은 산화물, 황화물, 할로젠화물을 제공한다. 테크네튬의 짧은 반감기 동위 원소의료방사성 추적자로 이용된다. 레늄은 탈수소촉매, 필라멘트 첨가물, 열전대로 이용된다. 99Tc는 원자로에서 우라늄 핵분열 생성물의 6%를 차지하며, 100MW급 원자로에서 매일 약 2.5g의 테크네튬이 생성된다. 따라서 오늘날에는 안정 핵종인 레늄보다 방사성 핵종인 테크네튬이 더 구하기 쉽다.[2]

3. 1. 전자 배치 (표)

Z원소껍질 당 전자 수
25망가니즈2, 8, 13, 2
43테크네튬2, 8, 18, 13, 2
75레늄2, 8, 18, 32, 13, 2
107보륨2, 8, 18, 32, 32, 13, 2


4. 화합물

7족 원소는 다양한 산화 상태를 가지며, 여러 화합물을 형성한다.

족의 모든 구성원들은 쉽게 +7의 족 산화 상태를 나타내며, 족이 내려갈수록 이 상태는 더 안정해진다. 테크네튬은 안정적인 +4 상태를 보이며, 레늄은 안정적인 +4 및 +3 상태를 나타낸다. 보륨 역시 이러한 낮은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높은 +7 산화 상태는 과망가니즈산염, 과테크네튬산염, 과레늄산염과 유사하게, 과보륨산염 BhO4과 같은 옥시아니온에서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 보륨(VII)은 수용액에서 불안정할 가능성이 높으며, 더 안정적인 보륨(IV)으로 쉽게 환원될 것이다.[11]

7족 원소는 착화합물을 포함하면 s 전자 및 d 전자를 모두 제공한 +7에서 -1가의 상태까지 취할 수 있다. 그러나 테크네튬레늄은 성질이 비슷하지만 망가니즈는 그 성질이 다소 다르다. 테크네튬과 레늄의 단염은 +4, +5, +7 상태를 선호하는 반면, 망가니즈의 단염은 +2, +4, +6, +7 상태를 취한다. Mn(+2)의 자유 에너지는 현저하게 낮아 망가니즈는 Mn(+2) 상태가 가장 안정적이다. 실제로 고차 산화 상태의 망가니즈 화합물은 산화제로서 유용하며 단체 망가니즈는 환원제로서 유용하다.

망가니즈는 반응성이 높은 원소로 할로젠, 산소, , 탄소, 질소, 및 많은 비금속과 화합물을 형성한다. 또한 합금강철에는 모두 망가니즈가 포함되어 있으며, 제철업에서는 중요한 첨가 원소이다. 테크네튬과 레늄은 산화물, 황화물, 할로겐화물을 제공한다.

4. 1. 산화물

테크네튬(IV) 산화물


테크네튬의 주요 산화물은 테크네튬(IV) 산화물과 테크네튬(VII) 산화물이다. 테크네튬(IV) 산화물은 1949년 암모늄 과테크네튬산염 용액을 수산화 암모늄 하에서 전기 분해하여 처음 생산되었으며, 몰리브덴과 레늄으로부터 테크네튬을 분리하는 데 자주 사용되었다.[14][12][11] 보다 효율적인 제조 방법으로는 아연 금속과 염산, 염화 주석, 히드라진, 히드록실아민, 아스코르브산을 이용한 암모늄 과테크네튬산염의 환원,[12] 헥사클로로테크네튬산 칼륨의 가수분해,[13] 불활성 분위기에서 700°C로 암모늄 과테크네튬산염을 분해하는 방법이 있다.[14][15][16] 테크네튬(IV) 산화물은 450°C에서 산소와 반응하여 테크네튬(VII) 산화물을 생성한다.

테크네튬(VII) 산화물은 450°C-500°C에서 테크네튬을 산화시켜 직접 제조할 수 있다.[17] 이는 루테늄(VIII) 산화물, 오스뮴(VIII) 산화물과 함께 분자 이원 금속 산화물의 드문 예시이다. 중심 대칭 모서리 공유 이중 사면체 구조를 가지며, 말단 및 브릿징 Tc−O 결합 길이는 각각 167pm, 184pm이고, Tc−O−Tc 각도는 180°이다.[18]

7족 원소인 망가니즈, 테크네튬, 레늄은 원자가 전자 및 내각 전자의 전자 구조가 d5s2 구조이다. 레늄은 몰리브덴 광석인 휘수연광(MoS2)에 극히 소량 포함되어 있어, 몰리브덴 정제 과정의 매연이나 특정 구리 광석의 부산물에서 얻어진다.

망가니즈
25Mn
테크네튬
43Tc
레늄
75Re
전자 배치[Ar]3d54s2[Kr]4d55s2[Xe]4f145d46s2
제1 이온화 에너지
(kJ/mol)
719.1702749
제2 이온화 에너지
(kJ/mol)
1,509.11,472 
제3 이온화 에너지
(kJ/mol)
3,248.42,850 
제4 이온화 에너지
(kJ/mol)
4,940  
제5 이온화 에너지
(kJ/mol)
6,990  
제6 이온화 에너지
(kJ/mol)
9,200  
제7 이온화 에너지
(kJ/mol)
11,508  
전자 친화도
(eV)
0.6660.7460.815
전기 음성도
(Allred-Rochow)
1.60 1.46
이온 반지름
(pm; M4+)
67 (6배위)79 (6배위) 
이온 반지름
(pm; M7+)
39 (4배위) 52 (4배위)
67 (6배위)
금속 결합 반지름
(pm)
112135137
녹는점
(K)
1,5172,4303,459
끓는점
(K)
2,2354,5385,869
산화 환원 전위 E0 (V)1.23 (MO2/Mn2+)0.272
(MO2/M)
0.22
(MO2/M)



7족 원소는 착화합물을 포함하여 +7에서 -1까지의 산화수를 가질 수 있다. 테크네튬과 레늄은 성질이 비슷하지만, 망가니즈는 다소 다른 성질을 보인다. 테크네튬과 레늄의 단염은 +4, +5, +7 산화수를 선호하는 반면, 망가니즈의 단염은 +2, +4, +6, +7 상태를 취한다. 레늄은 실험실에서 탈수소촉매, 필라멘트 첨가물, 열전대 등에 사용된다.

4. 1. 1. 망가니즈

망가니즈는 존재량이 많은 원소(지각의 0.085%)이며, 5종류의 산화물 중 4종이 천연으로 산출된다.[19] 망가니즈는 7족 원소 중에서 테크네튬이나 레늄과는 성질이 다소 다르다. 망가니즈의 단염은 +2, +4, +6, +7 상태를 취하며, Mn(+2)의 자유 에너지가 현저하게 낮아 Mn(+2) 상태가 가장 안정적이다. 고차 산화 상태의 망가니즈 화합물은 산화제로 유용하며, 단체 망가니즈는 환원제로 유용하다.[20]

망가니즈는 반응성이 높은 원소로, 할로겐, 산소, , 탄소, 질소 등 많은 비금속과 화합물을 형성한다.[21] 또한 합금강철에는 모두 망가니즈가 포함되어 있으며, 제철업에서 중요한 첨가 원소이다.[22]

망가니즈
25Mn
전자 배치[Ar]3d54s2
제1 이온화 에너지
(kJ/mol)
719.1
제2 이온화 에너지
(kJ/mol)
1,509.1
제3 이온화 에너지
(kJ/mol)
3,248.4
제4 이온화 에너지
(kJ/mol)
4,940
제5 이온화 에너지
(kJ/mol)
6,990
제6 이온화 에너지
(kJ/mol)
9,200
제7 이온화 에너지
(kJ/mol)
11,508
전자 친화도
(eV)
0.666
전기 음성도
(Allred-Rochow)
1.60
이온 반지름
(pm; M4+)
67 (6배위)
이온 반지름
(pm; M7+)
39 (4배위)
금속 결합 반지름
(pm)
112
녹는점
(K)
1,517
끓는점
(K)
2,235
산화 환원 전위 E0 (V)1.23 (MO2/Mn2+)


4. 1. 2. 테크네튬

테크네튬은 모든 동위 원소가 방사성이며, 천연에서는 우라늄이 자연 핵분열하여 생기는 99Tc(반감기 2.14×105년)가 미량 존재할 뿐이다.[19] 테크네튬은 최초의 인공 원소로서 몰리브덴에 중수소를 조사하여 제조되었다.

테크네튬의 반감기가 짧은 동위 원소는 의료용 방사선 감쇠 (주로 추적자)로 이용된다.[19] 99Tc는 원자로에서 우라늄의 핵분열 생성물의 6%를 차지한다. 즉, 100MW급 원자로에서는 매일 약 2.5g의 테크네튬이 생성되고 있다. 따라서 오늘날에는 천연에 존재하는 안정 핵종의 레늄보다 방사성 핵종인 테크네튬 쪽이 입수하기 쉽다.

4. 1. 3. 레늄

레늄의 주요 산화물은 이산화 레늄과 칠산화 레늄이다. 이산화 레늄은 회색에서 검은색의 결정성 고체로, 불균등화 반응을 통해 생성될 수 있다.[19] 고온에서 불균등화 반응을 겪으며, 촉매로 사용될 수 있다. 금홍석 구조를 가지며, 알칼리성 과산화 수소 및 산화산과 반응하여 과레늄산염을 형성한다.[20] 용융 수산화 나트륨에서는 레늄산 나트륨을 형성한다.[21]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 2NaOH + ReO2 → Na2ReO3 + H2O

칠산화 레늄은 레늄, 레늄의 산화물, 또는 레늄의 황화물을 공기 중에서 500~700℃로 산화시켜 생성할 수 있다.[22] 물에 녹아 과레늄산을 생성하며, Re2O7을 가열하면 짙은 청색을 띠면서 이산화 레늄이 생성된다. 고체 형태의 Re2O7은 교대로 팔면체 및 사면체 Re 중심을 갖는다. 이는 숙주 광석을 로스팅할 때 얻는 휘발성 분획으로, 모든 레늄 화합물의 원료이다.[23]

4. 2. 할로젠화물

7족 원소는 할로젠과 반응하여 다양한 할로젠화물을 형성한다. 망가니즈는 +2, +4, +6, +7의 산화 상태를 가지는 할로젠화물을 형성할 수 있다. 테크네튬레늄은 주로 +4, +5, +7의 산화 상태를 가지는 할로젠화물을 형성한다. 특히, 레늄은 [Re2Cl8]2−와 같이 사중 금속-금속 결합을 특징으로 하는 염을 생성하기도 한다.[36]

4. 2. 1. 망가니즈

망가니즈는 할로겐, 산소, , 탄소, 질소 등 많은 비금속과 반응하여 화합물을 형성하는 반응성이 높은 원소이다. 망가니즈는 +2, +4, +6, +7 등 다양한 산화수를 가질 수 있으며, 특히 Mn(+2) 상태가 가장 안정적이다. 높은 산화 상태의 망가니즈 화합물은 산화제로, 단체 망가니즈는 환원제로 유용하다.

4. 2. 2. 테크네튬

테크네튬은 모든 동위 원소가 방사성이며, 천연에서는 우라늄이 자연 핵분열하여 생기는 99Tc(반감기 21만 4천 년)가 미량 존재할 뿐이다.[36] 그리고 테크네튬은 최초의 인공 원소로서 몰리브덴에 중수소를 조사하여 제조되었다.

제7족 원소는 착화합물을 포함하면 s 전자 및 d 전자를 모두 제공한 +7에서 -1가의 상태까지 취할 수 있다. 그러나 테크네튬과 레늄은 성질이 비슷하지만 망가니즈는 그 성질이 다소 다르다. 테크네튬과 레늄의 단염은 선호하여 산화수 +4, +5, +7 상태를 취한다. 테크네튬의 반감기가 짧은 동위 원소는 의료용 방사선 감쇠 (주로 추적자)로 이용된다. 99Tc는 원자로에서 우라늄의 핵분열 생성물의 6%를 차지한다.

4. 2. 3. 레늄

가장 흔한 레늄의 염화물은 ReCl6, ReCl5, ReCl4, ReCl3이다.[36] 이러한 화합물의 구조는 종종 광범위한 Re-Re 결합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VII보다 낮은 산화 상태에서 이 금속의 특징이다. [Re2Cl8]2−의 염은 사중 금속-금속 결합을 특징으로 한다. 가장 높은 레늄 염화물이 Re(VI)를 특징으로 하지만, 플루오린은 d0 Re(VII) 유도체인 칠플루오르화 레늄을 생성한다. 레늄의 브로민화물과 요오드화물도 잘 알려져 있다.

텅스텐과 몰리브덴은 화학적 유사성을 공유하는데, 레늄은 다양한 옥소할로겐화물을 형성한다. 옥시염화물이 가장 흔하며, ReOCl4, ReOCl3 등을 포함한다.

4. 3. 유기 금속 화합물

25Mn테크네튬
43Tc레늄
75Re전자 배치[Ar]3d54s2[Kr]4d55s2[Xe]4f145d46s2제1 이온화 에너지
(kJ mol-1)719.1702749제2 이온화 에너지
(kJ mol-1)1,509.11,472 제3 이온화 에너지
(kJ mol-1)3,248.42,850 전자 친화도
(전자 볼트)0.6660.7460.815금속 결합 반경
(pm)112135137녹는점
(K)1,5172,4303,459끓는점
(K)2,2354,5385,869



7족 원소는 착화합물을 포함하면 s 전자 및 d 전자를 모두 제공한 +7에서 -1가의 상태까지 취할 수 있다. 그러나 테크네튬과 레늄은 성질이 비슷하지만 망가니즈는 그 성질이 다소 다르다.

유기 금속 화합물은 탄소와 금속 사이에 직접 결합을 포함하는 화합물이다. 7족 원소의 유기 금속 화합물은 다음과 같다.

4. 3. 1. 망가니즈

유기망간 화합물은 1937년 길먼(Gilman)과 베일리(Bailee)가 처음 보고했는데, 이들은 페닐리튬과 아이오딘화 망간(II)의 반응을 통해 아이오딘화 페닐망간(PhMnI)과 다이페닐망간(Ph2Mn)이 형성됨을 설명했다.[37]

이 선례에 따라, 다른 유기망간 할로겐화물은 염화 망간(II), 브로민화 망간(II), 아이오딘화 망간(II)의 알킬화를 통해 얻을 수 있다. 무수 화합물을 망간과 아이오딘을 에테르에서 반응시켜 현장에서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아이오딘화 망간이 매력적이다. 일반적인 알킬화제는 유기리튬 또는 유기마그네슘 화합물이다.

Mn(II)의 유기금속 화합물의 화학은 Mn(II)-C 결합의 높은 이온성 때문에 전이 금속 중에서 특이하다.[38] 유기망간 화합물의 반응성은 유기마그네슘 화학 및 유기아연 화합물의 반응성과 비교할 수 있다. Mn의 전기음성도(1.55)는 Mg(1.31) 및 Zn(1.65)과 유사하며, 탄소 원자(EN = 2.55)를 친핵성으로 만든다. Mn의 환원 전위 또한 Mg와 Zn 사이의 중간 값이다.

4. 3. 2. 테크네튬

테크네튬은 유기 리간드와 다양한 배위 착물을 형성하는데, 이들 중 많은 수가 핵의학과의 관련성 때문에 잘 연구되었다.[39]

테크네튬은 Tc–C 결합, 즉 유기테크네튬 착물을 가진 다양한 화합물을 형성한다. 이 부류의 주요 구성원은 CO, 아렌, 사이클로펜타디에닐 리간드를 갖는 착물이다.[43] 이원 카르보닐 Tc2(CO)10은 흰색의 휘발성 고체이다.[40] 이 분자에서 두 개의 테크네튬 원자는 서로 결합되어 있으며, 각 원자는 다섯 개의 카르보닐 리간드의 팔면체로 둘러싸여 있다. 테크네튬 원자 사이의 결합 길이인 303pm[41][42]는 금속 테크네튬의 두 원자 사이 거리(272pm)보다 훨씬 크다. 유기테크네튬 화합물에 대한 관심은 핵의학 분야에서의 응용으로도 자극받았다.[43] 다른 금속 카르보닐과는 다르게 테크네튬은 아쿠아-카르보닐 착물을 형성하며, [Tc(CO)3(H2O)3]+가 대표적이다.[43]

테크네튬-99m 세스타미비("Cardiolite")는 심장 영상 촬영에 널리 사용된다.

4. 3. 3. 레늄

데카카르보닐 이레늄은 유기레늄 화학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출발 물질이다. 이를 아말감과 나트륨을 반응시키면 산화 상태가 -1인 Na[Re(CO)5]이 생성된다.[44] 데카카르보닐 이레늄은 브로민으로 산화시켜 브로모펜타카르보닐레늄(I)을 만들 수 있다.[45]

:Re2(CO)10 + Br2 → 2 Re(CO)5Br

이 펜타카르보닐 화합물을 아연아세트산으로 환원시키면 펜타카르보닐하이드리도레늄이 생성된다.[46]

:Re(CO)5Br + Zn + HOAc → Re(CO)5H + ZnBr(OAc)

메틸레늄 트라이옥사이드(MTO, CH3ReO3)는 휘발성이 있는 무색 고체로, 일부 실험에서 촉매로 사용되었다. MTO는 Re2O7과 테트라메틸틴을 반응시키는 일반적인 방법을 포함한 여러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Re2O7 + (CH3)4Sn → CH3ReO3 + (CH3)3SnOReO3

MTO와 유사한 알킬 및 아릴 유도체도 알려져 있다. MTO는 과산화 수소를 사용한 산화를 촉매한다. 말단 알카인은 해당 산이나 에스테르를 생성하고, 내부 알카인은 디케톤을 생성하며, 알켄은 에폭사이드를 생성한다. MTO는 또한 알데히드와 다이아조알케인의 알켄으로의 전환을 촉매한다.[47]

레늄은 몰리브덴의 광석인 휘수연광(MoS2) 중에 극히 소량 포함되어 몰리브덴 정제의 매연이나 특정 구리 광석의 부산물에서 얻어진다. 희귀하고 고가인 레늄은 공업적으로 대량으로 이용되는 것은 아니지만, 실험실에서의 탈수소촉매, 필라멘트 첨가물, 열전대 등으로 이용된다.

4. 4. 폴리옥소메탈레이트

폴리옥소테크네이트(테크네튬의 폴리옥소메탈레이트)는 Tc(V)와 Tc(VII)를 4:16의 비율로 포함하며, HTcO4 용액을 농축하여 히드로늄 염 [H7O3]4[Tc20O68]·4H2O로 얻어진다.[48] 처음으로 경험적으로 분리된 폴리옥소레네이트는 흰색 [Re4O15]2−이며, 팔면체 및 사면체 배위 모두에서 Re(VII)를 포함했다.[49]

5. 역사

망가니즈 화합물은 아주 오래전부터 인류가 사용해 왔다. 3만 년에서 2만 4천 년 전에 제작된 가르가스의 동굴 벽화는 이산화 망가니즈(MnO2) 안료를 사용하여 그려졌다.[50] 고대 이집트와 로마에서는 망가니즈 화합물을 사용하여 유리에 색을 넣거나 제거했다.[51] '유리 제조자의 비누'라는 별명으로 중세 시대를 거쳐 현대까지 사용되었으며, 베네치아에서 만들어진 14세기 유리에도 그 흔적이 남아있다.[52]

드미트리 멘델레예프주기율표에서 망가니즈 아래에 아직 발견되지 않은 원소의 존재를 처음 예측했다. 1914년 헨리 모즐리는 다른 계산 정보를 통해 이 원소의 존재를 예측했다.[55] 1908년, 일본 화학자 오가와 마사타카는 43번 원소를 발견하고 일본을 뜻하는 '니포늄'(Nipponium, Np)이라고 명명했다고 발표했으나, 실제로는 테크네튬이 아닌 레늄(원자번호 75번)이었다.[56][57] 이후 Np 기호는 넵투늄에 사용되었고, '니호늄'이라는 이름은 원소 113에 사용되었다.

레늄(Rhenus|라인강la)은 안정 동위 원소를 가진 원소들 중 가장 늦게 발견되었다.[54] 1925년 독일의 발터 노다크, 이다 타케, 오토 베르크는 백금 광석과 콜롬바이트에서 레늄을 발견했다고 보고했다. 그들은 가돌리나이트와 몰리브데나이트에서도 레늄을 발견했다.[59] 1928년, 그들은 660kg의 몰리브데나이트를 처리하여 1g의 레늄을 추출했다.[60]

원자 번호 43번 원소(테크네튬)의 발견은 1937년 팔레르모 대학교에서 카를로 페리에와 에밀리오 세그레의 실험으로 최종 확인되었다.[63] 세그레는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에서 사이클로트론의 몰리브덴 포일을 받아 실험을 진행했다.[64]

보륨의 발견은 유리 오가네시안이 이끄는 소련 연구팀과 페터 암브루스터와 고트프리트 뮌첸베르크가 이끄는 독일 연구팀 간의 경쟁을 통해 이루어졌다. 1981년, 독일 연구팀은 비스무트-209 표적에 크롬-54 핵을 충돌시켜 보륨-262 동위 원소 5개를 생성했다.[66] 국제 순수·응용 화학 연합(IUPAC)은 1992년 독일 연구팀을 공식적인 발견자로 인정했다.[67]

5. 1. 망가니즈

망가니즈 화합물은 아주 오래전부터 인류가 사용해 왔다. 3만 년에서 2만 4천 년 전에 제작된 가르가스의 동굴 벽화는 이산화 망가니즈(MnO|엠엔오영어) 안료를 사용하여 그려졌다.[50] 고대 이집트와 로마에서는 망가니즈 화합물을 사용하여 유리에 색을 넣거나 제거했다.[51] '유리 제조자의 비누'라는 별명으로 중세 시대를 거쳐 현대까지 사용되었으며, 베네치아에서 만들어진 14세기 유리에도 그 흔적이 남아있다.[52]

5. 2. 테크네튬과 레늄

드미트리 멘델레예프주기율표에서 이 위치에 아직 발견되지 않은 원소의 존재를 처음 예측했다. 다른 계산 정보는 1914년 헨리 모즐리에 의해 얻어졌다.[55] 1908년, 일본 화학자 오가와 마사타카는 43번 원소를 발견하고 일본을 뜻하는 '니포늄'(Nipponium, Np)이라고 명명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그가 발견한 것은 테크네튬이 아닌 레늄(원자번호 75번)이었다.[56][57] 기호 Np는 나중에 원소 넵투늄에 사용되었으며, "니호늄"이라는 이름은 일본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나중에 원소 113에 사용되었다. 원소 113도 일본 과학자 팀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오가와의 업적에 경의를 표하여 명명되었다.[58]

레늄(Rhenus|라인강la)은 안정 동위 원소를 가진 원소들 중 가장 늦게 발견되었다. (그 이후 자연에서 발견된 새로운 원소들, 예를 들어 프랑슘은 방사성이다).[54] 발터 노다크, 이다 타케, 오토 베르크는 독일에서 레늄을 재발견했다. 1925년 그들은 백금 광석과 광물 콜롬바이트에서 이 원소를 검출했다고 보고했다. 그들은 또한 가돌리나이트와 몰리브데나이트에서도 레늄을 발견했다.[59] 1928년 그들은 660kg의 몰리브데나이트를 처리하여 1g의 원소를 추출할 수 있었다.[60] 1968년 추산에 따르면 미국에서 레늄 금속의 75%가 내화 금속 합금 연구 및 개발에 사용되었다. 그 시점으로부터 초합금이 널리 사용되기까지 수년이 걸렸다.[61][62]

원자 번호 43번 원소의 발견은 1937년 시칠리아 팔레르모 대학교에서 카를로 페리에와 에밀리오 세그레의 실험으로 최종 확인되었다.[63] 1936년 중반, 세그레는 미국을 방문하여 먼저 뉴욕의 컬럼비아 대학교를 방문한 다음 캘리포니아의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를 방문했다. 그는 사이클로트론 발명가 어니스트 로렌스에게 버려진 사이클로트론 부품 중 일부를 가져갈 수 있도록 설득했는데, 이 부품들은 방사성이 되었다. 로렌스는 사이클로트론의 반사판 일부였던 몰리브덴 포일을 그에게 보냈다.[64]

5. 3. 보륨

보륨의 발견을 두고 두 연구팀이 경쟁했다. 보륨의 증거는 1976년 유리 오가네시안이 이끄는 소련 연구팀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는데, 이들은 비스무트-209와 납-208 표적에 각각 크롬-54와 망가니즈-55의 가속된 핵을 충돌시켰다.[65] 반감기가 1~2 밀리초인 활동과 약 5초의 반감기를 갖는 활동, 이렇게 두 가지 활동이 관찰되었다. 이 두 활동의 강도 비율이 실험 전체에서 일정했기 때문에, 첫 번째 활동은 동위 원소 보륨-261에서, 두 번째 활동은 그 딸핵종인 두브늄-257에서 발생한 것으로 제안되었다. 이후, 두브늄 동위 원소는 두브늄-258로 수정되었는데, 실제로 5초의 반감기를 가진다(두브늄-257은 1초의 반감기를 가짐). 그러나, 그 모핵종에서 관찰된 반감기는 1981년 다름슈타트에서 보륨의 결정적인 발견에서 나중에 관찰된 반감기보다 훨씬 짧았다. IUPAC/IUPAP 전이핵종 워킹 그룹(TWG)은 이 실험에서 두브늄-258이 발견되었을 가능성은 있지만, 모핵종인 보륨-262의 생성에 대한 증거는 충분히 설득력이 없다고 결론지었다.[67]

1981년, 페터 암브루스터와 고트프리트 뮌첸베르크가 이끄는 독일 연구팀은 GSI 헬름홀츠 중이온 연구소(GSI Helmholtzzentrum für Schwerionenforschung)에서 비스무트-209 표적에 크롬-54의 가속된 핵을 충돌시켜 보륨-262 동위 원소 원자 5개를 생성했다.[66]

:209Bi + 54Cr → 262Bh + n

이 발견은 생성된 보륨 원자의 알파 붕괴 연쇄를 통해 이전에 알려진 페르뮴캘리포늄의 동위 원소를 상세하게 측정함으로써 더욱 뒷받침되었다. IUPAC/IUPAP 전이핵종 워킹 그룹(TWG)은 1992년 보고서에서 GSI 공동 연구팀을 공식적인 발견자로 인정했다.[67]

6. 존재 및 생산

7족 원소 중 망가니즈는 지각에 0.085% 존재하며, 5종의 산화물 중 4종이 천연에서 산출된다.[68] 레늄은 몰리브덴 광석인 휘수연광(MoS2)에 극히 소량 포함되어 있으며, 몰리브덴 정제 매연이나 특정 구리 광석의 부산물에서 얻어진다. 테크네튬은 모든 동위 원소가 방사성이며, 천연에서는 우라늄의 자연 핵분열로 생성되는 99Tc(반감기 2.14×105년)가 미량 존재한다. 테크네튬은 최초의 인공 원소로서 몰리브데넘중수소를 조사하여 제조되었다.

6. 1. 망가니즈

망가니즈는 지각의 약 0.1%를 차지하는, 12번째로 풍부한 원소이다.[68] 토양에는 평균 440ppm, 대기 중에는 0.01μg/m3의 망가니즈가 존재한다.[68] 망가니즈는 주로 연망간석(MnO2), 브라운석(Mn2+Mn3+6)(SiO12),[69] 흑망간석((Ba,H2O)2Mn5O10), 능망간석(MnCO3) 등의 광물 형태로 발견된다.

가장 중요한 망가니즈 광석은 연망간석(MnO2)이다. 다른 망가니즈 광석들은 섬아연석처럼 철광석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71][72] 전 세계 망가니즈 자원의 약 80%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에 매장되어 있으며, 우크라이나, 호주, 인도, 중국, 가봉, 브라질 등에도 상당량 매장되어 있다.[70]

망가니즈는 주로 남아프리카, 호주, 중국, 가봉, 브라질, 인도, 카자흐스탄, 가나, 우크라이나, 말레이시아에서 채굴된다.[76] 페로망가니즈 생산을 위해 망가니즈 광석을 철광석, 탄소와 함께 고로나 전기로에서 환원시킨다.[77] 생성된 페로망가니즈는 30~80%의 망가니즈를 함유한다.[71] 순수 망가니즈는 망가니즈 광석을 황산으로 침출한 후 전해 채취하여 생산한다.[78] 저등급 광석의 경우, 힙 침출, 분쇄, 황산 및 제2철 첨가 과정을 거쳐 약 92%의 망가니즈를 회수할 수 있다.[79]

망가니즈 정제 회로도.


1972년 중앙정보국(CIA)은 아조리안 프로젝트를 통해 억만장자 하워드 휴즈 소유의 선박 ''휴즈 글로마 익스플로러''를 이용하여 망가니즈 단괴 채취를 위장한 작전을 펼쳤다.[80] 실제 목적은 침몰한 소련 잠수함 K-129 인양 및 암호 해독서 확보였다.[81]

망가니즈 단괴해저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자원으로, 29%의 망가니즈를 함유하고 있다.[82][83][84] 망가니즈 단괴 채굴은 해저 교란, 퇴적물 기둥 형성, 금속 및 무기 영양소 유출로 인한 수질 오염, 생태계 파괴 등 환경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85] 채굴 전 국제 연합 관련 기관 및 국가 지원 회사의 환경 문제 연구가 진행 중이다.[86]

6. 2. 테크네튬

테크네튬은 사이클로트론이라는 장치로 가속된 중수소몰리브데넘 원자에 충돌시켜 생성되었다. 지구의 지각에서 테크네튬은 약 0.003 ppt(parts per trillion)의 극미량으로 자연 발생한다. 97Tc와 98Tc의 반감기가 420만 년에 불과하여 테크네튬이 매우 희귀하다. 지구 형성 이후 이 기간이 천 번 이상 지났으므로, 원시 핵종 테크네튬 원자가 생존할 확률은 사실상 0이다. 그러나 우라늄 광석에서 자연 발생하는 핵분열 생성물로 소량 존재하며, 1kg의 우라늄에는 1 나노그램(10−9 g, 10조 개의 원자)의 테크네튬이 포함되어 있다.[87][88][89] 일부 S-, M-, N-형 적색 거성은 테크네튬의 존재를 나타내는 스펙트럼 흡수선을 포함하며, 이러한 별은 비공식적으로 테크네튬 별로 알려져 있다.[90]

모든 동위 원소가 방사성인 테크네튬은, 천연에서는 우라늄의 자연 핵분열로 생성되는 99Tc (반감기 2.14×105년)가 미량 존재한다. 테크네튬은 최초의 인공 원소로서 몰리브덴에 중수소를 조사하여 제조되었다.

반감기가 짧은 테크네튬 동위 원소는 의료용 방사선 감쇠(주로 추적자)로 이용된다. 99Tc는 원자로에서 우라늄 핵분열 생성물의 6%를 차지하며, 100MW급 원자로에서는 매일 약 2.5g의 테크네튬이 생성된다. 따라서 오늘날에는 천연에 존재하는 안정 핵종인 레늄보다 방사성 핵종인 테크네튬을 구하기가 더 쉽다.

6. 3. 레늄

지각에서 레늄의 평균 농도는 1ppb로, 매우 희귀한 원소 중 하나이다.[36][91] 레늄은 자연 상태에서 자유롭게 발견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지만, 주로 몰리브데나이트(이황화 몰리브덴) 광물에서 최대 0.2%까지 존재한다.[36] 칠레는 세계 최대의 레늄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구리 광석 매장량의 일부를 차지한다.[92]

1994년, 쿠릴 열도의 이투루프 섬에 있는 쿠드리아비 화산의 후마롤에서 응축된 레늄 황화 광물(ReS2)이 발견되었다.[93] 쿠드리아비는 연간 최대 20~60kg의 레늄을 배출하며, 대부분 이황화 레늄 형태로 배출된다.[94][95] 레니나이트라고 명명된 이 희귀 광물은 수집가들 사이에서 높은 가격에 거래된다.[96]

레늄 추출은 대부분 반암 몰리브덴 매장지에서 이루어진다.[97] 이 광석은 일반적으로 0.001%에서 0.2%의 레늄을 함유하고 있다.[36] 광석을 로스팅하면 레늄 산화물이 휘발된다.[98] 칠산 레늄과 과레늄산은 물에 잘 녹으며, 배기가스 및 가스에서 침출되어 염화 칼륨 또는 염화 암모늄과 함께 과레늄산염 염으로 침전시켜 추출하고 재결정으로 정제한다.[36] 전 세계 생산량은 연간 40~50톤이며, 주요 생산국은 칠레, 미국, 페루 및 폴란드이다.[99] 사용된 Pt-Re 촉매 및 특수 합금의 재활용을 통해 연간 10톤의 레늄을 추가로 회수할 수 있다. 금속 형태는 고온에서 과레늄산 암모늄을 수소로 환원시켜 제조한다.

:2 NH4ReO4 + 7 H2 → 2 Re + 8 H2O + 2 NH3

우라늄 광석의 지하 침출액으로부터 레늄을 추출하는 기술도 있다.[102]

6. 4. 보륨

보륨은 인공 원소로, 핵반응로에서만 생성되며 순수한 형태로 분리된 적이 없다. 매우 적은 수의 원자만이 합성되었으며, 방사능 때문에 제한적인 연구만 수행되었다.[65]

7. 응용

7족 원소는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된다.

망가니즈(Mn)와 레늄(Re)의 2,2'-바이피리딜 트리카보닐 할라이드 착물은 팔면체 분자 구조의 ''면'' 이성질체로, 높은 선택성과 안정성 덕분에 이산화 탄소(CO2)의 전기화학적 환원 촉매로 널리 연구된다. 이들은 M(R-bpy)(CO)3X (M = Mn, Re; R-bpy = 4,4'-치환된 2,2'-바이피리딘; X = Cl, Br)로 나타낸다.



테크네튬의 동위 원소인 테크네튬-99m은 반감기가 짧고 감마선을 방출하여 의학 검사에서 방사성 추적자로 쓰인다. 테크네튬-99는 미국 국립 표준 기술 연구소(NIST)의 표준 베타 방출기로도 사용되어 장비 보정에 활용된다.

레늄은 실험실에서 탈수소 촉매, 필라멘트 첨가물, 열전대 등에 이용된다.

7. 1. 망가니즈

망가니즈는 그 존재량이 많은(지각의 0.085%) 원소이며, 5종류의 산화물 중 4종이 천연으로 산출된다.[112] 망가니즈는 반응성이 높아 할로겐, 산소, , 탄소, 질소 등 많은 비금속과 화합물을 형성한다. 또한 철의 합금인 강철에는 모두 망가니즈가 포함되어 있으며, 제철업에서 중요한 첨가 원소이다.[103]

Mn(R-bpy)(CO)3X에 대한 촉매 메커니즘은 복잡하며 바이피리딘 리간드의 입체적 프로파일에 따라 달라진다. R이 부피가 크지 않은 경우, 촉매는 활성 종을 형성하기 전에 이량체화되어 [Mn(R-bpy)(CO)3]2를 형성한다. 그러나 R이 부피가 큰 경우, 복합체는 이량체화 없이 활성 종을 형성하여 CO2 환원의 과전압을 200-300 mV 감소시킨다. Re(R-bpy)(CO)3X와 달리 Mn(R-bpy)(CO)3X는 산이 존재할 때만 CO2를 환원시킨다.[113]

제7족 원소에서 망가니즈의 원자가 전자 및 내각 전자의 전자 구조는 d5s2 구조를 갖는다. 망가니즈의 단염은 +2, +4, +6, +7 상태를 취한다. 그리고 Mn(+2)의 자유 에너지는 현저하게 낮아 망가니즈는 Mn(+2) 상태가 가장 안정적이다. 다시 말해 망가니즈의 많은 산화 상태가 불안정함을 시사한다. 실제로 고차 산화 상태의 망가니즈 화합물은 산화제로서 유용하며 단체 망가니즈는 환원제로서 유용하다.

망가니즈
25Mn
전자 배치[Ar]3d54s2
제1 이온화 에너지
(kJ mol-1
719.1
제2 이온화 에너지
(kJ mol-1
1,509.1
제3 이온화 에너지
(kJ mol-1
3,248.4
제4 이온화 에너지
(kJ mol-1
4,940
제5 이온화 에너지
(kJ mol-1
6,990
제6 이온화 에너지
(kJ mol-1
9,200
제7 이온화 에너지
(kJ mol-1
11,508
전자 친화도
(전자 볼트)
0.666
이온 반경
(pm; M4+
67(6배위)
이온 반경
(pm; M7+
39(4배위)
금속 결합 반경
(pm)
112
녹는점
(K)
1,517
끓는점
(K)
2,235
산화 환원 전위 E0 (V)1.23(MO2/Mn2+


7. 2. 테크네튬

테크네튬-99m("m"은 준안정 핵 이성질체임을 나타냄)은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의학 검사에 사용된다. 예를 들어, 테크네튬-99m은 인체에서 의료 영상 장비가 추적하는 방사성 추적자로 사용된다.[87][104][105] 감지하기 쉬운 140 keV감마선을 방출하고 반감기가 6.01 시간(약 24시간 이내에 약 94%가 테크네튬-99로 붕괴)이므로 이 역할에 적합하다.[106] 테크네튬의 화학적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생화학 화합물에 결합될 수 있으며, 각 화합물은 신체에서 테크네튬이 어떻게 대사되고 침착되는지를 결정하므로 이 단일 동위원소는 다양한 진단 검사에 사용될 수 있다. 50가지 이상의 일반적인 방사성 의약품이 뇌, 심근, 갑상선, 폐, , 담낭, 신장, 골격, 혈액, 종양의 영상 및 기능 연구를 위해 테크네튬-99m을 기반으로 한다. 테크네튬-99m은 또한 방사선 영상에도 사용된다.[107]

테크네튬 핵의학 신티그래피 사진. 그레이브스병 환자의 목


반감기가 61일인 더 오래 지속되는 동위원소 테크네튬-95m은 환경 및 식물, 동물 시스템에서 테크네튬의 이동을 연구하는 방사성 추적자로 사용된다.

테크네튬-99는 거의 전적으로 베타 붕괴를 통해 붕괴하며, 일관된 저에너지의 베타 입자를 방출하고 감마선은 동반하지 않는다. 또한 긴 반감기는 이 방출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매우 느리게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방사성 폐기물로부터 높은 화학적 및 동위원소 순도로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미국 국립 표준 기술 연구소(NIST) 표준 베타 방출기이며, 장비 보정에 사용된다. 테크네튬-99는 광전자 장치 및 나노 규모 핵 전지에도 사용될 수 있다고 제안되었다.[108]

레늄팔라듐과 마찬가지로 테크네튬은 촉매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탈수소화와 같은 과정에서 레늄이나 팔라듐보다 훨씬 더 효과적인 촉매이다. 그러나 방사성은 안전한 촉매 응용 분야에서 주요 문제이다.

강철을 물에 담그면 물에 소량(55 ppm)의 과테크네튬산 칼륨(VII)을 첨가하여 온도를 250°C로 올리더라도 강철을 부식으로부터 보호한다. 이러한 이유로 과테크네이트는 강철의 양극 부식 억제제로 사용되었지만, 테크네튬의 방사성은 이 응용 분야를 자체 포함 시스템으로 제한하는 문제를 제기한다.[109] 한 실험에서 탄소강 시료를 20년 동안 과테크네이트 수용액에 보관했지만 여전히 부식되지 않았다. 과테크네이트가 부식을 방지하는 메커니즘은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얇은 표면층의 가역적인 형성(부동태화)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7. 3. 레늄

레늄은 몰리브덴의 광석인 휘수연광 MoS2 중에 극히 소량 포함되어 몰리브덴 정제의 매연이나 특정 구리 광석의 부산물에서 얻어진다. 희귀하고 고가인 레늄은 공업적으로 대량으로 이용되는 것은 아니지만, 실험실에서의 탈수소촉매나 필라멘트의 첨가물, 열전대로 이용된다.

Lehn 등[110]과 Meyer 등[111]은 1984년과 1985년에 각각 이산화 탄소 환원에 대한 Re(bpy)(CO)3Cl의 촉매 활성을 처음 연구했다. Re(R-bpy)(CO)3X 착물은 높은 농도의 물이나 브뢴스테드 산 용액에서도 거의 100%의 패러데이 효율로 CO2 환원을 통해 CO만을 생성한다.[112] Re(R-bpy)(CO)3X의 촉매 메커니즘은 복합체의 두 번의 환원과 X 리간드의 손실을 포함하며, 이는 CO2를 결합하는 5배위 활성 종을 생성한다. 이러한 복합체는 추가적인 산의 유무와 관계없이 CO2를 환원시키지만, 산의 존재는 촉매 활성을 증가시킨다.[112] 이러한 복합체의 경쟁적인 물 분해에 대한 CO2 환원에 대한 높은 선택성은 밀도 범함수 이론 연구를 통해 H+ 결합에 비해 CO2 결합의 더 빠른 속도와 관련이 있음이 밝혀졌다.[113]

7. 4. 보륨

보륨은 자연계에 존재하지 않는 인공 원소이다. 매우 적은 수의 원자만이 합성되었으며, 방사능 때문에 제한적인 연구만 수행되었다. 보륨은 핵반응로에서만 생성되며, 순수한 형태로 분리된 적은 없다.[1] 방사능이 너무 강하여 어떤 용도로도 사용될 수 없다.[2]

8. 독성 및 주의 사항

망가니즈 화합물은 니켈이나 구리와 같은 다른 널리 사용되는 금속에 비해 독성이 덜한 편이다.[114] 그러나 망가니즈 먼지와 흄(fume)에 노출되는 것은 단기간이라도 5mg/m3의 허용 한도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115]

테크네튬은 화학적 독성이 낮지만,[117] 방사성이므로 모든 동위 원소를 주의해서 다루어야 한다. 테크네튬을 다룰 때의 주요 위험은 먼지 흡입이며, 폐에서의 방사성 오염은 심각한 암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레늄과 그 화합물은 매우 적은 양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독성에 대해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레늄 할로겐화물이나 과레늄산염과 같은 용해성 염은 레늄 이외의 원소나 레늄 자체로 인해 위험할 수 있다.[118]

8. 1. 망가니즈

망가니즈 화합물은 니켈이나 구리와 같은 다른 널리 사용되는 금속에 비해 독성이 덜한 편이다.[114] 그러나 망가니즈 먼지와 흄(fume)에 노출되는 것은 단기간이라도 5mg/m3의 허용 한도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115] 망가니즈 중독은 운동 능력 저하 및 인지 장애와 관련이 있다.[116]

8. 2. 테크네튬

테크네튬은 화학적 독성이 낮다.[117] 예를 들어, 쥐가 수 주 동안 음식 1g당 최대 15μg의 테크네튬-99를 섭취했을 때도 혈액 제형, 신체 및 장기 무게, 음식 섭취량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117] 체내에서 테크네튬은 빠르게 안정적인 이온으로 전환되며, 이는 수용성이 높고 빠르게 배설된다.

테크네튬의 방사선 독성(질량 단위당)은 화합물, 해당 동위원소의 방사선 유형, 그리고 해당 동위원소의 반감기에 따라 달라진다. 그러나 테크네튬은 방사성이므로 모든 동위원소를 주의해서 다루어야 한다. 테크네튬을 다룰 때의 주요 위험은 먼지 흡입이며, 폐에서의 이러한 방사성 오염은 심각한 암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대부분의 작업에서는 흄 후드에서 주의해서 취급하는 것으로 충분하며, 글러브 박스는 필요하지 않다.

8. 3. 레늄

레늄과 그 화합물은 매우 적은 양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독성에 대해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레늄 할로겐화물이나 과레늄산염과 같은 용해성 염은 레늄 이외의 원소나 레늄 자체로 인해 위험할 수 있다.[118] 레늄의 몇 가지 화합물만 급성 독성에 대해 테스트되었으며, 과레늄산칼륨과 삼염화레늄이 그 예이다. 이들은 용액 형태로 쥐에게 주입되었다. 과레늄산염은 7일 후 LD50 값이 2800mg/kg (이는 식염과 유사한 매우 낮은 독성)이었으며, 삼염화레늄은 LD50이 280mg/kg이었다.[118]

9. 생물학적 역할

7족 원소 중 망가니즈는 인체 내에서 필수 미량 영양소로, 여러 생물학적 과정에서 조효소로 작용하며, 단백질과 효소의 구성 요소로 기능한다. 반면 테크네튬, 레늄, 보륨은 알려진 생물학적 역할이 없다.[119] 다만, 테크네튬의 방사성 동위 원소는 방사선 영상 촬영에 사용된다.[119]

9. 1. 망가니즈

7족 원소 중 망가니즈는 인체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망가니즈는 필수 미량 영양소로, 인체는 약 10 밀리그램의 망가니즈를 함유하고 있다. 망가니즈는 대영양소 대사, 뼈 형성, 자유 라디칼 방어 시스템 등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서 조효소로 작용한다. 또한 망가니즈는 수십 가지 단백질과 효소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119] 인체 내 망가니즈는 주로 뼈에 집중되어 있으며, 나머지 연조직은 간과 신장에 분포한다. 뇌에서 망가니즈는 망가니즈 금속 단백질에 결합되어 있으며, 특히 별아교 세포 내 글루타민 합성효소에 주목할 만하다.[120]

9. 2. 테크네튬, 레늄, 보륨

테크네튬, 레늄, 보륨은 알려진 생물학적 역할이 없다.[119] 그러나 테크네튬은 방사선 영상에 사용된다.

참조

[1] 논문 First-principles calculation of the structural stability of 6d transition metals
[2] 논문 Physical properties of the 6 d -series elements from density functional theory: Close similarity to lighter transition metals 2011-05-10
[3] 서적 Nuclear and Radiochemistry: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2013
[4] 서적 The chemistry of the actinide and transactinide elements Springer 2006
[5] 간행물 Hausmannite Mn3O4 nanorods: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magnetic properties
[6] 간행물 One-step synthesis of Mn3O4 nanoparticles: Structural and magnetic study
[7] 논문 Use of Carbonaceous Polysaccharide Microspheres as Templates for Fabricating Metal Oxide Hollow Spheres https://onlinelibrar[...] 2006-02-20
[8] 서적 Structural Inorganic Chemistry Oxford Science Publications
[9] 문서 High Pressure Phase transition in Mn2O3 to the CaIrO3-type Phase American Geophysical Union 2005
[10] 서적 Manganese(VII) Oxide Academic Press
[11] 논문 Electroseparation of Technetium from Rhenium and Molybdenum 1949
[12] 논문 THE RADIOCHEMISTRY OF TECHNETIUM https://www.osti.gov[...] U.S. Department of Energy Office of Scientific and Technical Information 1960
[13] 논문 Magnetochemistry of Technetium and Rhenium ACS Publications 1954
[14] 서적 Advances in Inorganic Chemistry and Radiochemistry https://books.google[...] Elsevier Science 1968
[15] 학위논문 Volatile Technetium Oxides: Implications for Nuclear Waste Vitrification 2017
[16] 논문 Technetium and Astatine Chemistry Annual Reviews 1959
[17] 서적 Technetium(VII) Oxide, in Inorganic Syntheses
[18] 논문 Technetium(VII)-oxid: Ein Übergangsmetalloxid mit Molekülstruktur im festen Zustand
[19] 서적 Rhenium (IV) Oxide Academic Press
[20] 웹사이트 RHENIUM DIOXIDE - Manufacturer http://www.aaamolybd[...] Aaamolybdenum.com 2012-08-06
[21] 서적 Sodium Rhenate (IV) Academic Press
[22] 서적 Inorganic Syntheses
[23] 기타 Rhenium and Rhenium Compounds
[24] 기타 Rhenium(VI) Oxide (Rhenium Trioxide) https://onlinelibrar[...] Wiley 1950-01
[25] 서적 Handbook of Preparative Inorganic Chemistry, 2nd Ed. Academic Press
[26] 논문 The Crystal Structure of MnF2, FeF2, CoF2, NiF2 and ZnF2
[27] 서적 Dictionary of Environmentally Important Chemicals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08-06-18
[28] 웹사이트 Scacchite https://www.mindat.o[...]
[29] 웹사이트 Kempite https://www.mindat.o[...]
[30] 서적 Synthesis of Biaryls https://books.google[...] Elsevier 2008-06-18
[31] 학위논문 Binary Technetium Halides http://digitalschola[...] University of Nevada, Las Vegas 2014-05
[32] 논문 Recent Advances in Technetium Halide Chemistry
[33] 논문 Synthesis and Structure of Technetium Trichloride
[34] 기타
[35] 논문 Polynuclear Technetium Halide Clusters http://www.maik.rssi[...] 2002
[36] 서적 Chemistry of the Elements Butterworth-Heinemann
[37] 논문 Chemistry of Organomanganese(II) Compounds
[38] 논문 Manganese(II): The Black Sheep of the Organometallic Family
[39] 논문 Technetium and Gallium Derived Radiopharmaceuticals: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 Chemistry of Two Important Radiometals for the Molecular Imaging Era
[40] 논문 Technetium carbonyl 1961
[41] 논문 The Crystal Structure of Ditechnetium Decacarbonyl 1965
[42] 논문 Unit cell and space group of technetium carbonyl, Tc2(CO)10 1962
[43] 서적 Medicinal Organometallic Chemistry
[44] 논문 Nucleophile Addition von Carbonylmetallaten an kationische Alkin-Komplexe [CpL2M(η2-RC≡CR)]+ (M = Ru, Fe): μ-η1:η1-Alkin-verbrückte Komplexe 1990
[45] 서적 Inorganic Syntheses 1990
[46] 서적 Inorganic Syntheses 1990
[47] 간행물 Methyltrioxorhenium John Wiley & Sons 2002
[48] 논문 A 70-Year-Old Mystery in Technetium Chemistry Explained by the New Technetium Polyoxometalate [H 7 O 3 ] 4 [Tc 20 O 68 ] ⋅ 4H 2 O https://chemistry-eu[...] 2021-09-24
[49] 논문 Intramolecular Re···O Nonvalent Interactions as a Stabilizer of the Polyoxorhenate(VII) https://pubs.acs.org[...] 2023-08-21
[50] 논문 Minerals discovered in paleolithic black pigments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nd micro-X-ray absorption near-edge structure http://orbi.ulg.ac.b[...] 2006
[51] 논문 Compositional Categories of Ancient Glass 1961
[52] 논문 Glassmaking in renaissance Italy: The innovation of venetian cristallo 1998
[53] 서적 Forschen Suche und Sucht https://books.google[...] Books on Demand 2000
[54] 웹사이트 Rhenium: Statistics and Information http://minerals.usgs[...]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1
[55] 논문 The High-Frequency Spectra of the Elements, Part II http://www.chemistry[...] 2009-05-14
[56] 논문 Discovery of a new element 'nipponiumʼ: re-evaluation of pioneering works of Masataka Ogawa and his son Eijiro Ogawa 2004
[57] 논문 Ogawa's nipponium and its re-assignment to rhenium 2022
[58] 논문 Names and symbols of the elements with atomic numbers 113, 115, 117 and 118 (IUPAC Recommendations 2016) https://www.degruyte[...] 2017-04-22
[59] 논문 Die Ekamangane 1925
[60] 논문 Die Herstellung von einem Gram Rhenium 1929
[61] 서적 Trends in usage of rhenium: Report https://books.google[...] 1968
[62] 서적 Rhenium alloys https://books.google[...] 1970
[63] 서적 Exploring Chemical Elements and their Compounds TAB Books
[64] 서적 A Mind Always in Motion: The Autobiography of Emilio Segrè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93
[65] 논문 " On spontaneous fission of neutron-deficient isotopes of elements"
[66] 논문 Identification of element 107 by α correlation chains https://www.research[...] 2016-12-24
[67] 논문 Discovery of the transfermium elements. Part II: Introduction to discovery profiles. Part III: Discovery profiles of the transfermium elements
[68] 간행물 2001
[69] 논문 Geochemistry of braunite and associated phases in metamorphosed non-calcareous manganese ores of India 1984
[70] 간행물 USGS Mineral Commodity Summaries 2009
[71] 서적 Lehrbuch der Anorganischen Chemie Walter de Gruyter 1985
[72] 간행물 Trace and minor elements in sphalerite: A LA-ICPMS study https://linkinghub.e[...] 2009
[73] 간행물 Manganese/polymetallic nodules: micro-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exolithobiontic- and endolithobiontic microbial biofilms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2009
[74] 간행물 Manganese Nodules: Dimensions and Perspectives Springer 1978
[75] 웹사이트 Manganese Mining in South Africa – Overview http://www.mbendi.co[...] MBendi.com 2014-01-04
[76] 간행물 Review of Manganese Processing for Production of TRIP/TWIP Steels, Part 1: Current Practice and Processing Fundamentals
[77] 서적 Industrial Minerals & Rocks: Commodities, Markets, and Uses SME 2006
[78] 간행물 Manganese metallurgy review. Part I: Leaching of ores/secondary materials and recovery of electrolytic/chemical manganese dioxide 2007
[79] 웹사이트 The Recovery of Manganese from low grade resources: bench scale metallurgical test program completed http://www.americanm[...] Kemetco Research Inc. 2010
[80] 뉴스 The CIA secret on the ocean floor https://www.bbc.com/[...] 2018-05-03
[81] 웹사이트 Project Azorian: The CIA's Declassified History of the Glomar Explorer http://www2.gwu.edu/[...] National Security Archive at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2013-09-18
[82] 서적 Encyclopedia of Marine Geosciences - Manganese Nodules https://www.research[...] Springer 2021-02-02
[83] 간행물 Green synthesis of manganese nanoparticles: Applications and future perspective–A review https://www.scienced[...] 2021-02-02
[84] 웹사이트 Polymetallic Nodules https://isa.org.jm/f[...] International Seabed Authority 2021-02-02
[85] 간행물 Parametrization and evaluation of marine environmental impacts produced by deep-sea manganese nodule mining http://dx.doi.org/10[...] 2001-01-01
[86] 간행물 Seabed Mining and Approaches to Governance of the Deep Seabed 2018
[87] 문서 Emsley
[88] 간행물 Analysis of Naturally Produced Technetium and Plutonium in Geologic Materials 1997
[89] 간행물 Nature's uncommon elements: plutonium and technetium https://digital.libr[...] 1999
[90] 간행물 Technetium in the Sun 1951
[91] 웹사이트 Rhenium - Element information, properties and uses {{!}} Periodic Table https://www.rsc.org/[...] 2019-12-02
[92] 웹사이트 2005 Minerals Yearbook: Chile http://minerals.usgs[...]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08-10-26
[93] 간행물 Discovery of a pure rhenium mineral at Kudriavy volcano 2004-05-05
[94] 간행물 Concentration of rhenium and other rare metals in gases of the Kudryavy Volcano (Iturup Island, Kurile Islands) 2010
[95] 간행물 Sources of unique rhenium enrichment in fumaroles and sulphides at Kudryavy volcano 2008
[96] 웹사이트 The Mineral Rheniite http://www.galleries[...] Amethyst Galleries
[97] 서적 Rare earth and critical elements in ore deposits https://pubs.er.usgs[...]
[98] 간행물 Recent advances in the chemistry of rhenium 1974
[99] 웹사이트 Rhenium http://minerals.usgs[...] U.S. Geological Survey 2013-09-04
[100] 웹사이트 MinorMetal prices http://www.minormeta[...] minormetals.com 2008-02-17
[101] 웹사이트 Analysis: Super hot metal rhenium may reach "platinum prices" http://in.reuters.co[...] Reuters India 2008-10-26
[102] 간행물 Prospects for selective-and-advanced recovery of rhenium from pregnant solutions of in-situ leaching of uranium ores at Dobrovolnoye deposit https://mst.misis.ru[...]
[103] 간행물 "[Mn(bipyridyl)(CO)3Br]: an abundant metal carbonyl complex as efficient electrocatalyst for CO2 reduction" 2011
[104] 뉴스 The element that can make bones glow https://www.bbc.co.u[...] BBC 2015-05-30
[105] 간행물 Cyclotron production of 99mTc: an approach to the medical isotope crisis http://jnm.snmjourna[...] 2010
[106] 서적 The Encyclopedia of the Chemical Elements https://archive.org/[...] Reinhold Book Corporation 1968
[107] 서적 Metal Ions in Bio-Imaging Techniques Springer
[108] 간행물 University Research Program in Robotics REPORT http://www.osti.gov/[...] University of Florida 2007-10-12
[109] 서적 EPA: 402-b-04-001b-14-final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08-08-04
[110] 논문 Electrocatalytic Reduction of Carbon Dioxide Mediated by Re(bipy)(CO)3Cl (bipy = 2,2'-bipyridine) 1984
[111] 논문 One- and Two-electron Pathways in the Electrocatalytic Reduction of CO2 by fac-Re(bpy)(CO)3Cl (bpy = 2,2'-bipyridine) 1985
[112] 논문 Recent Studies of Rhenium and Manganese Bipyridine Carbonyl Catalysts for the Electrochemical Reduction of CO2 2014
[113] 논문 Homogeneously Catalyzed Electroreduction of Carbon Dioxide -- Methods, Mechanisms, and Catalysts 2018
[114] 서적 Manganese https://books.google[...] The Rosen Publishing Group 2008
[115] 웹사이트 Manganese Chemical Background http://www.environme[...] Metcalf Institute for Marine and Environmental Reporting University of Rhode Island 2006-04
[116] 웹사이트 Risk Assessment Information System Toxicity Summary for Manganese http://rais.ornl.gov[...]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 2008-04-23
[117] 서적 Technetium in the environment https://books.google[...] Springer 1986
[118] 논문 Pharmacology and toxicology of potassium perrhenate and rhenium trichloride 1968
[119] 서적 Essential Metals in Medicine: Therapeutic Use and Toxicity of Metal Ions in the Clinic De Gruyter
[120] 논문 Manganese action in brain function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