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시테인 준동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복시테인 준동형은 공사슬 복합체의 짧은 완전열로부터 유도되는 연결 사상이다. 사슬 복합체의 호몰로지에서도 정의되며, 복시테인 스펙트럼 열을 유도하는 데 사용된다. 이 준동형은 스틴로드 연산과 정수 슈티펠-휘트니 특성류를 정의하는 데 활용되며, 메예르 펠릭소비치 복시테인에 의해 도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호몰로지 이론 - 매시 곱
매시 곱은 미분 등급 대수 원소에 대한 연산으로 코호몰로지 곱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위상수학적 불변량을 측정하며, 2항 곱과 3항 곱을 일반화한 형태로 불확정성을 가지지만, 브루니안 링크, 보로메오 고리 연구 및 꼬인 K-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호몰로지 이론 - 베유 대수
베유 대수는 체 K 위의 리 대수 g에 대하여 정의되는 미분 등급 대수이며, g의 쌍대 공간과 그 등급 이동으로 생성되는 외대수와 대칭 대수의 텐서곱으로 표현되고, 리 군의 분류 공간의 주다발의 무한소 형태를 나타내는 완전열과 관련이 있다. - 대수적 위상수학 - 매시 곱
매시 곱은 미분 등급 대수 원소에 대한 연산으로 코호몰로지 곱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위상수학적 불변량을 측정하며, 2항 곱과 3항 곱을 일반화한 형태로 불확정성을 가지지만, 브루니안 링크, 보로메오 고리 연구 및 꼬인 K-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대수적 위상수학 - 톰 공간
톰 공간은 파라콤팩트 공간 위의 벡터 다발을 이용하여 구성되며, 르네 톰에 의해 도입되었고, 톰 동형을 통해 기저 공간의 코호몰로지와 관계를 가지며 특성류 이론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복시테인 준동형 | |
---|---|
일반 정보 | |
유형 | 동형 사상 |
분야 | 대수적 위상수학, 호몰로지 대수학 |
발명가 | 마이어 복스테인 |
정의 | |
개요 | 복스테인 준동형은 정수 계수를 갖는 호몰로지 군과 코호몰로지 군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이다. 특히, 완전열과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는 데 유용하다. |
예시 | |
예시 | 매니폴드의 호몰로지 스펙트럼 열 |
관련 개념 | |
관련 개념 | 완전열 정수 계수 호몰로지 코호몰로지 |
중요성 | |
중요성 | 대수적 위상수학에서 다양한 공간의 호몰로지 군 구조 연구 호몰로지 대수학에서 완전열의 성질 연구 |
2. 정의
공사슬 복합체의 짧은 완전열이 주어졌다고 하자.
:
그렇다면, 지그재그 보조정리를 사용해 다음과 같은 코호몰로지 긴 완전열을 만들 수 있다.
:
여기서 연결 사상 를 '''복시테인 준동형'''이라고 한다. 이때
:
는 사슬 복합체의 현수이다.
사슬 복합체의 호몰로지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복시테인 준동형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원래 (공)사슬 복합체의 등급이 라면, 복시테인 준동형의 등급 역시 이다.
2. 1. 복시테인 스펙트럼 열
공사슬 복합체 의 등급 단사 자기 사상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러면 다음과 같은 짧은 완전열을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코호몰로지를 취하면 다음과 같은 긴 코호몰로지 완전열의 일부인 완전쌍을 얻는다.
여기서 유도되는 스펙트럼 열을 '''복시테인 스펙트럼 열'''(Бокштейнrus, Bockstein spectral sequenceeng)이라고 한다. 이 스펙트럼 열의 첫 번째 쪽()은 다음과 같다.[1]
만약 이고 코호몰로지 군 가 아래로 유계이면 (즉, 어떤 정수 이 존재하여 모든 에 대해 이면), 이 스펙트럼 열은 로 수렴한다.[1]
유사한 방식으로, 호몰로지에 대해서도 복시테인 스펙트럼 열을 구성할 수 있다.
3. 예
복시테인 준동형의 중요한 예시로는 스틴로드 연산과 관련된 준동형 및 정수 슈티펠-휘트니 특성류를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준동형 등이 있다. 이들은 특정 짧은 완전열로부터 유도된다.
3. 1. 스틴로드 연산
가장 흔히 사용되는 복시테인 준동형은 다음 짧은 완전열로부터 유도된 코호몰로지에 대한 준동형들이다.:
여기서 은 정수이다.
위상 공간 위의 특이 사슬 복합체 에 대하여, 계수를 , 로 가지는 사슬 복합체들을 생각하면 다음과 같은 짧은 완전열이 존재한다.
:
이 짧은 완전열은 코호몰로지 군 사이에 다음과 같은 긴 완전열을 유도하며, 이 긴 완전열에 포함된 연결 준동형이 복시테인 준동형 이다.
:
이 준동형은 코호몰로지 환 위에 다음과 같은 성질들을 만족시키는 등급 의 미분을 정의한다.
- (이 3 이상의 소수일 경우). 즉, 를 연달아 두 번 적용하면 0이 된다.
- 는 곱 규칙을 만족시킨다. 즉, 임의의 동차 코호몰로지류 에 대하여 다음 라이프니츠 법칙이 성립한다.
::
여기서 는 코호몰로지 환의 컵곱이고, 는 코호몰로지류 의 등급(차수)이다.
3. 2. 정수 슈티펠-휘트니 특성류
짧은 완전열:
에 대응하는 복시테인 준동형
:
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정수 슈티펠-휘트니 특성류 는 (일반) 슈티펠-휘트니 특성류 에 (n=2일 때의) 복시테인 준동형 를 적용하여 얻을 수 있다. 즉, 이다.
4. 역사
메예르 펠릭소비치 복시테인(Ме́ер Фе́ликсович Бокште́йнru, 1913~1990)이 도입하였다.[2][3][4]
참조
[1]
웹인용
A user’s guide to the Bockstein spectral sequence
http://www.math.wash[...]
2005
[2]
논문
Universal systems of ∇-homology rings
[3]
논문
A complete system of fields of coefficients for the ∇-homological dimension
[4]
논문
Sur la formule des coefficients universels pour les groupes d’homologi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