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본질적 위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본질적 위계는 점성술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행성이 자신의 의미를 얼마나 잘 표현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십분각(decan)은 별자리를 10도씩 나누어, 각 구간에 행성을 배정하는 방식으로, 개인의 성격과 운세 해석에 활용된다. 고대 점성술에서는 황도대 별자리를 십분각으로 나누어 해석했으며, 현대 점성술에서는 천왕성, 해왕성, 명왕성을 십분각에 추가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본질적 위계는 지배성, 쇠퇴, 융성, 몰락 등 다양한 형태로 구분되며, 십분각과 함께 개인의 특징을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한국에서는 십분각보다는 12지신과 28수와 같은 동아시아 점성술 체계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서양 점성술의 유입과 함께 십분각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점성술 - 황도대
    황도대는 황도를 따라 분포하는 별자리 영역 또는 별자리들을 가리키는 천구상의 띠로, 천문학에서 황도 좌표계의 기초를 이루지만 주로 점성술에서 12궁도의 기준으로 사용되며, 춘분점 세차 운동으로 천문학적 별자리와 점성술적 별자리의 경계가 달라진다.
  • 점성술 - 칠요
    칠요는 고대 수메르에서 시작되어 바빌로니아를 거쳐 전 세계로 전파된, 7개의 행성과 신들의 명칭을 순서대로 배열하여 요일을 정하는 방식이다.
본질적 위계
본질적 위계
개념점성술적 개념
정의행성이 사인 내에서 갖는 상대적인 힘과 약점을 나타내는 시스템
관련 행성태양, 달, 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
역사 및 기원
기원헬레니즘 점성술
주요 인물프톨레마이오스, 도로테우스, 알-비루니, 윌리엄 릴리
본질적 위계의 종류
종류지배성
타격
고양
삼궁
항성면
도수
비고각각의 위계는 행성의 힘과 효과에 미묘한 차이를 부여함.
중요성
역할점성학적 차트 해석의 중요한 부분
행성의 잠재력과 한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
사건의 결과 예측 및 성격 분석에 활용
같이 보기
관련 개념점성술
행성
사인
점성술 용어 목록

2. 역사적 기원 및 발전

십분각(데칸)은 별자리를 10도씩 분할한 구간이다.[14] 고대 점성가들은 황도대 별자리를 더 자세히 해석하기 위해 각 별자리를 거의 열흘에 해당하는 기간으로 나누었다.[14] 이러한 분할은 데칸 또는 데칸테스라고 불리며, 행성의 본질적 위계와 결합되거나 이를 증감시키는 보조적인 효과로 작용하여 개인의 특징 변화를 담당한다.[14] 1년은 365일이고 36개의 데칸은 360일이므로, 이러한 열흘씩의 구간은 다소 임의적이다.[14]

고대 서양 점성술 개념에 따르면, 십분각과 그 주인은 다음과 같이 할당될 수 있다.

별자리1번째 십분각의 주인2번째 십분각의 주인3번째 십분각의 주인
양자리화성태양금성
황소자리수성토성
쌍둥이자리목성화성태양
게자리금성수성
사자자리토성목성화성
처녀자리태양금성수성
천칭자리토성목성
전갈자리화성태양금성
사수자리수성토성
염소자리목성화성태양
물병자리금성수성
물고기자리토성목성화성


3. 전통적인 십분각 체계

점성술에서 테칸(decan)은 별자리를 10도씩 분할한 구간이며, 십분각이라고도 한다. 고대 점성가들은 황도대 별자리를 더 세밀하게 해석하기 위해 각 별자리를 거의 열흘에 해당하는 기간으로 나누었다. 이러한 십분각은 행성의 본질적 위계와 결합하거나 증감시키는 보조적인 효과로 작용하며, 개인의 특징 변화를 담당한다. 36개의 데칸은 360일이므로 1년의 365일에서 5일(때때로 6일)이 남기 때문에, 그러한 열흘씩의 구간은 다소 임의적이다.[14]

십분각과 행성 배정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3. 1. 십분각과 행성 배정

점성술에서 테칸(decan)은 별자리를 10도씩 분할한 구간으로, 십분각이라고도 부른다. 고대 점성가들은 황도대 별자리를 더 세밀하게 해석하기 위해 각 별자리를 거의 열흘에 해당하는 기간으로 나누었다. 이러한 십분각은 개인의 특징 변화에 영향을 주는 보조적인 요소로 작용하며, 행성의 본질적 위계와 결합되거나 이를 강화 또는 약화시킨다.[14]

고대 서양 점성술의 개념에 따르면, 십분각과 그 주인은 다음과 같이 배정된다.

별자리1번째 십분각의 주인2번째 십분각의 주인3번째 십분각의 주인
양자리화성태양금성
황소자리수성토성
쌍둥이자리목성화성태양
게자리금성수성
사자자리토성목성화성
처녀자리태양금성수성
천칭자리토성목성
전갈자리화성태양금성
사수자리수성토성
염소자리목성화성태양
물병자리금성수성
물고기자리토성목성화성


3. 2. 십분각 표 (전통적)

고대 서양 점성술 개념에 따르면, 십분각과 그 주인들은 다음과 같이 할당될 수 있다.[14]

별자리1번째 십분각의 주인2번째 십분각의 주인3번째 십분각의 주인
양자리화성태양금성
황소자리수성토성
쌍둥이자리목성화성태양
게자리금성수성
사자자리토성목성화성
처녀자리태양금성수성
천칭자리토성목성
전갈자리화성태양금성
사수자리수성토성
염소자리목성화성태양
물병자리금성수성
물고기자리토성목성화성


4. 현대 점성술에서의 십분각

현대 점성술에서는 전통적인 십분각 체계 외에 천왕성, 해왕성, 명왕성과 같은 외행성을 십분각에 배정하는 새로운 체계가 등장하였다.[1] 이들 행성의 본성과 별자리의 본성 사이의 유사성 때문에 이러한 관행이 생겨났다.

별자리지배 행성쇠퇴융성몰락
양자리화성금성태양토성
황소자리금성명왕성천왕성
쌍둥이자리수성목성수성금성
게자리토성목성화성
사자자리태양천왕성해왕성명왕성
처녀자리수성해왕성수성금성
천칭자리금성화성토성태양
전갈자리명왕성금성천왕성
사수자리목성수성금성수성
염소자리토성화성목성
물병자리천왕성태양명왕성해왕성
물고기자리해왕성수성금성수성


4. 1. 외행성과 십분각

일부 현대 점성가들은 천왕성, 해왕성, 명왕성을 각각 물병자리, 물고기자리, 전갈자리의 현대 주인으로 간주하고, 이들 행성을 십분각(데칸)에 배정하는 새로운 체계를 제시한다. 이러한 체계는 전통적인 십분각 체계와 함께 사용되거나, 대체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5. 본질적 위계

점성술에서 본질적 위계는 행성이 특정 별자리나 위치에 있을 때 그 영향력이 강해지거나 약해지는 정도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대부분의 점성술은 각 행성의 고유한 에너지와 지구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력을 중심으로 하기 때문에, ''본질적 위계''는 주어진 운세 차트에서 행성의 잠재적인 "장점" 또는 "단점"을 측정하는 추가적인 도구이다.

예를 들어, 태양은 전통적으로 사자자리의 지배자인데, 물병자리에 태양이 있는 사람은 태양이 "약화"되거나 "쇠약"되었다고 하며, ''불리''하다고 말한다. 이 사람에게 태양의 영향은 덜 두드러지거나 강렬하게 느껴지지 않을 것이다. 태양과 사자자리는 자아, 생명력, 쇼맨십, 충성심, 존경심을 나타낸다. 물병자리와 그 행성 지배자인 토성은 모두 필요한 과제, 그룹의 성공, 세부적인 사실, 그리고 잠재적으로 어려운 (그러나 종종 필요한) 시나리오를 나타낸다. 북반구에서 사자자리와 태양은 한여름을 나타내며, 물병자리는 1월에 위치하여 한겨울의 별자리이다. 겨울의 태양은 하늘에서 더 낮게 위치하며, 따라서 여름보다 약하다. 그러나 운세의 모든 행성이 승격되거나 쇠약된 상태를 갖는 것은 아니며, 일부 행성 배치는 순전히 "중립적"이므로, 인식되는 영향은 덜 눈에 띄거나 강렬할 것이다.

이에 비해, 우발적 위계는 행성 또는 지점이 차트의 다른 요인과의 관계에서 얼마나 많은 강점을 얻는지 나타낸다. 예를 들어, 화성이 염소자리 27°에 있을 때의 ''본질적 위계''를 찾으려면, 우선 행성이 이미 존엄한 위치에 있다는 사실을 고려해야 한다. 즉, 화성은 염소자리에서 ''숭고''하다고 하며, 또한 염소자리 27도의 "경계" 지배자이자 염소자리 27도의 페이스 지배자이기도 하다. 이것은 상당히 존엄한 화성이다.

만약 같은 운세에서 물병자리가 제1하우스를 차지하고 있다면 — 염소자리가 제12하우스가 되면서 — 염소자리 27°의 화성은 제12하우스에 위치하게 될 것이다. 화성의 ''우발적 위계''는 좋지 않을 것이다. 왜냐하면 약하거나 악의적인 사각 하우스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일부 점성가들은 서로 다른 형태의 본질적 위계가 서로 다른 "가중치"를 갖는다고 믿는다. 자신의 돔에 있는 행성은 +5, 엑절테이션(exaltation) +4, 트립리시티(triplicity) +3, 바운드(bounds) +2, 데칸(decans) +1을 갖는다고 한다.[9] 일부 아랍 텍스트는 바운드보다 돔과 엑절테이션을 본질적 위계의 형태로 더 중요하게 여기지만, 텀(terms)에 대해서는 중요성을 덜 두는데, 이는 각 형태가 어떻게 가중치를 갖게 되었는지에 대한 기원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2] 그러나 고대 점성술 문헌에는 서로 다른 유형의 본질적 위계에 대한 순위 시스템이 있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실제로 일부 점성가들은 자신의 바운드에 있는 행성이 자신의 돔에 있는 것만큼 강력하다고 믿었다. 예를 들어, 피르미쿠스(Firmicus)는 "행성이 자신의 텀에 있는 경우 자신의 사인에 위치한 것과 같다"라고 언급한다.[10]

5. 1. 본질적 위계의 종류

전통적으로 다섯 가지 본질적 위계는 다음과 같다.[9][2][10]

  • 사주와 불리
  • 격상 vs 쇠퇴
  • 삼주
  • 구간 (또는 "경계")
  • 데칸 (또는 "십이지신")


보나티나 릴리와 같은 후기 고전 점성가들에게 위계는 계층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가장 중요한 위계는 사주 지배성이었고, 그 다음으로 격상이 중요했다. 삼주 지배성은 중세 점성술에서도 상당히 중요했지만, 헬레니즘 점성가인 프톨레마이오스에게만큼 중요하지는 않았다. '구간' 지배성은 그 중요성이 상당히 줄어들었고, '데칸' 지배자는 거의 완전히 무시되었다. (릴리는 데칸 지배자가 행성이 완전히 '이방인'이 되는 것을 막는 유일한 기능을 한다고 말했다. 즉, 어떤 본질적인 위계도 없는 상태, 이는 해로운 조건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헬레니즘 점성가들은 위계에 대해 매우 다른 관점을 가지고 있었다. 프톨레마이오스와 베티우스 발렌스와 같은 초기 점성가들에게 사주 지배성, 격상, 삼주 지배성, 구간 지배성은 모두 동등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많은 현대 점성가들은 사주 지배성을 제외하고는 본질적 위계에 거의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지배 행성에 대한 기사 참조). 이는 부분적으로 18세기부터 점성술이 인기를 잃으면서 발생한 점성술 기술의 단순화의 결과이다(점성술의 역사 참조).

5. 2. 본질적 위계와 십분각

테칸은 점성술에서 별자리를 10도씩 분할한 구간으로, 십분각이라고도 부른다. 고대 점성가들은 황도대 별자리를 더 자세히 해석하기 위해 각 별자리를 거의 열흘에 해당하는 기간으로 나누었다. 이러한 십분각은 행성의 본질적 위계와 결합되거나 본질적 위계의 영향을 조절하여 개인의 특징 변화에 영향을 준다.[14] 십분각은 본질적 위계에서 가장 약한 요소로 여겨지지만, 행성의 영향력을 미세하게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고대 서양 점성술에서는 십분각과 그 주인들을 다음과 같이 할당했다.

별자리1번째 십분각의 주인2번째 십분각의 주인3번째 십분각의 주인
양자리화성태양금성
황소자리수성토성
쌍둥이자리목성화성태양
게자리금성수성
사자자리토성목성화성
처녀자리태양금성수성
천칭자리토성목성
전갈자리화성태양금성
사수자리수성토성
염소자리목성화성태양
물병자리금성수성
물고기자리토성목성화성



보나티나 릴리와 같은 후기 고전 점성가들은 위계에 계층 구조를 두었는데, 이들에게 십분각은 거의 무시되었다. 릴리는 십분각의 지배자가 행성이 완전히 '이방인'이 되는 것을 막는 유일한 기능을 한다고 말했다.[14]

일부 점성가들은 서로 다른 형태의 본질적 위계가 서로 다른 "가중치"를 갖는다고 믿으며, 데칸(decans)에 +1의 가중치를 부여한다.[9]

6. 경계 (Bounds)

점성술에서 바운드(bounds) 또는 텀(terms)은 황도대를 다섯 개의 불균등한 영역으로 세분화한 것으로, 각 영역은 다섯 개의 전통적인 행성에 할당된다. 빛을 발하는 천체에는 세분화가 할당되지 않는다.[1] 바운드는 기원전 1세기 중반의 파피루스 운세에서부터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 바운드의 생성 논리와 초기 운세의 해석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2] 현재는 전통 점성술의 중요한 요소가 되었으며, 본질적인 존엄성의 한 형태로 사용되고, 수용, 주요 방향, 수명 연장 기법과 같은 다양한 개념과 기법에 적용된다.

6. 1. 경계의 유형

점성술에서 바운드(bounds) 또는 텀(terms)은 황도대를 다섯 개의 불균등한 영역으로 세분화한 것으로, 각 영역은 다섯 개의 전통적인 행성에 할당된다. 빛을 발하는 천체에는 세분화가 할당되지 않는다.[1] 바운드는 기원전 1세기 중반의 파피루스 운세에서부터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 바운드의 생성 논리와 바운드가 사용된 초기 운세의 해석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2] 현재는 전통 점성술의 중요한 요소가 되었으며, 본질적인 존엄성의 한 형태로 사용되고, 수용, 주요 방향, 수명 연장 기법과 같은 다양한 개념과 기법에 적용된다.

참조

[1] 웹사이트 Terms - Astrodienst Astrowiki https://www.astro.co[...] 2023-10-17
[2] 웹사이트 A New Discovery of a Component of Greek Astrology in Babylonian Tablets: The "Terms". ISAW Papers 1 https://dlib.nyu.edu[...] 2011-12-13
[3] 서적 The Anthology The Golden Hind Press
[4] 서적 Ancient Astrology Theory and Practice: Matheseos Libri VIII Astrology Classics
[5] 서적 Paulus Alexandrius: Introductory Matters The Golden Hind Press
[6] PDF Chart of the Bounds According to the Egyptians https://www.hellenis[...]
[7] 웹사이트 Claudius Ptolemy: Tetrabiblos http://theosnet.net/[...] 2006-02
[8] 서적 Christian Astrology
[9] 서적 Christian Astrology
[10] 서적 Ancient Astrology Theory and Practice: Matheseos Libri VIII Astrology Classics
[11] 서적 Rhetorius of Egypt: Astrological Compendium Containing His Explanation and Narration of the Whole Art of Astrology American Federation of Astrologers
[12] 서적 William Lilly, Christian Astrology, Book 1: An Introduction to Astrology Ascella Publications
[13] 서적 William Lilly, Christian Astrology, Book 1: An Introduction to Astrology Ascella Publications
[14] 웹사이트 novareinna.com http://www.novareinn[...] 2010-0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