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황도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도대는 고대 바빌로니아에서 기원한, 황도를 12개의 별자리로 나눈 것이다. 이는 천문학적 좌표 체계로, 태양, 달, 행성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 사용되었다. 황도대는 점성술에서도 활용되며, 각 별자리는 특정 기간을 나타내며 개인의 성격이나 운세를 예측하는 데 사용된다. 천문학에서는 황도 좌표계를 사용하여 천체의 위치를 측정하며, 황도광과 같은 현상과도 관련된다. 회귀 황도대와 항성 황도대 간의 차이는 분점의 세차 운동으로 인해 발생하며, 이는 점성술 체계의 차이를 야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별자리 - 화로자리
    화로자리는 남반구 별자리로, 화학 실험 도구인 화로를 상징하며, 허블 울트라 딥 필드와 화로자리 은하단 등 심원 천체를 포함하고 있다.
  • 별자리 - 십분각 (점성술)
    십분각은 고대 이집트에서 기원하여 시간을 측정하고 달력을 구성하는 기준으로 사용된 점성술 개념으로, 헬레니즘 시대를 거치면서 상징적 의미가 부여되어 점성술적 의미를 지니게 되었으며, 현대 점성술에서는 개인의 성격과 운명 해석에 활용되고 고대 천문학 및 신화 연구에도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 초기 과학적 우주론 - 지구설
    지구설은 지구의 형태와 형성 과정, 형태 변화에 대한 역사적 이해와 과학적 탐구를 다루며, 편구형 타원체인 지구는 먼지 구름의 응집과 행성 분화를 거쳐 형성되었고, 현재도 끊임없이 변화하며, 고대부터 구형임이 인지되었고 현대 측지학으로 정밀하게 측정된다.
  • 초기 과학적 우주론 - 태양중심설
    태양중심설은 행성들이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한다는 이론으로, 아리스타르코스가 최초로 제기했으나 코페르니쿠스에 의해 부활되었고, 케플러, 갈릴레이, 뉴턴 등에 의해 과학적 사실로 확립되었지만, 현대에는 태양계 질량중심을 기준으로 하며 태양이 특별한 위치를 차지하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 명수 12 - 올림포스 12신
    올림포스 12신은 그리스 신화에서 올림포스 산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제우스 중심의 주요 신들로, 시대와 지역에 따라 구성원이 다소 다르지만, 크로노스와 레아의 자녀인 제1세대 신들과 제우스의 자녀인 제2세대 신들로 나뉘어 각자 고유한 영역과 특징을 가진다.
  • 명수 12 - 지지 (역법)
    지지는 동아시아 역법에서 시간, 방위, 연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12개의 지지(子, 丑, 寅, 卯, 辰, 巳, 午, 未, 申, 酉, 戌, 亥)를 의미하며, 십이지는 12마리의 동물에 대응되어 다양한 문화적, 신앙적 형태로 활용된다.
황도대
개요
태양의 궤도
지구의 공전은 황도 (빨간색)를 따라 태양의 겉보기 운동을 유발한다. 지구는 이 평면에 대해 23.4° 지축 경사를 가지고 있다. 천구 적도는 하늘에 투영되었을 때 하늘색으로 표시된다.
12 황도대 별자리
12개의 황도대 별자리 사진
정의태양이 1년 동안 통과하는 경로인 황도를 따라 하늘을 12개로 나눈 영역이다.
어원
어원그리스어 "zōidiakòs kýklos" (ζῳδιακός κύκλος), "동물들의 원"에서 유래
구성
황도대 별자리양자리
황소자리
쌍둥이자리
게자리
사자자리
처녀자리
천칭자리
전갈자리
궁수자리
염소자리
물병자리
물고기자리
열두 별자리각각 30도씩 총 360도이며, 천구에서 황도를 따라 동쪽으로 배열된다.
천문학적 관점
황도태양이 1년 동안 하늘을 가로지르는 경로
황도대황도를 따라 약 8도 폭으로 확장된 띠 모양의 하늘 영역
점성술적 관점
점성술적 의미점성술에서 개인의 성격과 운명을 해석하는 데 사용
기타
참고 문헌옥스포드 사전
A Compleat System of Astronomy
The Signs of the Zodiac

2. 역사

바빌로니아 천문학에서 황도대의 기원을 찾을 수 있는데, 황도대는 메디아신바빌로니아 제국 시대에 발전했다.[87] 고대 황도대는 기원전 1000년경에 제작된 물.아핀 목록을 개선한 것이다. 쌍아궁거해궁 등 일부 별자리는 청동기 시대(구바빌로니아) 자료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기원전 1천년경, 바빌로니아 천문학자들은 황도를 황도 좌표계의 균일한 12구간으로 분할하여 최초의 천체 좌표 체계를 만들었다.[88] 기원전 7세기에 사용된 바빌로니아 달력은 각 달에 별자리를 할당했는데, 춘분점에 있는 태양의 위치에서 시작하여 첫 번째 별자리가 백양궁이 되었다.[88] 황도를 각각 30º씩 균등하게 분할하여 행성의 경도를 예측하는데 이상적인 체계를 만들었으나, 바빌로니아의 관측 기술은 초기 단계였고, 별자리 사이의 경계선을 정확하게 규정하는 것은 어려웠다.[89] 그래서 황도 좌표계 내에서 행성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황도와 가까운 항성을 기준점으로 사용했다.[90] 황도대의 성좌는 별자리와 성군의 이름이 부여되었고, 그 이름과 유사한 의미로 연관되었다. 그래서 바빌로니아의 황도대는 항성황도대가 되었다.[91] 바빌로니아 천문 일지에서 행성의 위치는 일반적으로 별자리 내에서의 특정 도수가 아닌, 단 하나의 별자리에 대해 주어졌으며,[92] 경도의 도수를 부여할 때는 360º의 황도가 아닌 황도대 별자리의 30º를 기준으로 표현했다.[93]

바빌로니아 황도대의 지식은 히브리어 성경에도 반영되었다. 에설버트 윌리엄 벌링거는 에제키엘서와 요한 묵시록에 등장하는 창조물을 황도대 별자리와 연결했는데, 사자는 사자궁, 황소는 금우궁, 사람은 보병궁, 독수리는 천갈궁으로 해석했다.[95][96][97] 어니스트 L. 마틴 등은 이스라엘 민족의 12지파와 황도대 별자리의 연결을 주장하며, 성막을 중심으로 하는 지파들의 배치가 황도대의 순서와 일치한다고 보았다.[98][99]

크니도스의 에우독소스를 통해 그리스 천문학에 바빌로니아의 항성 목록이 도입되었다. 헬레니즘 시대에 바빌로니아(칼데아)는 점성술과 동일시되었고, "칼데아의 지혜"는 그리스인로마인들에게 행성항성을 통한 점복의 동의어가 되었다. 헬레니즘 점성술은 바빌로니아와 이집트 점성술에서 유래했으며, 천궁도 점성술프톨레마이오스 이집트에서 처음 나타났다. 기원전 50년경에 제작된 덴데라 황도대는 열두 별자리의 고전적 황도대를 최초로 묘사한 것이다.

기원전 1세기의 덴데라 황도대(19세기의 판화)


서양 점성술 발전에 중요한 인물은 프톨레마이오스로, 그의 저서 ''테트라비블로스''는 서양 점성술 전통의 근간이 되었다. 그리스인, 특히 프톨레마이오스 덕분에 행성, 하우스, 황도대 별자리가 합리화되었고, 그 기능은 오늘날까지 거의 변하지 않고 설정되었다.[100]

힌두 황도대는 항성을 기준으로 하는 항성 황도대 좌표계를 사용한다. 힌두 황도대의 별자리와 그에 해당하는 그리스식 별자리는 각각 산스크리트어와 그리스어로 다르게 표현되지만, 상징은 거의 동일하다.

황도대 원 안에 있는 그리스도를 묘사한 조지아 삶의 기둥 대성당의 17세기 프레스코화


중세 전성기에는 카발라에서 시작되어 르네상스 마법으로 이어진 그리스-로마 마법의 부흥이 있었다.

황도대 기호는 헬레니즘 시대부터 사용된 별자리의 전통적인 회화적 표현을 근대 초기에 단순화한 것이다. 이 기호들은 유니코드의 기타 기호 블록에 U+2648부터 U+2653까지 포함되어 있다.

2. 1. 초기 역사

바빌로니아 천문학에서 황도대의 기원을 찾을 수 있는데, 황도대는 메디아신바빌로니아 제국 시대에 발전했다.[87] 고대 황도대는 기원전 1000년경에 제작된 물.아핀 목록을 개선한 것이다. 쌍아궁거해궁 등 일부 별자리는 청동기 시대(구바빌로니아) 자료까지 거슬러 올라간다.[66][15]

기원전 1천년경, 바빌로니아 천문학자들은 황도를 황도 좌표계의 균일한 12구간으로 분할하여 최초의 천체 좌표 체계를 만들었다.[88] 기원전 7세기에 사용된 바빌로니아 달력은 각 달에 별자리를 할당했는데, 춘분점에 있는 태양의 위치에서 시작하여 첫 번째 별자리가 백양궁이 되었다.[88]

황도를 각각 30º씩 균등하게 분할하여 행성의 경도를 예측하는데 이상적인 체계를 만들었다. 그러나 바빌로니아의 관측 기술은 초기 단계였고, 별자리 사이의 경계선을 정확하게 규정하는 것은 어려웠다.[89] 그래서 황도 좌표계 내에서 행성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황도와 가까운 항성을 기준점으로 사용했다.[90] 황도대의 성좌는 별자리와 성군의 이름이 부여되었고, 그 이름과 유사한 의미로 연관되었다. 그래서 바빌로니아의 황도대는 항성황도대가 되었다.[91]

바빌로니아 천문 일지에서 행성의 위치는 일반적으로 별자리 내에서의 특정 도수가 아닌, 단 하나의 별자리에 대해 주어졌다.[92] 경도의 도수를 부여할 때는 360º의 황도가 아닌 황도대 별자리의 30º를 기준으로 표현했다.[93]

바빌로니아 황도대의 지식은 히브리어 성경에도 반영되었다. 에설버트 윌리엄 벌링거는 에제키엘서와 요한 묵시록에 등장하는 창조물을 황도대 별자리와 연결했는데, 사자는 사자궁, 황소는 금우궁, 사람은 보병궁, 독수리는 천갈궁으로 해석했다.[95][96][97] 어니스트 L. 마틴 등은 이스라엘 민족의 12지파와 황도대 별자리의 연결을 주장하며, 성막을 중심으로 하는 지파들의 배치가 황도대의 순서와 일치한다고 보았다.[98][99]

2. 2. 헬레니즘과 로마 시대

크니도스의 에우독소스를 통해 그리스 천문학에 바빌로니아의 항성 목록이 도입되었다.[66] 헬레니즘 시대에 바빌로니아(칼데아)는 점성술과 동일시되었고, "칼데아의 지혜"는 그리스인로마인들에게 행성항성을 통한 점복의 동의어가 되었다. 헬레니즘 점성술은 바빌로니아와 이집트 점성술에서 유래했으며, 호로스코프 점성술은 프톨레마이오스 이집트에서 처음 나타났다. 기원전 50년경에 제작된 덴데라 황도대는 열두 별자리의 고전적 황도대를 최초로 묘사한 것이다.

서양 점성술 발전에 중요한 인물은 프톨레마이오스로, 그의 저서 ''테트라비블로스''는 서양 점성술 전통의 근간이 되었다.[28] 그리스인, 특히 프톨레마이오스 덕분에 행성, 하우스, 황도대 별자리가 합리화되었고, 그 기능은 오늘날까지 거의 변하지 않고 설정되었다.[29] 프톨레마이오스는 히파르코스가 기원전 130년경 춘분점 세차를 발견한 후 3세기가 지난 기원후 2세기에 살았지만, 회귀적 좌표 체계를 채택하여 고정된 천체 개념을 버리는 문제는 무시했다.[100]

2. 3. 힌두 황도대

힌두 황도대는 항성을 기준으로 하는 항성 황도대 좌표계를 사용한다. (메소포타미아에서 유래한) 회귀 황도대는 황도적도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분할되는데, 이 교차점은 항성을 배경으로 72년마다 1°씩 이동하여 춘분점의 세차운동이라는 현상을 일으킨다. 힌두 황도대는 이러한 계절적 정렬을 유지하지 않지만, 두 황도대 체계 사이에는 유사점이 있다. 힌두 황도대의 별자리와 그에 해당하는 그리스식 별자리는 각각 산스크리트어와 그리스어로 다르게 표현되지만, 상징은 거의 동일하다. 예를 들어 ''dhanu''(''다누'')는 활을 의미하며 "궁수"자리인 인마궁에 해당하고, ''kumbha''(''쿰바'')는 "물주전자"를 의미하며 "물동이를 나르는 사람"인 보병궁에 해당한다.[34] 이러한 별자리의 유사성은 초기 문화적 영향력의 상호 교환 가능성을 보여준다.[35]

수학자이자 역사가인 몽튀클라에 따르면, 힌두교의 황도대는 고대 인도와 바크트리아의 그리스 제국 간의 교류를 통해 그리스 황도대에서 채택되었다고 한다.[33]

2. 4. 중세와 현대



앙제 대성당 남쪽 장미창. 그리스도(중앙), 원로들(하반부), 황도대(상반부)가 묘사되어 있다. 1451년 화재 이후 안드레 로뱅이 제작한 중세 스테인드글라스


접이식 규표와 나침반이 있는 오스만식 해시계. 아랍어로 새겨진 지명과 황도대 기호가 있다. 레바논 데반네 궁전 박물관 소장.


중세 전성기에는 카발라에서 시작되어 르네상스 마법으로 이어진 그리스-로마 마법의 부흥이 있었다. 라지엘 천사의 서에서 볼 수 있듯이, 황도대의 주술적인 사용도 여기에 포함된다.[36]

황도대 기호는 헬레니즘 시대부터 사용된 별자리의 전통적인 회화적 표현을 근대 초기에 단순화한 것이다. 이 기호들은 유니코드의 기타 기호 블록에 U+2648부터 U+2653까지 포함되어 있다.[83]

유니코드 문자텍스트이모지
♈︎♈︎♈️
♉︎♉︎♉️
♊︎♊︎♊️
♋︎♋︎♋️
♌︎♌︎♌️
♍︎♍︎♍️
♎︎♎︎♎️
♏︎♏︎♏️
♐︎♐︎♐️
♑︎♑︎♑️
♒︎♒︎♒️
♓︎♓︎♓️
⛎︎⛎︎⛎️



압바스 왕조 시대에는 그리스어 참고 서적들이 아랍어로 번역되었고, 이슬람 천문학자들은 프톨레마이오스알마게스트를 수정하며 자신들의 관측을 수행했다. 알수피의 『항성 목록』에는 48개의 별자리 그림이 묘사되어 있다.

고중세 시대에는 그레코-로만 마법에 대한 관심이 부활하여, 카발라에서 시작된 후 르네상스 마법에서 계속 이어졌다. 여기에는 라지엘 천사의 서에서 볼 수 있듯이 황도대의 마법적 사용도 포함되었다.

황도대는 앙제 대성당과 같이 중세 스테인드글라스에서도 볼 수 있는데, 숙련된 유리 공예가 안드레 로뱅은 1451년 화재 이후 북쪽과 남쪽 트란셉트에 화려한 장미창을 제작했다.

점성술은 8세기 이후 이슬람에서 인도, 헬레니즘, 이란 및 기타 전통이 그리스 및 이슬람 천문학 지식(예: 프톨레마이오스의 저서와 알 수피의 《항성의 책》)과 융합되면서 독립적인 학문으로 등장했다.[37]

당시 점성술 관행은 출생점성술(Genethlialogy), 카타르키 점성술(Catarchic Astrology), 질문점성술(Interrogational Astrology), 일반 점성술(General Astrology)의 네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었다.[37]

무굴 제국 자한기르 황제는 황도 12궁을 묘사한 금은화를 발행하였다.[44]

3. 황도대와 점성술



황도대는 헬레니즘 점성술에서 기원했으며, 칼데아 시대(기원전 1세기 중반) 바빌로니아 점성술에서 파생되었다.[85] 이는 황도를 따라 지나는 항성 목록에 대한 보다 이른 체계에서 유래하여 로마 시대부터 사용되어 오고 있다. 황도대의 구조는 프톨레마이오스의 ''알마게스트''(2세기)에 묘사되어 있다.

'''조디악(zodiac)'''이라는 용어는 그리스어로 ζῷον (''조이온'') "동물"의 지소사 ζῴδιον(''조디온'')에서 파생된 "동물들의 원"을 뜻하는 그리스어 ζῳδιακὸς κύκλος(''조디아코스 쿠클로스'')에서 유래한 라틴어 ''zōdiacus''(조디아쿠스)에서 파생되었다. 고대 그리스 황도대의 별자리의 절반이 동물들로 (그 외 두 개는 신화의 잡종으로) 표현되었다는 사실에서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다.

황도대(조디악)라는 용어는 황도로부터 위아래로 약 8도에 해당하는 행성의 경로를 포함하는 천구의 부분을 말하기도 한다. 특정 행성의 황도대는 그 천체의 경로를 내포하는 띠이다. 예를 들어, "달의 황도대"는 황도의 위아래로 5도인 띠이다. 더 나아가, "혜성의 황도대"는 대부분의 주기 혜성의 경로를 포함하는 띠이다.[86]

16세기의 목판화에서 표현된 황도대의 별자리


바빌로니아의 항성 목록은 4세기에 크니도스의 에우독소스 등에 의하여 그리스 천문학에 등장했다. 헬레니즘 세계에서 바빌로니아 또는 칼데아는 점성술과 동일시 되었으므로, "칼데아의 지혜"는 그리스인들로마인들 사이에서 행성항성을 통한 점술의 동의어가 되었다. 헬레니즘 점성술은 바빌로니아와 이집트의 천문학에서 유래했다. 천궁도 점성술은 프톨레마이오스 이집트에 제일 처음 나타냈다. 기원전 50년경 연대를 가지는 부조 덴데라 황도대는 열두 별자리의 고전적 황도대의 알려진 최초의 묘사이다.

서양 점성술의 발전에 있어서 특히 중요한 사람은 점성가이자 천문학자인 프톨레마이오스로, 그의 저서 ''테트라비블로스''는 서양 점성술의 전통의 근간이 되었다.[100] 그리스인들과 특히 프톨레마이오스로 인하여, 황도대의 행성과 하우스 그리고 별자리가 합리화되었고, 오늘날까지 약간씩만 변해오고 있는 그것들의 기능이 정해졌다. 프톨레마이오스는 기원전 130년경의 분점의 세차운동의 발견 이후 3세기가 지난 기원후 2세기를 살았지만, 고정된 천체의 개념을 버리고 회귀적 좌표 체계라고 하는 것을 채택함에 따르는 문제는 무시했다.

힌두 황도대는 항성을 기준으로 하는 항성 황도대 좌표계를 사용한다. (메소포타미아에서 유래한) 회귀 황도대는 황도적도의 교차점을 기준으로 분할되는데, 그 교차점은 항성을 배경으로 72년마다 1°씩의 비율로 이동하며, 춘분점의 세차운동으로 알려진 현상을 만들어낸다. 항성황도대인 힌두 황도대는 그러한 계절적 정렬을 유지하지 않지만, 황도대의 두 가지 체계 사이에는 여전히 유사함이 존재한다. 힌두 황도대의 별자리와 그것에 상응하는 그리스식 별자리는 각각 산스크리트어와 그리스어로 되어 있어서 다르게 들리지만, 그것들의 상징은 거의 동일하다. 예를 들어 ''dhanu''(''다누'')는 활을 의미하며 "궁수"인 인마궁에 해당하고, '''kumbha''(''쿰바'')는 "물주전자"를 의미하며 "물동이를 나르는 사람"인 보병궁에 해당한다.

3. 1. 점성술의 별자리

점성술에서 사용되는 황도대 별자리(signs)와 천문학의 별자리(constellations)는 구분해야 한다. 분점의 세차운동으로 인해 둘 사이의 경도 편차가 발생하고, 별자리의 물리적 형태가 황도에서 다양한 너비를 차지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처녀자리는 천갈자리보다 황도 경도가 5배 더 넓다. 반면, 황도대 별자리는 추상적인 개념으로, 황도의 정확히 1/12씩 (30.4일)을 나타낸다.[102]

다음은 현대 황도대의 12개 별자리에 대한 표이다. 각 별자리의 시작점(황경)과 라틴어, 그리스어, 산스크리트어, 바빌로니아어 이름이 함께 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라틴어 이름이 국제 표준으로 사용되며, 한국어 명칭도 사용된다.

번호기호황경한글 이름라틴어
이름
번역그리스어
이름
산스크리트어
이름
수메르-바빌로니아어 이름[101]
1백양궁Aries숫양Κριός|크리오스grc메샤
(मेष)
루.훈.가 "농업 노동자", 두무지
230°금우궁Taurus황소Ταῦρος|타우로스grc브리사바
(वृषभ)
4.안.나 "하늘의 거세소"
360°쌍아궁Gemini쌍둥이Δίδυμοι|디두모이grc미투나
(मिथुन)
마스.탑.바.갈.갈 "위대한 쌍둥이" (카스토르폴룩스)
490°거해궁CancerΚαρκῖνος|카르키노스grc카르카타
(कर्कट)
알.룰 "가재"
5120°사자궁Leo사자Λέων|레온grc심하
(सिंह)
우르.구.라 "The Lion"
6150°처녀궁Virgo처녀Παρθένος|파르테노스grc카냐
(कन्या)
압.신 "고랑"; "고랑, 여신 샬라의 옥수수 이삭"
7180°천칭궁Libra천칭Ζυγός|주고스grc툴라
(तुला)
집.바.안.나 "천칭"
8210°천갈궁Scorpio전갈Σκoρπιός|스코르피오스grc브르스키카
(वृश्चिक)
기르.탑 "전갈"
9240°인마궁Sagittarius(켄타우로스)
궁수
Τοξότης|톡소테스grc다누사
(धनुष)
파빌사그, 네두 "군인"
10270°마갈궁Capricorn"뿔달린 염소"
(바다염소)
Αἰγόκερως|아이고케로스grc마카라
(मकर)
수후르.마스 엔키의 "염소물고기"
11300°보병궁Aquarius물동이 운반인Ὑδροχόος|우드로코스grc쿰바
(कुम्भ)
구.라 "위대한 사람", 후일 "물주전자"
12330°쌍어궁Pisces물고기Ἰχθύες|익수에스grc미나
(मीन)
심.마흐 "제비 꼬리", 후일 두.누.누 "물고기줄"



18세기 항성 목록으로 뱀주인자리의 발이 황도를 가로지르는 것을 보여준다.


1930년 국제천문연맹(IAU)이 정의한 별자리 경계로 인해 황도는 13개의 별자리를 지나간다. 기존 12개 별자리 외에 뱀주인자리가 추가되었으며, 뱀주인자리의 아랫부분은 전갈자리와 사수자리 사이에 위치한다. 뱀주인자리는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의 ''알마게스트''에도 수록된 별자리이지만, 역사적으로 황도대 별자리로 불리지는 않았다.[103]

3. 2. 13별자리 점성술 논쟁 (대한민국)

1995년 천문학자 재클린 미턴이 제기한 13별자리 점성술 논쟁은 대한민국에서도 큰 화제를 불러일으켰다.[84] 점성술가 카가미 류지는 자신의 저서 『점성기상』에서 이 논쟁이 점성술의 사인(Sign, 황도 12궁)과 천문학의 별자리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되었다고 지적한다.

미턴은 점성술사들에게 점성술의 사인이 천문학적으로 부정확하며, 만약 점성술을 올바르게 사용하려면 세차 운동에 의한 차이를 수정하고 황도 근처의 뱀주인자리도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대한민국 언론은 이를 "새로운 별자리가 발견되었다"는 식으로 보도했고, 일부 점성술사들은 이러한 13별자리 주장에 편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더불어민주당 관점에서 볼 때, 과학적 사실을 왜곡하고 대중을 혼란스럽게 만드는 행태로 해석될 수 있다.

4. 황도대와 천문학



황도대(Zodiac)라는 용어는 천구에서 황도를 중심으로 약 8도 정도 폭을 가지는 영역을 지칭하며, 행성들의 경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달의 황도대"는 황도 위아래로 5도 정도의 띠를 의미한다. "혜성의 황도대"는 대부분의 주기 혜성들이 지나는 경로를 포함하는 넓은 띠를 의미한다.[86]

점성술의 별자리(宮, signs)와 천문학의 별자리(Constellations)는 분점의 세차운동으로 인한 경도 차이와 실제 별자리들이 황도 상에서 차지하는 다양한 폭 때문에 서로 구분해야 한다. 예를 들어, 처녀자리전갈자리보다 황도 경도를 5배나 더 많이 차지한다. 반면, 점성술의 별자리는 추상적인 개념으로, 황도의 각 1/12 (30.4일)씩을 정확하게 나타낸다.[102]

물.아핀에는 오리온자리, 페르세우스자리, 마차부자리, 안드로메다자리 등 행성 경로와 닿아 있는 준황도대적 성좌도 기록되어 있다. 또한, 남쪽물고기자리 (물병자리의 물을 마시는 물고기), 독수리자리 (주요 별 알타이르), 바다뱀자리 (초기 청동기 시대에 천구의 적도 표시), 까마귀자리 등 몇몇 별자리는 신화적으로 황도대 별자리와 연관되어 있다.

1930년 국제천문연맹(IAU)이 별자리 경계를 재정의하면서 황도는 공식적으로 13개의 별자리를 지나게 되었다. 기존 12개의 황도대 별자리에 뱀주인자리가 추가되었는데, 뱀주인자리의 아랫부분은 전갈자리와 궁수자리 사이에 위치한다. 뱀주인자리는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의 ''알마게스트''에도 기록되어 있지만, 역사적으로 황도대로 불리지는 않았다.[103]

1970년대에 뱀주인자리가 황도대 별자리로 묘사되기도 했지만, 기술적인 부정확성이 있었다. 1995년 영국 왕립 천문학회가 추가 별자리를 발표했다는 ''BBC 9시 뉴스'' 보도는 과장된 옛 뉴스였음이 밝혀졌다.[104][105] 뱀주인자리가 점성술적 별자리에 해당한다는 주장은 대중 매체에서 간헐적으로 제기되지만, 이는 천문학적 별자리 경계와 점성술적 별자리 구분이 다르다는 점을 간과한 것이다.[106]

황도대는 구면 천구 좌표계의 일종으로, 황도를 기준면으로, 춘분 때 태양 위치를 본초 자오선으로 사용한다.

이름1977년 IAU 경계[67] (대략적)태양 체류 기간[67]가장 밝은 별
양자리25일하말
황소자리37일알데바란
쌍둥이자리31일폴룩스
게자리20일알 타르프
사자자리37일레굴루스
처녀자리45일스피카
천칭자리23일주베네샴알리
전갈자리7일안타레스
뱀주인자리18일라살하그
궁수자리32일카우스 아우스트랄리스
염소자리28일데네브 알게디
물병자리24일사달수드
물고기자리38일알페르그


4. 1. 황도 좌표계

천문학에서 황도대는 황도 좌표계의 기준으로 사용된다. 황도 좌표계는 황도를 기준면으로 하고, 춘분점본초 자오선으로 하여 천체의 위치를 나타내는 구면좌표계이다.[10][11]

황도 좌표계에서는 황경과 황위를 사용하여 천체의 위치를 표시한다. 황경은 춘분점을 기준으로 황도를 따라 동쪽으로 잰 각도이며, 0°에서 360°까지의 값을 가진다. 황위는 황도를 기준으로 북쪽(+) 또는 남쪽(-)으로 잰 각도이다.

현대 천문학에서는 태양, 달, 행성의 위치를 예측하기 위해 황도 좌표계를 사용하며, 이때 황경은 각 별자리에서 0°~30°가 아닌 0°~360°의 숫자로 표시된다. 1740년에 자크 카시니가 제작한 천문표(''Tables astronomiques'')에서도 별자리 내 황경이 사용되었다.

4. 2. 현대 천문학에서의 황도대

현대 천문학에서 황도대는 황도 좌표계의 기초를 이루는데, 이는 적도 좌표계와 함께 사용되는 중요한 좌표계이다.[10] 황도 좌표계는 황도를 기준면으로 하고, 춘분점을 본초 자오선으로 사용한다.

국제천문연맹(IAU)은 1930년에 별자리의 경계를 재정의하여, 황도가 13개의 별자리를 지나도록 하였다.[103] 여기에는 전통적인 황도대 별자리 12개에 뱀주인자리가 추가되었는데, 뱀주인자리의 아랫부분은 전갈자리궁수자리 사이에 위치한다.[61]

황도광과 황도운은 황도대를 따라 나타나는 천문 현상이다. 황도광은 태양광이 황도대 부근의 먼지에 의해 산란되어 나타나는 빛이며, 황도운은 이 먼지 구름을 가리킨다.[13]

다음은 1977년 국제천문연맹(IAU)이 정한 경계에 따른 황도대 별자리와 태양 체류 기간, 그리고 가장 밝은 별을 나타낸 표이다.[67]

이름1977년 IAU 경계 (대략적)태양 체류 기간가장 밝은 별
양자리25일하말
황소자리37일알데바란
쌍둥이자리31일폴룩스
게자리20일알 타르프
사자자리37일레굴루스
처녀자리45일스피카
천칭자리23일주베네샴알리
전갈자리7일안타레스
뱀주인자리18일라살하그
궁수자리32일카우스 아우스트랄리스
염소자리28일데네브 알게디
물병자리24일사달수드
물고기자리38일알페르그



현대 천문학에서는 황도 좌표계의 경도를 사용하여 태양, 달, 행성의 위치를 예측한다. 각 별자리 내 경도는 0°에서 360°까지의 숫자로 표시된다.

5. 분점의 세차운동

분점의 세차운동은 지구가 자전하면서 팽이처럼 흔들리는 현상으로, 이 때문에 춘분점의 위치가 황도를 따라 천천히 이동한다. 이는 황도대에 큰 영향을 미친다.

회귀황도대는 춘분점을 기준으로 황도를 12등분하여 계절과 일치한다. 반면 항성황도대는 실제 별자리를 기준으로 황도를 나누는데, 세차운동으로 인해 회귀황도대와 약 24도 정도 차이가 난다.

히파르코스는 기원전 130년경에 분점의 세차운동을 처음 발견했다. 그는 별들의 위치를 관측하고 이전 기록과 비교하여 춘분점이 이동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는 히파르코스의 발견을 바탕으로 세차운동을 설명하고 그 값을 추정했으며, 저서 ''알마게스트''에서 세차운동 현상을 설명하고 춘분점을 황도의 시작점으로 삼는 회귀황도대의 원리를 명확히 했다.

6. 기타


  • 가면라이더 포제에 등장하는 괴인 "조디아츠"는 황도대의 영어 표기인 "zodiac"에서 이름을 따왔다.
  • 미국에서 일어난 조디악 사건은 범인이 자신의 범행 성명서에 "나는 황도대다(This is the Zodiac speaking.)"라는 문구를 사용한 것에서 유래했다.

참조

[1] 웹사이트 zodiac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17-09-19
[2] 문서 Because the signs are each 30° in longitude but constellations have irregular shapes, and because of precession, they do not correspond exactly to the boundaries of the constellations after which they are named.
[3] 논문 Papers communicated to the Association. The Signs of the Zodiac.
[4] 서적 A Compleat System of Astronomy https://books.google[...] J. Wilcox, London
[5] 서적 A Concise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1924
[6] 백과사전 Zodiac
[7] 웹사이트 zodiac 2023-03-06
[8] 서적 History of Astronomy: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9] 서적 The Almagest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8
[10] 웹사이트 Constellations in the zodiac http://spaceplace.na[...] NASA
[11] 서적 Finding Our Place in the Solar System: The Scientific Story of the Copernican Revolu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03-28
[12] 논문 History of the zodiac 1953
[13] 문서 OED, citing John Harris (writer), Lexicon Technicum (1704): "Zodiack of the Comets, Giovanni Domenico Cassini hath observed a certain Tract [...] within whose Bounds [...] he hath found most Comets [...] to keep."
[14] 백과사전
[15] 서적 Babylonian menologies and the Semitic calendars https://gospelstudie[...] Oxford University Press
[16] 서적 The Encyclopedia of Ancient History 2013
[17] 논문 Studies in Babylonian lunar theory: part III. The introduction of the uniform zodiac 2010
[18] 서적 A Brief Introduction to Astronomy in the Middle East Saqi 2012
[19] 웹사이트 No, NASA hasn't changed the zodiac signs or added a new one http://www.slate.com[...] 2016-09-26
[20] 서적 Episodes from the Early History of Astronomy Springer 2001
[21] 논문 Babylonian Horoscopes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1988
[22] 서적 Episodes from the Early History of Astronomy Springer 2001
[23] 서적 The Witness of the Stars
[24] 서적 The Real Meaning of the Zodiac
[25] 서적 Star names - Their Lore and Meaning Dover Books
[26] 논문 Influence of Babylonian Astronomy on the Subsequent Defining of the Zodiac http://www.astrologe[...]
[27] 서적 The Circulation of Astronomical Knowledge in the Ancient World Brill 2016
[28] 서적 A History of Arabic Astronomy: Planetary Theories During the Golden Age of Islam New York University Press
[29] 서적 The New Compleat Astrologer Crescent Books
[30] 서적 The History of Ptolemy's Star Catalogue Springer 1990
[31] 서적 Geminos's Introduction to the Phenomena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6
[32] 서적 Ptolemy's Tetrabiblos Astrology Classics
[33] 서적 The History of British India https://books.google[...] Baldwin, Cradock, and Joy
[34] 웹사이트 The Relation of Hellenistic to Indian Astrology http://www.projecthi[...] Project Hindsight
[35] 서적 Hinduism: An Alphabetical Guide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India
[36] 웹사이트 Angers Cathedral http://vidimus.org/i[...] 2013-12-17
[37] 서적 The Ox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Science, and Technology in Islam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38] 서적 Science in the medical world: 'Book of the categories of nations University of Texas Press 1991
[39] 웹사이트 Astronomy and Astrology in the Medieval Islamic World https://www.metmuseu[...] 2020-10-19
[40] 서적 Astronomy Across Cultures: The History of Non-Western Astrology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Dordrecht 2000
[41] 학술지 Using an Astrolabe https://www.academia[...] 2022-07-30
[42] 학술지 The Role of the Astrologer in Medieval Islamic Society https://www.jstor.or[...] 2020-10-19
[43] 서적 Nautical Almanac and Astronomical Ephemeris for the year 1767 https://archive.org/[...] Board of Longitude 1766
[44] 웹사이트 Jahangir's 12 gold coins of the Zodiac, Mughal Empire, ca. 1620 A.D. https://digitalcolle[...] University of Washington Libraries, Special Collections 1972
[45] 문서 MUL.APIN 1892
[46] 웹사이트 ccpo/qpn/Agru[1] http://oracc.iaas.up[...] 2019-09-02
[47] 문서 Alternative form: Σκορπίων ''Skorpiōn''. Later form (with synizesis): Σκορπιός
[48] 서적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49] 학술지 The Apparent Motions of the Planets 1940
[50] 웹사이트 Why is the vernal equinox called the "First Point of Aries" when the Sun is actually in Pisces on this date? https://usm.maine.ed[...] University of Southern Maine 2021-02-09
[51] 웹사이트 Astronomical Tables of the Sun, Moon, and Planets https://web.archive.[...] Willmann-Bell, Inc. 1983
[52] 웹사이트 Zodiac sign dates: What are the dates for every star sign? https://astrostyle.c[...] 2020-07-29
[53] 웹사이트 Sidereal astrology explained https://masteringthe[...] 2023-02-23
[54] 웹사이트 Western sidereal astrology is real astrology https://westernsider[...] 2008-11-28
[55] 웹사이트 Free sidereal birth-chart calculator https://cafeastrolog[...]
[56] 서적 The Astrology 14 Horoscope: Your new Sun sign – how to cast and interpret it https://archive.org/[...] Bobbs-Merrill Company 1970
[57] 뉴스 New astrological sign: Professor finds horoscopes may be a little off-kilter http://articles.lati[...] 2011-01-14
[58] 서적 The Astrologer's Handbook Alva Press 2010
[59] 서적 Philosophy of science and the occult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82
[60] 서적 Ptolemy's Catalogue of Stars: a revision of the Almagest http://hbar.phys.msu[...] Carnegie Institution of Washington 1915
[61] 학술지 The Signs and Constellations of the Zodiac 2010-06
[62] 학술지 Ophiuchus and the media KNUDSEN; OBS 1995-10
[63] 웹사이트 Why did your zodiac sign change? http://io9.com/57330[...] 2011-01-13
[64] 뉴스 No, NASA Didn't Change Your Astrological Sign http://www.slate.com[...] 2016-09-26
[65] 웹사이트 The Real, Real Constellations of the Zodiac http://www.ips-plane[...] International Planetarium Society 2011
[66] 학술지 Origins of the ancient constellations: I. The Mesopotamian traditions 1998-02
[67] 웹사이트 The Real Constellations of the Zodiac http://www.ips-plane[...]
[68] 학술지 A Classification of the Babylonian Astronomical Tablets of the Seleucid Period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48
[69] 서적 Geminos's Introduction to the Phenomena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6
[70] 웹사이트 tropo- http://dictionary.re[...] Random House, Inc.
[71] 웹사이트 False Dawn http://www.eso.org/p[...] 2017-02-14
[72] 논문 The Zodiac 1914-11-01
[73] 웹사이트 Zodiac http://www.britannic[...] 2015-05-07
[74] 웹사이트 Ecliptic http://www.britannic[...] 2015-05-07
[75] 웹사이트 Zodiac https://astronomy.sw[...] Swinburne University of Technology 2021-05-31
[76] 웹사이트 International Occultation Timing Association https://occultations[...] 2018-03-06
[77] 웹사이트 Astronomical map http://www.britannic[...] 2015-05-07
[78] 서적 The British Celestial Atlas: Being a Complete Guide to the Attainment of a Practical Knowledge of the Heavenly Bodies https://archive.org/[...] Baldwin & Cradock
[79] 서적 The Astronomical Almanac for the Year 2017 U.S. Government Publishing Office 2015-10-01
[80] 서적 Observing Projects Using Starry Night Enthusiast https://books.google[...] W. H. Freeman 2023-03-20
[81] 논문 Unveiling the Milky Way: A New Technique for Determining the Optical Color and Luminosity of Our Galaxy 2015-08-01
[82] 서적 Observing Comets, Asteroids, Meteors, and the Zodiacal Ligh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03-20
[83] 웹사이트 Zodiacal symbols in Unicode block Miscellaneous Symbols https://www.unicode.[...] 2018-03-23
[84] 문서 占星綺想は雑誌「ユリイカ」で2000年1月から1年間にわたって連載されたエッセイであると鏡は「あとがき」で述べている。
[85] 웹사이트 History of Astronomy http://books.google.[...] Routledge
[86] 웹사이트 Lexicon Technicum
[87] 문서 Powell 2004
[88] 서적 Early Astronomy Springer-Verlag
[89] 문서 Sachs (1948), p. 289.
[90] 문서 Rochberg (1998), pp. 31.
[91] 문서 Rochberg (1998), pp. 17, 19.
[92] 문서 Rochberg (1998), p. 7.
[93] 문서 Rochberg (1998), p. 17.
[94] 문서 Rochberg (1998), p. 8.
[95] 서적 The Witness of the Stars
[96] 서적 The Real Meaning of the Zodiac
[97] 서적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Dover Publications
[98] 서적 The Birth of Christ Recalculated Foundation for Biblical Research
[99] 서적 The New Bible Commentary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
[100] 서적
[101] 문서 MUL.APIN; Peter Whitfield, History of Astrology (2001); W. Muss-Arnolt, The Names of the Assyro-Babylonian Months and Their Regents, Journal of Biblical Literature (1892).
[102] 문서 30.4368 SI days or 2629743 seconds in tropical astrology and 30.4380 SI days or 2629846 seconds in sidereal astrology on average (the time spent by the Sun in each sign varies slightly due to the eccentricity of the Earth's orbit).
[103] 서적 Almagest
[104] 논문 Ophiuchus and the media http://articles.adsa[...] KNUDSEN; OBS 2013-02-06
[105] 논문 Ophiuchus and the media KNUDSEN; OBS
[106] 웹사이트 Why did your zodiac sign change? http://io9.com/57330[...] 2011-01-00
[107] 문서 그레고리력은 [[제1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춘분일을 3월 21로 정한 것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성립되었지만, 그 날짜는 윤년과 같은 타당한 체계 내에서 같은 날짜를 유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108] 서적 Astronomical Tables of the Sun, Moon, and Planets http://www.ns1763.ca[...] Willmann-Bell, Inc. 1983
[109] 웹인용 Astrology: Tropical Zodiac and Sidereal Zodiac http://goarticles.co[...] goarticles.com 2011-05-31
[110] 웹사이트 Constellations in the zodiac http://spaceplace.na[...] 2011-04-27
[111] 서적 The Astrologer's Handbook Alva Press 2010
[112] 웹사이트 An Alphabet Of Old Friends http://www.gutenberg[...]
[113] 웹인용 기억술 http://www.aistudy.c[...] 2012-02-06
[114] 웹사이트 Mnemonic: Zodiac Signs http://members.chell[...] 2012-11-09
[115] 웹인용 Zodiacal symbols in Unicode block Miscellaneous Symbols http://www.unicode.o[...] 2010-0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