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점성술의 역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점성술의 역사는 인류가 천문 현상을 관찰하고 기록하려는 시도에서 시작되었다. 기원전 3000년경 고대 문명에서는 천체 주기를 의식에 활용했으며, 바빌로니아 점성술은 기원전 2천 년기에 체계적인 형태로 발전했다. 헬레니즘 시대에는 이집트에서 천궁도 점성술이 등장했고, 프톨레마이오스의 저서가 서양 점성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슬람 세계를 거쳐 중세 유럽으로 전파된 점성술은 대학 교육과 의료 행위에 활용되었으며, 르네상스 시대에는 천문학의 발전과 함께 과학적 지위를 잃었다. 인도, 중국, 메소아메리카에서도 독자적인 점성술 체계가 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정된 과학 이론 - 보어 모형
    보어 모형은 닐스 보어가 러더퍼드 모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양자 개념을 도입하여 전자의 궤도와 각운동량이 양자화된다는 가정으로 수소 원자의 스펙트럼을 설명했지만, 다전자 원자와 불확정성 원리의 모순으로 양자역학에 의해 대체된 원자 모형이다.
  • 부정된 과학 이론 - 생기론
    생기론은 생명체에 물리화학적 과정으로 설명 안 되는 특수한 생명력이나 원리가 있다는 이론으로, 고대 그리스에서 시작되어 근대 과학 발전에 대한 반작용으로 부각되었으나, 기계론적 생물학 발전으로 과학계에서 널리 받아들여지지 않지만 일부 대체의학이나 철학, 종교적으로 논의된다.
  • 점성술의 역사 - 황도대
    황도대는 황도를 따라 분포하는 별자리 영역 또는 별자리들을 가리키는 천구상의 띠로, 천문학에서 황도 좌표계의 기초를 이루지만 주로 점성술에서 12궁도의 기준으로 사용되며, 춘분점 세차 운동으로 천문학적 별자리와 점성술적 별자리의 경계가 달라진다.
  • 점성술의 역사 - 바빌로니아 점성술
    바빌로니아 점성술은 기원전 2천년기에 발생한 가장 오래된 점성술 체계 중 하나로, 국가의 안녕과 왕의 복지에 초점을 맞추어 신들의 의지를 해석하고 미래를 예측하는 데 활용되었으나, 천문학적 지식의 부족으로 예측의 정확성에는 한계가 있었다.
  • 1911년판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을 인용한 문서 - 장미 전쟁
    장미 전쟁은 1455년부터 1487년까지 랭커스터 가문과 요크 가문의 왕위 계승 분쟁으로 시작되어 헨리 7세의 승리로 튜더 왕조가 건국되면서 종결된 일련의 내전입니다.
  • 1911년판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을 인용한 문서 - 샤를 8세
    샤를 8세는 프랑스 발루아 왕가의 왕으로, 브르타뉴 여공작과의 결혼으로 브르타뉴를 프랑스에 통합하고 이탈리아 전쟁을 일으켰으나 큰 성과 없이 사망하여 발루아 왕가의 직계가 단절되었지만, 이탈리아 르네상스 문화를 프랑스에 전파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점성술의 역사
점성술의 역사
개요
기원기원전 3천년기 바빌로니아
문화적 중요성역사적으로 다양한 문화에서 중요하게 여겨졌으며, 정치, 의학,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음.
주요 영향그리스 철학
헬레니즘
로마 문화
중세 문화
초기 점성술
바빌로니아 점성술가장 오래된 형태의 점성술
기원전 3천년기부터 시작
천체의 움직임을 인간사와 연결
점성학적 예측에 사용
이집트 점성술바빌로니아 점성술과 헬레니즘 문화의 결합
데칸 별자리를 사용
점성학적 전통 형성
헬레니즘 시대의 점성술
발전기원전 2세기 헬레니즘 시대에 크게 발전
개인 점성술의 발전
점성학적 기법의 체계화
주요 인물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
테우크로스
중세 시대의 점성술
이슬람 점성술8세기부터 15세기까지 번성
고대 그리스와 인도의 점성학적 지식 보존 및 발전
수학, 천문학 발전 기여
유럽 점성술12세기부터 르네상스 시대까지 발전
대학을 중심으로 연구
의학 점성술 발전
르네상스 시대의 점성술
부활고대 지식의 재발견
인쇄술 발달로 점성학 서적 보급
정치 및 문화에 영향
주요 인물마르실리오 피치노
조반니 피코 델라 미란돌라
요하네스 케플러
근현대 점성술
쇠퇴과학 혁명 이후 점성술의 과학적 근거에 대한 의문 제기
계몽주의 시대에 비판적 시각 증가
부활20세기 초 심리학과 결합
대중 문화 속에서 새로운 형태의 점성술 등장
심리 점성술 및 현대 점성술 발전
한국의 점성술
역사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천문학과 함께 발전
왕실의 의사결정에 영향
민간 신앙과 결합
특징사주팔자
토정비결
점성학적 요소 포함
비판
과학적 비판과학적 근거 부족
통계적 유의미성 결여
의사과학으로 분류
윤리적 비판결정론적 세계관
개인의 자유 의지 부정
사회적 불평등 심화 우려
같이 보기
관련 주제천문학
신화
상징주의
심리학
미신

2. 역사

점성술은 인류가 하늘의 변화를 관찰하고 기록하며 계절 변화를 예측하려는 시도에서 시작되었다.[82] 초기 증거는 25,000년 전 뼈와 동굴 벽화에서 발견되며, 달의 주기를 기록하고 조수와 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려 했다.[83] 밤하늘 별자리의 변화는 농경에 필요한 지식을 제공했다.[84] 기원전 3000년경, 문명들은 천체 주기에 대한 정교한 의식을 발전시켰고, 신전을 태양과 함께 출몰하는 별들과 정렬시키기도 했다.[85]

이 시기에 기록된 자료들은 점성술의 참고 자료로 여겨진다. 바빌로니아에서 편찬된 암미사투카의 금성 점토판(기원전 1700년경)은 아카드의 사르곤 왕(기원전 2334~2279년) 통치 기간에 만들어졌다고 전해진다.[86] 수메르의 통치자 라가시의 구데아(기원전 2144~2124년경) 시대의 기록은 택일 점성술의 초기 사용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기록들이 실제로 그 당시에 작성되었는지에 대한 논란이 있다.[87] 따라서, 점성술 사용의 가장 오래된 증거는 수메르 부흥기(기원전 1950~1651년)의 기록들로 추정된다.

바빌로니아 점성술은 기원전 2000년기에 발생한 최초의 조직화된 점성술 체계이다.[88] 기원전 16세기의 ''에누마 아누 엔릴''은 7,000건의 천체 전조를 수록한 70점의 쐐기 문자 평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조기반 점성술의 광범위한 사용을 보여준다. 이 시기의 점성술은 날씨 예측과 정치적 문제에 관여하는 세속 점성술이었고, 기원전 7세기 이전까지 천문학 지식은 기초적이었다. 기원전 4세기에 수학적 기법이 발달하면서 행성의 미래 위치를 계산할 수 있게 되었고, 광범위한 천체력이 출현하기 시작했다.[92] 신들은 행성과 항성의 천체 형상으로 자신을 드러낸다고 믿어졌으며, 특정 행성에 부여된 천체의 흉악한 전조들은 행성이 표현하는 신의 불만 또는 소동의 징후로 여겨졌다.[94]

이슈타르 문의 세부 묘사, 바빌론


기원전 525년 이집트는 페르시아에 정복되었고, 이집트 점성술은 메소포타미아의 영향을 받았다. 기원전 332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이집트를 점령한 후, 이집트는 그리스의 통치와 영향 아래 놓였다. '알렉산드리아의 이집트'에서 바빌로니아 점성술은 이집트의 십분각(decan) 점성술 전통과 혼합되어 천궁도 점성술을 탄생시켰다.[102] 이집트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황도대는 덴데라 황도대로써 기원전 1세기 때의 것이다. 천궁도 점성술의 발전에 중요한 인물은 점성가이자 천문가인 프톨레마이오스였다. 그의 작품 ''테트라비블로스''는 서양 점성술 전통의 근간이 되었다.[104]

알렉산드로스 대왕아시아 정복으로 그리스인들은 시리아, 바빌로니아, 페르시아, 중앙아시아의 우주론 사상에 노출되었다. 그리스어는 지적 의사소통의 국제 언어가 되었고, 쐐기문자에서 그리스어로 점성술이 전달되는 과정의 일부였다.[108] 기원전 280년경, 마르두크의 사제 베로수스는 그리스인들에게 점성술과 바빌로니아 문화를 가르치기 위해 바빌로니아에서 그리스의 코스섬으로 이주했다. 니콜라스 캠피온은 이를 통해 점성술의 "혁신적인 에너지"가 서방의 헬레니즘 세계로 이동했다고 칭했다.[109] 그리스의 영향은 고대 로마에 점성술 이론을 전달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111] 헤르메스주의 점성술을 로마로 가져온 최초의 점성가 중 한 명은 황제 티베리우스의 점성가로 활동한 트라실리우스이다.[111]

7세기에 아랍에 의한 알렉산드리아의 붕괴와 8세기에 아바스 왕조의 성립에 뒤이어 점성술은 이슬람 학자들에 의해 열성적으로 계속되었다. 알 만수르(754~775년 재위)는 바그다드 시를 건립했는데, 시의 설계에 ''바이트 알히크마''(지식의 창고)로 알려진 도서번역의 핵심 시설이 포함되어 헬레니즘 점성술 문헌의 아랍어 번역을 위한 기동력을 제공했다.[118] 아랍의 점성가들 가운데 가장 영향력 있던 인물 중 하나는 알부만수르였다. 이슬람의 과학 발전이 진행되는 동안에 점성술 실행의 일부는 알파라비, 알하젠, 아비켄나와 같은 천문학자들에 의해 신학적 입장에서 반박되었다.

점성천문가 월링포드의 리처드가 컴퍼스로 행성정위의(equatorium)를 측정하는 모습을 그린 14세기 작품.


로마 제국 멸망 후, 동양에서는 인도, 페르시아, 이슬람의 영향으로 점성술이 번성하며 활발한 번역과 지적 검토가 이루어졌다. 반면, 서양에서는 그리스 과학 천문학의 쇠퇴와 교회의 비난으로 점성술이 쇠퇴했다.[124] 그러나 10세기 후반, 아랍어 점성술 문헌들이 라틴어로 번역되어 스페인으로 유입되기 시작했고, 12세기에는 아라비아에서 유럽으로 점성술 지식이 대량으로 전달되었다.[124] 13세기에 이르러 점성술은 유럽 의료 행위의 일부가 되었다. 13세기의 영향력 있는 점성술사로는 요하네스 데 사크로보스코(1195~1256년경)와 구이도 보나티가 있다. 중세 유럽에서 대학 교육은 일곱 자유과로 알려진 일곱 가지 영역으로 나뉘었고, 각 영역은 특정 행성과 연결되었다. 중세 작가들은 작품에서 점성술적 상징을 사용했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궁정 점성가들이 천궁도를 사용하여 우주의 본질에 대한 발견을 이끌어내는 "과학적 점성술"이 나타났다. 튀코 브라헤, 갈릴레오 갈릴레이, 요하네스 케플러와 같은 천문학자들은 점성술 체제를 뒤집은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점성술사이기도 했다.[135] 그러나 르네상스 말, 아리스토텔레스 물리학이 붕괴되고 천구와 월하 영역 사이의 구분이 폐지되면서 점성술의 과학적 지위는 흔들렸다. 18세기에 이르러 점성술은 더 이상 옹호될 수 있는 이론적 기초를 갖지 못하게 되면서 과학으로서의 지위를 잃게 되었다.[136]

''조티사''(''jyotiṣa'')라는 용어가 최초로 사용된 것은 베다교의 보조 학문 분야 중 하나인 베단가에서였다. 이후 현대 천궁도 점성술의 새로운 의미를 가진 기록된 조티시의 역사는 인도-그리스 시대의 인도와 헬레니즘 문화의 상호작용과 관련이 있다.[140] 인도의 천문학과 점성술은 함께 발전했다. 천문학 논문을 작성한 이름이 알려진 최초의 저자들은 인도 천문학이 시작되었다고 말할 수 있는 5세기부터였다.

전통적인 힌두 천문학에서 일곱 개의 큰곰자리 별은 사프타르시의 이름으로 식별된다.


중국에서 점성술 체계는 천문학과 달력을 기반으로 하며, 이것의 발전은 한(漢) 왕조(기원전 2세기부터 기원후 2세기) 동안에 번영을 누린 천문학에 한정되어 있었다.[74] 중국 점성술은 중국 철학(하늘과 땅 그리고 물의 삼조화 이론)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중국에서 점성술은 전통적으로 고귀하게 여겨졌고, 공자는 존중의 격언으로 점성술을 대했다고 전해진다.[142][75]

갑골 모형 – 거북이 껍질


바빌론 점성술이 중국 점성술의 초기 발전에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76]

콜럼버스의 발견 이전 메소아메리카의 달력은 적어도 기원전 6세기의 연대를 가지는, 지역 전체에 걸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던 체계가 기반이 된다. 최초의 달력은 사포텍과 올메크와 같은 민족들에서 사용되었고, 나중에는 마야와 미스텍, 아즈텍과 같은 민족들에서 사용되었다. 독특한 마야 달력은 두 개의 기본 규칙을 사용하는데, 하나는 농사와 국내사항을 결정하는 360일의 태양년으로 구분하고, 다른 하나는 제식 행사를 좌우하는 260일의 촐킨으로 부른다. 아즈텍 달력은 360일과 260일의 두 개의 주요 주기를 지닌 마야 달력과 같은 기본 구조를 공유한다.

2. 1. 초기 기원

넓은 의미에서 점성술은 하늘에서 뜻을 찾는 것이다. 점성술은 인류가 천문학적 주기에 관련한 계절적 변화를 측정, 기록하고 예언하려는 무의식적 시도를 행함과 동시에 학문으로써 시작되었다는 논의가 있어 오고 있다.[82]

그러한 실행의 초기 증거는 이미 25,000년 전에 달의 주기가 기록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뼈와 동굴 벽화에서 나타나는데, 그 첫 번째 걸음마는 조수와 강에 미치는 달의 효력을 기록하는 것으로 향했다.[83] 밤하늘에서 계절과 함께 변하는 별자리의 출현은 특정 별무리의 출몰이 매년의 범람 또는 계절적 활동을 예고할 수 있게 하였고, 이러한 별자리에 대한 지식의 증가에 의해 농경의 욕구가 채워지기도 하였다.[84] 기원전 3000년경에 널리 퍼진 문명들은 천체 주기에 대해 고도로 세련된 의식을 발전시켰고, 의식적으로 별들의 태양과 함께 출몰과 정렬되도록 그들의 신전을 향하게 해야 한다고 믿었다.[85]

점성술의 참고 자료로 알려진 가장 오래된 것들이 이 기간에 기록된 것들의 사본들임을 암시하는 산발적인 증거가 있다. 기원전 1700년경에 바빌로니아에서 편찬된 암미사투카의 금성 점토판에서 두 개가 아카드의 사르곤 왕의 통치 기간(BC 2334-2279) 동안에 만들어졌다고 보고되었다.[86] 택일 점성술의 초기 사용을 보여주는 또 다른 것은 수메르의 통치자 라가시의 구데아(BC 2144~2124년경)의 치세기 때의 것이다. 이것은 신들이 어떻게 그에게 꿈속에서 신전의 예정된 축조를 위해 가장 호의적일 별자리들을 알려주는지를 묘사한다.[87] 그러나, 그것들이 진짜로 그때에 기록된 것인지 단지 후대의 고대 통치자에 기인한 것인에 대한 의문은 논란을 수반한다. 따라서, 지식의 통합된 체계로서 점성술 사용의 이의없는 가장 오래된 증거는 수메르 부흥기(BC 1950~1651년)에 나타난 기록들로 추정된다.

2. 2. 고대 세계

점성술은 인류가 천문학적 주기에 따른 계절 변화를 측정, 기록, 예측하려는 시도와 함께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82] 초기 증거는 25,000년 전 뼈와 동굴 벽화에서 발견되는데, 달의 주기를 기록하고 조수와 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려는 노력이었다.[83] 밤하늘 별자리의 변화는 매년의 범람이나 계절적 활동을 예측하는 데 사용되었고, 농경에 필요한 지식을 제공했다.[84] 기원전 3000년경, 문명들은 천체 주기에 대한 정교한 의식을 발전시켰고, 신전을 태양과 함께 출몰하는 별들과 정렬시키기도 했다.[85]

이 시기에 기록된 자료들은 점성술의 참고 자료로 여겨진다. 바빌로니아에서 편찬된 암미사투카의 금성 점토판(기원전 1700년경)은 아카드의 사르곤 왕(기원전 2334~2279년) 통치 기간에 만들어졌다고 전해진다.[86] 수메르의 통치자 라가시의 구데아(기원전 2144~2124년경) 시대의 기록은 택일 점성술의 초기 사용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기록들이 실제로 그 당시에 작성되었는지, 아니면 후대에 고대 통치자에게 귀속된 것인지에 대한 논란이 있다.[87] 따라서, 지식의 통합된 체계로서 점성술 사용의 가장 오래된 증거는 수메르 부흥기(기원전 1950~1651년)의 기록들로 추정된다.

'''바빌로니아 점성술'''은 기원전 제2천년기에 발생한 최초의 조직화된 점성술 체계이다.[88] 기원전 3천년기 수메르 시대에 점성술이 나타났다는 의견도 있지만, 이 시기의 천체 전조에 대한 참조는 점성술의 통합된 이론을 증명하기에 충분하지 않다.[89] 그러므로, 학문적 천체 점술의 역사는 일반적으로 구 바빌로니아 후반(기원전 1800년경) 문헌들로 시작되어, 바빌로니아 중기와 아시리아 중기를 통해 계속되었다고 전해진다.[90]

기원전 16세기의 ''에누마 아누 엔릴''은 7,000건의 천체 전조를 수록한 70점의 쐐기 문자 평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조기반 점성술의 광범위한 사용을 보여준다. 이 시기의 바빌로니아 점성술은 날씨 예측과 정치적 문제에 관여하는 세속 점성술이었고, 기원전 7세기 이전까지 천문학 지식은 기초적이었다. 기원전 4세기에 수학적 기법이 발달하면서 행성의 미래 위치를 계산할 수 있게 되었고, 광범위한 천체력이 출현하기 시작했다.[92]

바빌로니아 점성술은 점술의 맥락 안에서 발달했다. 기원전 1875년경의 간 모형이 새겨진 32개의 평판은 바빌로니아 점술의 상세한 기록으로, 천체의 전조 분석과 동일한 해석 체제를 보여준다.[93] 희생된 동물의 간에서 발견된 흡집과 표시는 왕에게 전달되는 신의 메시지를 상징하는 기호로 해석되었다.

신들은 행성과 항성의 천체 형상으로 자신을 드러낸다고 믿어졌다. 특정 행성에 부여된 천체의 흉악한 전조들은 행성이 표현하는 신의 불만 또는 소동의 징후로 여겨졌다.[94] 이러한 징후는 신을 달래고, 왕과 국가에 중대한 손해 없이 신의 뜻이 실현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데 사용되었다. 에살핫돈 왕이 기원전 673년 1월의 월식을 우려했다는 천문학 보고서는, 왕의 대리인을 사용한 제의적 행위가 마법과 전조에 대한 신앙, 그리고 점성학적 사건이 자연계에서 상관 현상을 가진다는 기계적인 관념을 결합했음을 보여준다.

울라 코흐베스텐홀츠는 바빌로니아 천체 점술의 개념이 유신론과 기계적 세계관 사이의 양의성을 가진다고 주장했다. 마법에 의존하면서도 복수를 위한 처벌의 암시가 없고, 현대 과학의 특성(객관적, 가치 중립적, 규칙에 따른 작용, 보편적 가치를 지닌 자료)을 공유한다는 것이다.[96] 코흐베스텐홀츠는 고대 바빌로니아 점술이 다른 점술과 달리 세속 점성술에만 관련되었고, 지리적이며, 국가와 왕의 복리에 전적으로 관여했다는 점을 강조했다.[97] 따라서, 세속 점성술은 점성술의 가장 오래된 부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98] 기원전 6세기부터 천궁도 점성술이 점진적으로 출현하면서, 점성술은 출생 점성술의 기법과 방식을 발전시켰다.[99][100]

2. 3. 헬레니즘 이집트

기원전 525년 이집트는 페르시아에 정복되었고, 이집트 점성술은 메소포타미아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보인다. 역사가 탬신 바튼은 덴데라 조디악에 있는 두 개의 별자리(천칭과 전갈)가 메소포타미아의 영향을 보여주는 예라고 주장한다. 그리스 판본에서 천칭자리는 전갈의 집게발로 알려져 있었다.[101]

기원전 332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이집트를 점령한 후, 이집트는 그리스의 통치와 영향 아래 놓였다. 알렉산드로스는 알렉산드리아 시를 건설했고, 기원전 3~2세기 동안 알렉산드리아의 학자들은 많은 저술을 남겼다. '알렉산드리아의 이집트'에서 바빌로니아 점성술은 이집트의 십분각(decan) 점성술 전통과 혼합되어 천궁도 점성술을 탄생시켰다. 여기에는 행성의 고양, 별자리의 삼궁, 그리고 식의 중요성을 지닌 바빌로니아 황도대가 포함되었다. 이와 함께, 황도대를 각각 10도씩 36개의 십분각으로 분할하는 이집트식 개념은 상승 십분각의 강조, 행성의 신들과 행성의 위계, 그리고 사원소의 그리스식 체계와 결합되었다.[102]

십분각은 천문학상 별자리에 따라 측정된 시간 체계였다. 소티스 또는 시리우스 별자리가 그것들을 이끌었다. 야간의 십분각의 상승은 밤을 '시(hour)'로 분할하는데 사용되었다. 일출 직전의 별자리의 상승(태양과 함께 상승)은 밤의 마지막 시라고 여겨졌다. 한 해 동안, 각각의 별자리는 열흘 동안 일출 직전에 떠올랐다. 그것들이 헬레니즘 시대의 점성술의 일부가 되었을 때, 각각의 십분각은 황도대의 10도씩에 해당되었다. 기원전 2세기부터 전해지는 여러 문헌들은 어느 십분각, 특히 소티스의 상승 시간에 황도대 별자리에 있는 행성의 위치와 관련된 예언을 열거한다.[103] 이집트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황도대는 덴데라 황도대로써 기원전 1세기 때의 것이다.

천궁도 점성술의 발전에 있어서 특히 중요한 인물은 이집트 알렉산드리아에 살던 점성가이자 천문가인 프톨레마이오스였다. 프톨레마이오스의 작품 ''테트라비블로스''는 서양 점성술 전통의 근간이 되었고, "천년 혹은 그 이상 점성술의 저자들에게 거의 성경의 권위를 누렸다."고 한다.[104] 그것은 1138년 스페인에서 티볼리의 플라토에 의해 아랍어에서 라틴어로 번역된 후 중세 유럽을 돌았던 최초의 점성술 문헌들 가운데 하나였다.[105]

피르미쿠스 마테우스(4세기)에 따르면, 천궁도 점성술의 체계는 초기에 이집트 파라오 네카우바라는 이름의 이집트 파라오와 그의 사제 페토시리스에게 소개되었다고 한다.[106] 그 시기 동안에 헤르메스주의의 문헌들이 편찬되기도 했다. 로마 시대의 작가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는 이집트의 제사 의식에 대한 그의 묘사로써 점성가들이 그 문헌들에 대한 지식을 갖고 있었다고 예상되는 정도를 기술했다.

이것은 주로 그들의 종교 의례에서 드러난다. 먼저, 음악의 상징들 가운데 어느 하나를 지니고 있는 가수를 위해서. 그들은 그가 두 가지의 헤르메스의 책을 공부해야만 한다고 하기 때문인데, 그것들 중 하나는 신들의 찬가를 담고 있으며, 두 번째 것은 왕의 생활 규정이다. 그리고, 가수가 그의 손에 시계를 그리고 야자나무와 점성술의 상징들을 들고 있는 점성술사를 도운 후. 그는 언제나 그의 입에 모두 네 권의 헤르메스의 점성술 책들을 지녀야만 한다.
[107]

2. 4. 그리스와 로마

알렉산드로스 대왕아시아 정복으로 그리스인들은 시리아, 바빌로니아, 페르시아, 중앙아시아의 우주론 사상에 노출되었다. 그리스어는 지적 의사소통의 국제 언어가 되었고, 쐐기문자에서 그리스어로 점성술이 전달되는 과정의 일부였다.[108] 기원전 280년경, 마르두크의 사제 베로수스는 그리스인들에게 점성술과 바빌로니아 문화를 가르치기 위해 바빌로니아에서 그리스의 코스섬으로 이주했다. 역사학자 니콜라스 캠피온은 이를 통해 점성술의 "혁신적인 에너지"가 서방의 헬레니즘 세계로 이동했다고 칭했다.[109] 캠피온에 따르면, 동양에서 유입된 점성술은 복잡성이 특징이었고, 기원전 1세기에는 두 종류의 점성술, 즉 천궁도 해석을 통해 과거, 현재, 미래를 정확히 파악하려는 점성술과 별에 영혼의 오름이 강조된 강령 점성술이 존재했다. 이들은 서로 배타적이지는 않았지만, 전자는 삶에 대한 정보를, 후자는 개인의 변화와 신격과의 대화를 추구했다.[110]

그리스의 영향은 고대 로마에 점성술 이론을 전달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111] 로마에 점성술이 처음 도착했을 때, 사회 하류층에 큰 영향을 미쳤고,[111] 바빌로니아 '별 관찰자'의 지식에 대한 무비판적 의존에 대한 우려가 있었다.[112] 그리스인들과 로마인들 사이에서, 바빌로니아(칼데아라고도 알려짐)는 점성술과 동일시되었고, '칼데아의 지혜'는 행성과 항성을 사용한 점술의 일반적인 동의어가 되었다.[113]

점성술에 대한 최초의 분명한 참고 자료는 기원전 160년에 농장 감독관들에게 칼데아인들과 협의하지 말라고 경고한 웅변가 카토의 작품에서 유래한다.[114] 2세기 로마 시인 유베날리스는 로마 여성들이 칼데아인들을 신뢰하며, 점성가들의 말은 함몬의 샘에서 나왔다고 믿는다고 비판했다. 그는 또한, 점성가가 먼 곳의 수용소에 투옥되어야만 신뢰를 얻는다고 풍자했다.[115]

헤르메스주의 점성술을 로마로 가져온 최초의 점성가 중 한 명은 황제 티베리우스의 점성가로 활동한 트라실리우스이다.[111] 아우구스투스 황제 또한 그의 황권을 정당화하기 위해 점성술을 사용했지만,[116] 티베리우스는 황실 점성가를 둔 최초의 황제로 보고되었다.[117]

2. 5. 이슬람 세계

7세기에 아랍에 의한 알렉산드리아의 붕괴와 8세기에 아바스 왕조의 성립에 뒤이어 점성술은 이슬람 학자들에 의해 열성적으로 계속되었다. 아바스 왕조의 제2대 칼리파 알 만수르(754~775년 재위)는 교육의 중심지로 역할하는 바그다드 시를 건립했는데, 시의 설계에 ''바이트 알히크마''(지식의 창고)로 알려진 도서번역의 핵심 시설이 포함되어, 그곳은 그의 후임자들로부터 발전의 수용을 계속했고, 헬레니즘 점성술 문헌의 아랍어 번역을 위한 기동력을 제공했다.[118] 초기 번역가들 가운데, 마샬라는 바그다드 건립을 위한 시간을 선정하는데 도움을 주었고,[119] 사흘 이븐 비슈르(''자엘''이라고도 함.)의 문헌들은 나중에 13세기의 귀도 보나티 그리고 17세기의 윌리엄 릴리와 같은 유럽의 점성가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다.[120] 아랍어 문헌들의 지식은 12세기의 라틴어 번역 기간 동안에, 유럽으로 유입되기 시작하여, 그 효과는 유럽의 르네상스의 시작에 도움이 되었다.

아랍의 점성가들 가운데 가장 영향력 있던 인물 중 하나는 알부만수르였는데, 그의 저서 ''인트로둑토리움 인 아스트로노미암''(''Introductorium in Astronomiam'')은 나중에 중세 유럽에서 인기있는 논문이 되었다. 또 다른 인물은 페르시아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 점성가이며 지리학자인 알 콰리즈미였다. 아랍은 천문학 지식이 크게 증가했으며, 알데바란, 알타이르, 베텔게우스, 리겔, 베가와 같이 오늘날 일반적으로 알려진 항성의 이름이 그들의 언어 유산을 유지한다. 그들은 헬레니즘식 가상점(lot)들의 목록을 그들에게 역사적으로 아랍식 가상점(Arabic part)들로 알려진 범위로 발전시키기도 하였다. 그런 이유로, 그 가상점은 명백히 헬레니즘 점성술의 중요한 특징이 되어 온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반해, 종종 아랍의 점성가들이 그들의 용도로 개발했다는 그릇된 주장이 있다.

이슬람의 과학 발전이 진행되는 동안에 점성술 실행의 일부는 알파라비(알파라비우스)와 이븐 알하이삼(알하젠), 아비켄나와 같은 천문학자들에 의해 신학적 입장에서 반박되었다. 그들의 비판은 점성가들의 기법이 경험적 증거보다 추측이며 신의 뜻은 미리 정확히 알려지고 예언될 수 있다는 주장을 통해 이슬람 학자들의 정통파적 견해와 상충한다고 주장했다.[121] 이와 같은 반박은 그 당시에 자연 과학의 일부로 여겨졌던 의학, 기상과 같은 '자연 부문'보다 주로 '국가 부문(judical astrology)'에 관여했다.

예를 들어, 아비켄나의 '점성술에 대한 반박' ''레살라 피 에브탈 아캄 알노줌''(''Resāla fī ebṭāl aḥkām al-nojūm'')은 창조물 위에 있는 신의 절대적인 권능을 표현하는 신성한 인과의 대리자로서 활동하는 행성의 원리를 지지하는 점성술의 실행에 대해서 논박했다. 아비켄나는 행성의 움직임이 결정론적인 방법으로 지상의 삶에 영향을 미친다고 여겼지만, 항성의 정확한 효력을 결정하는 능력에 대해서는 반대론을 폈다.[122] 본질에 있어서, 아비켄나는 점성술의 근본적 교의를 반박하지는 않았지만, 이것으로부터 만들어질 수 있는 정확하고 숙명적인 예언의 범위로 이것을 이해하는 우리의 능력은 부정했다.[123]

2. 6. 중세와 르네상스 유럽



로마 제국 멸망 후, 동양에서는 인도, 페르시아, 이슬람의 영향으로 점성술이 번성하며 활발한 번역과 지적 검토가 이루어졌다. 반면, 서양에서는 그리스 과학 천문학의 쇠퇴와 교회의 비난으로 점성술이 쇠퇴했다.[124] 그러나 10세기 후반, 아랍어 점성술 문헌들이 라틴어로 번역되어 스페인으로 유입되기 시작했고, 12세기에는 아라비아에서 유럽으로 점성술 지식이 대량으로 전달되었다.[124]

13세기에 이르러 점성술은 유럽 의료 행위의 일부가 되었다. 의사들은 갈레노스 의학과 점성술을 결합하여 진료에 활용했다. 1500년대 말에는 의사들이 외과 수술과 같은 복잡한 의료 절차를 시행하기 전에 달의 위치를 계산하는 것이 법적으로 요구되었다.[125]

13세기의 영향력 있는 점성술사로는 영국의 수도사 요하네스 데 사크로보스코(1195~1256년경)와 이탈리아 포를리 출신의 구이도 보나티가 있다. 보나티는 피렌체, 시에나, 포를리의 공동 정부에서 일했으며,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2세의 조언자로도 활동했다. 1277년경에 쓰여진 그의 점성술 저서 ''Liber Astronomiae''(리베르 아스트로노미애, '점성술의 책')는 13세기에 라틴어로 제작된 가장 중요한 점성술 작품으로 평가받는다.[126] 단테 알리기에리는 그의 작품 신곡에서 보나티를 지옥의 여덟 번째 원에 배치하여 미래를 예언한 죄로 머리가 뒤틀린 채 영원히 뒤를 보며 걷도록 묘사했다.[127]

중세 유럽에서 대학 교육은 일곱 자유과로 알려진 일곱 가지 영역으로 나뉘었고, 각 영역은 특정 행성과 연결되었다. 단테는 달을 문법에, 수성을 변증법에, 금성수사학에, 태양음악에, 화성을 산술에, 목성을 기하학에, 토성을 점성술과 천문학에 배정했다.[128]

중세 작가들은 작품에서 점성술적 상징을 사용했다. 단테의 신곡지옥, 연옥, 천국의 구조 안에서 행성과의 연관성을 다양하게 언급하며, 제프리 초서의 작품에서도 점성술적 비유와 행성 주제가 나타난다.[129],[130] 초서는 캔터베리 이야기에서 바스 부인을 화성과, "서생"을 수성과 연결 짓는 등 인물 묘사에 점성술을 활용했다.[131],[132] 윌리엄 셰익스피어존 밀턴의 작품에서도 점성술적 요소를 찾아볼 수 있다.[133]

최초의 영국 점성가 중 한 명인 리처드 트레위티언(1393년생)은 다양한 계층의 의뢰인들을 상대하며 15세기 영국에서 점성술이 널리 퍼져 있었음을 보여준다.[134]

르네상스 시대에는 궁정 점성가들이 천궁도를 사용하여 우주의 본질에 대한 발견을 이끌어내는 "과학적 점성술"이 나타났다. 튀코 브라헤, 갈릴레오 갈릴레이, 요하네스 케플러와 같은 천문학자들은 점성술 체제를 뒤집은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점성술사이기도 했다.[135]

그러나 르네상스 말, 아리스토텔레스 물리학이 붕괴되고 천구와 월하 영역 사이의 구분이 폐지되면서 점성술의 과학적 지위는 흔들렸다. 키스 토마스는 태양중심설이 점성술 이론과 조화를 이루었음에도 불구하고, 16세기와 17세기의 천문학 발전으로 인해 "세상은 더 이상 빽빽하게 교합된 유기체로 예상되지 않으며, 무한한 차원의 기계론"으로 변화했다고 보았다.[136] 18세기에 이르러 점성술은 더 이상 옹호될 수 있는 이론적 기초를 갖지 못하게 되면서 과학으로서의 지위를 잃게 되었다.[136]

2. 7. 인도

''조티사''(''jyotiṣa'')라는 용어가 최초로 사용된 것은 베다교의 보조 학문 분야 중 하나인 베단가에서였다. 현존하는 이 분야의 유일한 작품은 ''베단가 조티샤''(''Vedanga Jyotisha'')인데, 5년의 윤달 주기의 맥락에서 태양과 달의 움직임을 추적하는 규칙을 담고 있다. 이 작품의 연대는 불분명하며, 기원전 마지막 세기에 해당하는 언어와 구성의 후기 양식은 마우리아 이전 시대임에도 불구하고 기원전 2천 년대 초의 훨씬 이전 연대에 대한 일부 내부 증거와 상충된다.[138][139]

이후 현대 천궁도 점성술의 새로운 의미를 가진 기록된 조티시의 역사는 인도-그리스 시대의 인도와 헬레니즘 문화의 상호작용과 관련이 있다.[140] 알렉산더 대왕의 군사 정벌과 박트리아 그리스에 뒤이어 그리스어는 인더스 계곡 유역의 링구아 프랑카가 되었다. ''야바나자타카''(''Yavanajataka'')나 브리하트-삼히타와 같이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논문은 초세기의 연대를 가진다. 산스크리트어로 된 가장 오래된 점성술 논문은 269~270년의 스푸지하바자에 의해 운문화된 ''야바나자타카''("그리스인들의 격언")인데, 이것은 그 이전인 2세기에 사카의 왕 서부 사트랍스 루드라다만 1세의 지원 하에서 야바네스바라가 기술한 그리스어 논문 번역본으로 현재는 소실되었다.[141]

인도의 천문학과 점성술은 함께 발전했다. 천문학 논문을 작성한 이름이 알려진 최초의 저자들은 인도 천문학이 시작되었다고 말할 수 있는 5세기부터였다. ''아르야비티아''(''Āryabhaṭīya'')에 있는 아리아바타의 이론들과 분실된 ''아르야-싯단타''(''Arya-siddhānta'') 외에도, 바라하미히라의 판차-싯단티카(''Pancha-Siddhāntika'')가 있다.

2. 8. 중국

중국에서 점성술 체계는 천문학과 달력을 기반으로 하며, 이것의 발전은 한(漢) 왕조(기원전 2세기부터 기원후 2세기) 동안에 번영을 누린 천문학에 한정되어 있었다.[74]

중국 점성술은 중국 철학(하늘과 땅 그리고 물의 삼조화 이론)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음양(陰陽)이론을 사용하고, 오행(五行)의 가르침과 10 천간(天干), 12 지지(地支), 태음태양력(음력과 양력) 그리고 년, 월, 일, 시진(時辰)에 따르는 시간 계산법과 같이 서양 점성술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개념이 있다.

중국에서 점성술은 전통적으로 고귀하게 여겨졌고, 공자는 존중의 격언으로 점성술을 대했다고 전해진다.: "하늘은 좋거나 나쁜 상징을 내려주고 현자는 따라서 행동한다."[142][75] 상(商) 왕조(기원전 1766~1050년경) 때부터 황도대의 열두 동물의 별자리가 조합된 60년 주기가 기록되어오고 있다. 점술가의 이름과 점치는 대상에 대한 주제와 함께, 60년 주기에 따른 날짜와 새겨진 갑골이 그 시대부터 전해지는 것이다. 기원전 300년경에 살던 추연은 중국에서 가장 유명한 점성가 중 한 명인데, 그는 이렇게 적었다.: "어떤 새로운 왕조가 떠오르고 있고, 하늘은 사람들에게 상서로운 별자리를 나타낸다."

바빌론 점성술이 중국 점성술의 초기 발전에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76] 이후 6세기에 ''대집경''의 번역으로 바빌론 시스템이 중국에 전해졌다. 이것이 중국 점성술을 대체하지는 않았지만, 여러 시에서 언급되었다.[77]

2. 9. 메소아메리카

콜럼버스의 발견 이전 메소아메리카의 달력은 적어도 기원전 6세기의 연대를 가지는, 지역 전체에 걸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던 체계가 기반이 된다. 최초의 달력은 사포텍과 올메크와 같은 민족들에서 사용되었고, 나중에는 마야와 미스텍, 아즈텍과 같은 민족들에서 사용되었다. 비록 메소아메리카 달력이 마야 문명에서 유래하지 않았을지라도, 그것에 대한 그들의 계속된 확장과 개선은 가장 정교했다. 아즈텍의 것과 마찬가지로 마야 달력은 가장 잘 기록되었고 가장 완전하게 이해된다.

독특한 마야 달력은 두 개의 기본 규칙을 사용하는데, 하나는 농사와 국내사항을 결정하는 360일의 태양년으로 구분하고, 다른 하나는 제식 행사를 좌우하는 260일의 촐킨으로 부른다. 각각은 삶의 모든 면을 다루는 정교한 점성술의 체계와 연결된다. 남자 아이가 태어나고 닷새가 지난 날에, 마야의 점성가이자 사제는 그 아이의 직업이 군인, 사제, 공무원 또는 제물 중에 무엇이 될지를 알기 위하여 그 아이의 천궁도를 그렸다.[142] 금성의 출현과 합을 추적하는 584일의 금성의 주기 또한 유지되었다. 금성은 일반적으로 불길하고 해로운 영향으로 간주되었고, 마야의 통치자들은 종종 금성이 질 때와 동시에 전쟁의 시작을 계획했다. 마야인들이 수성과 화성 그리고 목성의 이동을 추적했으며 몇 종류의 황도대를 보유했다는 증거도 있다. 쌍둥이자리의 이름은 ''페커리''(peccary)인데 반해, 전갈자리의 마야식 이름 또한 전갈(scorpion)이었다.[143] 여전히 본래대로인 가장 유명한 마야의 천문 관측소는 현재의 멕시코의 고대 마야의 도시 치첸 이차에 있는 카라톨 관측소이다.

아즈텍 달력은 360일과 260일의 두 개의 주요 주기를 지닌 마야 달력과 같은 기본 구조를 공유한다. 260일 달력은 토날포왈리라 불렸으며 처음에는 점술의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마야 달력과 같이, 이 두 가지의 주기는 52년의 '세기'를 구성했으며, 때때로 역의 순환이라 불렸다.

참조

[1] 문서 Campion (2008)
[2] 문서 Marshack (1972)
[3] 문서 Hesiod (circa 8th century BC)
[4] 문서 Kelley and Milone (2005)
[5] 문서 Two texts which refer to the 'omens of Sargon' are reported in E. F. Weidner, ‘Historiches Material in der Babyonischen Omina-Literatur’ Altorientalische Studien, ed. Bruno Meissner, (Leipzig, 1928-9), v. 231 and 236
[6] 간행물 Elements of the Babylonian Contribution to Hellenistic Astrology
[7] 문서 Koch-Westenholz (1995)
[8] 문서 Kassell and Ralley (2010)
[9] 서적 The cosmic perspective https://archive.org/[...] Pearson/Addison-Wesley
[10] 간행물 Astronomy and astrology https://zenodo.org/r[...]
[11] 문서 Campion (2009)
[12] 문서 Holden (1996)
[13] 문서 Rochberg (1998) https://books.google[...]
[14] 문서 Rochberg (1998)
[15] 문서 Baigent (1994)
[16] 문서 Holden (1996)
[17] 문서 Koch-Westenholz (1995)
[18] 문서 Koch-Westenholz (1995)
[19] 문서 Koch-Westenholz (1995)
[20] 문서 Koch-Westenholz (1995)
[21] 문서 Koch-Westenholz (1995)
[22] 서적 From the Omens of Babylon: Astrology and Ancient Mesopotamia Arkana 1994
[23] 서적 Mundane astrology Thorsons 1984
[24] 서적 The limits of influence: Pico, Louvain, and the crisis of Renaissance astrology https://books.google[...] BRILL 2012-04-05
[25] 문서 Barton (1994)
[26] 문서 Holden (1996)
[27] 문서 Barton (1994)
[28] 문서 Robbins, Ptolemy Tetrabiblos
[29] 웹사이트 The History of Astrology http://astrologyclub[...] 2016-12-28
[30] 문서 FA Robbins, 1940; Thorndike 1923)
[31] 문서 Firmicus (4th century)
[32] 문서 Roberts (1906) https://books.google[...]
[33] 문서 Campion (2008)
[34] 문서 Campion (2008)
[35] 문서 Campion (2008)
[36] 문서 Barton (1994)
[37] 문서 Campion (2008)
[38] 문서 Parkers (1983)
[39] 문서 Barton (1994)
[40] 웹사이트 The Ways of Women http://www.tertullia[...] 2012-07-05
[41] 문서 Barton (1994)
[42] 문서 Barton (1994)
[43] 간행물 The Whole World in your Hands Smithsonian 2017-07
[44] 서적 Political Dissidence Under Nero: The Price of Dissimula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1-03
[45] 논문 Cicero's Demarcation of Science: A Report of Shared Criteria
[46] 웹사이트 Hellenistic Astrology {{!}}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iep.utm.edu/[...] 2024-12-12
[47] 문서 Houlding (2010)
[48] 문서 Albiruni, Chronology (11th century)
[49] 문서 Houlding (2010)
[50] encyclopedia Abū Ma'shar al-Balkhī, Ja'far ibn Muḥammad http://www.encyclope[...] Charles Scribner's Sons
[51]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Astronomy, Containing the Eight Divided Books of Abu Ma'shar Abalachus http://www.wdl.org/e[...] 2013-07-16
[52] 문서 Abu Ma'shar and Latin Aristotelianism in the Twelfth Century, The Recovery of Aristotle's Natural Philosophy through Iranian Astrology 1962
[53] 문서 Saliba (1994)
[54] 문서 Belo (2007)
[55] encyclopedia Avicenna' http://www.iranicaon[...] 2011
[56] 서적 Star Maps: History, Artistry, and Cartography Springer 2007
[57] 웹사이트 Learning Bodies of Knowledge https://web.archive.[...] 2016-10-25
[58] 서적 The Astrology Book https://books.google[...] Body, Mind & Spirit 2003
[59] 서적 Divine Comedy https://books.google[...] Ticknor and Fields 1867
[60] 문서 Burckhardt (1969)
[61] 문서 Crane (2012)
[62] 뉴스 Astrology and English literature http://www.findartic[...] Contemporary Review, Oct 1996 2006-07-17
[63] 문서 The Canterbury Tales
[64] 서적 The Discarded Im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4
[65] 웹사이트 Shakespeare, Astrology, and Alchemy: A Critical and Historical Perspective http://astrologyclub[...] The Mountain Astrologer, Feb/Mar 2004 2016-10-25
[66] 간행물 'Richard Trewythian and the Uses of Astrology in Late Medieval England' https://www.jstor.or[...] The Warburg Institute 2001
[67] 서적 "Galileo's Mistake: A New Look At the Epic Confrontation Between Galileo and the Church" https://books.google[...] Arcade Publishing 2003
[68] 서적 Religion and the Decline of Magic: Studies in Popular Beliefs in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y England Oxford University Press 1971
[69] 서적 Astrology and the Seventeenth Century Mind: William Lilly and the Language of the Stars Manchester University Press ND 1995
[70] 웹사이트 Vedanga jyotisa of Lagadha http://www.new.dli.e[...] National Commission for the Compilation of History of Sciences in India by Indian National Science Academy, 1985 2009-11-22
[71] 서적 Jyotiḥśāstra Otto Harrassowitz
[72] 문서
[73] 문서 The shape of ancient thought
[74] 서적 Astrology and Cosmology in Early China: Conforming Earth to Heave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75] 문서
[76] 간행물 DID BABYLONIAN ASTROLOGY INFLUENCE EARLY CHINESE ASTRAL PROGNOSTICATION XING ZHAN SHU 星占術? https://www.cambridg[...] 2014-07-03
[77] 웹사이트 古人也信12星座…蘇東坡感嘆「我魔羯我歹命」 這大詩人慘被他拖下水 {{!}} 國際 {{!}} CTWANT https://www.ctwant.c[...] 2023-09-07
[78] 문서 The Maya Thames and Hudson
[79] 문서
[80] 문서 Stars, spirits, signs: towards a history of astrology 1100–1800
[81] 문서
[82] 문서
[83] 문서
[84] 문서
[85] 문서
[86] 문서 Historiches Material in der Babyonischen Omina-Literatur
[87] 문서 Texte aus der Umwelt des Alten Testaments
[88] 문서
[89] 문서
[90] 문서
[91] 문서
[92] 문서
[93] 문서
[94] 문서
[95] 문서
[96] 문서
[97] 문서
[98] 서적 From the Omens of Babylon: Astrology and Ancient Mesopotamia Arkana
[99] 서적 Mundane astrology Thorsons
[100] 서적 The limits of influence: Pico, Louvain, and the crisis of Renaissance astrology http://books.google.[...] BRILL 2013-01-17
[101] 문서
[102] 문서
[103] 문서
[104] 문서 Ptolemy Tetrabiblos
[105] 문서
[106] 문서 Firmicus (4th cent.)
[107] 웹사이트 Roberts (1906) http://books.google.[...]
[108] 문서 Campion (2008)
[109] 문서 Campion (2008)
[110] 문서 Campion (2008)
[111] 문서 Barton (1994)
[112] 문서 Campion (2008)
[113] 문서 Parkers (1983)
[114] 문서 Barton (1994)
[115] 웹사이트 The Ways of Women http://www.tertullia[...] Juvenal 1918
[116] 문서 Barton (1994)
[117] 문서 Barton (1994)
[118] 문서 Houlding (2010)
[119] 문서 Albiruni, Chronology (11th c.)
[120] 문서 Houlding (2010)
[121] 문서 Saliba (1994)
[122] 문서 Belo (2007)
[123] 웹사이트 Avicenna http://www.iranicaon[...] George Saliba 2011
[124] 서적 Star Maps: History, Artistry, and Cartography Springer
[125] 웹사이트 'Learning Bodies of Knowledge' http://www.bl.uk/lea[...] British Library 2013-01-18
[126] 서적 The Astrology Book http://books.google.[...] Body, Mind & Spirit
[127] 서적 Divine Comedy http://books.google.[...] Ticknor and Fields
[128] 문서 Burckhardt (1969)
[129] 문서 Crane (2012)
[130] 뉴스 Astrology and English literature'' http://www.findartic[...] Contemporary Review 2013-01-18
[131] 문서 'The Canterbury Tales'
[132] 서적 The Discarded Im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3] 웹인용 'Shakespeare, Astrology, and Alchemy: A Critical and Historical Perspective' http://www.astrofutu[...] The Mountain Astrologer 2013-01-21
[134] 간행물 'Richard Trewythian and the Uses of Astrology in Late Medieval England' http://www.jstor.org[...] The Warburg Institute
[135] 서적 'Galileo''s Mistake: A New Look At the Epic Confrontation Between Galileo and the Church' http://books.google.[...] Arcade Publishing
[136] 서적 Religion and the decline of magic: studies in popular beliefs in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y England Oxford University Press
[137] 서적 'Astrology and the Seventeenth Century Mind: William Lilly and the Language of the Stars' Manchester University Press ND
[138] 웹인용 Vedanga jyotisa of Lagadha http://www.new.dli.e[...] National Commission for the Compilation of History of Sciences in India by Indian National Science Academy 2013-01-18
[139] 서적 Jyotiḥśāstra Otto Harrassowitz
[140] 문서 Pingree (1981)
[141] 서적 The shape of ancient thought
[142] 위키백과 History of astrology
[143] 서적 The Maya Thames and Hudson 20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