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더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볼더링은 맨손과 암벽화만을 사용하여 낮은 높이의 암벽을 오르는 스포츠이다. 19세기 후반 암벽 등반 훈련의 형태로 시작되었으며, 20세기 초 프랑스 퐁텐블로 지역에서 발전했다. 1950년대 후반부터 미국의 존 길에 의해 별개의 종목으로 자리 잡았고, 1980년대 볼더링 매트와 실내 등반 벽의 등장으로 대중화되었다. 볼더링은 V 스케일과 퐁텐블로 시스템 등급으로 난이도를 평가하며, 클라이밍 슈즈, 초크백, 크래시 패드 등의 장비를 사용한다. 기술적으로는 다리 근육을 활용하고, 정적 및 동적 동작을 사용하며, 안전을 위해 스포터와 크래시 패드를 활용한다. 볼더링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국제 스포츠 클라이밍 연맹 주최 대회가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존 능력 - SOS
SOS는 모스 부호 '···–––···'로 표현되는 국제적인 조난 신호로, 해상 조난을 알리기 위해 고안되어 현재는 긴급 상황을 알리는 대표적인 신호로 널리 사용된다. - 생존 능력 - 적정기술
적정 기술은 특정 사회의 환경, 조건, 수요에 가장 효과적인 기술로, 산업화 사회 기술보다 저렴하고 전통 기술보다 생산적인 기술을 지향하며, 지속 가능한 개발과 관련된 사회 운동에서 아이디어를 찾을 수 있지만, 실용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등반 - 빙벽 등반
빙벽 등반은 얼음 지형을 오르는 스포츠로, 아이스 액스와 아이스 툴의 발명으로 기술적 발전을 이루었으며, WI 등급 시스템을 사용하고, 국제등반연맹(UIAA)이 주관하는 대회가 열린다. - 등반 - 캐니어닝
캐니어닝은 래펠링, 등반, 수영 등을 포함하는 산악 협곡 탐험 활동으로, 웨트슈트와 무선 해머 드릴의 발달로 대중화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위험 요소로는 돌발 홍수 등이 있다.
| 볼더링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정의 | 암벽 등반의 한 종류 |
| 특징 | 낮은 높이의 바위나 인공 구조물을 로프 없이 등반하는 방식 |
| 주요 장비 | 암벽화 초크 |
| 높이 | 일반적으로 6미터 이하 |
| 필요 기술 | 균형 감각 유연성 근력 문제 해결 능력 |
| 종류 | |
| 하이볼 볼더링 | 일반 볼더링보다 높은 높이에서 등반하는 방식 |
| 역사 | |
| 발전 | 19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암벽 등반의 한 형태 20세기 후반부터 독립적인 스포츠로 발전 |
| 특징 | |
| 등반 방식 | 로프 없이 등반하며, 추락 시 안전을 위해 매트 사용 |
| 실내 볼더링 | 인공 암벽을 이용하여 실내에서 등반 가능 다양한 난이도의 루트 제공 |
| 기술 | |
| 기술 종류 | 홀드 잡는 기술 몸의 균형을 잡는 기술 발을 사용하는 기술 무브를 연결하는 기술 |
| 기타 | |
| 관련 용어 | 크럭스 무브 루트 홀드 |
| 대회 | 스포츠 클라이밍의 한 종목으로 국제 대회가 개최됨 |
2. 역사

볼더링 문제의 특징은 주로 등반하는 암석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화강암은 긴 크랙과 슬랩이 많은 반면, 사암은 가파른 오버행과 빈번한 수평적인 균열로 유명하다. 석회암과 화산암도 볼더링에 사용된다.[26]
미국 전역에는 텍사스의 후에코 탱크스, 콜로라도의 블루 스카이 산, 미국 동부의 애팔래치아 산맥, 캘리포니아 주 비스숍의 버터밀크 등 많은 유명한 볼더링 지역이 있다. 스쿼미시(브리티시컬럼비아주)는 캐나다에서 가장 인기 있는 볼더링 지역 중 하나이다.[5] 유럽에도 프랑스의 퐁텐블로, 이탈리아의 메스키아, 스페인의 알바라신 등 여러 볼더링 장소가 있다.[6] 아프리카에서 가장 유명한 볼더링 지역으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록랜드 등이 있다.
2. 1. 초기 발전
암벽 등반은 19세기 후반에 스포츠로 처음 등장했다. 초기 기록에는 등반가들이 더 큰 등반을 위한 훈련의 한 형태로, 현재 볼더링이라고 하는 활동을 별개의 종목이 아닌 형태로 참여한 것으로 묘사되어 있다. 이 시기에 "볼더링"과 "문제"라는 단어가 영국 등반 문헌에 처음 등장했다. 오스카 에켄슈타인(Oscar Eckenstein)은 영국 제도에서 이 활동을 초기부터 지지한 사람 중 한 명이다.[34] 20세기 초, 프랑스의 퐁텐블로(Fontainebleau) 지역은 주요 등반 지역으로 자리 잡았고, 최초의 전문적인 "블뢰자르(bleausards)" 또는 "볼더러"들이 등장했다. 그 선수들 중 한 명인 피에르 알랭(Pierre Allain)은 암벽 등반에 사용되는 특수화된 신발을 발명했다.[46]2. 2. 현대 볼더링의 성립
암벽 등반은 19세기 후반에 스포츠로 처음 등장했다. 초기 기록에는 등반가들이 더 큰 등반을 위한 훈련의 한 형태로서 볼더링을 하였다고 묘사되어 있다. "볼더링"과 "문제"라는 단어가 영국 등반 문헌에 처음 등장한 것도 이 시기이다. 오스카 에켄슈타인(Oscar Eckenstein)은 영국 제도에서 이 활동을 초기부터 지지한 사람 중 한 명이다.[34]20세기 초, 프랑스의 퐁텐블로(Fontainebleau) 지역은 주요 등반 지역으로 자리 잡았고, 최초의 전문적인 "블뢰자르(bleausards)" 또는 "볼더러"들이 등장했다. 그 선수들 중 한 명인 피에르 알랭(Pierre Allain)은 암벽 등반에 사용되는 특수화된 신발을 발명했다.[46]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까지, 미국의 수학자 존 길은 이 스포츠를 더욱 발전시키고 몇 가지 중요한 혁신을 가져와 볼더링을 별개의 종목으로 구분하는 데 기여했다.[35][36][37] 그는 이전에 체계적인 난이도 척도를 가지고 있는 체조를 했었고, 볼더링의 초점을 정상에 도달하는 것에서 홀드들을 이동하는 것으로 바꾸었다.[46] 길은 폐쇄적인 등급 시스템을 개발했는데, B1 문제는 당시 가장 어려운 로프 등반 루트만큼 어려웠고, B2 문제는 더 어려웠으며, B3 문제는 한 번 완료된 적이 있었다.[12]
존 길은 등반가의 손을 건조하게 유지하는 방법으로 마그네슘 파우더를 도입하고, 역동적인 등반 스타일을 장려했으며, 기술을 보완하기 위한 근력 훈련의 중요성을 강조했다.[38] 그의 능력과 영향력이 향상됨에 따라 그의 아이디어는 표준이 되었다.[46]
1980년대에는 두 가지 중요한 훈련 도구가 등장했다. 하나는 볼더링 매트(또는 "크래시 패드"라고도 함)로, 추락으로 인한 부상을 방지하고 그렇지 않으면 너무 위험했을 지역에서 볼더링을 할 수 있게 해주었다. 두 번째 중요한 도구는 실내 등반 벽으로, 야외 등반이 없는 지역으로 이 스포츠의 확산을 도왔고, 진지한 등반가들이 연중 훈련할 수 있도록 했다.[46]
이 스포츠의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유럽과 미국 전역에 새로운 볼더링 지역이 개발되었고, 더 많은 선수들이 볼더링 대회에 참가하기 시작했다. 2000년대 초 유튜브 비디오와 등반 블로그가 전 세계 볼더링 선수들이 기술을 빠르게 배우고, 어려운 문제를 찾고, 새로 완료된 프로젝트를 발표하는 데 도움이 되면서 이 스포츠의 가시성이 크게 높아졌다.[46]

3. 등급
볼더링 문제는 루트 세터와 등반가에 의해 난이도 등급이 매겨진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두 가지 등급 시스템은 V 스케일과 폰텐블로 시스템이다.[11]
미국에서 시작된 V 스케일은 개방형 등급 시스템으로, 숫자가 높을수록 난이도가 높음을 나타낸다. V1 등급은 숙련되지 않은 등반가라도 좋은 신체 상태라면 몇 번의 시도 후에 문제를 완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12] 이 스케일은 V0부터 시작하며, 2024년 기준으로 볼더링 문제에 부여된 가장 높은 V 등급은 V17이다.[13] 일부 클라이밍 체육관에서는 초보자 문제를 나타내는 VB 등급을 사용하기도 한다.[14]
폰텐블로 스케일은 유사한 시스템을 따르며, 각 숫자 등급은 'a', 'b', 'c'라는 문자로 세 가지 등급으로 나뉜다. 예를 들어, 폰텐블로 7A는 대략 V6에 해당하며, 폰텐블로 7C+는 V10에 해당한다.[15] 두 시스템 모두 등급은 난이도의 약간의 증가를 나타내는 '+'를 추가하여 더욱 세분화된다. 이러한 세분화에도 불구하고, 개별 문제의 등급은 종종 논란의 여지가 있다. 능력 수준만이 특정 등반가에게 문제의 난이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니기 때문이다. 키, 팔 길이, 유연성 및 기타 신체적 특징도 난이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16]
문제에는 어려움을 나타내는 등급이 있으며, 일반적인 등급으로는 일본식(단급 등급), 유럽식(프랑스 등급), 미국식(V 등급)이 사용된다.[64]
| 단급 | 유럽식 | V |
|---|---|---|
| 8급 | 1+ 2 | VB- |
| 7급 | 2+ 3 | VB VB+ |
| 6급 | 3+ 4 | V0- V0 |
| 5급 | 4+ 5 | V0+ V1 |
| 4급 | 5+ 6A | V2 |
| 3급 | 6A+ 6B | V3[65] |
| 2급 | 6B+ 6C | V4[66] |
| 1급 | 6C+ 7A | V5[67] |
| 초단 | 7A+ 7B | V6 |
| 이단 | 7B+ 7C | V7 V8[68] |
| 삼단 | 7C+ 8A | V9 V10 |
| 사단 | 8A+ 8B | V11 V12 |
| 오단 | 8B+ 8C | V13 V14 |
| 육단 | 8C+ | V15 V16 |
4. 장비
다른 등반 종목과 달리 볼더링은 매우 적은 장비로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인 종목이지만, 의견은 다르다.[46] 볼더링 선구자인 존 셔먼은 "볼더링에 정말 필요한 장비는 바위뿐이다"라고 주장했지만, 다른 사람들은 최소한 클라이밍 슈즈와 초크백(분필을 보관하는 작은 주머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제안하며, 경험이 많은 볼더러들은 일반적으로 여러 켤레의 클라이밍 슈즈, 초크, 브러시, 크래시 패드, 그리고 스킨 케어 키트를 가져온다.[47][48][46]
클라이밍 슈즈는 성능에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클라이밍 슈즈는 등반가의 발을 거친 표면으로부터 보호하는 것 외에도, 등반가가 발을 디딜 곳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설계되었다. 클라이밍 슈즈는 일반적으로 다른 운동화보다 훨씬 더 꽉 맞게 제작되며, 종종 발가락을 아래쪽으로 구부려 정확한 발놀림을 가능하게 한다. 클라이밍 슈즈는 다양한 상황에서 성능을 발휘하도록 다양한 스타일로 제작된다. 딱딱한 슈즈는 작은 홀드를 확보하는 데 탁월하며, 부드러운 슈즈는 민감도가 더 높다. "토 박스"라고 불리는 신발 앞부분은 움푹 들어간 바위에서 잘 작동하는 비대칭형이거나, 수직 문제와 슬랩에 더 적합한 대칭형일 수 있다.[47] [49] [46]
대부분의 볼더러들은 손에 땀을 흡수하기 위해 체조용 분필을 사용하며, 이는 허리에 묶을 수 있는 초크백에 보관되어 등반 중에 분필을 다시 바를 수 있게 해준다 (스포츠 클라이밍 초크백이라고도 함).[49] 또한, 플로어 초크백(볼더링 초크백이라고도 함)이 있는데, 이것은 일반적으로 스포츠 클라이밍 초크백보다 크며 등반하는 동안 바닥에 두도록 되어 있다. 이는 볼더링은 일반적으로 한 번 이상 분필을 칠할 필요가 있을 정도로 많은 동작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이다. 크기가 다른 브러시를 사용하여 등반 사이에 볼더에서 과도한 분필과 이물질을 제거하며, 종종 더 높은 홀드에 도달하기 위해 긴 곧은 물체 끝에 부착한다.[47] 크래시 패드는 볼더링 매트라고도 하며, 낙하 후 등반가를 부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바닥에 놓는 발포 쿠션이다.[47]
추락 시 안전을 위해 휴대용 매트인 '''클래시 패드'''를 사용한다. 클라이밍 슈즈는 걷는 것을 전제로 하지 않기 때문에 발의 아치 기능이 크게 제한된다. 완충재도 밑창에 없어 추락 시 발꿈치 등을 다칠 위험이 있다. 클래시 패드를 사용하면 발꿈치나 허리 부상을 예방할 수 있으며, 특히 전면 경사벽에서는 추락 시 등이나 머리에 직접적인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클래시 패드는 휴대성을 중시하기 때문에 추락 시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은 없다. 어디까지나 부상 방지를 위한 보조 도구로 사용한다.
여러 명이 볼더링을 할 경우, 스포터(spotter)라고 불리는 보조자를 두는 경우가 있다. 스포터는 추락 시 어깨를 잡아 머리부터 추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경사지에서는 클래시 패드가 함께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하기도 한다. 스포터는 등반 중에는 클라이머에게 접촉하지 않고, 추락 시 자신이 깔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여러 명이 볼더링을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스포터에 의한 보조 외에도 각자가 가져온 클래시 패드를 겹쳐 쌓는 등 안전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5. 기술
볼더링 문제의 특징은 주로 등반하는 암석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화강암은 긴 크랙과 슬랩이 많은 반면, 사암은 가파른 오버행과 빈번한 수평적인 균열로 유명하다. 석회암과 화산암도 볼더링에 사용된다.[26]
모든 종류의 암벽 등반이 높은 수준의 힘과 기술을 필요로 하지만, 볼더링은 이 스포츠 중 가장 역동적인 형태로, 최고 수준의 파워를 필요로 하며 신체에 상당한 부담을 준다. 건염 및 인대 파열과 같은 부상을 예방하기 위해 손가락과 전완근을 강화하는 훈련 루틴이 유용하다.[53]
다른 등반 형태와 마찬가지로, 볼더링 기술은 적절한 발놀림으로 시작한다. 다리 근육은 팔 근육보다 훨씬 강하기 때문에, 숙련된 볼더러들은 가능한 한 팔을 사용하여 균형과 자세를 유지하고, 다리를 이용하여 바위를 위로 밀어 올린다.[47] 볼더러들은 또한 가능할 때마다 팔을 곧게 펴고 어깨를 움직여 근육이 아니라 뼈가 체중을 지탱하도록 한다.[54]
볼더링 동작은 "정적" 또는 "동적"으로 설명된다. 정적 동작은 등반가의 자세가 다른 세 개의 사지로 바위와의 접촉을 유지하여 제어되는, 천천히 수행되는 동작이다. 동적 동작은 등반가의 운동량을 사용하여 정적으로 확보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한 홀드에 도달하는 동작으로, 동작이 정확하게 수행되지 않으면 추락 위험이 증가한다.[55]
6. 안전
볼더링에서 추락 시 안전을 위해 휴대용 매트인 '''클래시 패드'''를 사용한다.[9][10]
클라이밍 슈즈는 걷는 것을 전제로 하지 않기 때문에 발의 아치 기능이 크게 제한된다. 또한 밑창에 완충재가 없어 추락 시 발꿈치 등을 다칠 위험이 있다. 클래시 패드를 사용하면 발꿈치나 허리 부상을 예방할 수 있으며, 특히 전면 경사벽에서는 추락 시 등이나 머리에 직접적인 충격을 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클래시 패드는 휴대성을 중시하기 때문에 추락 시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은 없다. 따라서 부상 방지를 위한 보조 도구로 사용해야 한다.
여러 명이 볼더링을 할 경우, 스포터(spotter)라고 불리는 보조자를 두는 경우가 있다. 스포터는 추락 시 어깨를 잡아 머리부터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며, 경사지에서는 클래시 패드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지지한다. 스포터는 등반 중에는 클라이머에게 접촉하지 않고, 추락 시 자신이 깔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여러 명이 함께 볼더링을 하면 스포터의 보조 외에도 각자 가져온 클래시 패드를 겹쳐 쌓는 등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볼더링에서는 땅에 떨어지는 것을 전제로 하지만, 떨어지기 전에 스스로 뛰어내림으로써 추락 시 자세를 바로잡아 위험을 회피할 수 있다.
7. 환경 보호
볼더링은 이끼와 지의류 등 바위에 자라는 식물에 피해를 줄 수 있다. 이는 볼더링하는 사람이 의도적으로 바위를 청소하거나, 손잡이와 발판을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의도치 않게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크래시 패드를 놓는 볼더링하는 사람들로 인해 바위 주변 지면의 식물도 과다 사용으로 손상될 수 있다. 토양 침식은 볼더링하는 사람들이 정해진 길을 벗어나 등산하며 식물을 짓밟거나, 낙하 시 안전한 착륙 지점을 만들기 위해 바위 근처의 작은 돌을 파낼 때 발생할 수 있다.[50] 흰색 클라이밍 초크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면 특히 사암과 같은 다공성 암석의 바위 표면이 손상될 수 있으며, 초크를 제거하기 위해 바위를 문지르는 것도 바위 표면을 손상시킬 수 있다.[56] 바위 표면이 초크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려면 등반 후 부드러운 솔로 초크를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타 환경 문제로는 쓰레기 투기, 부적절하게 처리된 배설물, 낙서 등이 있다. 이러한 문제들 때문에 남아프리카 공화국 록랜드의 인기 있는 볼더링 지역인 티 가든에서 볼더링이 금지된 경우도 있다.[57]
8. 볼더링 대회
국제 스포츠 클라이밍 연맹(IFSC)은 대회를 예선, 준결승, 결승의 세 라운드로 나누는 실내 형식을 채택했다.(경기는 야외에서도 열릴 수 있음)[26] 각 라운드에는 4~6개의 볼더링 문제가 있으며, 각 참가자는 각 문제를 시도할 수 있는 고정된 시간이 있다. 각 라운드가 끝나면 참가자는 완료한 문제 수에 따라 순위가 매겨지며, 동률은 문제를 해결하는 데 걸린 총 시도 횟수로 결정된다.[27]
일부 대회에서는 클라이머가 각 문제를 고정된 횟수만 시도할 수 있도록 하며, 그 사이에 시간 제한이 있는 휴식 시간을 준다.[28] 오픈 포맷 대회에서는 모든 클라이머가 동시에 경쟁하며, 가능한 한 많은 문제를 완료할 수 있는 고정된 시간이 주어진다. 더 어려운 문제일수록 더 많은 점수가 부여되고, 같은 문제를 여러 번 시도하면 점수가 차감된다.[29]
2012년 IFSC는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에 리드 클라이밍을 2020년 하계 올림픽에 포함시키는 제안을 제출했다. 이 제안은 나중에 볼더링, 리드 클라이밍 및 스피드 클라이밍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 경기로 수정되었다.[30] 2013년 5월 IOC는 클라이밍을 2020년 올림픽 프로그램에 추가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31]
2016년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는 "젊은층의 관심을 끌기 위해" 클라이밍을 공식적으로 올림픽 종목으로 승인했다. 올림픽에서는 앞서 제안된 종합 경기가 특징이었다. 메달리스트들은 세 가지 종목 모두에서 경쟁하여 최고의 종합 점수를 겨뤘다.[32] 점수는 클라이머들이 각 클라이밍 종목에서 달성한 순위를 곱하여 계산된다.[33]
일본에서 유명한 볼더링 대회로는 B-Session이 있다. B-Session은 1년 동안 시리즈전을 진행하며, 그 종합 포인트로 연간 챔피언을 선출한다. 승패는 클리어한 문제의 수로 순위를 결정한다. 경기는 실내암벽등반에서 진행되며, 매회 대회용 문제를 새롭게 설정하여 초등으로 경쟁한다.
그 외에도, 일본산악·스포츠클라이밍협회(日本山岳・スポーツクライミング協会)가 주최하는 볼더링 재팬컵(ボルダリングジャパンカップ)이 2005년부터 매년 개최되고 있으며, 2008년 챌린지! 오이타 국체(第63回国民体育大会)부터는 국민체육대회(国民体育大会)의 산악경기(国民体育大会山岳競技) 종목 중 하나로 볼더링이 채택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Boulder: A Philosophy for Bouldering
http://www.stonecoun[...]
2013-08-16
[2]
서적
The Complete Guide to Climbing and Mountaineering
David & Charles
[3]
웹사이트
Cliffs at DUMBO
https://dumbo.is/hom[...]
2016-04-14
[4]
뉴스
The largest outdoor climbing gym in the country is returning to Brooklyn Bridge Park
https://www.timeout.[...]
Time Out
2018-05-07
[5]
서적
Rock Climbing
https://books.google[...]
ABC-CLIO
[6]
웹사이트
Rock climbing in Europe
http://www.climb-eur[...]
Climb Europe
2013-08-10
[7]
서적
Climbing Walls
https://archive.org/[...]
Human Kinetics
[8]
서적
Gym Climbing
https://books.google[...]
The Mountaineers Books
[9]
웹사이트
Five of the Best Climbing Brushes
https://gripped.com/[...]
2022-04-10
[10]
웹사이트
What Gear Do I Need To Go Bouldering for the First Time?
https://mpora.com/ro[...]
2022-04-10
[11]
서적
The Complete Guide to Climbing and Mountaineering
https://books.google[...]
David & Charles
[12]
서적
Sherman Exposed
https://books.google[...]
The Mountaineers Books
[13]
웹사이트
Nalle Hukkataival climbs Burden of Dreams and proposes world's first 9a boulder problem
https://www.planetmo[...]
2016-10-24
[14]
웹사이트
Climbing Grades
http://www.spadout.c[...]
Spadout
2013-08-04
[15]
서적
Falcon Guides Bouldering Colorado
https://books.google[...]
Globe Pequot
[16]
서적
Learning to Climb Indoors
https://books.google[...]
Globe Pequot
[17]
서적
Wizards of Rock: A History of Free Climbing in America
Wilderness Press
[18]
웹사이트
Rock Climbing in Custer State Park
https://www.mountain[...]
2018-03-28
[19]
웹사이트
High & Mighty: Part 1
https://www.redbull.[...]
[20]
간행물
Climbing Magazine, Millennium Special
Climbing Magazine
2000-03
[21]
웹사이트
Climb Evilution, Sierra Eastside
https://www.mountain[...]
2018-03-28
[22]
웹사이트
Climb Ambrosia, Sierra Eastside
https://www.mountain[...]
2018-03-28
[23]
웹사이트
Climb Too Big To Flail, Sierra Eastside
https://www.mountain[...]
2018-03-28
[24]
뉴스
Daniel Woods climbs "The Process" a V16 highball in Bishop, CA.
https://www.linkedin[...]
2015-02-02
[25]
웹사이트
12 Great Moments in Bouldering History
https://www.outsideo[...]
2017-09-28
[26]
서적
Guide to Climbing
https://books.google[...]
Stackpole Books
[27]
웹사이트
IFSC Rules 2013
https://climbgearhub[...]
International Federation of Sport Climbing
2013-03
[28]
서적
Redpoint
Stackpole Books
[29]
서적
Climbing – Philosophy for Everyone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30]
뉴스
New Olympic Plan: Climbers Must Compete in Bouldering, Lead, and Speed
http://www.climbing.[...]
Climbing.com
2013-03-20
[31]
뉴스
Climbing Out of the Running for Olympic Games
http://www.climbing.[...]
2013-05-29
[32]
뉴스
Climbing Officially Approved for 2020 Olympics
http://www.climbing.[...]
Climbing
2016-08-03
[33]
웹사이트
A Guide to the Tokyo 2020 Olympic Climbing Format
https://www.climbing[...]
2019-12-14
[34]
웹사이트
Origins of Bouldering
http://www128.pair.c[...]
2023-08-31
[35]
서적
Stone Crusade: A Historical Guide to Bouldering in America
American Alpine Club Press
[36]
서적
John Gill: Master of Rock. Climbing Classics #2
Stackpole Books
[37]
웹사이트
John Gill bouldering at age 45 from "On the Rocks" - movie
https://www.youtube.[...]
2023-08-31
[38]
웹사이트
The Boulder: A Philosophy for Bouldering
http://www.stonecoun[...]
2013-08-16
[39]
웹사이트
The evolution of free climbing
https://www.planetmo[...]
2012-12-23
[40]
간행물
Daniel Woods Spent a Month Alone in the Desert to Send the First US V17, He Came Back a Different Person
https://www.climbing[...]
2021-04-27
[41]
웹사이트
Adam Ondra, the pure Gioia interview
http://www.planetmou[...]
Planetmountain
2011-12-07
[42]
웹사이트
Watch Kaddi Lehmann climb Kryptos 8C/V15
https://gripped.com/[...]
2021-04-29
[43]
간행물
Katie Lamb Sends "Box Therapy"—Becoming the First Woman to Climb V16
https://www.climbing[...]
2023-09-05
[44]
인스타그램
Box Therapy (V16)
2023-09-05
[45]
웹사이트
Brooke Raboutou Sends 'Box Therapy'—She Called it V15
https://www.climbing[...]
2023-10-13
[46]
서적
Bouldering: Movement, Tactics, and Problem Solving
https://books.google[...]
The Mountaineers Books
[47]
서적
Better Bouldering
https://books.google[...]
Globe Pequot
[48]
뉴스
Best Beginner Bouldering Areas Near Denver – Nomad Colorado
http://www.nomadcolo[...]
2017-04-21
[49]
서적
Rock Climbing
https://archive.org/[...]
Human Kinetics
[50]
웹사이트
Bouldering: Understanding and Managing Climbing on Small Rock Formations
http://www.accessfun[...]
The Access Fund
[51]
서적
Rock and Wall Climbing
https://books.google[...]
Stackpole Books
[52]
웹사이트
Bouldering Safety
http://www.mec.ca/AS[...]
Mountain Equipment Co-op
[53]
웹사이트
Injury-Free Bouldering: 15 Tips to Keep You Healthy and Strong
https://rockandice.c[...]
[54]
서적
Sport Climbing
https://books.google[...]
Globe Pequot
[55]
서적
Coaching Climbing
https://books.google[...]
Globe Pequot
[56]
뉴스
Use Colored Climbing Chalk to Leave No Trace
https://www.thoughtc[...]
[57]
웹사이트
Rocklands bouldering at risk
http://www.planetmou[...]
PlanetMountain
2013-07-31
[58]
서적
誰でもはじめられるボルダリング
成美堂出版
2018-09
[59]
웹사이트
自分に挑戦!ボルダリング初心者の一人での始め方
https://spaia.jp/col[...]
【SPAIA】スパイア
2016-12-21
[60]
웹사이트
「ボルダリング」から「ボルダー」へ JMSCAが名称変更
https://www.climbers[...]
[61]
뉴스
ボルダリングの名称「ボルダー」に スポーツクライミング
https://www.jiji.com[...]
[62]
뉴스
「ボルダリング」を「ボルダー」に呼称変更へ クライミング協会、4月から
https://www.sankei.c[...]
[63]
뉴스
自宅でボルダリング 補強した壁にホールド
2018-10-01
[64]
서적
小山田大 DVDでボルダリング
山と渓谷社
2009-12-09
[65]
문서
4級と3級の間
[66]
문서
3級と2級の間
[67]
문서
2級と1級の間
[68]
문서
初段と二段の間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