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난이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난이도는 스포츠, 시험, 기타 분야에서 기술이나 과제의 어려움을 나타내는 정도를 의미한다. 스포츠에서는 기술 채점 시 난이도를 기준으로 삼으며, 다이빙, 피겨 스케이팅, 프리스타일 스키, 기계체조 등에서 기술의 조합, 회전 수, 자세 등을 고려하여 난이도를 평가한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킬러 문항은 최상위권 변별력을 위한 초고난도 문항을 지칭하며, 불교에서는 깨달음에 이르는 방법을 난행도와 이행도로 구분하기도 한다. 언어적으로는 '어렵다', '쉽다', '곤란', '용이', '간단' 등의 표현으로 난이도를 나타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포츠 규칙과 규정 - 올림픽 헌장
    올림픽 헌장은 올림픽의 가치와 원칙을 정립하고, 국제 올림픽 위원회의 법 역할을 하며, IOC, 국제 경기 연맹, 국가 올림픽 위원회 등의 권리와 의무를 명시하는 문서이다.
  • 스포츠 규칙과 규정 - 자유계약선수제도
    자유계약선수 제도는 프로 스포츠에서 선수들이 소속 팀과의 계약 만료 후 자유롭게 다른 팀과 계약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로, 선수 권익 보호와 전력 균형을 위해 도입되었으며, 리그별로 선수 자격, 계약 조건, 보상 규정 등에 차이가 있다.
  • 공통 스포츠 용어 - 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는 정규 시즌 후 우승팀 결정이나 상위 리그 진출을 위해 치러지는 순위 결정전의 연장으로, 대전 방식과 결과에 대한 논쟁이 발생하기도 하며, 프로 스포츠에서는 흥행을 위해 실시하거나 쿼터를 늘리기도 하고, 축구에서는 월드컵 예선이나 승강전 등을 지칭하기도 한다.
  • 공통 스포츠 용어 - 친선 경기
    친선 경기는 승패보다 경기력 향상, 홍보, 자선 등을 목적으로 하는 비공식 경기로, 프로 스포츠에서는 전력 점검이나 리그 홍보, 아마추어 스포츠에서는 선수 육성이나 팬 서비스 차원에서 활용된다.
난이도
난이도 (Degree of Difficulty)
정의스포츠에서 수행하는 기술이나 동작의 어려움을 나타내는 척도이다.
측정 요소기술의 복잡성, 필요한 힘, 정확성, 균형 감각, 타이밍 등이 있다.
평가 방법심판진의 주관적인 평가, 객관적인 측정 시스템 (예: 점수 체계) 등이 있다.
스포츠별 난이도 평가
체조기술의 복잡성, 연결 동작의 난이도, 수행의 정확성 등을 평가한다.
다이빙기술의 복잡성, 공중 자세, 입수 각도 등을 평가한다.
피겨 스케이팅점프, 스핀, 스텝 시퀀스 등의 기술 난이도를 평가한다.
스키 점프비행 거리, 자세, 착지 등을 평가한다.
암벽 등반루트의 경사, 홀드의 크기, 동작의 복잡성 등을 평가한다.
난이도 용어 (일본어)
일본어 명칭難度 (なんど, Nando)
어원어려움을 뜻하는 '難 (なん, Nan)'과 정도를 뜻하는 '度 (ど, Do)'의 합성어이다.
사용 예시기술의 난이도가 높다 (技術の難度が高い).
난이도 용어 (한국어)
한국어 명칭난이도 (難易度, Nanido)
어원어려울 난(難), 쉬울 이(易), 법 도(度)의 합성어.
사용 예시난이도가 높다/낮다, 난이도 조절, 헬 난이도.

2. 스포츠

스포츠에서 난이도는 선수들의 기량을 평가하고 경쟁의 재미를 더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연기를 통해 점수를 매기는 채점 경기에서는 기술의 난이도가 점수에 큰 영향을 미친다.

채점 경기에서 기술을 채점할 때 난도를 기준으로 삼는다. 기술의 난도를 바탕으로 채점하는 경기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체조
  • 다이빙
  • 피겨스케이팅: 각 점프 요소에는 난이도를 반영하여 기본 값이 지정된다. 이러한 기본 값은 회전 수와 사용된 모서리를 포함한 요소를 고려한다.[19] 스케이터의 실행 등급(GOE) 점수를 점프 요소의 기본 값에 더하거나 빼서 각 요소의 총점을 결정한다.[20][21]

2. 1. 다이빙

국제 수영 연맹(FINA)은 높이, 공중제비 및 회전 수, 자세, 접근 방식, 입수 등을 고려하여 다이빙의 난이도를 계산한다.[2] 심판들의 채점에 난이도를 곱하여 최종 점수를 결정한다.[3]

다이빙에서는 연기, 공중 자세, 회전 등의 횟수와 조합에 따라 난이도가 개별적으로 설정된다. 5명 또는 7명의 심판 중 중간 점수를 낸 3명 심판의 채점을 합산하고 여기에 난이도를 곱하여 점수를 구한다. 남자 다이빙에서는 3.4, 여자 다이빙에서는 3.0 이상이 고난이도 기준으로 여겨지며, 난이도는 다이빙대의 높이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또한, 기본적으로 난이도에 제한을 두지 않는 자유 선택 다이빙 방식이 일반적이지만, 난이도의 총 상한이 정해진 제한 선택 다이빙 방식도 존재한다.

2. 2. 피겨 스케이팅

피겨 스케이팅에서 각 점프 요소에는 난이도를 반영하여 기본 점수가 할당된다. 이러한 기본 점수는 회전 수와 엣지 사용을 포함한 요소를 고려한다. 스케이터가 점프 요소를 수행하면 기술 패널에 의해 식별된다. 식별된 각 요소에 대해 심판 패널은 스케이터의 수행에 따라 -5에서 5까지의 수행 등급(GOE) 점수를 할당한다.[19][20][21] 그런 다음 GOE 점수는 점프 요소의 기본 점수에 더하거나 빼서 각 요소의 총점을 결정한다. 수행된 각 요소의 점수 합계는 스케이터의 총점에 대한 기술 점수 구성 요소를 형성한다.[4][5][6]

2. 3. 프리스타일 스키

프리스타일 스키의 에어리얼 종목에서 국제스키연맹은 각 점프에 대해 난이도 점수를 미리 할당한다. 남자 점프는 2.050에서 5.000 사이, 여자 점프는 2.050에서 5.300 사이이다.[7] 각 심판의 총점에 점프의 난이도 점수를 곱하여 선수의 최종 점수가 결정된다. 회전과 비틀기가 많을수록 점프의 난이도 점수는 증가한다.[8]

2. 4. 기계체조

기계체조에서는 국제 체조 연맹(FIG)이 정한 ''채점 규정''에 따라 각 기술에 0.1에서 1.0까지의 난이도 점수가 주어진다.[11][12] 선수들은 가장 높은 난이도의 기술을 남자 10개, 여자 8개까지 합산하여 최종 점수에 반영한다. 단, 도마는 각 동작마다 미리 정해진 난이도 점수가 있다.[11][12] 기술을 조합하여 연결하면 난이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13] 현재 남자 기계체조의 난이도는 A~I까지 9단계, 여자는 A~J까지 10단계로 분류된다.

2. 4. 1. 트램펄린

트램펄린에서는 공중돌기 및 회전 수, 자세 등에 따라 난이도 점수가 부여된다.[1]

  • 공중돌기 1/4 회전 당 = 0.1 DD
  • 360° 공중돌기 완료(보너스) = 0.1 DD
  • 1/2 회전 당 = 0.1 DD
  • 몸을 모으거나 편 자세에서 트위스트 없이 수행하는 1회 공중돌기 = 0.1 DD
  • 몸을 모으거나 편 자세에서 720° 이상 공중돌기 = 0.2 DD

2. 5. 리듬 체조

리듬 체조에서는 선수들이 수행하는 모든 기술의 난이도를 합산하여 점수에 반영한다.

2. 6. 미식축구

미식축구에서 필드 골은 차는 거리에 관계없이 3점을 얻지만, 득점 성공 확률은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30야드 지점에서는 성공 확률이 약 95%인 반면, 50야드 지점에서는 65%이다.[9]

판타지 풋볼에서는 필드 골의 난이도가 점수에 반영되어, 더 먼 거리에서 성공한 필드 골에 더 많은 점수를 부여한다. 17-39야드는 3점, 40-49야드는 4점, 50-59야드는 5점, 60야드 이상은 6점이다.[10]

3. 킬러 문항

킬러 문항은 출제기관이 상위권 시험 응시자의 변별력을 판단하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시험에 포함하는 초고난도 문제이다. 다만 킬러 문항이 변별력 확보가 가능한 것인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의견이 존재한다.[22]

4. 기타 난이도


  • 볼더링 등급
  • 클라이밍 등급
  • 국제 하천 난이도 척도

5. 언어적 관점

난이도가 높고, 사물을 실현하기 어려운 것을 '''어렵다'''라고 하며, 반대로 난이도가 낮고, 사물을 실현하기 쉬운 것을 '''쉽다'''라고 한다. 어렵다는 것은 어떤 이유로든 실현하는 것이 잘 풀리지 않고, 실현하기 위해서는 지식, 기술, 등이 없으면 불가능한 상태를 말하며, 나아가 등의 현상 타개가 잘 되지 않는 상황도 어렵다고 말하지만, 쉽다에는 후자의 용법은 없다. 또한 어렵거나 쉽다고 인정되는 사항은 추상적인 사항에 한정되며, 주로 문제나 방법과 같은 주체와 승리 등과 같은 행위 두 가지로 나뉜다.

'''곤란'''(困難)은 어려운 일을 의미하지만, "어렵다"와는 달리 실현을 위해 무언가를 하는 것을 전제하지 않는다. '''용이'''(容易)는 행위가 쉬운 것을 의미하며, 특히 규모가 크고 복잡한 행위에 대해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되는 경우도 많다. '''간단'''(簡単)은 본래 그다지 수고를 들이지 않은 모습을 나타내는 말이지만, 일반적으로 쉽다는 의미와 유사하게 받아들여지는 경우가 많다.

6. 불교

불교에서는 깨달음에 이르는 방법에 따라 난이도를 구분하기도 한다. 스스로 오랜 기간 수행을 통해 깨달음에 이르는 것은 '난행도'(성도문)라 하고, 염불 등 부처자비에 의지하여 깨달음을 얻는 것은 '이행도'(정토문)라고 한다.[1] 이는 용수가 십주비바사론에서 처음 설한 것으로, 그는 이행도에 의한 극락왕생을 권하고 있다.[1] 또한, 담란은 정토삼부경에 나오는 염불 수행을 이행도로, 그 외의 경전에 기록된 수행법을 난행도로 보고, 후자로는 깨달음을 얻을 수 없으며 전자만이 극락왕생에 이른다는 생각을 제시했다.[1]

참조

[1] 서적 Degree of difficulty http://www.dictionar[...] 2016-08-15
[2] 웹사이트 FINA Degree of Difficulty / Formula and Components http://www.usadiver.[...] 2016-08-15
[3] 웹사이트 Diving 101: Scoring https://www.nbcolymp[...] NBC Olympics 2021-03-10
[4] 웹사이트 Understanding the International Judging System https://usfigureskat[...] U.S. Figure Skating 2022-07-11
[5] 웹사이트 Winter Olympics 2022 - How are figure skating scores judged? Who chooses outfits? https://www.eurospor[...] 2022-02-13
[6] 웹사이트 Everything to Know About How Olympic Figure Skating Gets Scored https://www.cosmopol[...] 2022-02-04
[7] 웹사이트 Aerial Jump Code and Degree of Difficulty Chart https://assets.fis-s[...] International Ski Federation 2018-08-20
[8] 웹사이트 Aerial Skiing - how is it judged? https://www.olympics[...] Australian Olympic Committee 2018-02-14
[9] 웹사이트 Kickers Are Forever https://fivethirtyei[...] 2015-01-28
[10] 웹사이트 The Ultimate Fantasy Football Scoring & Points System Guide https://www.cheatshe[...] 2020-01-31
[11] 웹사이트 Rhythmic and artistic gymnastics explained https://olympics.com[...]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2021-06-16
[12] 웹사이트 Gymnastics scoring system explained — Here's all you need to know before Tokyo Olympics https://thebridge.in[...] 2021-07-19
[13] 웹사이트 Definition: Degree Of Difficulty http://gymnasticszon[...] 2010-12-12
[14] 웹사이트 FIG Code of Points 2013-2016 - Trampoline Gymnastics - Part I (TRA) http://www.fig-gymna[...] International Gymnastics Federation 2016-10-03
[15] 웹사이트 Trampoline 101: Scoring https://www.nbcolymp[...] NBC Olympics 2021-03-09
[16] 서적 Degree of difficulty http://www.dictionar[...] 2016-08-15
[17] 웹인용 FINA Degree of Difficulty / Formula and Components http://www.usadiver.[...] 2016-08-15
[18] 웹인용 Diving 101: Scoring https://www.nbcolymp[...] NBC Olympics 2021-03-10
[19] 웹인용 Understanding the International Judging System https://usfigureskat[...] U.S. Figure Skating 2022-07-11
[20] 웹인용 Winter Olympics 2022 - How are figure skating scores judged? Who chooses outfits? https://www.eurospor[...] 2022-02-13
[21] 웹인용 Everything to Know About How Olympic Figure Skating Gets Scored https://www.cosmopol[...] 2022-02-04
[22] 뉴스 수능, 킬러문항을 ‘킬’하다 https://www.hangyo.c[...] 한국교육신문 2023-08-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