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명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봉명역은 2008년 12월 15일부터 영업을 시작한 수도권 전철 1호선 장항선 지상역이다. 역명은 봉서산의 이름을 따서 유래되었으며,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이 인근에 위치한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천안역, 서울역, 광운대역 방면과 아산역, 온양온천역, 신창역 방면으로 운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안시의 전철역 - 성환역
성환역은 충청남도 천안시 성환읍에 위치한 경부선 철도역으로, 1905년 개업 후 청일전쟁 격전지라는 역사적 배경과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 및 KTX 정차를 통해 교통 편의성이 향상되었으나, 시설 노후화 및 부역명 관련 논란이 있다. - 천안시의 전철역 - 쌍용역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 쌍용역은 2008년 개업한 지상 고가역으로, 상대식 승강장과 주변에 대형 쇼핑 시설, 교육 기관, 관공서 등이 위치해 있으며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승차 인원 회복세를 보이고 봉명역과 천안아산역 사이에 있다. - 장항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1974년 개통 이후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여러 노선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완행 및 급행 열차를 운행한다. - 장항선 - 대야역
대야역은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에 위치한 장항선의 철도역으로, 무궁화호가 정차하며 2면 3선의 지상역 형태를 갖추고 있고, 과거 화물도 취급했으나 현재는 여객 운송만 담당한다.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 남영역
남영역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지상역으로, 1974년 개통되었으며,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경부선과 경원선을 연결하는 중요한 환승 거점 역할을 한다.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봉명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역 이름 | 봉명역 |
로마자 표기 | Bongmyeong-yeok |
한자 표기 | 鳳鳴驛 |
영문 표기 | Bongmyeong |
주소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차돌로 51 (봉명동 20-2) |
좌표 | 36.80111, 127.13554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노선 | 장항선 |
승강장 | 2 |
선로 | 2 |
구조 | 지상역 |
개업일 | 2008년 12월 15일 |
부역명 | 순천향대병원 |
역 번호 | P170 |
역 등급 | 무배치간이역 |
승객 정보 | |
일일 승객 수 (2012년 기준) | 2,765명 |
일일 승차 인원 (2009년 기준) | 1,144명 |
일일 승강 인원 (2009년 기준) | 2,198명 |
노선 정보 | |
노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장항선 |
이전 역 | 천안역 |
다음 역 | 쌍용역 |
이전 역 간 거리 | 1.3 km |
다음 역 간 거리 | 1.6 km |
천안역 기점 거리 | 2.9 km |
逍遥山역 기점 거리 | 148.8 km |
지도 정보 | |
2. 역명 유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의항리와 다가리의 일부를 병합하면서 인근 봉서산의 이름을 따 '봉명'이라고 이름 붙인 것에서 유래하였다.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이 근처에 있어 한때 '순천향대병원'이라는 부기역명을 사용하기도 했으나, 현재는 삭제되었다.
3. 연혁
4. 역 구조
출구는 2개이다.
4. 1. 승강장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며, 교상역사 구조이다.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5. 역 주변
- 천안봉명초등학교
- 천안일봉초등학교
- 천안서여자중학교
- 천안여자상업고등학교
-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 일봉동 행정복지센터
- 봉명동 행정복지센터
- 일봉산
- 일봉파출소
6. 승차량 변동
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