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라이미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라이미주는 오만의 주(州)로, 열대 사막 기후를 보이며 여름철 고온과 적은 강수량을 특징으로 한다. 역사를 보면, 서부 하자르 산맥 지역에 위치한 알부라이미와 알 아인 지역은 역사·문화적으로 타와암으로 불리며, 청동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해 왔다. 600년경부터 오만의 일부였으며, 1974년 사우디아라비아와의 부라이미 분쟁을 겪은 후 제다 조약으로 영유권 문제가 해결되었다. 2020년 기준 인구는 121,802명이며, 알부라이미, 아스수나이나, 마하다의 3개 윌라야로 구성된다. 자가용과 택시가 주요 교통 수단이며, 역사적인 요새와 술탄 카부스 그랜드 모스크 등의 랜드마크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만의 주 - 중부주 (오만)
    중부주는 오만 중부에 위치하며 사막, 암석 지형, 긴 해안선을 가진 다양한 지형적 특징을 가지고 어업과 농업을 기반으로 두쿰 경제특구 개발을 통해 경제 성장을 추진하고 있으며 하이마, 아드두쿰, 마후트, 알 자자르의 4개 윌라야로 구성되고 인구가 증가하는 추세에 남성 비율이 높은 주이다.
  • 오만의 주 - 도파르주
    도파르주는 오만 남서부에 위치하며 인도양과 접하고 고고학적 유적 및 유향 생산으로 유명하며, 몬순의 영향을 받는 산악 지형과 열대 기후를 가지고 살랄라가 주도이다.
부라이미주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2006년 말 기준 알 아인과의 국경 통제
2006년 말 기준 알 아인과의 국경 통제
공식 명칭부라이미 주 (مُحَافَظَة ٱلْبُرَيْمِي)
로마자 표기Muḥāfaẓat Al-Buraimī
별칭해당 없음
국가오만
행정 구역 종류
주도알부라이미
지리 좌표24°15′N 55°47′E
행정
정부 형태해당 없음
수장 직함주지사
수장하마드 빈 아흐메드 빈 사우드 알 부사이디 박사
면적
총 면적7,000km²
육지 면적7,000km²
인구
총 인구 (2020년 12월)121,802명
민족 구성해당 없음
종교해당 없음
기타 정보
시간대해당 없음
UTC 오프셋해당 없음
우편 번호 종류해당 없음
우편 번호해당 없음
지역 번호해당 없음
지도
오만 내 알부라이미 위치 (2016년)
오만 내 알부라이미 위치 (2016년)

2. 지리

부라이미는 서부 하자르 산맥 지역에 위치한다.

2. 1. 기후

부라이미는 열대 사막 기후(쾨펜 기후 구분: ''BWh'')를 나타낸다. 연중 기온이 높으며, 특히 5월부터 9월까지는 일일 평균 최고 기온이 40°C를 넘어서는 매우 더운 날씨를 보인다. 강수량은 연중 적은 편이다.

부라이미의 기후 데이터 (1986년~2009년 평균) [6]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평균/연총합
평균 최고 기온 (°C)23.6°C26.2°C30.3°C36.2°C41.5°C43.7°C43.9°C43.7°C41°C36.9°C31°C26°C35.3°C
일평균 기온 (°C)17.5°C19.9°C23.4°C28.4°C33.1°C35.5°C36.9°C36.9°C34°C29.7°C24.1°C19.7°C28.3°C
평균 최저 기온 (°C)11.4°C13.6°C16.5°C20.6°C24.6°C27.3°C29.8°C30.1°C27°C22.4°C17.2°C13.4°C21.2°C
평균 강수량 (mm)20.4mm15.2mm15.7mm6.2mm4.1mm2.4mm11.7mm2.7mm2mm0.3mm0mm14.2mm94.9mm


3. 역사

부라이미는 인접한 알 아인과 함께 역사적으로 '타와암'으로 불리며[16][17] 서부 하자르 산맥[14][15] 기슭의 중요한 오아시스 지대였다. 이 지역은 청동기 시대 하피트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해 온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18]

알부라이미는 고대부터 오만의 일부였으며, 기원후 600년경 아즈디 부족이 이곳을 점령했다. 이후 라시둔 칼리파조, 우마이야 칼리파조, 아바스 칼리파조를 거치며 이슬람 세계의 일부가 되었고,[20] 9세기에는 와지히드 왕조의 지배를 받기도 했다.[17]

근대에 들어 알 누아이미 부족이 180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이 지역을 재건하고 통치했다. 한편, 아랍에미리트(UAE)의 초대 대통령이 되는 셰이크 자예드 빈 술탄 알 나흐얀은 어린 시절 알 아인으로 이주하여 이곳에서 성장기를 보냈다.[3][4][21] 20세기 중반에는 사우디아라비아와의 국경 분쟁인 부라이미 분쟁의 중심지가 되기도 했으며, 이는 1974년 제다 조약으로 해결되었다.[25]

3. 1. 선사 시대

서부 하자르 산맥 지역[14][15]에 위치한 알부라이미와 알 아인 지역은 전통적으로 '타와암'으로 불리며 역사적, 문화적으로 중요한 곳이다.[16][17] 이곳은 초기 청동기 시대의 하피트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해 온 유서 깊은 지역이며,[18] 일부 기록에 따르면 이 지역의 오아시스는 사우디 아라비아의 알 하사와 더불어 아라비아 반도에서 가장 중요한 오아시스 중 하나로 여겨진다.[19]

3. 2. 이슬람 시대

기원후 600년경부터 오만의 아즈디 부족이 이 지역을 점령했다. 이후 700년대에 알부라이미 마을은 한때 버려지기도 했다. 이 지역은 라시둔 칼리파조, 우마이야 칼리파조, 아바스 칼리파조 시대를 거치며 이슬람 역사의 영향을 받았다.[20] 기원후 9세기에 와지히드 왕조의 통치하에 들어갔다.[17]

3. 3. 근대

알 누아이미 부족은 이 마을의 원주민으로, 180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마을을 재건하고 통치하였다. 이 시기 알 누아이미 부족의 통치자는 셰이크 술탄 빈 모하메드 빈 알리 알-하무드 알 쿠르타시 알 누아이미와 셰이크 사케르 빈 술탄 빈 모하메드 알 하무드 알 쿠르타시 알 누아이미 두 명이었다.

아랍에미리트(UAE)의 초대 대통령이 되는 셰이크 자예드 빈 술탄 알 나흐얀은 1927년 아버지 술탄 빈 자예드가 암살된 후, 어머니 셰이카 살라마와 함께 아부다비에서 알 아인으로 이주하여 이곳에서 성장기를 보냈다.[3][4][21] 자예드는 알 아인의 무와이지 지구에 있는 요새화된 집에서 성장했다.

3. 4. 부라이미 분쟁

알부라이미 지역은 "부라이미 분쟁"으로 알려진 사건으로 유명하다.[23] 이 분쟁은 1949년 사우디아라비아가 석유 매장 가능성이 있는 아부다비 토후국 영토의 상당 부분과 부라이미 오아시스 중심에서 약 32.19km 반경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면서 시작되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1800년부터 1870년 사이 오아시스가 와하비즘의 영향을 받았다는 역사적 사실을 근거로 내세웠으나, 아부다비와 무스카트는 비교적 최근의 사건들을 근거로 반박했다.

이 논쟁은 1950년 런던 협정으로 이어져, 영유권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해당 지역에서의 석유 탐사와 군대 이동을 중단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협상 중에도 사우디아라비아는 오아시스를 장악하려 시도했다.[24] 1952년, 사우디아라비아 라스 타누라의 토후 투르키 압둘라 알 오타이샨이 이끄는 약 80명의 사우디 경비대(이 중 40명은 무장 상태)가 아부다비 영토를 넘어 오아시스 내 오만 마을 중 하나인 하마사를 점령하고, 이곳이 사우디아라비아 동부 지방의 일부라고 주장했다. 무스카트 술탄과 오만 이맘은 사우디 군대를 몰아내기 위해 군대를 모았으나, 영국 정부의 설득으로 중재를 통한 분쟁 해결 시도를 기다리며 자제했다.[25]

양측은 군사 행동을 중단하기로 합의했고, 1954년 7월 30일에는 분쟁을 국제 중재 재판소에 회부하기로 결정했다.[26] 그러나 이 과정에서 사우디아라비아는 부족들의 충성을 얻어내 자국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뇌물을 사용하는 등 논란의 여지가 있는 행동을 보였다. 1955년 제네바에서 중재 절차가 시작되었지만, 영국 측 중재인인 리더 불라드 경이 사퇴하면서 중단되었다. 몇 주 후, 영국이 조직한 준군사 조직인 트루셜 오만 스카우트가 하마사에서 사우디 군대를 무력으로 몰아냈다. 일부 난민 셰이크와 그 가족들은 사우디 군대와 함께 샤르자로 이송되어 배편으로 사우디아라비아로 보내졌다. 분쟁은 1974년, 당시 아랍에미리트 대통령이었던 셰이크 자예드와 사우디아라비아파이살 국왕 간에 체결된 제다 조약을 통해 최종적으로 해결되었다. 이 조약은 평화적인 외교 협상을 통해 영토 분쟁을 해결한 사례로 평가받는다.[25]

4. 인구

2020년 기준으로 부라이미 주의 인구는 121,802명이다.[7] 이는 오만의 11개 주 중에서 무산담 주와 알 우스타 다음으로 인구가 세 번째로 적은 규모이다.[7] 주도인 알 부라이미시의 인구는 92,223명으로, 주 전체 인구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7]

'''부라이미 주의 연도별 인구'''[7]
인구 조사 연도인구
199356,618
200376,838
201072,917
2020121,802


5. 하위 행정 구역

부라이미 특별행정구는 3개의 윌라야(州)로 나뉜다.


  • 알부라이미 (البريمي|알부라이미ara)
  • 아스수나이나 (السنينة|아스수나이나ara)
  • 마하다 (محضة|마하다ara)

6. 교통

부라이미주 안팎의 교통은 주로 자가용과 택시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부라이미는 또한 두바이에서 무스카트로 가는 버스 노선에 위치해 있다.[8]

7. 랜드마크

알 부라이미는 오만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상태의 많은 역사적인 요새가 있다. 알 부라이미에서 가장 큰 모스크는 전 술탄 카부스 빈 사이드 알 사이드의 이름을 딴 술탄 카부스 그랜드 모스크이다.[9][10] 알 부라이미에는 고대 오두막과 요새의 유적이 있다.[11][12][13]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 DATA PORTAL https://data.gov.om/[...] National Centre for Statistics & Information 2021-10-15
[2] 웹사이트 His Majesty appoints new ministers https://www.omanobse[...] 2020-08-19
[3] 학위논문 The Political Thought of Zayed bin Sultan Al Nahyan http://etheses.dur.a[...] Durham University 2016-04-15
[4] 서적 Liwa Journal of the National Archives http://www.na.ae/en/[...] Emirati National Archives 2014-12-01
[5] 웹사이트 Buraimi Travel Guide http://www.world66.c[...] 2006-09-20
[6] 웹사이트 Climatological Information - Buraimi http://worldweather.[...]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16-03-28
[7] 웹사이트 Oman: Governorates http://www.citypopul[...]
[8] 뉴스 Dubai-Muscat bus trip to be linked to 3 Metro stations https://www.khaleejt[...] 2019-01-30
[9] 서적 Geotrekking in Southeastern Arabia: A Guide to Locations of World-Class Geology https://books.google[...] American Geophysical Union, Wiley 2024-03-08
[10] 웹사이트 جوامع السلطان قابوس https://sultanqaboos[...] 2024-03-08
[11] 뉴스 Oman Tourism: Exploring Buraimi https://timesofoman.[...] 2019-01-20
[12] 웹사이트 Top 8 places of tourism in Buraimi, Sultanate of Oman https://en.arabtrave[...] 2024-03-07
[13] 웹사이트 Al Buraimi https://www.destinat[...] 2024-03-07
[14] 백과사전 Buraimi and Al-Ain https://books.google[...] ABC-CLIO
[15] 서적 Oman: the Modernization of the Sultanate Routledge 2016-02-05
[16] 뉴스 Al Ain bears evidence of a culture's ability to adapt https://gulfnews.com[...] 2018-08-07
[17] 뉴스 The long read: has a lost Arab capital been found on the Oman-UAE border? https://www.thenatio[...] 2019-01-20
[18] 서적 Archaeology of the United Arab Emirates Trident Press
[19] 서적 World and Its Peoples https://books.google[...] Cavendish Square Publishing
[20] 서적 The United Arab Emirates, A New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Trident Press Ltd.
[21] 간행물 Sheikh Zayed bin Sultan Al Nahyan (1918–2004) http://www.wrmea.org[...] 2013-04-18
[22] 웹사이트 Rulers of the United Arab Emirates http://www.enhg.org/[...]
[23] 보고서 "The Jebel Akhdar War Oman 1954-1959" http://www.globalsec[...] Global Security Report
[24] 서적 The Trucial States Allen & Unwin 1970-01-01
[25] 서적 Buraimi: The Struggle for Power, Influence and Oil in Arabia http://www.ibtauris.[...] IB Tauris
[26] UN UN http://untreaty.un.o[...]
[27] 웹사이트 オマーン観光省によるブライミ特別行政区の紹介ページ http://www.omantour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