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오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오만은 아라비아 반도 동남부에 위치한 국가로, 기원전 4,000년 전부터 복잡한 사회 구조와 농경이 이루어진 유서 깊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 7세기에는 이슬람을 받아들였으며, 이바디파 이맘 왕국이 건립되기도 했다. 1741년 부 사이드 왕조가 수립된 이후, 영국과의 조약을 통해 점차 영국의 영향력 아래 놓였다. 1970년 카부스 빈 사이드의 쿠데타 이후 현대화 정책을 추진했으며, 1971년 영국으로부터 독립했다. 오만은 절대 군주제 국가로, 술탄이 모든 권력을 행사하며, 외교적으로는 중립적인 입장을 유지하며 다양한 국가와 관계를 맺고 있다. 경제적으로는 석유에 의존하고 있으며, 관광, 어업, 경제특구 개발을 통해 다각화를 시도하고 있다. 오만은 아랍인, 발루치인, 아프리카계 흑인 등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슬람 문화가 주를 이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만 - 과다르
    과다르는 "바람의 관문"이라는 뜻의 파키스탄 항구 도시로, 오만에서 파키스탄으로 매각된 후 중국-파키스탄 경제회랑의 핵심인 과다르 항을 중심으로 경제적 중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인권 문제, 지정학적 갈등, 열악한 교육 환경 등의 사회적 과제도 안고 있다.
  • 오만 - 2011년 오만 시위
    2011년 오만 시위는 임금 인상, 생활비 감소, 정치 개혁 등을 요구하며 오만 여러 지역에서 발생했으며, 정부의 대응으로 사망자와 체포자가 발생했고, 오만 정부는 개혁 조치를 취했다.
  • 서아시아의 나라 - 이란
    이란은 서아시아에 위치한 이슬람 공화국으로, 오랜 역사를 가지며, 다양한 민족과 종교, 문화를 가진 다문화 사회를 형성하고 있으며, 석유 매장량이 풍부하지만, 핵 개발 프로그램과 서방 국가들과의 갈등으로 국제 사회에서 복잡한 외교 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 서아시아의 나라 - 사우디아라비아
    사우디아라비아는 아라비아 반도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동의 절대 군주국으로, 와하비즘에 기반한 이슬람 교리를 국가 이념으로 삼고 있으며, 석유 매장량을 기반으로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뤘지만, 사회적 불평등과 인권 문제는 여전히 과제로 남아있다.
  • 이슬람 국가 - 쿠웨이트
    쿠웨이트는 서아시아의 입헌 군주국으로, 석유 매장량을 바탕으로 높은 경제 수준을 유지하며, 1990년 이라크의 침공 이후 다국적군의 도움으로 국토를 회복했고, 1979년 대한민국과 수교했다.
  • 이슬람 국가 - 수단
    수단 공화국은 아프리카 북동부에 위치하며, "흑인들의 땅"을 의미하는 아랍어에서 유래되었으며, 고대 누비아 왕국을 포함한 다양한 역사를 거쳐 정치적 불안과 인권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아랍어와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한다.
오만 - [지명]에 관한 문서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오만 술탄국
현지 명칭سلطنة عُمان (Salṭanat ʿUmān)
국기
오만의 국장
국가نشيد السلام السلطاني
수도무스카트
최대 도시수도와 동일
공용어아랍어
시간대GST
UTC 오프셋+4
서머타임미적용
날짜 형식dd.mm.yyyy
운전 방향우측 통행
국제 전화 코드+968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om, عمان.
공식 웹사이트www.oman.om
로마자 표기ʿUmān
발음oʊˈmɑːn, ʊˈmaːn
국가 형태단일 이슬람 절대군주제
통치자 칭호술탄
통치자하이탐 빈 타리크
왕세자테야진 빈 하이탐
입법부오만 의회
상원국가평의회 (Majlis al-Dawla)
하원자문회의 (Majlis al-Shura)
역사
아즈드 부족 이주130년
알줄란디629년
이맘국 수립751년
나브하니 왕조1154년
포르투갈의 지배1507–1656년
야루브 왕조1624년
부사이드 왕조1744년
무스카트와 오만1856년 1월 8일
오만 술탄국1970년 8월 9일
기본법 제정1996년 11월 6일 (제정); 2011년 (개정); 2021년 (개정)
지리
면적309,500 km²
면적 순위70위
수면 비율미미함
인구
인구 추정5,107,000명
인구 조사 년도2010년
인구 조사2,773,479명
인구 추정 년도2023년
인구 순위125위
인구 밀도15명/km²
인구 밀도 순위177위
종교
종교95% 이슬람교 (국교)
45% 이바디파
45% 수니파
5% 시아파
1.67% 힌두교
1.67% 기독교
1.66% 기타
종교 조사 년도2023년
경제
구매력평가 GDP$2002억 9500만
구매력평가 GDP 년도2023년
구매력평가 GDP 순위78위
1인당 구매력평가 GDP$39,336
1인당 구매력평가 GDP 순위71위
명목 GDP$1082억 8200만
명목 GDP 년도2023년
명목 GDP 순위66위
1인당 명목 GDP$21,265
1인당 명목 GDP 순위55위
지니 계수30.75
지니 계수 년도2018년
기타
인간 개발 지수0.819
인간 개발 지수 년도2022년
인간 개발 지수 순위59위
통화오만 리알
통화 코드OMR

2. 역사

오만에는 기원전 4,000년 전에 이미 복잡한 사회 구조를 갖춘 무덤이 존재했으며, 농작물 경작도 이루어졌다. 기원전 3,000년 전에는 청동기 시대가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305] 오만 아드다히라 주의 바트, 알후툼, 알아인 고고학 유적지(아드다히라)는 기원전 3천년에 건설되었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다.

오만 아드다히라 주의 바트, 알후툼, 알아인 고고학 유적지 (아드다히라)는 기원전 3천년에 건설되었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다.


신밧드가 태어난 곳으로 알려진 오만은 수메르식 이름인 마간으로 알려졌었다. 기원전 563년 오만은 페르시아 제국의 사트랍(페르시아에서 지역을 통치하던 사람 또는 그 사람이 다스리던 지역)의 하나로 편입되었다. 기원전 3, 4세기에 페르시아인들이 세운 제국은 7세기까지 지속된다. 한편 1세기가 시작할 무렵 아랍인들이 오만에 정착하기 시작하였다.

기원전 100년에서 기원후 100년 사이에 건설된 호르 로리의 유적


7세기에는 오만 사람들이 이슬람과 접촉하여 받아들였습니다. 632년에 페르시아 제국은 오만에서 힘을 잃어버리고 아랍인의 나라가 세워졌다.

751년에 이바디 무슬림들이 이맘 왕국을 오만에 세웠다.[59][45] 이맘 왕국은 이맘에 의해 통치되는 나라이다. 이바디 무슬림들은 카리지트의 일파로 알려져 있다. 카리지트는 초기 무슬림의 한 분파로 4대 칼리프인 알리의 지지자들 중의 일부였다. 칼리프는 이맘과 비슷하다. 이바디 이맘국은 20세기 초까지 존재하였다.

바흘라 요새(Bahla Fort),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12세기에서 15세기 사이에 나바니 왕조(Nabhani dynasty)에 의해 건설됨.

2. 1. 고대 ~ 이슬람 시대

오만에는 기원전 4,000년 전에 이미 복잡한 사회 구조를 갖춘 무덤이 존재했으며, 농작물 경작도 이루어졌다. 기원전 3,000년 전에는 청동기 시대가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305] 오만 아드다히라 주의 바트, 알후툼, 알아인 고고학 유적지(아드다히라)는 기원전 3천년에 건설되었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다. 여러 자료에 따르면 기원전 1500년경에 상인들이 유향을 사용했다는 데 상당한 의견 일치가 있습니다. 유향의 땅(Land of Frankincense) (유네스코 세계유산)는 유향이 남아라비아 문명의 증거임을 생생하게 보여줍니다.

신밧드가 태어난 곳으로 알려진 오만은 수메르식 이름인 마간으로 알려졌었다.[28][29] 수메르어 점토판에는 오만을 "마간"[28][29]이라고, 아카드어(Akkadian language)로는 "마칸"[30]이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오만의 고대 구리 자원과 관련이 있다.[31] 기원전 8세기에는 카탄(Qahtan)의 후손인 야아룹(Yaarub)이 오만을 포함한 예멘 전역을 통치했다고 여겨집니다. 와틸 빈 히미야르 빈 압드-샴스(Saba) 빈 야슈주브(예멘) 빈 야루브 빈 카탄은 나중에 오만을 통치했습니다.[27]

기원전 563년 오만은 페르시아 제국의 사트랍(페르시아에서 지역을 통치하던 사람 또는 그 사람이 다스리던 지역)의 하나로 편입되었다. 기원전 3, 4세기에 페르시아인들이 세운 제국은 7세기까지 지속된다. 한편 1세기가 시작할 무렵 아랍인들이 오만에 정착하기 시작하였다.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존 C. 윌킨슨(John C. Wilkinson)[25]와 같은 학자들은 구전 역사를 바탕으로 기원전 6세기에 아케메네스 제국(아케메네스 제국)이 오만 반도를 지배했으며, 수하르(Suhar)와 같은 해안 중심지에서 통치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믿었습니다.[26] 아르망-피에르 코생 드 퍼세발(Armand-Pierre Caussin de Perceval)은 샤미르 빈 와틸 빈 히미야르가 기원전 536년에 키루스 대왕(Cyrus the Great)의 오만에 대한 권위를 인정했다고 제안합니다.[27]

수 세기 동안 서아라비아의 여러 부족들이 오만에 정착하여 어업, 농업, 목축으로 생계를 유지했다. 오만으로의 아랍인 이주는 아라비아 북서부와 남서부에서 시작되었으며, 정착하기로 선택한 사람들은 최고의 경작 가능한 땅을 두고 원주민들과 경쟁해야 했다. 아랍 부족들이 오만으로 이주하기 시작했을 때, 두 개의 뚜렷한 집단이 있었다. 하나는 아즈드 부족의 일부로, 마리브 댐 붕괴 이후 서기 120년/200년경 예멘에서 이주해 온 집단이었다.[32] 다른 집단은 이슬람의 탄생 몇 세기 전에 네즈드(현재의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이주해 온 니자리라는 집단이었습니다. 다른 역사가들은 카흐탄 출신의 야아루바가 예멘에서 오만의 최초 정착민이었고, 그 후 아즈드가 왔다고 믿습니다.[52]

오만의 아즈드 정착민들은 나스르 빈 아즈드의 후손이며, 나중에 "오만의 알-아즈드"로 알려졌다.[32] 최초의 아즈드 이주 70년 후, 유프라테스 서쪽에 타누크이트 왕국을 세운 말릭 빈 파함 지휘하에 알라즈디의 또 다른 분파가 오만에 정착한 것으로 여겨집니다.[32] 알-칼비에 따르면, 말릭 빈 파함은 알라즈드의 최초 정착민이었다.[33] 그는 6,000명이 넘는 군사와 말을 거느리고 오만의 살루트 전투에서 모호하게 명명된 페르시아 왕을 섬기는 마르즈반과 싸워 결국 페르시아군을 물리쳤다고 합니다.[52][34][35] 그러나 이 이야기는 반전설적인 것이며, 여러 세기에 걸친 이주와 갈등, 그리고 아랍 부족뿐만 아니라 이 지역 원주민들의 다양한 전통을 융합한 것으로 보입니다.[34][36][37]

7세기에는 오만 사람들이 이슬람과 접촉하여 받아들였습니다.[38][39] 오만 사람들의 이슬람 개종은 예언자 무함마드가 자이드 빈 하리사 원정(히스마) 중에 파견한 암르 빈 알-아스 덕분입니다. 암르는 오만을 통치한 줄란다의 아들들인 자이퍼와 아브드를 만나기 위해 파견되었습니다. 그들은 이슬람을 기꺼이 받아들인 것으로 보입니다.[40] 632년에 페르시아 제국은 오만에서 힘을 잃어버리고 아랍인의 나라가 세워졌다.

751년에 이바디 무슬림들이 이맘 왕국을 오만에 세웠다.[59][45] 이맘 왕국은 이맘에 의해 통치되는 나라이다. 이바디 무슬림들은 카리지트의 일파로 알려져 있다. 카리지트는 초기 무슬림의 한 분파로 4대 칼리프인 알리의 지지자들 중의 일부였다. 칼리프는 이맘과 비슷하다. 이바디 이맘국은 20세기 초까지 존재하였다.

2. 2. 포르투갈 지배와 오만 제국

오만은 신밧드가 태어난 곳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때 수메르식 이름인 마간으로 불렸다.[305] 기원전 563년 페르시아 제국의 사트랍으로 편입되었고, 1세기에 아랍인들이 정착하기 시작했다. 632년 페르시아 제국이 멸망하고 아랍인의 나라가 세워졌다.[305] 751년 이바디 무슬림들이 이맘 왕국을 세웠는데, 이 이맘 왕국은 20세기 초까지 존속했다.[305]

11세기와 12세기 동안 오만 해안은 셀주크 제국의 영향권 아래 있었으나, 1154년 나바니 왕조가 권력을 잡으면서 축출되었다.[49] 나바니들은 'muluk'(왕)으로 통치했고, 이맘들은 상징적인 의미로 축소되었다. 왕조의 수도는 바흘라였다.[50] 나바한 가문은 소하르를 경유하여 야브린 오아시스로, 그리고 북쪽으로 바레인, 바그다드, 다마스쿠스까지 육로 향로 무역을 통제했다.[51] 망고나무는 나바니 왕조 시대에 엘펠라 빈 무신에 의해 오만에 소개되었다.[52][53] 나바니 왕조는 1507년 포르투갈 식민지 개척자들이 해안 도시 무스카트를 점령하고 점차 해안선을 따라 통제권을 확장하면서 쇠퇴하기 시작했다.[54]

포르투갈 제국은 143년 동안(1507-1650) 무스카트(오만)를 지배했다


1497년에서 1498년에 바스쿠 다 가마가 희망봉을 돌아 인도에 도착한 지 10년 후, 포르투갈은 오만에 도착하여 1507년부터 1650년까지 143년 동안 무스카트를 점령했다. 해상로를 보호하기 위한 전초기지를 필요로 했던 포르투갈은 도시를 건설하고 요새화했다. 1552년, 오스만 제국 해군이 무스카트 요새를 잠시 점령했지만, 곧 떠났다.[55] 17세기 후반, 포르투갈은 오만의 기지를 이용하여 페르시아만에서 전투(Battle off Hormuz (1625))를 벌였으나, 이는 무승부로 끝나고 포르투갈의 걸프 지역 영향력 상실로 이어졌다.[56]



오스만 제국은 1581년에 포르투갈로부터 무스카트를 일시적으로 점령하여 1588년까지 지배했다. 17세기 동안, 오만인들은 야루바 이맘들에 의해 재통합되었다. 1624년 루스타크에서 선출되어 최초의 야루바 이맘이 된 나시르 빈 무르시드와 그의 후계자는 1650년대에 오만의 해안 지역에서 포르투갈인들을 축출하는 데 성공했다.[58][59] 오만인들은 해상 제국을 건설하여 포르투갈인들을 동아프리카의 모든 영토에서 몰아냈고, 이후 이 지역들은 오만 영토에 편입되었다. 1698년 사이프 빈 술탄은 몬바사에 있는 예수 요새를 함락시켰다. 1700년 바레인을 점령했다. 1718년 술탄 이맘의 사망 후 야루바 가문 내부의 권력 다툼은 왕조를 약화시켰다. 약해진 야루바 왕조의 사이프 빈 술탄 2세 이맘은 나디르 샤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1737년 3월 페르시아 군대가 도착했다. 1743년 페르시아 군대는 야루바에 반란을 일으켰고, 1747년까지 오만 해안을 장악하려 했다.[59][60]

2. 3. 부사이드 왕조와 영국의 영향

1741년 현 부 사이드 왕조(아랍어:)에 의한 지배가 시작되었다.[61] 오만인들이 페르시아인들을 축출한 후, 아흐메드 빈 사이드 알부사이디(Ahmed bin Sa'id Albusaidi)가 1749년 오만의 선출된 이맘(Imam)이 되었고, 루스타크(Rustaq)가 수도가 되었다.[61] 야르바(Yaruba) 왕조와 함께 이맘직이 부활한 이후, 오만인들은 선출 제도를 계속 유지했지만, 자격이 있다고 여겨지는 사람에게는 통치 가문의 구성원을 우선적으로 고려했다.[61]

1783년 이맘 아흐메드가 사망한 후, 그의 아들 사이드 빈 아흐메드(Said bin Ahmed)가 선출된 이맘이 되었다.[62] 그의 아들 세이이드 하메드 빈 사이드(Seyyid Hamed bin Said)는 무스카트(Muscat)에서 아버지 이맘의 대리인을 전복하고 무스카트 요새를 장악했다.[62] 하메드는 "세이이드(Seyyid)"로 통치했다. 그 후, 세이이드 하메드의 삼촌인 세이이드 술탄 빈 아흐메드(Seyyid Sultan bin Ahmed)가 권력을 장악했다. 세이이드 사이드 빈 술탄(Said bin Sultan)이 술탄 빈 아흐메드의 뒤를 이었다.[62][63] 19세기 전체 기간 동안, 1803년 사망할 때까지 이맘 칭호를 유지한 이맘 사이드 빈 아흐메드 외에 아잔 빈 카이스(Azzan bin Qais)만이 오만의 선출된 이맘이었다.[64] 그의 통치는 1868년에 시작되었다. 그러나 영국은 아잔 이맘을 자신의 이익에 반대되는 인물로 여겨 통치자로 인정하기를 거부했다.[64] 이러한 견해는 1871년 그의 사촌이자 고 세이이드 사이드 빈 술탄의 아들이며 잔지바르의 술탄 바르가시의 형제인 세이이드 투르키(Sayyid Turki)가 아잔 이맘을 폐위하는 것을 지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64] 영국은 세이이드 투르키를 더 받아들일 만한 인물로 여겼다.[64]

영국 제국은 다른 유럽 국가들의 세력 확장을 억제하고 17세기 동안 성장한 오만의 해상력을 제한하기 위해 아라비아 남동부를 지배하려 했다.[67][48] 영국 제국은 18세기 후반부터 시작하여 무스카트에서 영국의 정치적, 경제적 이익을 증진하는 것을 목표로 술탄들과 일련의 조약을 체결하기 시작했으며, 동시에 술탄들에게 군사적 보호를 제공했다.[48][67] 1798년, 영국 동인도 회사와 알부사이디 왕조 간의 최초 조약이 사이이드 술탄 빈 아흐메드에 의해 체결되었다.[68][59] 이 조약은 프랑스와 네덜란드의 상업 경쟁을 차단하고 반다르 압바스에 영국 상관소를 건설할 권리를 얻는 것을 목표로 했다.[68][59][69] 1800년에 체결된 두 번째 조약은 영국 대표가 무스카트 항구에 거주하고 다른 국가들과의 모든 외교를 관리해야 한다는 내용을 규정했다.[69] 오만 제국의 세력이 약해짐에 따라 19세기 내내 무스카트에 대한 영국의 영향력은 커졌다.[57]

1854년, 무스카트 술탄과 영국 정부는 오만의 쿠리아 무리아 제도를 영국에 할양하는 문서에 서명했다.[71] 영국 정부는 무스카트에 대한 지배력을 확보하여 다른 국가들의 경쟁을 대부분 억제했다.[72] 1862년부터 1892년까지 정치 고문인 루이스 펠리와 에드워드 로스는 간접 통치 시스템을 통해 페르시아 만과 무스카트에 대한 영국의 우위를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64] 19세기 말, 아프리카 영토와 수입의 손실과 함께 영국의 영향력은 증가하여 술탄들은 영국의 차관에 크게 의존하게 되었고 모든 중요한 문제에 대해 영국 정부와 상의하겠다는 선언에 서명했다.[67][73][83][74] 따라서 술탄국은 사실상 영국의 영향권 아래에 들어갔다.[83][102]

2. 4. 현대 오만

오만은 신밧드가 태어난 곳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때 수메르식 이름인 마간으로 알려졌다.[305] 17세기포르투갈 제국에 점령당한 적이 있었으나 1741년에 독립하였다. 두 차례의 세계 대전 시기에는 중립을 지켰다.

사이드 빈 타이무르 술탄은 1932년부터 1970년까지 통치했습니다.


사이드 빈 타이무르(Said bin Taimur)는 1932년 2월 10일 공식적으로 무스카트 술탄이 되었다. 그의 통치는 영국 정부의 지원을 받았으며, 봉건적, 반동적, 그리고 고립주의적인 것으로 특징지어진다.[79][48][83][95] 1937년, 이라크 석유 회사(IPC)와 석유 채굴권 협정이 체결되었다.[85][86]

제2차 세계 대전 중 오만은 영국의 무역로 방어에 전략적 역할을 했다. 1943년, 영국 왕립 공군은 마시라 섬(RAF 마시라)와 라스 알 하드에 기지를 설립했다. 1943년 10월 16일, 독일 U보트 ''U-533''이 오만만에서 침몰했다.

1951년 12월, 오만과 영국 사이의 우호, 통상 및 항해 조약으로 무스카트 오만 술탄국은 완전한 독립 국가로 인정받았다. 1955년, 외지 해안 마크란 지대가 파키스탄에 할양되었고, 1958년 9월 8일, 파키스탄은 오만으로부터 과다르 점유지를 미국 달러 3백만 달러에 매입했다.[87][88]

1954년 이맘 알칼릴리가 사망하고 갈리브 알히나이가 이맘으로 선출되면서, 술탄 사이드 빈 타이무르와 이맘 갈리브 알히나이 사이의 관계는 석유 시추권 분쟁으로 악화되었다. 1955년 12월, 술탄은 니즈와와 이브리를 점령했다.[77][93] 예벨 아크다르 전쟁에서 영국이 지원하는 술탄국에 맞서 이맘 국가를 방어했지만, 1959년 1월 27일 술탄군이 기습 작전으로 산을 점령하면서 이맘 갈리브 등은 사우디아라비아로 탈출했다.[96]

1963년에 시작된 도파르 전쟁에서 친소비에트 세력은 정부군과 대립했다. 1970년 무혈 쿠데타로 카부스 빈 사이드가 집권하여, 오만 술탄군을 확장하고, 국가 행정을 현대화했으며, 사회 개혁을 도입했다. 이후 요르단,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파키스탄, 영국의 지원을 받아 1976년에 반란이 최종적으로 진압되었다.

까부스 빈 사이드 술탄 (Sultan Qaboos bin Said).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생활 수준과 개발이 향상되었고, 노예 제도가 폐지되었으며, 도파르 반란이 종식되었고, 오만 헌법이 공포되었다.


까부스 빈 사이드 술탄(Sultan Qaboos)은 국가를 개방하고, 경제 개혁을 시작했으며, 보건, 교육, 복지에 대한 지출 증가를 특징으로 하는 현대화 정책을 추진했다.[106] 노예 제도는 1970년에 금지되었다.[109] 1981년 오만은 걸프 협력 이사회(Gulf Cooperation Council)의 창립 회원국이 되었다. 1997년 왕실 칙령에 따라 여성에게 오만 자문회의(Consultative Assembly of Oman)에 대한 투표권과 출마권이 부여되었고, 2002년에는 21세 이상 모든 시민에게 투표권이 확대되었다. 2004년 술탄은 오만 최초의 여성 장관으로 셰이카 아이샤 빈트 칼판 빈 자밀 알사야비야(Sheikha Aisha bint Khalfan bin Jameel al-Sayabiyah)를 임명했다.[110]

베이징 올림픽 전인 2008년 4월 14일, 오만은 중동의 성화 봉송 경유지가 되었다. 오만에서 시위가 2011년 초에 발생하여 정치 개혁, 생활 수준 개선, 일자리 창출을 요구했지만, 2011년 2월 진압 경찰에 의해 해산되었다. 까부스 술탄은 일자리와 혜택을 약속하며 대응했다.

2013년 오만은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에 따르면 말라리아(malaria) 퇴치 국가 지위를 달성했다.

2020년 1월 10일, 까부스가 사망하고,[112] 2020년 1월 11일 사촌인 하이삼 빈 타릭(Haitham bin Tariq)에게 계승되었다.[113] 2021년 1월 12일, 하이탐 술탄의 장남인 자이진 빈 하이탐이 왕세자가 되었다.

}}

}}

  • 1891년 영국의 보호령이 된다.
  • 1967년 석유 수출을 시작한다.
  • 1971년 영국 보호령에서 독립하고 국제 연합에 가입한다.
  • 1991년 입법권이 없는 자문 의회 설치.
  • 1997년 입법권이 없는 국가 평의회 설치.
  • 2000년 세계 무역 기구(WTO)에 가입.
  • 2011년 아랍의 봄에 자극받은 .
  • 2020년 하이삼 빈 타릭 알 사이드가 국왕에 즉위(1월 11일).

3. 정치

옛 무스카트의 술탄의 궁전


오만은 단일 국가이자 절대 군주제 국가이며,[132] 모든 입법, 행정, 사법 권력은 궁극적으로 세습 술탄의 손에 있다. 따라서 프리덤 하우스는 오만을 지속적으로 "자유롭지 않은" 국가로 평가했다.[133]

술탄은 국가원수이며 외교 및 국방 부문을 직접 통제한다.[134] 술탄은 절대 권력을 가지고 있으며 칙령으로 법률을 제정한다.[135][136]

오만은 술탄의 말이 법적 효력을 갖는 절대 군주제 국가이다. 사법부는 술탄에게 종속된다. 오만 헌법에 따르면 샤리아는 입법의 근원 중 하나이다. 민사 법원 시스템 내의 샤리아 법원 부서는 이혼과 상속과 같은 가족법 사건을 담당한다.

궁극적인 권력은 술탄[137]에게 집중되어 있으며 오만은 공식적인 권력분립[137]이 없다.[137] 고(故) 카부스 술탄은 국방부 장관, 외무부 장관, 재무부 장관 직책을 수행하는 장관들에게 완전한 직함을 부여하는 것을 거부하고 왕실 영역 내에 두는 것을 선호했다. 현 술탄 하이탐은 해당 부처 장관들에게 완전한 직함을 부여했으며, 국방 부처를 부총리급으로 격상시켰다.[137] 1970년 이후 모든 법률은 1996년 기본법을 포함하여 왕실 법령을 통해 공포되었다.[137] 술탄은 장관과 판사를 임명하고 사면과 감형을 할 수 있다.[137] 술탄의 권위는 불가침이며, 술탄은 자신의 의지에 대한 완전한 복종을 기대한다.[137]

사법 행정은 매우 개인적인 성격을 띠고 있으며, 특히 정치적 및 안보 관련 사건에서는 적절한 절차 보장이 제한적이다.[138] 오만 국가 기본 법령[139]은 오만 법 체계의 초석으로 여겨지며 국가의 헌법 역할을 한다. 기본 법령은 1996년에 발표되었으며 지금까지 시위에 대한 대응으로 2011년,[140] 오만 왕세자 직책을 신설하기 위해 2021년 두 차례 개정되었다.

오만의 법전은 이론적으로 시민의 자유와 개인의 자유를 보호하지만, 정권에 의해 정기적으로 무시된다.[137] 여성과 아동은 많은 분야에서 법적 차별을 받는다.[137] 여성은 주택 대출과 같은 특정 국가 혜택에서 제외되며 개인 신분법에 따라 평등한 권리를 부여받지 못한다.[137] 여성은 건강 및 생식권과 관련하여 자기 결정권에도 제한을 받는다.[137]

오만의 입법부는 상원인 국가평의회(Majlis ad-Dawlah)와 하원인 자문회의(Majlis al-Shura)로 구성된 양원제 오만 의회이다.[142] 종교를 기반으로 하는 정당이나 단체는 금지되어 있다.[136] 상원은 술탄이 저명한 오만인들 중에서 임명한 71명의 의원으로 구성되며 자문 권한만을 갖는다.[141] 자문회의 84명의 의원은 보통선거로 선출되어 4년 임기를 수행한다.[141] 의원은 3년 임기로 임명되며 한 번 연임이 가능하다.[142] 마지막 선거는 2023년 10월 29일에 실시되었고, 다음 선거는 2027년 10월에 예정되어 있다. 오만의 국가 의례곡인 ''아스살람 아스술타니''는 전 술탄 카부스에게 헌정되었다.

3. 1. 양원제 의회

오만 의회는 양원제를 채택하고 있다.

3. 2. 정당 및 인권

오만은 술탄의 말이 법적 효력을 갖는 절대 군주제 국가이며, 사법부는 술탄에게 종속된다.[137] 샤리아는 오만 헌법에 따른 입법의 근원 중 하나이며, 가족법 사건을 담당한다.[137]

궁극적인 권력은 술탄에게 집중되어 있으며, 공식적인 권력분립은 없다.[137] 1970년 이후 모든 법률은 왕실 법령을 통해 공포되었고,[137] 술탄은 장관과 판사 임명, 사면 및 감형을 할 수 있다.[137] 술탄의 권위는 불가침이며 완전한 복종을 기대한다.[137]

오만 국가 기본 법령은[139] 오만 법 체계의 초석이며 1996년에 발표되었고, 2011년과[140] 2021년에 개정되었다. 오만의 법전은 이론적으로 시민의 자유와 개인의 자유를 보호하지만, 정권에 의해 정기적으로 무시된다.[137] 여성과 아동은 법적 차별을 받으며,[137] 특히 건강 및 생식권과 관련하여 자기 결정권에 제한을 받는다.[137]

오만의 입법부는 양원제 오만 의회로, 상원인 국가평의회]와 하원인 자문회의로 구성된다.[142] 종교 기반 정당은 금지되어 있다.[136] 상원 의원은 술탄이 임명하며 자문 권한만을 갖는다.[141] 하원 의원은 보통선거로 선출된다.[141] 2023년 10월 29일에 마지막 선거가 실시되었고, 다음 선거는 2027년 10월에 예정되어 있다. 오만의 국가 의례곡인 ''아스살람 아스술타니''는 전 술탄 카부스에게 헌정되었다.

오만에서는 모의 처형, 구타, 후드를 씌우기, 독방 감금, 학대 등 고문이 사용된다.[153][154] 보안군의 고문 및 비인도적인 처벌 보고가 있었으며,[155] 수감자들은 수면 박탈, 극심한 온도, 독방 감금에 대해 불만을 제기했다.[161] 동성애는 범죄화되어 있다.[156]

upright


오만 정부는 언론인 허가를 결정하고 취소할 수 있으며,[158] 검열과 자기 검열이 존재한다.[158] 오만인들은 언론을 통해 정치 정보에 대한 접근이 제한적이다.[159] 정부는 블로그와 웹사이트로 언론 통제를 확대했다.[158] 공개 회의는 정부 승인이 필요하며,[158] 비정부기구 설립에는 면허가 필요하다.[158] 독립적인 시민 사회 협회 결성은 허용되지 않는다.[155] 휴먼라이츠워치(Human Rights Watch)는 2016년에 오만 법원이 언론인들에게 징역형을 선고하고 신문을 영구 폐간하도록 명령했다고 발표했다.[160]

오만 법은 술탄과 정부 비판을 금지하며,[158] 경찰은 수색 영장 없이 집에 들어갈 수 있다.[158] 법은 시민들에게 정부를 바꿀 권리를 부여하지 않으며,[158] 술탄은 모든 문제에 대한 최고 권한을 유지한다.[158] 정부 관계자는 재정 공개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158] 책 출판은 제한적이며, 정부는 책의 수입과 배포를 제한한다.[158]

2023년까지 오만 시민들은 외국인과 결혼하기 위해 정부 허가가 필요했지만,[161] 2023년 4월, 왕실 법령에 의해 법이 변경되어 허가 없이 결혼할 수 있게 되었다.[162] 오만 여성들은 차별을 겪고 있다.[157]

오만의 가정부들의 고통은 금기시되는 주제이다.[163][164] 2011년, 필리핀 정부는 오만과 이스라엘만 필리핀 이주민에게 안전한 곳으로 간주한다고 결정했다.[165][164] 이주 노동자들은 착취로부터 충분히 보호받지 못했다.[166]

4. 외교

1974년 대한민국과 외교관계를, 1992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외교관계를 수립하여 남북한 동시 수교국이다. 대한민국1976년에 오만 현지에 공관을 두었으며 항공, 문화 협정을 체결하였다. 현재 대한민국과 오만을 오가는 항공편은 없으며 인천에서 오만으로 가려면 아부다비, 두바이, 리야드, 제다, 도하 등지에서 환승해야 한다.

2024년 8월, 하이탐 빈 타릭 술탄과 영국 총리 키어 스타머


1970년 이후 오만은 온건한 외교 정책을 추구하며 외교 관계를 급격히 확장해 왔다. 오만은 이란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극소수의 아랍 국가 중 하나이다.[143][144] 유수프 빈 알라위 빈 압둘라가 오만 술탄국의 외교 담당 장관이다.

오만은 영국 해군과 인도 해군이 아드둑 항만 및 드라이독의 항만 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145]

오만은 걸프 협력 회의(GCC) 회원국이지만, GCC의 맹주인 사우디아라비아와는 일선을 긋고 다양한 국가와의 우호 관계를 모색하고 있다. 이란과 좋은 관계를 맺고 있으며[283], 사우디아라비아 등이 주도한 카타르 단교에도 참여하지 않았다(2017년 카타르 외교 위기).

한편 2018년 10월에는 이란과 많은 이슬람교도들이 적대시하는 이스라엘의 벤야민 네타냐후 총리의 공식 방문을 받아들였다.[284]

4. 1. 독자 외교 노선

1974년 대한민국과 외교관계를, 1992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외교관계를 수립하여 남북한 동시 수교국이다. 대한민국1976년에 오만 현지에 공관을 두었으며 항공, 문화 협정을 체결하였다. 현재 대한민국과 오만을 오가는 항공편은 없으며 인천에서 오만으로 가려면 아부다비, 두바이, 리야드, 제다, 도하 등지에서 환승해야 한다.

1970년 이후 오만은 온건한 외교 정책을 추구하며 외교 관계를 급격히 확장해 왔다. 오만은 이란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극소수의 아랍 국가 중 하나이다.[143][144] 유수프 빈 알라위 빈 압둘라가 오만 술탄국의 외교 담당 장관이다.

오만은 영국 해군과 인도 해군이 아드둑 항만 및 드라이독의 항만 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145]

오만은 걸프 협력 회의(GCC) 회원국이지만, GCC의 맹주인 사우디아라비아와는 일선을 긋고 다양한 국가와의 우호 관계를 모색하고 있다. 이란과 좋은 관계를 맺고 있으며[283], 사우디아라비아 등이 주도한 카타르 단교에도 참여하지 않았다(2017년 카타르 외교 위기).

한편 2018년 10월에는 이란과 많은 이슬람교도들이 적대시하는 이스라엘의 벤야민 네타냐후 총리의 공식 방문을 받아들였다.[284]

4. 2. 한국과의 관계

오만은 남북한 동시 수교국으로, 1974년 대한민국과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다. 1976년에는 오만에 대한민국 공관이 설치되었으며, 양국은 항공, 문화 협정을 체결하였다. 현재 대한민국과 오만을 오가는 직항 항공편은 없으며, 인천에서 오만으로 가려면 아부다비, 두바이 등지에서 환승해야 한다. 1992년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도 외교 관계를 수립하였다.

5. 지리

아라비아 반도 동남단에 위치한 오만은 북위 16~26 , 동경 51~59 에 걸쳐 있으며, 남서쪽에서 북동쪽으로 약 940km, 북서쪽에서 남동쪽으로 약 350km 뻗어 있다. 오만은 남서쪽으로 예멘, 서쪽으로 사우디아라비아, 북서쪽으로 아랍에미리트와 국경을 접하고, 북쪽으로는 오만만, 남쪽과 동쪽으로는 아라비아해와 접한다.[306] 페르시아만오만만 사이의 무산담반도 북단에 위치한 루스알 지방은 본토와 떨어져 있지만 오만 영토에 속하며 아랍에미리트와 맞닿아 있다.[306]

오만의 지형은 크게 북부 바티나 지방, 남부 도파르주, 무산담반도, 마시라섬을 비롯한 섬들, 그리고 국토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사막·토막(土漠)으로 나뉜다. 오만에서 가장 높은 지역은 오만 만 해안과 나란히 뻗은 알하자르 산맥이다. 이 산맥은 알아크다르 산맥 부근에서 해발 3,000m가 넘어 다른 지역보다 높이 솟아 있으며, 북서쪽에 있는 너비 32km의 알바티나 적평야와 넓게 펼쳐진 자갈 사막 사이에 위치한다. 자갈 사막은 오만 영토의 3/4을 차지하며 남서쪽으로 약 600km를 뻗어 남서쪽 모서리의 도팔 주에 있는 산맥까지 이어진다.

산맥이 국토의 가운데를 가로지르는 형태를 가지며, 주로 산에서 발원한 강(와디)이 해안 지방으로 흐른다. 주요 도시들은 북쪽 바닷가에 위치한다. 담수의 공급원이 되는 저수지나 강은 없으며, 아카시아 정도가 식생의 전부를 차지한다.

오만은 북위 16도선과 북위 28도선, 그리고 동경 52도선과 동경 60도선 사이에 위치한다. 대부분의 오만 중앙부는 자갈 사막 평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북쪽(하자르 산맥)과 남동쪽 해안(도파르 산맥)을 따라 산맥이 뻗어 있다.[114][115] 수도인 무스카트, 북쪽의 소하르(Sohar)와 수르, 남쪽의 살랄라(Salalah) 그리고 무산담 등 주요 도시들이 이 산맥 주변에 위치해 있다. 오만의 기후는 내륙은 덥고 건조하며, 해안가는 습하다.

국토 면적은 약 30만 9500km²이며, 3165km의 해안선을 가지고 있다.[281] 북서부에는 하자르 산맥, 남부에는 칼라 산맥이 솟아 있다. 남부에는 와디가 많다. 또한, 외지로 페르시아만과 호르무즈 해협에 면한 무산담 반도(무산담 특별행정구)와 마다를 영유한다. 최고봉은 아흐달 산맥의 샴스 산 (표고 3075m)이다.

내륙의 오아시스


본토 북부는 오만만아라비아해(인도양)에 접한다. 동부 연안에는 마시라 섬이, 남서 해안 40km 지점에는 쿠리아무리아 제도가 있다. 전역이 사막 기후에 속하며, 와디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인 하천이 존재하지 않는다. 고대부터 유향의 산지로 알려져 있다. 마스카트, 소하르, 수르 등의 도시가 북부에, 살랄라가 남부에 있다. 마스카트의 연간 강수량은 100mm이며, 강우는 12월~4월에 집중된다. 남부 도파르 지역은 인도양의 몬순의 영향을 받아 6월부터 9월까지 강우량이 많으며, 해안에는 안개가 발생하여 코코넛 야자의 성장을 돕는다.

국민 생활과 경제 활동을 뒷받침해 온 지하수는 유사시를 위해 비축하고, 평상시 사용하는 물은 해수 담수화로 충당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일본의 이토추상사 등으로부터 플랜트를 도입하고 있다.[294] 해수 담수화 플랜트 자체는 오만 국내에 3개 정도밖에 없으며, 빗물도 많이 이용하고 있다.

5. 1. 지형 및 기후

아라비아 반도 동남단에 위치한 오만은 북위 16~26 , 동경 51~59 에 걸쳐 있으며, 남서쪽에서 북동쪽으로 약 940km, 북서쪽에서 남동쪽으로 약 350km 뻗어 있다. 오만은 남서쪽으로 예멘, 서쪽으로 사우디아라비아, 북서쪽으로 아랍에미리트와 국경을 접하고, 북쪽으로는 오만만, 남쪽과 동쪽으로는 아라비아해와 접한다.[306] 페르시아만오만만 사이의 무산담반도 북단에 위치한 루스알 지방은 본토와 떨어져 있지만 오만 영토에 속하며 아랍에미리트와 맞닿아 있다.[306]

오만의 지형은 크게 북부 바티나 지방, 남부 도파르주, 무산담반도, 마시라섬을 비롯한 섬들, 그리고 국토의 80% 이상을 차지하는 사막·토막(土漠)으로 나뉜다. 오만에서 가장 높은 지역은 오만 만 해안과 나란히 뻗은 알하자르 산맥이다. 이 산맥은 알아크다르 산맥 부근에서 해발 3,000m가 넘어 다른 지역보다 높이 솟아 있으며, 북서쪽에 있는 너비 32km의 알바티나 적평야와 넓게 펼쳐진 자갈 사막 사이에 위치한다. 자갈 사막은 오만 영토의 3/4을 차지하며 남서쪽으로 약 600km를 뻗어 남서쪽 모서리의 도팔 주에 있는 산맥까지 이어진다.

산맥이 국토의 가운데를 가로지르는 형태를 가지며, 주로 산에서 발원한 강(와디)이 해안 지방으로 흐른다. 주요 도시들은 북쪽 바닷가에 위치한다. 담수의 공급원이 되는 저수지나 강은 없으며, 아카시아 정도가 식생의 전부를 차지한다.

국토 대부분은 불모의 사막으로, 혹서와 건조함이 일년 내내 계속되는 사막형 기후를 보인다. 그러나 해안 지방은 산에 둘러싸인 지리적 조건과 몬순의 영향을 받아 기후가 다르다. 연평균 강우량은 약 100mm이며, 무스카트 부근 해안 지방의 여름 기온은 대개 36도, 겨울에는 17도 정도이다. 겨울에는 아침 기온이 10도까지 떨어지며, 여름 한낮에는 50도까지 오르지만 습도가 낮아 그늘에서는 체감 온도가 더 낮다.

오만은 세계에서 14번째로 물 부족이 심각한 국가이다.


페르시아만 지역의 다른 곳들과 마찬가지로 오만은 전반적으로 세계에서 가장 더운 기후 중 하나를 가지고 있다. 무스카트와 오만 북부의 여름 기온은 평균 30~40°C이다.[119] 오만은 강우량이 적다.[120] 남부 살랄라 인근 도파르 산악 지대는 열대 기후와 유사하며, 인도양에서 오는 계절풍으로 인해 6월 말부터 9월 말까지 계절풍이 내린다. 여름에는 시원한 습기와 짙은 안개로 공기가 포화 상태가 된다.[121]

산악 지대는 강우량이 더 많으며, 예벨 아크다르의 고지대 연평균 강우량은 400mm를 넘는다.[122] 산악 지대의 낮은 기온으로 인해 몇 년에 한 번씩 눈이 내린다.[123] 특히 마시라 섬 근처 해안 일부 지역은 일 년 동안 비가 전혀 내리지 않는 경우도 있다. 기후는 일반적으로 매우 더우며, 5월부터 9월까지 더운 계절에는 기온이 54°C (최고 기온)에 이른다.[124]

2018년 6월 26일, 쿠라이야트시는 24시간 동안 최저 기온 기록인 42.6°C를 기록했다.[125] 기후 행동 측면에서 유엔 지속가능발전 2019 지수에 따르면 해결해야 할 주요 과제가 남아 있다. 에너지에서 발생하는 CO2 배출량 (tCO2/1인당)과 화석 연료 수출에 포함된 CO2 배출량 (1인당 kg) 비율이 매우 높은 반면, 수입된 CO2 배출량 (tCO2/1인당)과 기후 관련 재해로 인한 피해자 (10만 명당) 비율은 낮다.[228]

국토 면적은 약 30만 9500km²이며, 3165km의 해안선을 가지고 있다.[281] 북서부에는 하자르 산맥, 남부에는 칼라 산맥이 솟아 있다. 남부에는 와디가 많다. 또한, 외지로 페르시아만과 호르무즈 해협에 면한 무산담 반도(무산담 특별행정구)와 마다를 영유한다. 최고봉은 아흐달 산맥의 샴스 산 (표고 3075m)이다.

본토 북부는 오만만아라비아해(인도양)에 접한다. 동부 연안에는 마시라 섬이, 남서 해안 40km 지점에는 쿠리아무리아 제도가 있다. 전역이 사막 기후에 속하며, 와디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인 하천이 존재하지 않는다. 고대부터 유향의 산지로 알려져 있다. 마스카트, 소하르, 수르 등의 도시가 북부에, 살랄라가 남부에 있다. 마스카트의 연간 강수량은 100mm이며, 강우는 12월~4월에 집중된다. 남부 도파르 지역은 인도양의 몬순의 영향을 받아 6월부터 9월까지 강우량이 많으며, 해안에는 안개가 발생하여 코코넛 야자의 성장을 돕는다.

국민 생활과 경제 활동을 뒷받침해 온 지하수는 유사시를 위해 비축하고, 평상시 사용하는 물은 해수 담수화로 충당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일본의 이토추상사 등으로부터 플랜트를 도입하고 있다.[294] 해수 담수화 플랜트 자체는 오만 국내에 3개 정도밖에 없으며, 빗물도 많이 이용하고 있다.

5. 2. 영토 분쟁

6. 경제

오만의 1인당 실질 GDP의 역사적 발전


오만의 국가 기본법 제11조는 "국가 경제는 정의와 자유경제 원칙에 기반한다"고 명시하고 있다.[223] 지역 기준으로 오만은 비교적 다각화된 경제를 가지고 있지만, 여전히 석유 수출에 의존하고 있다. 2018년 기준으로 총 상품 수출액에서 광물 연료가 82.2%를 차지했다.[169] 오만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산업은 관광업이다. 농업과 산업과 같은 다른 소득원은 상대적으로 작으며, 국가 수출의 1% 미만을 차지하지만, 정부는 다각화를 우선순위로 보고 있다. 종종 생계형 농업의 성격을 띠는 농업은 대추야자, 라임, 곡물 및 채소를 생산하지만, 경작지가 1% 미만이기 때문에 오만은 앞으로도 식량 순수입국일 가능성이 높다.

오만의 사회경제 구조는 초집중화된 수탈형 복지 국가로 묘사된다.[171] 오만에서 가장 큰 기업 10%가 민간 부문 오만 국민의 약 80%를 고용하고 있다. 민간 부문 일자리의 절반은 단순 노무직으로 분류된다. 고용된 오만인의 3분의 1이 민간 부문에 종사하고 있으며, 나머지 대다수는 공공 부문에 종사하고 있다.[170] 초집중화된 구조는 독점적인 경제를 만들어낸다.[171]

무스카트 증권 거래소


1998년 유가 폭락 이후 오만은 경제 다각화를 위한 적극적인 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관광 및 인프라와 같은 다른 산업 분야에 더 큰 중점을 두고 있다. 오만은 1995년에 경제 다각화를 목표로 하는 2020 비전을 수립했는데, 이는 2020년까지 석유의 GDP 비중을 10% 미만으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했지만, 2011년에 폐기되었다. 그 후 오만은 2040 비전을 수립했다.[171] 미국과의 자유 무역 협정은 2009년 1월 1일에 발효되어 모든 소비재 및 산업 제품에 대한 관세 장벽을 제거하고 오만에 투자하는 외국 기업에 대한 강력한 보호를 제공했다.[172] 오만 수입의 또 다른 원천인 관광은 증가하고 있다.[206]

오만의 외국인 노동자들은 매년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자국으로 약 100억 달러를 송금하고 있으며, 그중 절반 이상이 월급이 400달러 미만이다.[173] 가장 큰 외국인 공동체는 인도의 케랄라주, 타밀나두주, 카르나타카주, 마하라슈트라주, 구자라트주 및 펀자브주 출신이며,[174] 오만 전체 노동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해외 근로자의 급여는 오만 국민보다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여전히 인도의 동일한 직종보다 2~5배 높다.[173]

외국인 직접 투자(FDI) 측면에서 2017년 총 투자액은 240억 달러를 넘었다. FDI의 가장 큰 비중은 석유 및 가스 부문으로 약 130억 달러(54.2%)를 차지했으며, 그 뒤를 금융 중개가 36억 6천만 달러(15.3%)로 뒤따랐다. FDI는 영국이 약 115억 6천만 달러(48%)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그 뒤를 아랍에미리트가 26억 달러(10.8%), 쿠웨이트가 11억 달러(4.6%)로 뒤따랐다.[195]

2018년 오만은 총 수입의 32%에 달하는 예산 적자와 47.5%의 정부 부채 대 GDP 비율을 기록했다.[188][175]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오만의 국방비 대 GDP 비율은 평균 10%였던 반면, 같은 기간 세계 평균은 2.2%였다.[176] 2015년부터 2016년까지 오만의 보건 지출 대 GDP 비율은 평균 4.3%였던 반면, 같은 기간 세계 평균은 10%였다.[177] 2016년부터 2017년까지 오만의 연구 개발 지출은 평균 0.24%였는데, 이는 같은 기간 세계 평균(2.2%)보다 훨씬 낮았다.[178] 2016년 오만 정부의 교육 지출 대 GDP 비율은 6.11%였던 반면, 세계 평균은 4.8%(2015년)였다.[179]

북부 바티나 지역의 대추야자 농장


}}

국제통화기금(IMF) 통계에 따르면, 2019년 오만의 국내총생산(GDP)은 793억 달러이며,[295] 일본의 오카야마현과 거의 같은 경제 규모이다[296]. 같은 해 1인당 GDP는 1만 8970달러이다[295].

오만은 전임 사이드 국왕 시대에 쇄국 정책을 펼쳐 경제가 침체되어 있었다. 1970년에 즉위한 카부스 국왕은 개국과 근대화 정책을 추진하여,[281] 국내 경제는 크게 성장했다. 오만의 광업 중심은 원유 생산(4469만 톤, 2003년 기준)이며, 수출액의 76.7%를 차지하고 있으며, 천연가스도 생산한다. 원유 관련 시설의 현대화를 통한 수입 안정은 오만의 성장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금속 자원으로는 크롬 광석, 은, 금을 채굴하지만, 양이 적어 중요하지 않다.

2019년에 발표한 국가 전략 '오만 비전 2040'에서는 GDP에서 비석유 부문의 비율을 현재 60% 정도에서 90%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목표를 제시하고, 2020년에 "석유·가스부"를 "에너지·광물자원부"로 개편했다.[285] 경제 특구를 통한 무역·산업 거점화뿐만 아니라, 태양광 발전과 풍력 발전을 확대하여 해수를 전기 분해하여 얻는 "그린 수소"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285]

오아시스를 중심으로 국토의 0.3%가 농지이다. 하천이 없다는 열악한 조건에도 불구하고 인구의 9%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다. 주요 농산물은 대추야자(25만 톤, 세계 시장 점유율 8위, 2002년 기준)이다. 곡물과 근채류에서는 감자(13킬로톤) 생산량이 가장 많다. 그 외 겨울철 일본의 신선 풋콩 유통을 보완하기 위해 일본 수출용 풋콩 대규모 생산도 이루어지고 있다.

오만은 동아프리카, 중동, 페르시아 만 연안, 인도를 잇는 항로를 扼하는 전략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다. 특히 남부의 살랄라에는 경제특구와 큰 컨테이너 항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경제 정책으로 외국계 기업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마스카트와 살랄라 중간에 있는 동부 해안의 두쿰에서도 항만과 정유소 등을 결합한 경제 특구를 개발 중이다. 이러한 대외 개방·산업화 정책의 배경에는 2018년 기준으로 석유의 채굴 가능 연수(매장 원유를 상업적 기반으로 개발할 수 있는 연수)가 약 15년 정도라는 사정이 있다.[297]

기원전 4천 년 전부터 이용되어 온 유향은 현재도 자생·재배하고 있으며, 이슬람권에서 널리 사용된다.

6. 1. 석유 의존 경제

오만의 확인 매장량은 약 55억 배럴로 세계 25위이다.[143] 석유는 오만석유개발(Petroleum Development Oman, PDO)에 의해 추출 및 처리되며, 석유 생산량은 감소하고 있지만 확인된 석유 매장량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다.[184][185] 오만 에너지광물부(Ministry of Energy and Minerals)는 오만의 모든 석유 및 가스 인프라와 프로젝트를 담당한다.[186] 1970년대 석유파동 이후 오만은 1979년부터 1985년 사이에 석유 생산량을 두 배로 늘렸다.[187]

2016년과 2018년에는 정부 수입에서 석유와 가스가 차지하는 비율이 72%에서 71%로, 1% 감소했다.[188][189] 2017년 명목 GDP의 30.1%를 석유 및 가스 부문이 차지했다.[190] 2000년부터 2007년 사이에 생산량은 26% 이상 감소했으나,[191] 2009년과 2012년에 생산량이 회복되었다.[191] 오만의 천연가스 매장량은 세계 28위이며, 2008년 생산량은 연간 약 240억 입방미터였다.[143]

2019년 9월 오만은 중동 최초로 국제가스연맹(International Gas Union) 연구회의(IGRC 2020)를 개최하는 것으로 확정되었다. 이 행사는 오만 LNG(Oman LNG)와 공동으로 오만 에너지광물부(Ministry of Energy and Minerals)의 후원 아래 2020년 2월에 열렸다.[192]

소하르(Sohar)의 석유화학 저장탱크


오만은 2019년에 발표한 국가 전략 '오만 비전 2040'에서 GDP에서 비석유 부문의 비율을 현재 60% 정도에서 90%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목표를 제시하고, 2020년에 "석유·가스부"를 "에너지·광물자원부"로 개편했다.[285] 태양광 발전과 풍력 발전을 확대하여 해수를 전기 분해하여 얻는 "그린 수소"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285]

6. 2. 경제 다각화 노력

오만은 산업, 혁신, 인프라 측면에서 2019년 기준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 지수에 따르면 "상당한 과제"에 직면해 있다.[228] 인터넷 사용률, 모바일 광대역 가입자 수 등에서는 높은 점수를 받았지만, 과학 및 기술 출판물 비율과 연구개발비 지출에서는 낮은 점수를 받았다.[228] 2016년 오만의 제조업 부가가치는 GDP 대비 8.4%였으며, 연구개발비 지출의 GDP 비중은 2011년부터 2015년까지 평균 0.20%였다.[193]

오만은 관광, 지역 생산 및 수출 비중 확대를 위해 무스카트, 두쿰, 소하르, 살랄라의 항만 인프라를 개조 및 확장하고 있다.[195] 두쿰에는 하루 23만 배럴의 생산 능력을 갖춘 정유 및 석유화학 공장을 건설하여 다운스트림 사업을 확장하고 있으며, 2021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195] 오만의 산업 활동은 주로 8개 산업 주와 4개 자유무역지구에서 이루어지며, 광산 및 서비스, 석유화학, 건축 자재에 집중되어 있다.[198]

세계혁신지수(2019) 보고서에 따르면, 오만은 혁신 측면에서 "기대치 미만"의 점수를 받았다.[196] 2019년 오만은 혁신 지수에서 129개국 중 80위를 차지했다.[197] 오만은 2024년 세계혁신지수에서 74위를 차지했다.[200] 혁신, 기술 기반 성장 및 경제 다변화는 높은 비율의 '저숙련' 및 '저임금' 외국인 노동력에 크게 의존하는 경제 성장에 의해 저해된다.[198] 또한, 천연자원에 대한 과도한 의존과 수입 의존으로 인한 비효율성과 소수 대기업 중심의 경제 구조는 혁신에 대한 장애물로 작용한다.[170][198] 100만 명당 특허 출원 수는 2016년 0.35건으로, MENA 지역 평균(1.50건) 및 고소득 국가 평균(약 48.0건)에 비해 매우 낮다.[199]

오만의 어업은 2016년 GDP의 0.78%를 차지했으며, 2000년부터 2016년까지 수산물 수출은 증가했다.[203] 2016년 오만산 어류의 주요 수입국은 베트남이며, 아랍에미리트, 사우디아라비아, 브라질, 중국 등이 그 뒤를 이었다.[203] 오만 어업은 우수한 시장 시스템, 긴 해안선, 광대한 해역을 보유하고 있지만, 인프라, 연구 개발, 품질 및 안전 모니터링이 부족하다.[203]

대추야자는 오만 과일 작물 생산량의 80%를 차지하며, 대추야자 농장은 전국 농업 면적의 50%를 차지한다.[203] 2016년 오만의 대추야자 추정 생산량은 35만 톤으로, 세계 9위의 대추야자 생산국이다.[203] 주요 수입국은 인도이다.[203] 오만은 대추야자 생산 및 재배, 마케팅 지원을 위한 인프라를 갖추고 있지만, 농업 혁신과 공급망 조정이 부족하다.[203]

알 부스탄 궁전 호텔(Al-Bustan Palace Hotel)


와히바 사막(Wahiba Sands)


오만의 관광은 최근 성장하여 국가 최대 산업 중 하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201] 세계여행관광협의회(World Travel & Tourism Council)는 오만이 중동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관광지라고 밝혔다.[202] 2016년 오만 GDP에서 관광은 2.8%를 차지했으며, 걸프 협력 이사회(GCC) 시민들이 가장 많은 비율(약 48%)을 차지하고, 다른 아시아 국가 출신 방문객이 그 뒤를 이었다.[203] 오만 관광 개발의 과제는 정부 소유 기업인 옴란(Omran)에 대한 의존성과 오만 생태계 및 생물 다양성에 대한 이해 부족이다.[198] 생태 관광은 오만 관광의 성장하는 부문이며,[204] 라스 알 진즈(Ras al-Jinz)는 멸종 위기에 처한 바다거북의 산란지로 인기 있는 관광지이다.[205] 오만은 모험 관광과 문화 관광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206][207] 수도인 무스카트는 2012년 세계에서 두 번째로 방문하기 좋은 도시로 선정되었다.[208] 2019년 11월, 오만은 모든 국적의 관광객을 위한 전자 비자(e-visa) 개념을 도입했다.[210]

2019년에 발표한 국가 전략 '오만 비전 2040'에서는 GDP에서 비석유 부문의 비율을 90%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목표를 제시하고, "석유·가스부"를 "에너지·광물자원부"로 개편했다.[285] 태양광 발전과 풍력 발전을 확대하여 해수를 전기 분해하여 얻는 "그린 수소"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285] 남부의 살랄라에는 경제특구와 큰 컨테이너 항구가 설치되어 외국계 기업 유치를 추진하고 있으며, 두쿰에서도 항만과 정유소 등을 결합한 경제 특구를 개발 중이다.[297]

6. 3. 외국인 노동자

7. 사회

원주민은 100% 아랍인이며, 전체 인구 중 약 30%는 인도 및 파키스탄 등에서 일을 하러 온 이주민으로 구성되어 있다.

오만인은 고대부터 해안 지대에 살며 농경, 어업에 종사하고 또한 대형 선박을 타고 인도양을 무대로 활약했던 해양 민족형 아랍인, 사막의 베두인족, 옛 오만령(현재의 탄자니아령) 잔지바르에서 이주해온 아프리카계 흑인, 옛 오만령(현재의 파키스탄령) 발루치스탄에서 이주해온 발루치인으로 나뉜다.

2020년 기준 인구는 약 448만 명이다.

2010년 조사에 따르면, 전체 인구 중 오만 국적의 비율은 70.6%, 외국인 노동자는 81만 6천 명으로 29.4%를 차지한다. 대부분의 오만인은 아라비아 반도에 조상을 둔 아랍인이지만, 현재 파키스탄 남부를 기원으로 하는 벨루치인과 중앙아시아 및 이란을 기원으로 하는 아잠인을 비롯하여 동아프리카에 뿌리를 둔 사람들도 있다. 외국인 노동자 중 인도인이 46만 5,660명, 방글라데시인이 10만 7,125명, 파키스탄인이 8만 4,658명 등이다. 가정부로 일하는 인도네시아필리핀 출신의 동남아시아 여성도 많다. 외국 국적의 아랍인은 6만 8,986명이다.

7. 1. 인구 구성

오만인은 고대부터 해안 지대에 살며 농경, 어업에 종사하고 또한 대형 선박을 타고 인도양을 무대로 활약했던 해양 민족형 아랍인, 사막의 베두인족, 옛 오만령(현재의 탄자니아령) 잔지바르에서 이주해온 아프리카계 흑인, 옛 오만령(현재의 파키스탄령) 발루치스탄에서 이주해온 발루치인으로 나뉜다.

2020년 기준 오만의 인구는 450만 명을 초과했다.[211] 인구의 약 절반은 무스카트와 수도 북서쪽에 있는 바티나 해안 평야에 거주한다.[143] 오만인들은 주로 아랍, 발루치 및 아프리카계 혈통이다.[143] 오만인의 약 20%는 수 세기 전 오만으로 이주한 발루치 혈통이며, 현재는 원주민으로 간주된다.[213]

오만 사회는 대체로 부족 사회[214][215][216]이며 부족, 이바디파 신앙 및 해상 무역의 세 가지 주요 정체성을 포함한다.[214]

2010년 조사에 따르면, 전체 인구 중 오만 국적의 비율은 70.6%, 외국인 노동자는 81만 6천 명으로 29.4%를 차지한다. 대부분의 오만인은 아라비아 반도에 조상을 둔 아랍인이지만, 현재 파키스탄 남부를 기원으로 하는 벨루치인과 중앙아시아 및 이란을 기원으로 하는 아잠인을 비롯하여 동아프리카에 뿌리를 둔 사람들도 있다. 외국인 노동자 중 인도인이 46만 5,660명, 방글라데시인이 10만 7,125명, 파키스탄인이 8만 4,658명 등이다. 가정부로 일하는 인도네시아필리핀 출신의 동남아시아 여성도 많다. 외국 국적의 아랍인은 6만 8,986명이다.

7. 2. 언어 및 종교

아랍어오만공용어이며, 필요에 따라 영어도 사용된다.[285] 사업계에서는 영어가 널리 사용되며, 어린 시절부터 학교에서 가르친다. 관광지에서는 거의 모든 표지판과 글이 아랍어와 영어로 표기되어 있다.[206] 발루치어(남부 발루치어)는 오만에서 널리 사용되며,[226] 파키스탄 서부, 이란 동부, 아프가니스탄 남부의 발루치스탄 출신 발루치족의 모어이자, 일부 신디족 선원의 후손들도 사용한다.[224] 오만과 잔지바르의 역사적 관계로 인해 스와힐리어가 널리 사용된다.[10] 그 외에도 말라얄람어, 우르두어, 타밀어, 벵골어(인도인과 방글라데시인이 사용), 힌디어, 툴루어 및 기타 여러 인도 언어가 사용된다.[143] 방글라데시인 이주민의 수가 많아 벵골어가 널리 사용되며, 1980년대 후반과 1990년대 파키스탄 이주민 유입으로 인해 상당수의 주민들이 우르두어를 사용한다.[10]

오만의 아랍어와 영어 도로 표지판


아랍어는 아프로아시아어족의 셈어파에 속하며,[223] 여러 아랍어 방언이 사용되는데, 모두 반도 아랍어에 속한다. 도파리 아랍어(Dhofari Arabic, Zofari라고도 함)는 살랄라와 그 주변 해안 지역(도파르 주)에서 사용된다. 걸프 아랍어는 아랍에미리트와 접경 지역에서 사용되며, 동부 아라비아와 바레인의 걸프 아랍어와는 구별되는 오만 아랍어는 중부 오만에서 사용되지만, 최근 석유 부의 증가와 이동성으로 인해 다른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오늘날 메흐리어는 살랄라 주변 지역, 예멘 자파르 및 예멘 서쪽 지역으로 그 사용 범위가 제한되어 있다. 그러나 18세기 또는 19세기까지는 더 북쪽, 아마도 중부 오만까지 사용되었을 것이다.[225] 오만의 멸종 위기에 처한 토착 언어로는 쿰자리어, 바타리어, 하르수시어, 호비옷어, 지발리어, 메흐리어가 있다.[227] 오만 수어는 청각 장애인 공동체의 언어이다.

오만 이슬람의 약 75%가 이바디 무슬림이다.[307] 이바디파는 4대 칼리파인 알리가 무와이야와 협상을 맺는 것에 반대해 알리를 떠난 카와리지파의 분파 가운데 하나이다. 이바디파는 극단적이고 과격한 카와리지파와 달리 온건하면서 수니파와 절충된 형태로 발전했다. 이바디파는 다수에 둘러싸인 소수집단이라는 상황 때문에 생존을 위하여 외면적으로는 온건하면서 현실에 적응하는 모습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내부적으로는 이슬람법의 테두리를 엄격하게 고수한다.[307] 이바디 외에 수니파와 시아파 무슬림들이 존재한다.

오만 정부는 종교적 소속에 대한 통계를 집계하지 않지만, 미 중앙정보국(CIA)의 통계에 따르면 이슬람교 신자들이 85.9%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기독교인이 6.4%, 힌두교인이 5.7%, 불교도가 0.8%, 유대인이 0.1% 미만이고, 다른 종교적 소속의 구성원은 1%, 무종교는 0.2%이다. 대부분의 오만인들은 무슬림이며, 주로 이바디 학파의 이슬람을 따르고 있으며,[220][221] 샤피이 수니파 이슬람 학파와 십이이마미파 시아파 이슬람 학파를 따르는 사람들도 있다. 오만의 거의 모든 비무슬림들은 외국인 노동자이다. 비무슬림 종교 공동체에는 다양한 자이나교도, 불교도, 조로아스터교도, 시크교도, 힌두교도 및 기독교인들이 포함된다.

기독교 공동체는 무스카트, 소하르, 살랄라의 주요 도시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여기에는 가톨릭, 동방 정교회 및 다양한 프로테스탄트 교파가 포함되며, 언어 및 민족에 따라 조직되어 있다. 무스카트 대도시 지역에서는 동남아시아 출신 이주 노동자들에 의해 형성된 50개 이상의 서로 다른 기독교 단체, 연합체 및 집회가 활동하고 있다. 인도계 힌두교도와 기독교인 공동체도 있으며, 소규모의 시크교[222] 공동체도 있다. 비교적 타종교에 대해 관용적이지만, 자국인의 개종은 불법이다. 종교 외에 인종이나 성별에 의한 차별은 법으로 금지되어 있다.[281]

8. 문화

이슬람 문화가 오만의 주요 문화이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우호적이며 정치 체제도 비슷하다.[244] 겉으로 보기에 오만은 특히 걸프 협력회의 국가들과 같은 아랍 이웃 국가들의 문화적 특징을 많이 공유한다.[245] 하지만 이러한 유사점에도 불구하고, 오만을 중동에서 독특하게 만드는 중요한 요소들이 있다.[245] 이는 지리와 역사뿐만 아니라 문화와 경제에서도 비롯된다.[245] 오만의 국가는 비교적 최근에 인위적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국가 문화를 설명하기 어렵다.[245] 하지만 오만의 국경 내에는 충분한 문화적 이질성이 존재하여 다른 페르시아 만 아랍 국가들과 구별된다.[245] 오만의 문화적 다양성은 스와힐리 해안과 인도양으로의 역사적 확장을 고려할 때 아랍 이웃 국가들보다 더 크다.[245]



오만은 조선의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해상 여행은 오만인들이 고대 문명과 접촉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수르는 인도양에서 가장 유명한 조선 도시 중 하나였다. 알 간자 배는 건조하는 데 1년이 걸린다. 다른 유형의 오만 선박으로는 아스 숨부크와 알 바단이 있다.[246]

전통적인 단검인 한자르(Khanjar)


=== 전통 의상 ===

오만 남성의 전통 의상은 긴 소매의 헐렁한 발목까지 내려오는 옷인 ''디쉬다샤''이다.[248] 대부분 흰색이지만, 다양한 색상으로도 나타난다. 목 부분에 달린 술 장식인 ''푸라카''(furakha)에는 향수를 뿌리기도 한다.[247] 디쉬다샤 안에는 허리 아래로 몸에 두르는 넓고 평범한 천을 입는다. 디쉬다샤 디자인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지역적 차이는 나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자수 스타일이다.[248] 공식적인 자리에는 ''비스트''(Bisht)라고 하는 검정색이나 베이지색 겉옷을 디쉬다샤 위에 걸친다. 이 겉옷의 가장자리 자수는 은실이나 금실로 정교하게 수놓아진다.[247]

오만 남성들은 두 가지 종류의 머리 장식을 한다. ''구트라''(ghutra), 또는 "무사르"라고도 불리며, 다양한 자수 무늬로 장식된 단색의 직조된 모직이나 면직물과 ''쿠마''(kummah)라고 불리는 여가 시간에 쓰는 모자가 있다.[248]

일부 남성들은 ''아사''(assa)라는 지팡이를 휴대하는데, 실용적인 용도로 사용하거나 공식적인 행사에서 장식으로 사용된다. 오만 남성들은 일반적으로 발에 샌들을 신는다.[247]

''잔비야''(Janbiya, 단검)는 전통 의상의 일부이며, 남성들은 모든 공식적인 공공 행사와 축제에서 잔비야를 착용한다.[248] 전통적으로 허리에 착용하며, 칼집은 간단한 것부터 정교한 은이나 금으로 장식된 것까지 다양하다.[247] 잔비야의 그림은 오만 국기에도 등장한다.[248]

오만 여성들은 눈길을 끄는 전통 의상을 입으며, 지역에 따라 독특한 차이가 있다. 모든 의상은 선명한 색상과 생생한 자수 및 장식을 사용한다. ''칸도라''(kandoorah)는 긴 튜닉으로, 소매인 ''라둔''(radoon)에는 다양한 디자인의 손바느질 자수로 장식되어 있다. ''디쉬다샤''는 발목이 꽉 조이는 느슨한 바지인 ''시르왈''(sirwal) 위에 입는다. 여성들은 또한 ''리하프''(lihaf)라고 하는 머리 스카프를 착용한다.[249]

2014년 기준으로 여성들은 특별한 경우에만 전통 의상을 입고, 그 외에는 개인적으로 선택한 옷 위에 ''아바야''(abaya)라고 하는 느슨한 검은색 겉옷을 입는다. 특히 베두인족 사이에서는 ''부르카''(burqa)를 여전히 착용하는 지역도 있다.[249] 여성들은 ''히잡''을 착용하며, 얼굴과 손을 가리는 여성도 있지만, 대부분은 그렇지 않다. 술탄은 공공기관에서 얼굴을 가리는 것을 금지했다.[244]

=== 음식 문화 ===

오만 요리는 다양하며 많은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 오만 사람들은 보통 하루의 주된 식사를 정오에 하고 저녁 식사는 가볍게 한다. 라마단 기간에는 저녁 식사가 보통 타라위흐 기도 후에, 때로는 밤 11시가 넘어서 제공된다.

축하 행사 때 제공되는 축제 음식인 아르시아(Arsia)는 으깬 밥과 고기(때로는 닭고기)로 구성된다. 또 다른 인기 있는 축제 음식인 슈와(shuwa)는 땅 속의 점토 오븐에서 매우 천천히 (때로는 최대 2일 동안) 조리된 고기로 구성된다. 생선도 주요 요리에 자주 사용되며, 킹피시(Giant trevally)는 인기 있는 재료이다. 마슈아이(Mashuai)는 레몬 밥과 함께 제공되는 통째로 구운 킹피시로 구성된 요리이다. 루칼(Rukhal) 빵은 얇고 둥근 빵으로 어떤 식사에도 먹으며, 일반적으로 아침 식사에는 오만 꿀과 함께, 저녁 식사에는 카레 위에 부수어서 제공된다. 오만 할와(Halva)는 매우 인기 있는 과자로, 견과류와 함께 조리된 설탕으로 만들어진다.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며, 가장 인기 있는 것은 검은색 할와(original)와 사프란 할와이다. 할와는 오만의 환대를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전통적으로 커피와 함께 제공된다. 대부분의 페르시아 만 아랍 국가와 마찬가지로 알코올은 비무슬림에게만 일반적으로 판매된다.

오만의 전통 요리(마크부스)


=== 스포츠 ===

오만은 전통적으로 도우(dhow) 경주, 경마, 낙타 경주, 투우, 매사냥을 즐겼다.[271]

오만은 19회 아라비아 걸프컵을 개최하고 우승했다


오만 정부는 2004년 10월 체육부를 설립하여 청소년, 체육 및 문화부를 대체했다. 현대에 들어서는 축구, 농구, 수상스키, 샌드보딩[272] 같은 스포츠가 젊은 층을 중심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271] 오만은 UAE의 푸자이라와 함께 중동에서 '소 머리 맞대기'를 하는 유일한 지역이다.[273]

오만 올림픽 위원회는 스포츠 협회, 클럽, 젊은 참가자들에게 큰 도움을 준 2003년 올림픽의 날 행사를 성공적으로 개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2010년에는 2010년 아시안 비치 게임을 무스카트에서 개최했다.[274] 오만은 국제 테니스 토너먼트를 매년 개최하며, 술탄 카부스 스포츠 콤플렉스에는 국제 규격의 50미터 수영장이 있다. 또한, 2월에는 6일간의 프로 사이클링 스테이지 레이스인 투어 오브 오만이 열린다. 2014년 3월 14일에는 술탄 카부스 스포츠 콤플렉스에서 스페인 이외 지역 최초로 엘 클라시코 경기가 열렸다.[276]

2010년 FIFA 월드컵 예선 3차전 경기: 2008년 6월 7일 무스카트의 로열 오만 경찰 경기장에서 열린 오만과 일본의 경기


오만은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해 노력했지만, 아직까지 성공하지 못했다. 크리켓에서는 2016년 ICC 월드 트웬티20과 2021년 T20 크리켓 월드컵에 진출했다. 2021년 6월 25일, 오만은 아랍에미리트와 함께 2021년 ICC 남자 T20 월드컵을 공동 개최한다고 발표했다.[277] 오만은 2024년 노팅엄에서 열린 2024 터치 럭비 월드컵에 참가하여 첫 국제 럭비 토너먼트 참가를 기록했다.[278]

오만에서 가장 인기있는 스포츠는 축구이며, 축구 리그인 오만 리그는 1976년에 창설되었다. 오만은 아라비아 걸프컵에서 두 차례 우승을 차지했다. 2009년 1월에는 무스카트에서 열린 제19회 대회에서 우승했고,[271] 2017년 12월부터 2018년 1월까지 쿠웨이트에서 열린 제23회 대회에서 아랍에미리트를 꺾고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오만 축구 국가대표팀은 AFC 아시안컵에 4번 출전하여 2019년 대회에서 16강에 진출했다. 오만 출신의 유명한 축구 선수로는 프리미어리그에서 오랫동안 활약한 알리 알-후브시가 있다.

=== 세계유산 ===

오만에는 문화유산 4건이 등재되어 있다. 과거 자연유산 1건이 있었으나, 2007년에 등재가 삭제되었다.

8. 1. 전통 의상

오만 남성의 전통 의상은 긴 소매의 헐렁한 발목까지 내려오는 옷인 ''디쉬다샤''이다.[248] 대부분 흰색이지만, 다양한 색상으로도 나타난다. 목 부분에 달린 술 장식인 ''푸라카''(furakha)에는 향수를 뿌리기도 한다.[247] 디쉬다샤 안에는 허리 아래로 몸에 두르는 넓고 평범한 천을 입는다. 디쉬다샤 디자인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지역적 차이는 나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자수 스타일이다.[248] 공식적인 자리에는 ''비스트''(Bisht)라고 하는 검정색이나 베이지색 겉옷을 디쉬다샤 위에 걸친다. 이 겉옷의 가장자리 자수는 은실이나 금실로 정교하게 수놓아진다.[247]

오만 남성들은 두 가지 종류의 머리 장식을 한다. ''구트라''(ghutra), 또는 "무사르"라고도 불리며, 다양한 자수 무늬로 장식된 단색의 직조된 모직이나 면직물과 ''쿠마''(kummah)라고 불리는 여가 시간에 쓰는 모자가 있다.[248]

일부 남성들은 ''아사''(assa)라는 지팡이를 휴대하는데, 실용적인 용도로 사용하거나 공식적인 행사에서 장식으로 사용된다. 오만 남성들은 일반적으로 발에 샌들을 신는다.[247]

''잔비야''(Janbiya, 단검)는 전통 의상의 일부이며, 남성들은 모든 공식적인 공공 행사와 축제에서 잔비야를 착용한다.[248] 전통적으로 허리에 착용하며, 칼집은 간단한 것부터 정교한 은이나 금으로 장식된 것까지 다양하다.[247] 잔비야의 그림은 오만 국기에도 등장한다.[248]

오만 여성들은 눈길을 끄는 전통 의상을 입으며, 지역에 따라 독특한 차이가 있다. 모든 의상은 선명한 색상과 생생한 자수 및 장식을 사용한다. ''칸도라''(kandoorah)는 긴 튜닉으로, 소매인 ''라둔''(radoon)에는 다양한 디자인의 손바느질 자수로 장식되어 있다. ''디쉬다샤''는 발목이 꽉 조이는 느슨한 바지인 ''시르왈''(sirwal) 위에 입는다. 여성들은 또한 ''리하프''(lihaf)라고 하는 머리 스카프를 착용한다.[249]

2014년 기준으로 여성들은 특별한 경우에만 전통 의상을 입고, 그 외에는 개인적으로 선택한 옷 위에 ''아바야''(abaya)라고 하는 느슨한 검은색 겉옷을 입는다. 특히 베두인족 사이에서는 ''부르카''(burqa)를 여전히 착용하는 지역도 있다.[249] 여성들은 ''히잡''을 착용하며, 얼굴과 손을 가리는 여성도 있지만, 대부분은 그렇지 않다. 술탄은 공공기관에서 얼굴을 가리는 것을 금지했다.[244]

8. 2. 음식 문화

오만 요리는 다양하며 많은 문화의 영향을 받았다. 오만 사람들은 보통 하루의 주된 식사를 정오에 하고 저녁 식사는 가볍게 한다. 라마단 기간에는 저녁 식사가 보통 타라위흐 기도 후에, 때로는 밤 11시가 넘어서 제공된다.

축하 행사 때 제공되는 축제 음식인 아르시아(Arsia)는 으깬 밥과 고기(때로는 닭고기)로 구성된다. 또 다른 인기 있는 축제 음식인 슈와(shuwa)는 땅 속의 점토 오븐에서 매우 천천히 (때로는 최대 2일 동안) 조리된 고기로 구성된다. 생선도 주요 요리에 자주 사용되며, 킹피시(Giant trevally)는 인기 있는 재료이다. 마슈아이(Mashuai)는 레몬 밥과 함께 제공되는 통째로 구운 킹피시로 구성된 요리이다. 루칼(Rukhal) 빵은 얇고 둥근 빵으로 어떤 식사에도 먹으며, 일반적으로 아침 식사에는 오만 꿀과 함께, 저녁 식사에는 카레 위에 부수어서 제공된다. 오만 할와(Halva)는 매우 인기 있는 과자로, 견과류와 함께 조리된 설탕으로 만들어진다.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며, 가장 인기 있는 것은 검은색 할와(original)와 사프란 할와이다. 할와는 오만의 환대를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전통적으로 커피와 함께 제공된다. 대부분의 페르시아 만 아랍 국가와 마찬가지로 알코올은 비무슬림에게만 일반적으로 판매된다.

8. 3. 스포츠

오만은 전통적으로 도우(dhow) 경주, 경마, 낙타 경주, 투우, 매사냥을 즐겼다.[271] 오만 정부는 2004년 10월 체육부를 설립하여 청소년, 체육 및 문화부를 대체했다. 현대에 들어서는 축구, 농구, 수상스키, 샌드보딩[272] 같은 스포츠가 젊은 층을 중심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271] 오만은 UAE의 푸자이라와 함께 중동에서 '소 머리 맞대기'를 하는 유일한 지역이다.[273]

오만 올림픽 위원회는 스포츠 협회, 클럽, 젊은 참가자들에게 큰 도움을 준 2003년 올림픽의 날 행사를 성공적으로 개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2010년에는 2010년 아시안 비치 게임을 무스카트에서 개최했다.[274] 오만은 국제 테니스 토너먼트를 매년 개최하며, 술탄 카부스 스포츠 콤플렉스에는 국제 규격의 50미터 수영장이 있다. 또한, 2월에는 6일간의 프로 사이클링 스테이지 레이스인 투어 오브 오만이 열린다. 2014년 3월 14일에는 술탄 카부스 스포츠 콤플렉스에서 스페인 이외 지역 최초로 엘 클라시코 경기가 열렸다.[276]

오만은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해 노력했지만, 아직까지 성공하지 못했다. 크리켓에서는 2016년 ICC 월드 트웬티20과 2021년 T20 크리켓 월드컵에 진출했다. 2021년 6월 25일, 오만은 아랍에미리트와 함께 2021년 ICC 남자 T20 월드컵을 공동 개최한다고 발표했다.[277] 오만은 2024년 노팅엄에서 열린 2024 터치 럭비 월드컵에 참가하여 첫 국제 럭비 토너먼트 참가를 기록했다.[278]

오만에서 가장 인기있는 스포츠는 축구이며, 축구 리그인 오만 리그는 1976년에 창설되었다. 오만은 아라비아 걸프컵에서 두 차례 우승을 차지했다. 2009년 1월에는 무스카트에서 열린 제19회 대회에서 우승했고,[271] 2017년 12월부터 2018년 1월까지 쿠웨이트에서 열린 제23회 대회에서 아랍에미리트를 꺾고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오만 축구 국가대표팀은 AFC 아시안컵에 4번 출전하여 2019년 대회에서 16강에 진출했다. 오만 출신의 유명한 축구 선수로는 프리미어리그에서 오랫동안 활약한 알리 알-후브시가 있다.

8. 4. 세계유산

오만에는 문화유산 4건이 등재되어 있다. 과거 자연유산 1건이 있었으나, 2007년에 등재가 삭제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Basic Statute of the State promulgated by Royal Decree 101/96 https://web.archive.[...] 2020-08-31
[2] 웹사이트 OMAN 2023 INTERNATIONAL RELIGIOUS FREEDOM REPORT https://www.state.go[...]
[3] 백과사전 Oman https://web.archive.[...] MSN Encarta 2008-11-20
[4] 웹사이트 Oman https://carnegieendo[...] Carnegie Endowment for International Peace 2010-07-15
[5] 웹사이트 Final Results of Census 2010 https://web.archive.[...] National Center for Statistics & Information 2012-01-07
[6]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3 Edition. (Oman) https://www.imf.org/[...]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23-10-10
[7] 웹사이트 Urban – Gini index – Omani – Total https://data.gov.om/[...] The National Centre for Statistics and Information, Sultanate of Oman 2018-05-20
[8]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Report 2023/24 https://hdr.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24-03-13
[9] 웹사이트 Oman Population (2024) https://www.worldome[...] Worldometer 2024-08-22
[10] 논문 The ethnic label Zinjibari: Politics and language choice implications among Swahili speakers in Oman
[11] 뉴스 Haitham bin Tariq sworn in as Oman's new sultan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20-01-12
[12] 뉴스 Oman profile – Overview https://www.bbc.co.u[...] BBC News 2012-09-11
[13] 웹사이트 A History of Oman https://web.archive.[...] 2020-11-19
[14] 뉴스 Private sector gets Omanisation targets http://gulfnews.com/[...] 2011-02-13
[15] 웹사이트 Five Arab states among top leaders in long-term development gains http://hdr.undp.org/[...] Hdr.undp.org 2010-11-04
[16] 웹사이트 Global Peace Index: 2021 https://www.visionof[...] Global Peace Index and Institute for Economics and Peace
[17] 웹사이트 Pre-Islamic – SAA https://saa.shj.ae/e[...]
[18] 서적 Natural History
[19] 서적 Geography
[20] 서적 E.J. Brill's First Encyclopaedia of Islam 1913-1936 https://books.google[...] BRILL
[21] 서적 Tarikh fi Uman (Oman in History)
[22] 논문 The Nubian Complex of Dhofar, Oman: An African Middle Stone Age Industry in Southern Arabia
[23] 논문 South Punjab, Oman: An African Middle Stone Age Industry in Southern Arabia 2011-11-30
[24] 서적 The Bronze Age Towers at Bat, Sultanate of Oman…2007–12 University of Pennsylvania Museum
[25] 서적 Water and Tribal Settlement in South East Arabia – A Study of the Aflaj of Oman Clarendon Press
[26] 서적 Cross-roads Early and Late Iron Age South-Eastern Arabia Harrassowitz Verlag
[27] 웹사이트 History of the imâms and seyyids of Omân http://www.qdl.qa/en[...] British National Archive
[28] 웹사이트 Digging in the Land of Magan – Archaeology Magazine Archive http://archive.archa[...] Archive.archaeology.org
[29] 간행물 Oman: The Lost Land https://web.archive.[...] 1983-03
[30] 간행물 Oman: A History https://web.archive.[...] 1983-03
[31] 간행물 Mehr als Kupfer in Oman
[32] 웹사이트 History of the imâms and seyyids of Omân http://www.qdl.qa/en[...] British National Archive
[33] 웹사이트 Annals of 'Omān https://www.qdl.qa/e[...] British National Archive
[34] 논문 The Azd migrations reconsidered: narratives of ʿAmr Muzayqiya and Mālik b. Fahm in historiographic context by Brian Ulrich (21 July 2007) JSTOR
[35] 서적 Oman Since 1856 (1967) https://books.google[...] Princeton Legacy Library 2015-12-08
[36] 서적 The Arabian Peninsula: Society and Politics Routledge
[37] 서적 Oman and Its Renaissance Humanities Press
[38] 웹사이트 History of OMAN http://www.historywo[...] Historyworld.net 2010-04-17
[39] 웹사이트 Oman https://2009-2017.st[...]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10-03-31
[40] 웹아카이브 History of the imâms and seyyids of 'Omân https://www.qdl.qa/e[...] British National Archive 2022-07-07
[41] 학술지 10th Congress, Union Européenne des Arabisants et Islamisants http://dx.doi.org/10[...] 1980-12-01
[42] 웹아카이브 History of the imâms and seyyids of 'Omân https://www.qdl.qa/e[...] British National Archive 2022-07-07
[43] 웹아카이브 History of the imâms and seyyids of 'Omân https://www.qdl.qa/e[...] British National Archive 2021-03-08
[44] 웹아카이브 History of the imâms and seyyids of 'Omân https://www.qdl.qa/e[...] British National Archive 2022-07-07
[45] 웹아카이브 Notes and Memoranda of Oman https://journals.sag[...] Sage Journals 2022-07-10
[46] 웹아카이브 History of the imâms and seyyids of 'Omân https://www.qdl.qa/e[...] British National Archive 2022-07-09
[47] 웹아카이브 History of the imâms and seyyids of 'Omân https://www.qdl.qa/e[...] British National Archive 2022-07-07
[48] 웹아카이브 The Oman Question: The Background to the Political Geography of South-East Arabia https://www.jstor.or[...] The Geographical Journal 2022-06-16
[49] 서적 Emergence of States in a Tribal Society: Oman Under Sa'Id Bin Taymur https://books.google[...]
[50] 서적 Emergence of States in a Tribal Society: Oman Under Sa'Id Bin Taymur, 1932–1970 https://books.google[...] Apollo Books 2011-03-11
[51] 서적 Arab/American: Landscape, Culture, and Cuisine in Two Great Desert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Arizona Press 2008-03-11
[52] 웹아카이브 History of the imâms and seyyids of Omân https://www.qdl.qa/e[...] British National Archive 2022-07-08
[53] 웹아카이브 History of the imâms and seyyids of Omân https://www.qdl.qa/e[...] British National Archive 2021-03-08
[54] 웹아카이브 The Rough Guide to Oman https://books.google[...] 2023-02-11
[55]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slam Cambridge University Press
[56] 서적 Dutch Relations with the Persian Gulf Palgrave Macmillan
[57] 웹아카이브 Oman Country Profile https://www.qdl.qa/e[...] British Library Partnership, Qatar Digital Library 2019-07-20
[58] 웹사이트 'History of the imâms and seyyids of 'Omân by Salîl-ibn-Razîk, from A.D. 661–1856; translated from the original Arabic, and edited with notes, appendices, and an introduction, continuing the history down to 1870, by George Percy Badger, F.R.G.S., late chaplain in the Presidency of Bombay.' [23] (56/612) https://www.qdl.qa/e[...] 2014-10-22
[59] 웹아카이브 Oman's Foreign Policy https://books.google[...] Praeger 2023-04-13
[60] 웹아카이브 The Rough Guide to Oman https://books.google[...] 2023-02-11
[61] 웹아카이브 History of the imâms and seyyids of 'Omân https://www.qdl.qa/e[...] British National Archive 2021-03-10
[62] 웹아카이브 History of the imâms and seyyids of 'Omân https://www.qdl.qa/e[...] British National Archive 2022-07-07
[63] 웹아카이브 History of the imâms and seyyids of 'Omân https://www.qdl.qa/e[...] British National Archive 2022-07-07
[64] 웹아카이브 Oman Since 1856: Disruptive Modernization in a Traditional Arab Society https://www.jstor.or[...] Journal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2022-07-10
[65] 일반
[66] 웹사이트 DAWN – Cowasjee Corner; September 11, 2005 http://www.dawn.com.[...] DAWN Group of Newspapers 2005-09-11
[67] 뉴스 A Close Relationship: Britain and Oman Since 1750 https://www.qdl.qa/e[...] QDL 2014-12-11
[68] 서적 Oman and the World: The Emergence of an Independent Foreign Policy RAND
[69] 웹아카이브 History of the imâms and seyyids of 'Omân https://www.qdl.qa/e[...] British National Archive 2021-03-08
[70] 웹아카이브 Muscat and the Monsoon https://www.qdl.qa/e[...] British National Archive 2021-03-08
[71] 간행물 A Collection of Treaties and Engagements relating to the Persian Gulf Shaikhdoms and the Sultanate of Muscat and Oman in force up to the End of 1953 https://www.qdl.qa/e[...] British National Archives 2022-07-06
[72] 간행물 Historical Summary of Events https://www.qdl.qa/e[...] British National Archive 2021-03-08
[73] 간행물 Muscat and Oman Internal Affairs History https://www.qdl.qa/e[...] British National Archive 2021-03-08
[74] 간행물 The Financial Troubles of Said bin Taimur https://www.qdl.qa/e[...] British National Archive 2020-11-11
[75] 간행물 Oman and the Trucial Coast https://www.jstor.or[...] The Australian Quarterly 2023-01-17
[76] 간행물 File 8/67 Muscat State Affairs: Muscat– Oman Treaty https://www.qdl.qa/e[...] British National Archive 2022-07-08
[77] 웹사이트 Jebel Akhdar http://www.britains-[...] Britain's Small Wars 2012-04-10
[78] 간행물 Muscat Rising, from April 1917 to January 1918 & resumed from April 1920 to Oct 1920 https://www.qdl.qa/e[...] British National Archive 2022-07-07
[79] 뉴스 Oman profile – Timeline https://www.bbc.com/[...] BBC News 2018-04-25
[80] 간행물 Undertaking by Sultan Taimur Regarding Oil https://www.qdl.qa/e[...] British National Archives 2021-03-09
[81] 웹사이트 The 1928 Red Line Agreement https://history.stat[...] United States Office of the Historian 2019-07-17
[82] 간행물 Muscat Rising, from April 1917 to January 1918 & resumed from April 1920 to Oct 1920 http://qdl.qa/en/arc[...] British National Archive 2021-02-25
[83] 뉴스 Britain's secret war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6-09-08
[84] 서적 Arabia https://books.google[...] Saqi Books 1974-01-01
[85] 서적 Oman's Insurgencies: The Sultanate's Struggle for Supremacy https://books.google[...] Saqi 2013-01-02
[86] 웹사이트 British National Archive: Historical Summary of Events in the Persian Gulf (208/222) https://www.qdl.qa/e[...] QDL 2014-05-30
[87] 일반
[88] 웹사이트 International trade networks: The Omani Enclave of Gwadar – Conference on German and International Research on Oman, Bonn 1998: abstracts http://www.oman.org/[...] Conference on German and International Research on Oman 1998-05-25
[89] 간행물 File 8/62 Muscat State Affairs: Principal Shaikhs and Tribes of Oman https://www.qdl.qa/e[...] British National Archive 2021-03-08
[90] 간행물 File 8/62 Muscat State Affairs: Principal Shaikhs and Tribes of Oman https://www.qdl.qa/e[...] British National Archive 2021-03-08
[91] 간행물 File 8/62 Muscat State Affairs: Principal Shaikhs and Tribes of Oman https://www.qdl.qa/e[...] British National Archive 2021-03-08
[92] 서적 Oman in the Twentieth Century: Political Foundations of an Emerging State https://books.google[...] Croom Helm 1978-01-01
[93] 간행물 Liquid Oman: oil, water, and causality in Southern Arabia https://rai.onlineli[...] Royal Anthropological Institute 2016-01-01
[94] 서적 Secret Operations of the Sas https://books.google[...] Zenith Imprint 2003-01-01
[95] 간행물 Oman 1957-9 http://markcurtis.in[...] British National Archives 2017-01-01
[96] 서적 A Modern History of Oman: Formation of the State since 1920 https://books.google[...] I.B.Tauris 2004-01-01
[97] 뉴스 وفاة آخر أئمة عُمان في منفاه السياسي بالسعودية http://archive.arabi[...] CNN Arabic News 2009-12-01
[98] 뉴스 10 Arab States Ask U.N. Debate On Oman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60-10-01
[99] 간행물 S-0884-0014-13-00001 https://search.archi[...] United Nations Archives 2021-08-18
[100] 웹사이트 20th Session Adopted Resolutions https://research.un.[...] United Nations 1965-12-20
[101] 웹사이트 2073 Question of Oman https://undocs.org/e[...] United Nations 1965-12-17
[102] 웹사이트 2302 Question of Oman https://undocs.org/e[...] United Nations 1967-12-12
[103] 웹사이트 22nd Session Adopted Resolutions https://research.un.[...] United Nations 1967-12-19
[104] 웹사이트 UN 2238 Question of Oman Resolution (1966) http://www.worldlii.[...] worldlii 1966-01-01
[105] 웹사이트 UN Adopted Resolutions (1966) http://www.worldlii.[...] worldlii 1966-01-01
[106] 뉴스 Happy and rich in an Omani toytown http://www.economist[...] 2000-08-31
[107] 서적 كنت طالبا في عمان دار الثلوثية
[108] 웹사이트 بعد 38 عاماً.. طلاب من سلطنة عمان يزورون معلمهم في السعودية https://www.al-jazir[...] 2023-09-16
[109] 웹사이트 Omani Music Masks A Slave Trading Past http://www.al-fanarm[...] Al-Fanar Media 2017-03-30
[110] 웹사이트 Oman appoints first female minister http://news.bbc.co.u[...] 2003-03-04
[111] 웹사이트 Oman profile – Timeline https://www.bbc.co.u[...] 2012-09-11
[112] 뉴스 Sultan Qaboos of Oman dies aged 79 https://www.bbc.com/[...] 2020-01-11
[113] 웹사이트 Haitham bin Tariq appointed new ruler of Oman https://www.arabnews[...] 2020-01-11
[114] 웹사이트 Oman Geography 2007 http://home.kpn.nl/~[...]
[115] 웹사이트 Expedition Report: Dhofar Mountains Oman http://thenextchalle[...] 2011-04-30
[116] 웹사이트 Oman http://geosite.jankr[...] jankrogh.com
[117] 웹사이트 Nahwa – United Arab Emirates http://geosite.jankr[...]
[118] 논문 Meteorite accumulation surfaces in Oman: Main results of. Omani-Swiss meteorite search campaigns, 2001–2006. 4th Swiss Geoscience Meeting
[119] 웹사이트 Muscat (Seeb) Climate Oman http://www.world-cli[...] www.world-climates.com
[120] 웹사이트 Oman—Country Pasture/Forage Resource Profiles http://www.fao.org/a[...]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121] 웹사이트 Salalah Climate – Climate of Salalah Oman http://www.world-cli[...] world-climates.com
[122] 웹사이트 Weather—Oman http://news.bbc.co.u[...] BBC
[123] 뉴스 Snow blankets Oman's mountains as temperatures drop http://gulfnews.com/[...] 2014-02-16
[124] 서적 Philip's encyclopedia Philip's
[125] 웹사이트 Quriyat in Oman breaks world temperature record https://edition.cnn.[...] CNN
[126] 웹사이트 BirdLife Data Zone http://datazone.bird[...] datazone.birdlife.org
[127] 웹사이트 UNESCO World Heritage Center – Oman's Arabian Oryx Sanctuary : first site ever to be deleted from UNESCO's World Heritage List https://whc.unesco.o[...] UNESCO
[128] 웹사이트 Animal Tragedy http://www.y-oman.co[...] 2013-06-27
[129] 뉴스 Strays on streets a growing issue for Oman http://www.timesofom[...] 2014-03-22
[130] 웹사이트 Captive Creatures https://www.y-oman.c[...] 2013-11-21
[131] 웹사이트 Whales and dolphins of Oman – Dolphins, Humpbacks and Blue whales! http://www.wildlifee[...]
[132] 웹사이트 Q&A: Elections to Oman's Consultative Council https://www.bbc.co.u[...]
[133] 웹사이트 Oman http://www.freedomho[...]
[134] 웹사이트 OMAN Majles A'Shura (Consultative Council) http://www.ipu.org/p[...] Inter-Parliamentary Union
[135] 웹사이트 Oman http://www.freedomho[...] Freedom House 2012-01-17
[136] 뉴스 Waking up too http://www.economist[...] 2012-06-23
[137] 웹사이트 Country Report: Oman http://www.bti-proje[...] BTI Project
[138] 웹사이트 Human rights in the smaller Persian Gulf states: Bahrain, Kuwait, Oman, Qatar and UAE http://www.peacebuil[...] 2012-12-19
[139] 웹사이트 Basic Statute of the State http://mola.gov.om/N[...] Ministry of Legal Affairs
[140] 웹사이트 Amendment to Some of the Provisions of the Basic Statute of the State http://www.mola.gov.[...] Ministry of Legal Affairs
[141] 웹사이트 Legislative Branch https://web.archive.[...] 2013-01-19
[142] 웹사이트 Country Profiles (Legislature) – Oman http://www.arabparli[...] Arab Parliaments
[143] 웹사이트 Oman https://www.cia.gov/[...] CIA – The World Factbook 2011-10-29
[144] 웹사이트 Oman: A Unique Foreign Policy https://www.rand.org[...] RAND 2011-10-29
[145] 뉴스 India gets access to strategic Oman port Duqm for military use, Chabahar-Gwadar in sight http://indianexpress[...] 2018-02-13
[146] 웹사이트 According to SIPRI https://www.sipri.or[...]
[147] 웹사이트 Oman's Military Expenditures https://data.worldba[...] The World Bank 2019
[148] 웹사이트 The Gulf Military Forces in an Era of Asymmetric War https://web.archive.[...] Center for Strategic and International Studies 2006-06-28
[149] 웹사이트 Testing times for corvette https://web.archive.[...] Maritime Photographic 2012-03-15
[150] 웹사이트 The SIPRI Military Expenditure Database https://web.archive.[...] 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2011-10-29
[151] 뉴스 A balancing act http://www.economist[...] 2009-09-15
[152] 웹사이트 TOP LIST TIV TABLES https://web.archive.[...] 2017-06-22
[153] 웹사이트 Torture in Oman http://www.gc4hr.org[...] Gulf Center for Human Rights 2014-12-29
[154] 웹사이트 Torture in Oman http://www.gc4hr.org[...] Gulf Center for Human Rights 2014-12-29
[155] 웹사이트 BTI 2014 – Oman Country Report https://web.archive.[...] BTI Project 2014-12-29
[156] 웹사이트 State-sponsored Homophobia A world survey of laws prohibiting same sex activity between consenting adults https://web.archive.[...] 2014-12-31
[157] 서적 Oman: Events of 2018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18-12-17
[158] 웹사이트 Oman's Sultan Qaboos: a classy despot https://www.theguard[...] 2014-12-29
[159] 웹사이트 Country Report: Oman https://web.archive.[...] BTI Project 2016-06-03
[160] 뉴스 Oman: Journalists Sentenced Over Articles Alleging Corruption https://www.hrw.org/[...] Human Rights Watch 2017-03-02
[161] 웹사이트 2013 Human Rights Reports: Oman https://2009-2017.st[...] US Department of State 2014-12-29
[162] 뉴스 Oman liberalises foreign marriage law in rare social reform https://www.reuters.[...] 2023-04-19
[163] 웹사이트 A Taboo Subject: The Desperate Plight of Domestic Workers in Oman http://mideastposts.[...] Mideast Posts 2014-12-29
[164] 웹사이트 Things We Don't Talk About https://web.archive.[...] 2014-12-29
[165] 웹사이트 Is Any Country in The Middle East Safe for Migrant Workers? http://www.migrant-r[...] migrantrights.org 2014-12-29
[166] 웹사이트 Oman Archives https://www.amnesty.[...] Amnesty International 2022-04-15
[167] 웹사이트 About Oman https://web.archive.[...] National Center for Statistics & Information 2013-02-13
[168] 웹사이트 Governorates of Sultanate Of Oman https://web.archive.[...] Ministry of Information, Sultanate of Oman
[169] 웹사이트 Oman's Top 10 Exports https://www.worldsto[...] 2019-07-10
[170] 웹사이트 Elusive Employment: Development Planning and Labour Market Trends in Oman https://www.research[...] Researchgate 2014-09
[171] 웹사이트 Oman Country Report https://www.bti-proj[...] Transformation Index BTI 2018
[172] 간행물 U.S.-Oman pact expands Free Trade 2009-01-05
[173] 웹사이트 Indian migrant workers in Oman speak to the WSWS http://www.wsws.org/[...] Wsws.org 2005-10-28
[174] 웹사이트 Antony meets Indian diaspora in Oman https://web.archive.[...] Thaindian.com 2010-05-18
[175] 웹사이트 Oman Government Debt to GDP 2018 https://www.ceicdata[...] ceicdata.com 2018
[176] 웹사이트 Military expenditure (% of GDP) – Oman, World | Data https://data.worldba[...] World Bank 2019-09-04
[177] 웹사이트 Current health expenditure (% of GDP) – World, Oman | Data https://data.worldba[...] World Bank 2019-09-05
[178] 웹사이트 Research and development expenditure (% of GDP) – World, Oman | Data https://data.worldba[...] World Bank 2019-09-05
[179] 웹사이트 Government expenditure on education, total (% of GDP) – Oman, World | Data https://data.worldba[...] World Bank 2019-09-05
[180] 웹사이트 Government expenditure on education, total (% of GDP) https://data.worldba[...] The World Bank 2019-09-04
[181] 웹사이트 Military expenditure (% of GDP) https://www.indexmun[...] indexmundi 2019-09-04
[182] 웹사이트 Research and development expenditure (% of GDP) https://data.worldba[...] The World Bank 2019-09-04
[183] 웹사이트 health expenditure (% of GDP) https://data.worldba[...] The World Bank 2019-09-04
[184] 웹사이트 Oman: proven oil reserves http://www.indexmund[...] Indexmundi.com 2010-04-17
[185] 웹사이트 Oman: Energy data http://www.eia.doe.g[...]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2009-02-16
[186] 웹사이트 Home https://web.archive.[...] Ministry of Energy and Minerals 2013-01-19
[187] 논문 Lessons from the 1986 Oil Price Collapse https://web.archive.[...] 1986
[188] 웹사이트 Oman budget 2019 KPMG Insights https://home.kpmg/om[...] KPMG 2019
[189] 웹사이트 Oman's 2017 budget: An analysis https://home.kpmg/co[...] KPMG 2017
[190] 웹사이트 Central Bank of Oman Annual Report 2017 https://cbo.gov.om/s[...]
[191] 뉴스 Oman the comeback kid of oil https://web.archive.[...] The National 2012-09-09
[192] 뉴스 Oman to host International Gas Union Research Conference in 2020 https://web.archive.[...] 2019-09-05
[193] 웹사이트 Sustainable Development: Industry, Innovation and Infrastructure https://sdg-tracker.[...] United Nations 2019
[194] 웹사이트 2019 Article IV Consultation with Oman https://www.imf.org/[...] IMF 2019-07-03
[195] 웹사이트 Oman – Market Overview https://www.export.g[...] export.gov 2018
[196] 웹사이트 Global Innovation Index Organization https://www.globalin[...] Global Innovation Index Organization 2019
[197] 웹사이트 2019 Global Innovation Index Rankings http://statisticstim[...] Global Innovation Index Rankings 2019
[198] 웹사이트 United Nations Science, Technology and Innovation 2014 Review https://unctad.org/e[...] United Nations 2014
[199] 웹사이트 PCT patents, applications/million population https://tcdata360.wo[...] The World Bank 2016
[200] 웹사이트 Global Innovation Index 2024: Unlocking the Promise of Social Entrepreneurship https://www.wipo.int[...] www.wipo.int 2024-10-06
[201] 웹사이트 Travel & Leisure Market Research Reports and Industry Analysis http://www.marketres[...] Marketresearch.com 2013-06-09
[202] 뉴스 Oman Eyes Lucrative Business Tourism Market https://web.archive.[...] 2017-06-26
[203] 웹사이트 National Green Export Review of Oman: Tourism, Dates and Fish https://unctad.org/e[...] United Nations 2018
[204] 논문 Perceptions and Attitudes of Domestic Tourists toward Ecotourism https://papers.acade[...] 2023-05-26
[205] 웹사이트 Ras Al Jinz Map, Al Hadd, Ash Sharqiyah South Governorate, Oman {{!}} Sandee https://sandee.com/m[...] 2024-09-20
[206] 논문 The English Transliteration of Place Names in Oman https://www.research[...] 2011-09
[207] 웹사이트 Culture in Oman, Tourism https://web.archive.[...] Omanet.om 2013-06-09
[208] 웹사이트 Lonely Planet's Best in Travel: top 10 cities for 2012 – travel tips and articles http://www.lonelypla[...] Lonely Planet 2013-06-09
[209] 웹사이트 Postings of opinions published in the Gulf and international newspapers http://www.gulfinthe[...]
[210] 뉴스 VISITORS TO OMAN NOW NEED TO APPLY FOR A VISA IN ADVANCE https://web.archive.[...] 2019-11-11
[211] 웹사이트 Oman's population crosses 4.5 million https://timesofoman.[...] 2022-06-08
[212] 웹사이트 Fertility rate, total (Births per woman) - Oman | Data https://data.worldba[...] 2022-06-08
[213] 서적 State and Nation-Building in Pakistan: Beyond Islam and Securit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10-08
[214] 서적 Social and Gender Inequality in Oman: The Power of Religious and Political Tradit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215] 간행물 Creating Modern Oman: An Interview with Sultan Qabus http://www.foreignaf[...] 1997
[216] 서적 Democracy and Youth in the Middle East: Islam, Tribalism and the Rentier State in Oman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013
[217] 뉴스 Omanis flocking to Zanzibar, their ancestral home http://www.thenation[...] 2010-08-04
[218] 웹사이트 Arab legacy lingers as Pakistan's Gwadar grows from tiny fishing town into port city https://www.arabnews[...] 2019-04-29
[219] 웹사이트 Middle East OMAN https://www.cia.gov/[...] CIA The World Factbook 2021-12-21
[220] 웹사이트 Schism between Sunni and Shia has been poisoning Islam for 1,400 years – and it's getting worse https://www.independ[...] 2014-02-19
[221] 웹사이트 The Ibadi sect of Islam thrives in the Sultanate of Oman https://reuters.scre[...]
[222] 웹사이트 Oman to allow temple, gurdwara https://web.archive.[...] 2010-11-24
[223] 웹사이트 Basic Statute of the State http://mola.gov.om/b[...] Ministry Of Legal Affairs
[224] 간행물 The Sound System of Lawatiyya https://web.archive.[...] 2012-05
[225] 서적 Studies on Ibadism and Oman, Oman and Overseas Hildesheim 2013
[226] 웹사이트 Basic Information on Oman https://web.archive.[...]
[227] 웹사이트 Interactive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UNESCO
[228] 웹사이트 Sustainable Development Report Dashboards 2019 Oman https://dashboards.s[...] SDG Index 2019
[229] 웹사이트 Release of the Global Innovation Index 2020: Who Will Finance Innovation? https://www.wipo.int[...]
[230] 웹사이트 Global Innovation Index 2019 https://www.wipo.int[...]
[231] 웹사이트 RTD – Item https://ec.europa.eu[...] European Commission
[232] 웹사이트 Global Innovation Index https://web.archive.[...] 2013-10-28
[233] 웹사이트 National adult literacy rates (15+), youth literacy rates (15–24) and elderly literacy rates (65+) http://stats.uis.une[...] UNESCO Institute for Statistics
[234] 웹사이트 Oman https://web.archive.[...] Ranking Web of Universities
[235] 웹사이트 Share of the Population that is Undernourished https://ourworldinda[...] Our World in Data 2019
[236] 웹사이트 Prevalence of Undernourishment https://sdg-tracker.[...]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Tracker 2019
[237] 웹사이트 Healthcare Access and Quality Index https://ourworldinda[...] Our World in Data
[238] 웹사이트 Good Health https://sdg-tracker.[...] United Nation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2019
[239] 웹사이트 World Health Organization: "Monitoring Health for SDGs" 2018 report https://apps.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40] 웹사이트 Oman among least polluted countries in Asia https://www.omanobse[...] 2019-11-24
[241] 웹사이트 Major Economic & Social Indicators https://web.archive.[...] National Center for Statistics & Information
[242] 간행물 Four Decades of Progress 2010
[243] 웹사이트 World Health Organization Assesses the World's Health Systems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44] 웹사이트 Culture of Oman http://www.omansulta[...] Sultanate of Oman
[245] 웹사이트 Barriers To Developing 'Leadership' In The Sultanate Of Oman http://www.regent.ed[...] International Journal of Leadership Studies
[246] 웹사이트 The Ship Building Industry https://web.archive.[...] Ministry of Tourism, Sultanate of Oman 2013-01-20
[247] 웹사이트 Culture https://web.archive.[...] Omani Students Society 2013-01-20
[248] 웹사이트 Human rights https://www.amnesty.[...] Amnesty International 2015-08-02
[249] 웹사이트 Women's Traditional Clothing https://web.archive.[...] Oman Cultural Days Exhibition 2013-01-20
[250] 웹사이트 Introduction https://web.archive.[...] Oman Centre for Traditional Music
[251] 웹사이트 The Royal Oman Symphony Orchestra http://www.oman-tour[...] Oman Tours 2013-01-20
[252] 웹사이트 The Royal Oman Symphony Orchestra http://main.omanobse[...] 2010-11-09
[253] 웹사이트 #LoveOman video goes viral with 500, 000 views – Oman Observer https://web.archive.[...] 2015-11-13
[254] 웹사이트 City Cinema Oman | Cinema Theatres in Oman | Book Movie Tickets Online in Oman | Movie theatres in Oman | Oman Movie Theatre Tickets Online Booking https://web.archive.[...] 2016-03-04
[255] 웹사이트 Public Authority for Radio and Tv https://web.archive.[...] 2018-12-01
[256] 뉴스 Oman profile – Media https://www.bbc.com/[...] BBC 2015-01-13
[257] 웹사이트 مجان https://web.archive.[...] 2018-12-01
[258] 논문 Oman: Reform, Security, and U.S. Policy https://fas.org/sgp/[...] 2018-11-09
[259] 웹사이트 إذاعــة سلـطنة عمان ~ الإذاعة العامة https://web.archive.[...] 2018-12-01
[260] 뉴스 New radio stations T FM and Shabiba FM have officially launched in Oman https://timesofoman.[...] 2018-01-31
[261] 웹사이트 Muscat Media Group Profile http://mediate-oman.[...]
[262] 웹사이트 Oman https://web.archive.[...] 2015-04-23
[263] 웹사이트 The Media List http://mediate-oman.[...] 2018-12-01
[264] 웹사이트 Oman https://web.archive.[...] 2015-04-23
[265] 뉴스 2018 World Press Freedom Index Reporters Without Borders https://rsf.org/en/r[...] Reports Without Borders 2018-11-27
[266] 논문 Contemporary Art in Oman: Spaces And Places https://web.archive.[...] 2016-06-16
[267] 논문 Oman
[268] 뉴스 Oman National Museum a showcase of Sultanate's heritage and values https://timesofoman.[...] 2018-11-28
[269] 웹사이트 baitmuzna Our Story https://web.archive.[...] 2018-11-27
[270] 웹사이트 Bait Al Zubair Bait Al Zubair http://www.baitalzub[...] 2018-11-27
[271] 웹사이트 Traditional sports in Oman – relics of the rich Arabian history http://www.yourmiddl[...] 2013-04-29
[272] 웹사이트 Where can you practice sandboarding? https://sand-boardin[...] 2021-04-29
[273] 웹사이트 Bullfighting à la Batinah https://web.archive.[...] 2014-09-08
[274] 웹사이트 Continental Cup Finals start in Africa https://www.fivb.com[...] 2021-06-22
[275] 웹사이트 The Beach Handball 2012 World Championships http://www.muscatmut[...] 2012-07-08
[276] 웹사이트 Legends Cup promises to be true battle for honours - 'a la clasico' https://www.pressrea[...] 2020-11-09
[277] 웹사이트 T20 World Cup: Oman to host 'minimum six' games https://sportstar.th[...] 2021-07-16
[278] 웹사이트 Oman qualify for Touch Rugby World Cup in UK https://www.omanobse[...] 2024-04-25
[279] 웹사이트 UNdata http://data.un.org/e[...] 국連
[280] 웹사이트 IMF Data and Statistics https://www.imf.org/[...] 2021-10-14
[281] 뉴스 【オマーン・スルタン国特集】モハメッド・アルプサイディ駐日オマーン・スルタン国特命全権大使「日本の投資を歓迎」 日本経済新聞 2020-11-18
[282] 웹사이트 オマーン国 https://www.library.[...] 2021-01-01
[283] 웹사이트 イランのパートナー国、オマーン http://japanese.irib[...] IRIB 2014-03-13
[284] 뉴스 「オマーン訪問に不快感 イランがイスラエル批判」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18-10-27
[285] 뉴스 【オマーン・スルタン国特集】日本の技術・投資に期待/グリーン水素の生産拠点に 日本経済新聞 2020-11-18
[286] 기타 Oman Japan Friendship Association
[287] 서적 오만 2009
[288] 웹사이트 互いに支援!? 中東と東北 オマーンが被災地支援 中小企業の底力! http://www.nhk.or.jp[...] 日本放送協会(NHK) 2012-01-11
[289] 웹사이트 福島第一原発事故-屋内退避範囲内の南相馬市に所在する落合工機にオマーンの企業から26億円分の浄水器などの大量発注 http://water-news.in[...] 世界の水事情 2011-04-11
[290] 웹사이트 南相馬の町工場、浄水器を大量受注 オマーンの取引先が支援! http://www.kahoku.co[...] 河北新報 2011-04-08
[291] 웹사이트 【新聞/海外】 http://www.yabe-chos[...] 矢部澄翔 2012-01-11
[292] 웹사이트 駐日オマーン・スルタン国大使館 http://www.omanembas[...] 2021-08-07
[293] 웹사이트 5月7日~11日オマーン大使館「天空へのメッセージ」展開催の案内 http://japanarab.jp/[...] 日本アラブ協会 2012-05
[294] 뉴스 オマーンの淡水化プラント 伊藤忠、赤潮でも能力発揮 3段階前処理強み 日経産業新聞 2018-10-31
[295] 웹사이트 https://www.mofa.go.[...] 2021-08-18
[296] 웹사이트 県民経済計算 https://www.esri.cao[...] 2016-01-02
[297] 뉴스 【新興国ABC】オマーンのドゥクム経済特区 製油・物流の一大拠点 日経産業新聞 2018-10-15
[298] 웹사이트 世界の学校を見てみよう!オマーン https://www.mofa.go.[...] 外務省 2019-11-03
[299] 웹사이트 オマーン治安最新情報(2024年7月) 海外安全.jp 自立的な海外安全管理のための専門サイト https://kaigaianzen.[...] 2024-07-16
[300] 웹사이트 Oman Cricket https://www.icc-cric[...] 2023-09-30
[301] 기타
[302] 기타
[303] 웹인용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3 Edition. (Oman) https://www.imf.org/[...] 국제 통화 기금 2023-10-10
[304] 웹인용 Human Development Report 2023/24 https://hdr.undp.org[...] 유엔 개발 계획 2024-03-13
[305] 논문 오만해양제국의 융성과 추락 2010
[306] 기타
[307] 서적 오만의 종교 상황과 그 전망 한울 아카데미 2005
[308] 기타
[309] 기타
[310] 기타
[311] 기타
[312] 기타
[313] 기타
[314] 기타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