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산비행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비행장은 한국 전쟁 시기 유엔군이 사용했던 비행장으로, 현재의 부산 일대에 위치했다. 1950년 7월 말까지 유엔군은 부산 교두보로 밀려났고, K-9으로 명명된 이곳의 비행장은 C-54 수송기 착륙을 위해 긴급 개선되었다. 제18 전투비행단이 주둔했고, 452 폭격비행단과 제17 폭격비행단이 차례로 배치되어 A-26 Invader를 운용했다. 한국 전쟁 이후 대한민국 군에 인도되어 사용되다가, 1990년대 후반 센텀시티로 재개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없어진 공항 - 여의도공항
    여의도공항은 1916년 일제에 의해 건설된 한국 최초의 비행장이자 군사 훈련장으로, 만주 침략의 교두보 역할과 국내외 항공편 운항 기지로 사용되었으나, 홍수와 김포국제공항 건설로 폐쇄되어 현재는 여의도공원의 일부인 5·16광장으로 남아있다.
  • 대한민국의 없어진 공항 - 울산비행장
    울산비행장은 일제강점기인 1928년에 개항한 경상남도 최초의 비행장으로, 일본이 대륙 진출을 위한 군사적, 경제적 목적으로 건설하여 초기에는 일본항공수송의 도쿄-다롄 노선 중간 기착지로 활용되었으나, 시설 노후화와 대구비행장 개설 등으로 기능이 축소되어 1980년대에 폐쇄되었고 현재는 주택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 김해국제공항 - 중국국제항공 129편 추락 사고
    중국국제항공 129편 추락 사고는 2002년 김해국제공항 착륙 중 돗대산에 추락하여 129명이 사망한 사고이며, 기장의 부적절한 조종과 승무원 자원 관리 미흡이 원인으로 밝혀졌다.
  • 김해국제공항 - 공항로 (부산)
    부산광역시 강서구 명지동과 대저1동을 잇는 공항로는 르노삼성대로와 직결되고 남해고속도로제2지선, 중앙고속도로 등 주요 고속도로와 연결되며 낙동남로, 낙동북로 등 주요 도로와 교차하여 김해국제공항 방면으로 이어진다.
  • 대한민국의 교통에 관한 - 경제로 (시흥시)
    시흥시 정왕동에 위치한 경제로는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 의지를 담아 제정된 도로명으로, 서해안로 등과 교차하며 다양한 기업 및 시설이 주변에 위치한다.
  • 대한민국의 교통에 관한 -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는 대한민국 동남부에 위치한 도시로, MICE 산업, 금융, 서비스업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하며, 세계적인 무역항인 부산항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화 유적과 관광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부산비행장
비행장 정보
1953년 6월의 부산 동(K-9) 비행장
1953년 6월의 부산 동(K-9) 비행장
종류군용 비행장
위치부산
좌표35°10′10″N 129°07′54″E
사용 기간1950년 - 1990년
건설1950년
건설 주체미국 공군
해체해체됨
상태알 수 없음
소유알 수 없음
활주로
활주로 번호14/32
활주로 표면단단함
활주로 재료알 수 없음

2. 역사

1950년 7월, 유엔군이 부산 교두보로 밀려났을 때, 공병대는 K-9(부산비행장)의 이전 일본군 비행장을 긴급 개선하여 C-54 수송기가 착륙할 수 있게 했다.[1] 1950년 9월 8일, 제18 전투비행단이 아시야 비행장에서 K-9(부산비행장)으로 이동했다가 1950년 11월 평양 동부 비행장(K-24)으로 이동했다. 1951년 3월 5일에는 미 공군 C-54 #42-72663이 K-9에서 파손되었다.[2]

1951년 5월 23일, 452 폭격비행단이 Douglas A-26 Invader를 운용하며 K-9에 배치되었고, 1952년 5월 10일 제17 폭격비행단이 K-9에서 창설되어 452 폭격비행단을 대체했다.

K-9(부산비행장)는 1956년 대한민국 군에 인도되어 1990년대 초까지 사용되었다.[1] 1958년 8월 부산 수영 비행장이 개항, 1963년 9월 부산국제공항으로 이름이 변경되었고, 1976년 8월 김해국제공항으로 이전했다.[2] 1990년대 후반, K-9 기지 부지는 센텀시티로 재개발되었다.[1]

2. 1. 한국 전쟁

1950년 7월 말, 유엔군은 부산 교두보로 밀려났으며, 이 지역에는 상태가 좋지 않은 3개의 비행장이 있었다. 공병대는 K-9(부산비행장)의 이전 일본군 비행장을 긴급하게 개선하여 C-54와 같은 대형 수송기가 착륙할 수 있도록 했다.[1]

1950년 9월 8일, 제18 전투비행단이 아시야 비행장에서 K-9(부산비행장)으로 이동했고, 1950년 11월에는 평양 동부 비행장(K-24)으로 다시 이동했다.

1951년 3월 5일, 미국 공군 C-54 #42-72663이 K-9(부산비행장)에서 수리 불가능할 정도로 파손되었다.[2]

1951년 5월 23일, 452 폭격비행단은 Douglas A-26 Invader를 운용하며 K-9(부산비행장)에 배치되었다. 1952년 5월 10일, 제17 폭격비행단이 K-9(부산비행장)에서 창설되어 452 폭격비행단을 대체했다.

2. 2. 한국 전쟁 이후

K-9(부산비행장)는 1956년에 대한민국 군에 인도되어 1990년대 초까지 사용되었다.[1]

부산 수영 비행장은 1958년 8월에 개항하였고, 1963년 9월에 부산국제공항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2] 1976년 8월에는 공항이 김해국제공항으로 이전하였다.[2]

2. 3. 센텀시티 재개발

1990년대 후반, K-9 기지였던 이 부지는 센텀시티로 재개발되었다.[1]

참조

[1] 서적 Anything, Anywhere, Anytime: Combat Cargo in the Korean War DIANE Publishing
[2] 웹사이트 ASN Aircraft Accident Douglas C54D-10-DC 42-72663 http://aviation-safe[...] Aviation Safety Network 2013-05-22
[3] 저널 부산시, 입체도로(고가.지하도로)에 도로명주소 부여 http://bgtknews.com/[...] 주식회사 코리아문화기획사 2023-09-29
[4] 보고서 부산신항 진입도로 건설공사 대안설계요약보고서 https://policy.nl.go[...] 부산지방해양수산청 부산항건설사무소
[5] 기타 부산광역시_도시공간정보시스템 터널 현황 https://www.data.go.[...]
[6] 기타 의곡교차로~부산과학산업단지간 도로개설공사 T/K 수행하면서 http://www.yooshin.c[...]
[7] 기타 부산광역시 교통정보서비스센터 http://its.busan.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