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영어방송재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영어방송재단은 2008년 10월 6일 설립되어, 같은 해 12월 3일 방송 허가를 받은 부산광역시의 영어 방송국이다. 2009년 2월 27일 FM 90.5㎒로 개국하여, 2013년 중국어, 2016년 베트남어 방송을 시작했다. 2018년 1월부터 TBS eFM 네트워크 체제로 운영되었으나, 2024년 9월 9일 아리랑 라디오 네트워크 체제로 변경될 예정이다. 부산영어방송은 부산광역시 일원, 김해시, 창원시 진해구 일부, 거제시 일부, 양산시, 울산 울주군 및 일부 지역, 밀양시 일부 지역에서 청취 가능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9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글로벌광주방송
글로벌광주방송(GGN)은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FM 98.7㎒와 여수 구봉산 중계소 FM 93.7㎒를 통해 라디오 방송을 송출하며, 2009년 GFN광주영어방송으로 개국하여 영어, 중국어, 베트남어 등 다국어 방송을 제공하다가 2024년 7월 사명을 변경하고 아리랑 라디오 네트워크 체제로 전환했다. - 영어 라디오 방송국 - 아리랑 라디오
아리랑 라디오는 한국국제방송재단에서 운영하는 영어 라디오 방송으로, 2003년 제주도에서 개국하여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전 세계에 한국 관련 정보와 문화 콘텐츠를 제공하며, 뉴스, 문화, 음악 프로그램 및 심층 인터뷰를 제공한다. - 영어 라디오 방송국 - TBS eFM
TBS eFM은 서울특별시에서 허가받아 FM 101.3㎒로 송출되는 영어 라디오 방송국으로, 다국어 방송을 시도했으나 재정난으로 뉴스 프로그램을 폐지하고 현재 음악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서울, 경기 일부 지역에서 방송되며, 뉴스 폐지는 정보 접근성과 언론 다양성 감소에 대한 우려를 낳았다. - 부산광역시청 - 부산은행
부산은행은 1967년 설립되어 1972년 주식 시장에 상장된 대한민국의 지방 은행으로, 2011년 BS금융지주(현 BNK금융지주) 출범 이후 본점을 문현동으로 이전했으며, 롯데그룹과의 협력을 통해 ATM 수수료 혜택을 제공하고 부산, 서울 등에서 영업하며 해외 지점도 운영한다. - 부산광역시청 - 부산문화회관
부산문화회관은 대극장, 중극장, 소극장, 전시실, 국제회의장, 야외무대 등의 시설을 갖춘 복합 문화 공간으로, 부산 시립 예술 단체들이 상주하며 다양한 공연과 전시를 통해 지역 예술 발전과 시민들의 문화 향유 기회 확대에 기여한다.
부산영어방송재단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한국명 | 부산영어방송재단 |
영문명 | BeFM |
약칭 | Busan English Broadcasting |
개국일 | 2009년 2월 27일 |
구분 | 재단법인 |
본사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동로 41 센텀벤처타운 401호 |
설립 목적 | 부산권외국어방송 |
공식 사이트 이름 | 홈페이지 |
공식 사이트 | 홈페이지 |
회사 정보 | |
이름 | 재단법인 부산영어방송재단 |
원어 | Busan English Broadcasting |
창립 | 2008년 9월 17일 |
장소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동로 41 센텀벤처타운 4층 |
산업 | 방송·문화서비스업 |
웹사이트 | http://www.befm.or.kr |
2. 연혁
- 2008년 10월 6일: 부산영어방송 설립[1]
- 2008년 12월 3일: 부산영어방송 허가[1]
- 2009년 2월 27일: 부산영어방송 개국 (황령산송신소, FM 90.5㎒, 1㎾)[1]
- 2010년 9월 23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방송 실시 (안드로이드폰, 아이폰)[1]
- 2013년 10월 28일: 부산영어방송 중국어방송 개시[1]
- 2015년 2월 2일: 방송보조국 3국(기장, 정관, 녹산) 설치 FM 103.3㎒[2]
- 2016년 5월 29일: 부산영어방송 베트남어 방송 개시[3]
- 2018년 1월 1일: 아리랑 라디오 네트워크 잠정 중단, TBS eFM 네트워크 단독 체제 변경
- 2024년 9월 9일: TBS eFM 네트워크 체제 중단, 아리랑 라디오 네트워크 체제 변경
2. 1. 설립 및 초기 운영 (2008년 ~ 2010년)
2008년 10월 6일 부산영어방송이 설립되었고, 같은 해 12월 3일 방송 허가를 받았다.[1] 부산광역시는 6.5억원을, 국제방송교류재단과 부산은행, KNN, 부산대학교, 동서대학교는 공동으로 8.5억원을 출자하여 총 15억원의 지원금으로 방송국을 설립하였다.[1] 2009년 2월 27일, 부산영어방송은 황령산송신소(FM 90.5㎒, 1㎾)를 통해 개국하였다.[1] 부산영어방송재단 이사장은 부산광역시 행정부시장이 맡는다.[1] 부산에 거주하는 내외국인에게 부산에 관한 정보를 영어로 제공하며, 아리랑 라디오와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하루 24시간 방송을 하였다.[1] 2010년 9월 23일에는 안드로이드폰과 아이폰에서 이용 가능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방송을 시작하였다.[1]2. 2. 다국어 방송 확대 (2013년 ~ 2016년)
2013년 10월 28일 부산영어방송은 중국어 방송을 시작했다.[1] 2015년 2월 2일 기장, 정관, 녹산에 방송보조국 3곳을 설치하고 FM 103.3㎒로 방송을 송출했다.[2] 2016년 5월 29일 베트남어 방송을 시작했다.[3]2. 3. 네트워크 변화 (2018년 ~ 현재)
- 2018년 1월 1일: 아리랑 라디오 네트워크를 잠정 중단하고, TBS eFM 단독 네트워크 체제로 변경하였다.
- 2024년 9월 9일: TBS eFM 네트워크 체제를 중단하고, 아리랑 라디오 네트워크 체제로 변경할 예정이다.
3. 방송 정보
부산영어방송은 부산에 거주하는 내외국인에게 부산에 관한 정보를 영어로 제공하며, 아리랑 라디오와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하루 24시간 방송을 하고 있다. 주 주파수는 FM 90.5㎒이고, 보조 주파수는 FM 103.3㎒이다.
3. 1. 허가 내용
허가 연월일 | 2008년 12월 3일 |
---|---|
허가 번호 | 11-2008-01-0002550호 |
시설자 | 부산영어방송재단 |
방송국 명칭 | 부산영어FM방송국 |
무선설비 설치 장소 | |
호출 부호 | HLSX-FM |
주파수 | (주)FM 90.5㎒, (보조)FM 103.3㎒ |
전파 형식 | 260KF8EHF |
점유 주파수 대폭 | 260㎑ |
공중선 전력 | 1㎾(실효복사전력 1.95㎾) |
방송 구역 | 부산광역시 일원 및 김해시, 창원시 진해구 일부 |
3. 2. 시설 위치
본사는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에 위치하고 있다.[1]3. 3. 가청 권역
부산광역시 일원, 김해시, 창원시 진해구 일부 지역에서 청취 가능하다. 상세 가청 지역은 다음과 같다.지역 | 상세 가청 권역 |
---|---|
부산광역시 | 전 지역 |
김해시 | 시내 전체, 주촌면 전 지역, 진례면 일부 (진영읍에서는 청취 불가) |
창원시 | 진해구 용원동, 안골동 전 지역 |
거제시 | 옥포ㆍ장승포ㆍ일운면ㆍ장목면ㆍ하청면 전 지역, 동부면[1] ㆍ남부면[2] 일부 지역 (고현(수월동, 장평동 등), 거제면, 사등면, 하둔면에서는 전 지역 청취 불가) |
양산시 | 시내ㆍ동면 전 지역 |
통영시 | 한산면 일부 지역[3] |
울산광역시 | 울주군 일원, 시내 일부 지역 |
밀양시 | 삼랑진읍 일부 지역 |
4. 편성표
부산영어방송은 주중(월~금)과 주말(토, 일)로 나누어 편성표를 운영한다. 주중에는 뉴스, 시사, 영어 학습, 음악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방송하며, 주말에는 주중 프로그램 재방송과 영화음악 프로그램 등을 편성한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모닝 웨이브 인 부산', '부산 월드와이드', '미드데이 메이트', '4 Your Busan', '올스타 잉글리시' 등이 있으며, 아리랑 라디오 프로그램도 일부 편성된다. 외국어 프로그램으로는 베트남어 프로그램인 'Hello, Vietnam|헬로 베트남vi'과 중국어 프로그램인 '釜山华语知音(부산화어지음)'이 있다.
4. 1. 주중 (월요일 ~ 금요일)
시간 | 프로그램 |
---|---|
00:00 | World Classics (RE) (월), 4 Your Busan (RE) (화~금) |
02:00 | Culture Crunch|컬처 크런치영어 (RE) (아리랑 라디오) |
03:00 | K-Poppin'|케이팝핀영어 (RE) (아리랑 라디오) |
03:55 | 오늘의 회화 (화~금) |
04:00 | Hello, Vietnam|헬로 베트남vi (RE) (월), 釜山华语知音 (부산화어지음) (RE) (화~금) |
05:00 | All-Star English|올스타 잉글리시영어 1부 (RE) |
06:00 | All-Star English|올스타 잉글리시영어 2부 (RE) |
07:00 | Morning Wave In Busan|모닝 웨이브 인 부산영어 |
09:00 | #DailyK|데일리 케이영어 (아리랑 라디오) |
10:55 | 오늘의 회화 |
11:00 | BeFM News(11) |
11:05 | Busan Worldwide|부산 월드와이드영어 |
12:00 | BeFM News(12) |
12:05 | Midday Mate|미드데이 메이트영어 |
14:00 | H[a:rt] Attack|하트 어택영어 (아리랑 라디오) |
15:55 | 오늘의 회화 |
16:00 | BeFM News(16) |
16:05 | 4 Your Busan |
18:00 | BeFM News(18) |
18:08 | All-Star English|올스타 잉글리시영어 |
20:00 | Busan Worldwide|부산 월드와이드영어 (RE) |
21:00 | Midday Mate|미드데이 메이트영어 (RE) |
23:00 | 釜山华语知音 (부산화어지음) |
4. 2. 주말 (토요일, 일요일)
시간 | 토요일 프로그램 | 일요일 프로그램 |
---|---|---|
00:00 | 4 Your Busan (재방송) | World Classics (재방송) |
02:00 | (Arirang Radio) Culture Crunch (재방송) | (Arirang Radio) Culture Crunch (재방송) |
03:00 | (Arirang Radio) K-Poppin' (재방송) | (Arirang Radio) K-Poppin' (재방송) |
04:00 | 釜山华语知音 (재방송) | Hello, Vietnam (재방송) |
05:00 | All-Star English (재방송) | 4 Your Busan (재방송) |
07:00 | World Classics | World Classics |
09:00 | Weekly Review | Sunday Jukebox |
10:00 | News Rewind | |
11:00 | Busan Worldwide | BeFM School Reporters |
12:00 | Midday Mate | Midday Mate |
14:00 | (Arirang Radio) H[a:rt] Attack | (Arirang Radio) H[a:rt] Attack |
16:00 | 4 Your Busan | 4 Your Busan |
18:00 | Cine Concerto | Cine Concerto |
20:00 | Busan Worldwide (재방송) | News Rewind (재방송) |
21:00 | Midday Mate (재방송) | Midday Mate (재방송) |
23:00 | Hello, Vietnam | Hello, Vietnam |
5. 네트워크 협력
부산영어방송은 아리랑 라디오와 네트워크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5. 1. 아리랑 라디오
2009년 2월 27일에 개국하였다. 부산영어방송재단은 아리랑 라디오와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하루 24시간 방송을 하고 있다.5. 2. TBS eFM
2009년 2월 27일 부산광역시에서 6.5억원, 국제방송교류재단, 부산은행, KNN, 부산대학교, 동서대학교에서 공동으로 8.5억원을 출자하여 총 15억원의 지원금으로 설립되었다. 부산영어방송재단 이사장은 부산광역시 행정부시장이다. 부산에 거주하는 내외국인에게 부산에 관한 정보를 영어로 제공하며, 아리랑 라디오와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하루 24시간 방송을 하고 있다.참조
[1]
문서
학동 지역 청취 제한
[2]
문서
해금강, 다대, 여차, 홍포 지역 청취 제한
[3]
문서
매물도, 홍도 지역 청취 제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