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양시는 경상남도 북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가야 시대부터 신라, 고려, 조선 시대를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1989년 밀양읍이 시로 승격되었고, 1995년 밀양군과 통합하여 도농복합시가 되었다. 낙동강과 밀양강 유역의 비옥한 평야를 바탕으로 농업이 발달했으며, 최근에는 산업단지 조성과 KTX 운행으로 교통의 중심지로 발전하고 있다. 현재 시장은 박일호이며, 16개의 행정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밀양 아리랑의 고장으로 알려져 있으며, 영남루, 표충사 등 다양한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밀양시의 행정 구역 - 내일동
경상남도 밀양시 내일동은 조선시대 밀양읍성의 중심지로, '부내면에서 으뜸가는 동네'라는 의미를 가지며, 영남루, 밀양읍성, 아랑각 등 밀양시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유적들이 위치한 곳이다. - 밀양시의 행정 구역 - 삼랑진읍
삼랑진읍은 낙동강과 밀양강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여 세 갈래 물결이 일렁이는 나루라는 뜻으로 유래했으며, 삼랑진역을 중심으로 교통의 요지이고, 만어사, 김범우 순교자 성지, 작원관 등의 문화·관광 자원이 있으며, 딸기와 복숭아가 특산물이다. - 밀양시 - 밀양도서관
밀양도서관은 밀양시에 위치한 공공 도서관으로, 1973년 개관 이후 청사 이전, 전산화, 평생학습관 지정 등을 거쳐 현재 자료실, 열람실, 편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 밀양시 - 병신춤
병신춤은 경상남도 밀양에 전해지는 전통 가면극으로, 죽은 자의 영혼과의 교류를 흉내 내며 양반과 아전을 풍자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일제강점기에 금지되었다가 광복 후 부활하여 공옥진의 공연을 통해 대중에게 알려졌다. - 경상남도의 도시 - 진주시
진주시는 경상남도 서부 내륙에 위치한 오랜 역사의 도농복합시로, 진주성 전투, 진주유등축제 등 문화 관광 자원과 진주실크, 진주비빔밥 등의 특산물이 유명하며, 교육 도시로서의 면모도 갖추고 있다. - 경상남도의 도시 - 거제시
거제시는 경상남도 남쪽 해안에 위치한 도농복합시로, 고대부터 해상 교통 요충지이자 왜구 방어의 역할을 수행했으며, 임진왜란과 한국전쟁의 역사적 배경을 지니고 1970년대 이후 조선업 발전과 교통 인프라 확충을 통해 성장해왔고, 김영삼, 문재인 전 대통령을 배출한 곳이다.
밀양시 | |
---|---|
지도 정보 | |
![]()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밀양시 |
한글 표기 | 밀양시 |
한자 표기 | 密陽市 |
로마자 표기 | Miryang-si |
맥큔-라이샤워 표기 | Miryang-si |
지역 | 영남 |
방언 | 경상 방언 |
행정 구역 | |
행정 구역 종류 | 행정 구역 |
하위 행정 구역 | 2읍 9면 5동 |
인구 | |
총 인구 | 100,802명 |
인구 조사 시점 | 2024년 9월 |
인구 밀도 | 140.9명/km² |
2023년 총 인구 | 102,084명 |
2023년 남자 인구 | 50,356명 |
2023년 여자 인구 | 51,728명 |
2021년 총 인구 | 103,525명 |
2021년 세대수 | 53,120세대 |
면적 | |
총 면적 | 799.03 km² |
총 면적 (추가) | 798.94 km² |
총 면적 (추가2) | 799.01 km² |
정치 | |
시장 | 박일호(국민의힘) |
국회의원 | 박상웅 (국민의힘, 밀양시·의령군·함안군·창녕군) |
정부 | |
시장 | 안병구 (국민의힘) |
시청 소재지 | 밀양대로 2047 |
상징 | |
시목 | 소나무 |
시화 | 철쭉 |
시조 | 까치 |
![]() | |
![]() | |
기타 정보 | |
시간대 | 한국 표준시 |
UTC 오프셋 | +9 |
지역 번호 | +82-55 |
웹사이트 | 밀양시 공식 웹사이트 |
웹사이트 (추가) | 밀양시청 |
2. 역사
밀양은 삼한 시대에 변한의 부족 중 하나인 미리미동국(Mirimidongguk)의 영토였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후 금관가야의 지배를 받았다가 신라에 병합된 것으로 추정된다. 삼국사기에는 505년 신라 지증왕이 미리미동국을 병합했다는 기록이 있다.
1194년에는 밀양에서 김사미와 효심이 이끄는 대규모 반군과 왕실 군대 간의 전투가 벌어져 7,000명 이상의 반군이 사망했다.[7] 13세기 후반 고려 충렬왕 때 조천이 이끄는 지역 주민들이 반란을 일으키자 밀주는 경주의 속현으로 강등되었다가, 이후 현(縣)이 되었다가 고려 공양왕 때 부(府)로 승격되었다.
조선 시대가 시작되면서 밀양은 현재의 이름으로 불리기 시작했다. 조선 태조가 부에서 군(郡)으로 강등시켰다가 다시 부로 승격시키면서 밀성에서 밀양으로 개칭되었다. 조선 태종 때 다시 군으로 강등되었다가 도호부가 되었고, 1895년에는 다시 군이 되었으며 20세기 후반까지 그 지위를 유지했다.
일제강점기에는 밀양에서 한국 독립 운동과 일본군 간의 여러 충돌이 발생했다. 1919년 3·1 운동 당시 약 1만 3,500명의 밀양 주민들이 한국 독립을 지지하는 평화 시위에 참여했고, 이로 인해 150명의 한국 민간인이 일본군에게 총살당하는 "밀양 학살"이 발생했다.[8] 1920년 11월에는 독립운동가 최수봉이 밀양 경찰서에 폭탄 두 개를 설치하여 폭파시켰고, 자살을 시도했으나 실패했으며, 이후 처형되었고 공범들은 투옥되었다.[9]
1989년 시 중심부가 나머지 밀양에서 분리되어 밀양시(Miryang-si)로 명명되었다. 1995년 시 중심부가 다시 합쳐져 전체 지역이 밀양시로 불리게 되었는데, 이는 모두 대한민국 지방자치제의 전반적인 개편의 일환이었다.
2004년에는 밀양 집단 성폭행 사건이 발생하여 전국적인 관심을 받았다.
2. 1. 고대
본래 가야의 영역이었는데, 신라가 점령하고 추화군(推火郡)을 설치하였다. 신라 효소왕 때(692년 ~ 702년), 사리(使吏) 간진(侃珍)이 추화군(推火郡) 능절(能節)의 지대(地代) 30석을 거두어 성중(城中)으로 수송(輸送)하였다는 단편적인 기록이 있다.[40]757년(신라 경덕왕 16년) 밀성군(密城郡)으로 개칭되고, 아래 속현 5개를 관할하였다. (신라의 행정 구역 참조.)
구 명칭 | 신 명칭 | 현대의 비정 위치 |
---|---|---|
서화현(西火縣) | 상약현(尙藥縣) | 창녕군 영산면 |
추포현(推浦縣) 또는 죽산(竹山) | 밀진현(密津縣) | 삼랑진읍 |
오야산현(烏也山縣) 또는 구도(仇道), 오례산(烏禮山) | 오악현(烏岳縣) | 청도군 청도읍 |
경산현(驚山縣) | 형산현(荊山縣) | 청도군 화양읍 |
솔이산현(率已山縣) | 소산현(蘇山縣) | 청도군 매전면 |
승려 보양(寶壤)이 추화군의 봉성사(奉聖寺)에 머물렀다는 기록이 있다.[40]
940년(고려 태조 23년) 상약현이 영산현으로 개칭되고, 천산부곡이 수산현(守山縣)으로 승격하였다. 오악, 형산, 소산 3개 현이 합병하여 청도군이 되었으나, 곧 다시 밀성의 속현이 되었다.[40]
995년 밀주(密州)로 승격하였다.[40]
1018년(고려 현종 9년) 다시 밀성군이 되었고, 지군사(知郡事)를 두었다. 창녕군, 현풍현, 계성현, 풍각현, 수산현이 밀성의 속현이 되었다.[40]
2. 2. 고려 시대
- 940년(고려 태조 23년) 상약현이 영산현으로 개칭되고, 천산부곡이 수산현(守山縣)으로 승격하였다. 오악, 형산, 소산 3개 현이 합병하여 청도군이 되었으나, 곧 다시 밀성의 속현이 되었다.
- 995년 밀주(密州)로 승격하였다.
- 1018년(고려 현종 9년) 다시 밀성군이 되었고, 지군사(知郡事)를 두었다. 창녕군, 현풍현, 계성현, 풍각현, 수산현이 밀성의 속현이 되었다.
- 1100년경, 밀양향교가 창건되었다.
- 1109년 청도현이 주현으로 승격하였다.
- 1172년 창녕현이 주현으로 승격하였다.
- 1274년(충렬왕 원년), 귀화부곡(歸化部曲)으로 강등하여 동경(경주)에 편입하였다. 이때 영산현이 주현으로 승격하였다.
- 1285년(충렬왕 11년) 다시 밀성군이 되었다.
- 1365년(공민왕 14년), 밀양부사 김주가 옛 영남사 터에 누각을 개창하여 절 이름을 따서 영남루라고 하였다.
- 1366년 계성현이 영산현의 속현으로 편입되었다.
- 1389년 현풍현이 주현으로 승격하였다.
- 1390년(공양왕 2년) 밀양부(密陽府)로 승격되었다. 아울러 계성현이 다시 밀양의 속현이 되었다.
2. 3. 조선 시대
- 940년(고려 태조 23년) 상약현이 영산현으로 개칭되고, 천산부곡이 수산현(守山縣)으로 승격되었다. 오악, 형산, 소산 3개 현이 합병하여 청도군이 되었으나, 곧 다시 밀성의 속현이 되었다.
- 995년 밀주(密州)로 승격하였다.
- 1018년(고려 현종 9년) 다시 밀성군이 되었고, 지군사(知郡事)를 두었다. 창녕군, 현풍현, 계성현, 풍각현, 수산현이 밀성의 속현이 되었다.
- 1100년경, 밀양향교가 창건되었다.
- 1109년 청도현이 주현으로 승격하였다.
- 1172년 창녕현이 주현으로 승격하였다.
- 1274년(고려 충렬왕 원년), 귀화부곡(歸化部曲)으로 강등하여 동경(경주)에 편입하였다. 이때 영산현이 주현으로 승격하였다.
- 1285년(고려 충렬왕 11년) 다시 밀성군이 되었다.
- 1365년(고려 공민왕 14년), 밀양부사 김주가 옛 영남사 터에 누각을 개창하여 절 이름을 따서 영남루라고 하였다.
- 1366년 계성현이 영산현의 속현으로 편입되었다.
- 1389년 현풍현이 주현으로 승격하였다.
- 1390년(고려 공양왕 2년) 밀양부(密陽府)로 승격되었다. 아울러 계성현이 다시 밀양의 속현이 되었다.
- 1392년(조선 태조 원년) 다시 밀성군이 되었다.
- 1394년(조선 태조 3년) 다시 밀양부로 승격하였다. 계성현이 영산현에 편입되었다.
- 1401년(조선 태종 원년) 다시 밀성군이 되었다.
- 1415년(조선 태종 15년) 1천 가구 이상인 고을을 도호부로 하면서 밀양도호부(密陽都護府)가 되었다. 조선 세종 때 기준으로, 수산현(守山縣)과 풍각현(豐角縣)을 속현(屬縣)으로 두고 있었고, 향(鄕)이 1개(내진향(來進鄕)), 부곡(部曲)이 3개(두야보(豆也保)·이동음(伊冬音)·금음물(今音勿))였다.
- 1479년(조선 성종 10년), 밀양읍성이 신축되었다.
- 1592년 5월 27일(음력 4월 17일) 박진은 부산과 동래가 함락되었다는 소식에 겁을 먹어 전투다운 전투도 못하고 밀양으로 후퇴하였고, 5월 28일(음력 4월 18일) 박진은 군민 300명을 모아 밀양 작원관에서 부산진과 동래에서의 전투 이후 최초로 전투다운 전투를 벌였다. (→경상도 및 충청도 함락)
- 1599년, 권응수가 밀양부사로 부임하였다.
- 1603년, 여우길이 밀양부사로 부임하였다.
- 1684년에 옛 풍각현 지역은 대구도호부에 편입되었다.[40] 수산현은 현재 하남읍 수산리라는 지명으로 남아있다.
2. 4. 근현대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대구부 밀양군으로 개편하였다.[41]
- 1896년 8월 4일 경상남도 밀양군으로 개편하였다.[42]
- 1897년 11월 1일 사립개창학교(현, 밀양초등학교)가 설립되었다.
- 1905년 1월 1일 경부선 개통으로 밀양역이 영업을 개시하였다.
- 1912년 12월 1일 경상북도 청도군 외서면(外西面)을 밀양시에 편입하고 청도면으로 개칭하였다.[43] (13면)
- 1914년 7월 11일 밀양성내동 우편소(현, 밀양우체국)가 개설되었다.
- 1918년 부내면을 밀양면으로, 천화산내면을 산내면으로, 천화산외면을 산외면으로, 상서초동면을 초동면으로, 상서이동면을 이동면으로 개칭하였다.
- 1924년 5월 6일 밀양공립농잠학교(현, 부산대학교에 흡수)가 개교하였다.
- 1928년 4월 1일 하동면을 삼랑진면으로 개칭하였다.[44]
- 1931년 4월 1일 밀양면을 밀양읍으로 승격하였다.[45] (1읍 12면)
- 1933년 1월 1일 이동면과 하서면을 무안면으로 통합하였다.[46] (1읍 11면)
- 1945년 5월 5일 밀양공립공업전수학교(현, 밀양중학교)가 개교하였다.
- 1952년 9월 1일 밀양군 교육구청이 설립되었다.
- 1963년 1월 1일 삼랑진면을 삼랑진읍으로 승격하였다.[47] (2읍 10면)
- 1966년 7월 15일 삼랑진읍 임천출장소를 설치하였다.[48]
- 1971년 3월 4일 밀양종합고등학교(현, 밀양고등학교)가 개교하였다.
- 1973년 6월 11일 밀양 군립 도서관이 개관하였다.
- 1973년 7월 1일 하남면을 하남읍으로 승격하였다.[49] (3읍 9면)
- 1974년 4월 15일 밀양군립박물관(현, 밀양시립박물관)이 개관하였다.
- 1986년 11월 10일 밀양시외버스터미널이 면허를 받아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 1989년 1월 1일 밀양읍 일원을 관할로 밀양시가 설치되었다.[50] (2읍 9면 6행정동)
- 1990년 밀양소방서가 개소하였다.
- 1995년 1월 1일 밀양시와 밀양군이 통합하여 도농복합형태의 밀양시가 설치되었다.[51]
- 1998년 9월 21일 용활동을 내일동에 통합하였다. (2읍 9면 5행정동)
- 2001년 11월 밀양댐이 준공되었다.
- 2004년 4월 1일 밀양역에 KTX 고속열차가 정차하기 시작하였다.
- 2006년 1월 25일 신대구부산고속도로 민자구간(82.05km)이 밀양시를 남북으로 가로지르며 개통[52]되었고, 밀양 나들목, 남밀양 나들목, 삼랑진 나들목이 신설되었다.
- 2006년 3월 1일 밀양대학교와 부산대학교가 통합하여 부산대학교 밀양캠퍼스가 출범하였다.
- 2008년 밀양대공원이 준공되었다.
- 2020년 국립밀양기상과학관과 밀양아리랑우주천문대가 준공되어 개관되었다.[53]
2. 5. 현대 (밀양시)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대구부 밀양군으로 개편하였다.[41]
- 1896년 8월 4일 경상남도 밀양군으로 개편하였다.[42]
- 1897년 11월 1일 사립개창학교(현, 밀양초등학교)가 설립되었다.
- 1905년 1월 1일 경부선이 개통되면서 밀양역이 영업을 개시하였다.
- 1912년 12월 1일 경상북도 청도군 외서면(外西面)을 밀양시에 편입하였다.[43] 이후 외서면은 청도면으로 개칭되었다.
- 1914년 7월 11일 밀양성내동 우편소(현, 밀양우체국)가 개설되었다.
- 1918년 부내면을 밀양면으로, 천화산내면을 산내면으로, 천화산외면을 산외면으로, 상서초동면을 초동면으로, 상서이동면을 이동면으로 개칭하였다.
- 1924년 5월 6일 밀양공립농잠학교(현, 부산대학교에 흡수)가 개교하였다.
- 1928년 4월 1일 하동면을 삼랑진면으로 개칭하였다.[44]
- 1931년 4월 1일 밀양면을 밀양읍으로 승격하였다.[45]
- 1933년 1월 1일 이동면과 하서면을 합병하여 무안면을 설치하였다.[46]
- 1945년 5월 5일 밀양공립공업전수학교(현, 밀양중학교)가 개교하였다.
- 1952년 9월 1일 밀양군 교육구청이 설립되었다.
- 1963년 1월 1일 삼랑진면을 삼랑진읍으로 승격하였다.[47]
- 1966년 7월 15일 삼랑진읍 임천출장소를 설치하였다.[48]
- 1971년 3월 4일 밀양종합고등학교(현, 밀양고등학교)가 개교하였다.
- 1973년 6월 11일 밀양 군립 도서관이 개관하였다.
- 1973년 7월 1일 하남면을 하남읍으로 승격하였다.[49]
- 1974년 4월 15일 밀양군립박물관(현, 밀양시립박물관)이 개관하였다.
- 1986년 11월 10일 밀양시외버스터미널이 면허를 받아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 1989년 1월 1일 밀양읍 일원을 관할로 밀양시가 설치되었다.[50]
- 1990년 밀양소방서가 개소하였다.
- 1995년 1월 1일 밀양시와 밀양군을 통합하여 도농복합형태의 밀양시가 설치되었다.[51]
- 1998년 9월 21일 용활동을 내일동에 통합하였다.
- 2001년 11월 밀양댐이 준공되었다.
- 2004년 4월 1일 밀양역에 KTX 고속열차가 정차하기 시작하였다.
- 2006년 1월 25일 신대구부산고속도로 82.05km 민자구간이 밀양시를 남북으로 가로지르며 개통[52]되었다. 밀양 나들목, 남밀양 나들목, 삼랑진 나들목이 이때 신설되었다.
- 2006년 3월 1일 밀양대학교와 부산대학교가 통합하여 부산대학교 밀양캠퍼스가 출범하였다.
- 2008년 밀양대공원이 준공되었다.
- 2020년 국립밀양기상과학관과 밀양아리랑우주천문대가 준공되어 개관되었다.[53]
3. 지리
화악산과 가지산 지맥이 북동쪽에 융기해 있어 산세가 험준한 산간지대를 이루지만, 남쪽은 낙동강과 밀양강 유역에 광활한 상남·하남 평야가 펼쳐져 곡창지대를 이룬다.[54] 수자원이 풍부하여 일찍이 섬유공업이 발달했으며, 남천강변에 휴양지가 많아 입지적으로 상공업 발달에도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54]
낙동강은 창녕군 쪽에서 동진하여 초동면·하남읍-창원시 동읍·대산면·김해시 한림면 사이의 경계를 이루며 흐르다가 삼랑진읍과 김해시 생림면 간의 경계에서 밀양강과 합류한다. 밀양강의 본류인 동창천은 울산광역시 울주군 두서면의 고헌산에서 발원하여 남류하다가 밀양으로 진입하여 단장천, 감존천, 범곡천, 직현천 등과 합류하고, 상동면에서 청도천과 합류하여 본격적으로 밀양강이 되어 남류하다 낙동강에 합류한다.[54]
밀양의 지리는 밀양강과 낙동강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밀양 전체는 낙동강 유역에 있으며, 낙동강 자체는 밀양의 남쪽 경계를 따라 흐른다. 도시 대부분은 밀양강에 의해 배수되는데, 밀양강은 울산 서부에서 발원하여 도시 중심부를 통과하여 삼랑진읍에서 낙동강과 합류한다. 일부 지역은 내진천을 포함한 다른 낙동강 지류에 의해 배수된다.
밀양 시내 남쪽의 밀양강 계곡은 비옥한 평야로 넓어진다. 삼랑진읍, 상남면, 하남읍을 포함한 이 지역은 지역의 곡창지대 역할을 하며 거의 전적으로 벼농사에 전념하고 있다. 하남읍에서는 낙동강을 따라 이어지는 또 다른 평야와 합류한다.
밀양의 더 큰 저수지로는 밀양호와 안태호가 있다.
3. 1. 산
밀양의 지형은 북동쪽의 영남알프스의 높은 봉우리에서 남서쪽의 낙동강 유역으로 경사져 있다. 밀양에서 가장 높은 산은 북쪽 경계에 있는 가지산(1240m)이다.[54] 경계를 따라 있는 다른 높은 봉우리로는 화악산과 천황산(재약산)이 있다.[54] 이 봉우리들은 태백산맥의 지맥인 영남알프스의 일부이다.[54] 화악산은 조선 때에는 밀양의 진산(鎭山)으로 여겨졌다.[54]더 남쪽으로 가면 산들은 낮아지지만 여전히 매우 빈번하다. 이 지역의 주목할 만한 봉우리로는 삼랑진의 마네산과 양산과의 경계에 있는 천태산이 있다. 가파른 산골짜기가 많으며, 이곳은 종종 관개 또는 식수를 위한 물을 저장하는 저수지로 사용된다.[54]
3. 2. 기후
밀양시는 남부내륙지방에 위치하여 한서의 차가 심하며, 특히 여름에는 대구광역시와 함께 전국적으로 가장 무더운 도시로 유명하다. 연평균 강수량은 1226.6mm 정도로, 비가 많이 오는 경상남도의 기후 특징을 감안하면 많은 강수량은 아니다. 인근 대도시인 대구광역시와 유사한 기후를 보인다.[55][56]밀양시는 북동쪽의 가지산, 북서쪽의 화악산 지맥에 접해 있으며, 동쪽의 재약산과 남서쪽의 종남산을 등지고 있어 계절풍의 영향을 받는다. 사면이 산으로 둘러싸여 연평균 기온은 12.9°C로 온화하며, 연평균 습도는 69%로 국내 평균 수준이다. 풍속은 연간 1.6m/s로, 겨울에는 북북서 또는 북동풍이, 여름에는 남동, 남서풍이 분다. 그러나 재약산과 종남산의 영향으로 여름철 남서풍은 적게 나타난다. 연평균 강수량은 1360mm로, 6월, 7월, 8월 3개월 동안 연 강우량의 65%가 집중되는 남부평지 다우형 기후를 보인다. 여름을 제외한 봄, 가을, 겨울은 건조한 편이다.[57]
밀양은 온대 기후를 가지며, 평균 풍속은 약 1.4m/s, 평균 기온은 14.4°C이다. 2004년 연 강수량은 1377.4mm였다.[10] 북쪽 산들은 북풍과 악천후를 막아주지만, 남쪽에서 오는 열대성 폭풍에는 취약하다. 태풍과 장마철에 홍수 피해가 잦지만, 그 외 자연재해는 드물다.[11]
월 | 최고 기온 기록 (°C) | 최저 기온 기록 (°C) | 평균 기온 (°C) | 강수량 (mm) | 강수 일수 | 습도 (%) | 일조 시간 |
---|---|---|---|---|---|---|---|
1월 | 18.1 | -15.8 | 0.5 | 21.2 | 3.9 | 58.9 | 188.0 |
2월 | 23.7 | -15.6 | 2.8 | 33.0 | 4.7 | 56.7 | 184.6 |
3월 | 26.2 | -10.4 | 7.7 | 59.0 | 6.8 | 58.3 | 208.2 |
4월 | 31.1 | -3.9 | 13.2 | 90.5 | 8.2 | 59.7 | 214.2 |
5월 | 36.6 | 1.0 | 18.3 | 106.7 | 8.6 | 64.0 | 225.9 |
6월 | 36.1 | 7.4 | 22.3 | 155.9 | 9.5 | 69.5 | 175.5 |
7월 | 39.4 | 13.4 | 25.6 | 259.3 | 13.5 | 77.3 | 151.5 |
8월 | 39.0 | 12.9 | 26.1 | 240.6 | 12.8 | 76.7 | 172.7 |
9월 | 35.9 | 5.3 | 21.5 | 144.4 | 8.7 | 74.7 | 160.6 |
10월 | 30.8 | -2.7 | 15.2 | 53.3 | 4.3 | 71.1 | 197.4 |
11월 | 26.1 | -8.1 | 8.4 | 40.1 | 5.1 | 68.0 | 174.4 |
12월 | 19.9 | -14.5 | 2.1 | 22.6 | 4.0 | 61.8 | 183.9 |
연 | 39.4 | -15.8 | 13.6 | 1226.6 | 66.4 | 2236.9 |
4. 행정 구역
밀양시의 행정 구역은 2개 읍, 9개 면, 5개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799.01km2이며, 2013년 12월 말을 기준으로 47,801세대, 10만 8,295명이 거주하고 있다.[58]
이름 | 한자 | 인구 | 면적 | 지도 |
---|---|---|---|---|
삼랑진읍 | 三浪津邑 | 7,252 | 78.31 | ![]() |
하남읍 | 下南邑 | 8,430 | 37.09 | |
부북면 | 府北面 | 6,325 | 55.31 | |
상동면 | 上東面 | 3,093 | 52.01 | |
산외면 | 山外面 | 3,027 | 35.41 | |
산내면 | 山內面 | 3,902 | 107.49 | |
단장면 | 丹場面 | 4,293 | 142.12 | |
상남면 | 上南面 | 10,229 | 56.11 | |
초동면 | 初同面 | 3,572 | 48.45 | |
무안면 | 武安面 | 5,806 | 100.33 | |
청도면 | 淸道面 | 1,898 | 57.44 | |
내일동 | 內一洞 | 3,803 | 12.07 | |
내이동 | 內二洞 | 11,146 | 3.06 | |
교동 | 校洞 | 7,154 | 4.61 | |
삼문동 | 三門洞 | 20,160 | 2.93 | |
가곡동 | 駕谷洞 | 8,205 | 6.21 |
행정구역[15] | 인구 | 면적 (km²) | 인구밀도 | 행정리 또는 통 수 |
---|---|---|---|---|
삼랑진읍 | 8,784 | 78.37 | 112.1 | 31 |
하남읍 | 9,762 | 37.09 | 263.2 | 33 |
부북면 | 7,467 | 55.31 | 135.0 | 22 |
상남면 | 11,719 | 56.11 | 208.9 | 31 |
상동면 | 3,423 | 52.01 | 65.8 | 18 |
산내면 | 4,205 | 107.49 | 39.1 | 23 |
산외면 | 3,143 | 35.41 | 88.8 | 19 |
단장면 | 4,542 | 142.12 | 32.0 | 24 |
초동면 | 4,135 | 48.45 | 85.3 | 24 |
무안면 | 6,646 | 100.33 | 66.2 | 28 |
청도면 | 2,214 | 57.44 | 38.5 | 12 |
교동 | 8,055 | 4.61 | 8 | |
내일동 | 5,309 | 12.07 | 1,747.2 | 10 |
내이동 | 10,347 | 3.06 | 3,381.4 | 12 |
가곡동 | 10,509 | 6.21 | 1,692.2 | 13 |
삼문동 | 15,936 | 2.93 | 5,438.9 | 14 |
행정동·읍·면 | 법정동·법정리 |
---|---|
내일동 | 내일동, 용평동, 활성동 |
내이동 | 내이동, 삼문동 |
교동 | 교동 |
삼문동 | 삼문동 |
가곡동 | 가곡동, 남포동 |
삼랑진읍 | 송지리, 검세리, 안대리, 행곡리, 율동리, 우곡리, 삼랑리, 미전리, 용전리, 임천리, 숭진리, 청학리, 용성리 |
하남읍 | 수산리, 양동리, 명례리, 백산리, 파서리, 남전리, 대사리, 귀명리 |
부북면 | 운전리, 전사포리, 후사포리, 제대리, 감천리, 오례리, 덕곡리, 청운리, 가산리, 대항리, 퇴로리, 월산리, 위량리, 무연리, 춘화리, 용지리 |
상동면 | 옥산리, 도곡리, 금산리, 신곡리, 안인리, 고정리, 매화리, 가곡리 |
산내면 | 임고리, 삼양리, 남명리, 가인리, 봉의리, 송백리, 용전리, 원서리 |
산외면 | 희곡리, 엄광리, 차죽리, 남이리, 금곡리, 금천리 |
단장면 | 안법리, 미촌리, 단장리, 구천리, 국대리, 사연리, 대룡리, 감물리, 고례리, 무릉리, 판도리, 법흥리 |
상남면 | 평촌리, 외산리, 마산리, 남산리, 기산리, 연금리, 예림리, 조음리, 동산리 |
초동면 | 검암리, 덕산리, 반월리, 성만리, 신호리, 오방리, 신월리, 봉황리, 명성리, 김포리, 대곡리, 판평리 |
무안면 | 화봉리, 판곡리, 죽월리, 정곡리, 운정리, 웅동리, 동산리, 마일리, 모로리, 무안리, 삼태리, 성덕리, 신법리, 양효리, 가례리, 고라리, 내진리, 덕암리, 연상리, 중산리 |
청도면 | 고법리, 소대리, 구기리, 인산리, 조천리, 요고리, 두곡리 |
5. 산업
밀양의 경제는 중앙에 위치하고 관광지로서의 중요성에 크게 의존한다. 농업은 밀양강 유역의 벼농사와 고지대의 축산업을 중심으로, 특히 외곽 지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지속하고 있다.[17]
또한, 밀양시에는 산업단지가 조성되고 있다.
5. 1. 농업
밀양의 특산품으로는 밀양대추와 얼음골사과, 맛나향고추 등이 있다. 밀양 경제는 관광 산업과 농업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특히 외곽 지역에서는 농업이 중요한 역할을 지속하고 있다. 밀양강 유역에서는 벼농사가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고지대에서는 축산업이 발달하였다.[17]5. 2. 산업단지
밀양시 부북면에는 산업단지가 조성되고 있다.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한국카본, 한국화이바, SC 카본 주식회사, 화영 주식회사, 오리온농협농업협동조합, 현대오토솔루션 주식회사 등이 있다.[17] 삼랑진읍과 밀양시 초동면에도 산업단지가 조성되고 있다.6. 정치
밀양시는 대한민국의 다른 시와 군처럼 제한적인 지역 자치를 누리고 있다. 1995년 이후로 시장과 시의회 의원은 지역 주민이 직접 선출한다.[16]
6. 1. 시장

대한민국의 다른 시와 군과 마찬가지로 밀양시는 제한적인 지역 자치를 누리고 있다. 1995년 이후로 시장과 시의회 의원은 지역 주민에 의해 직접 선출되어 왔다.
현 시장은 박일호이며, 국민의힘 소속이다. 그는 2014년 6월 30일에 취임했다.[16]
6. 2. 국회의원
밀양시의 국회의원7. 교통
KTX가 정차하고, 대구부산고속도로와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25호선의 확포장으로 영남의 교통 중심 도시로 발돋움하였다. 인근 대도시인 창원과 42.3km, 울산과 63.9km, 부산과 58.8km, 대구와 56.6km 거리에 있어, 근대화 초기부터 인근 지방과의 교역이 활발하였다.
밀양은 대구와 부산으로부터 거의 같은 거리에 있으며, 도로와 철도로 두 도시와 연결되어 있다. 도로로는 대구-부산 고속도로의 두 개의 출구와 국도 제24호선, 국도 제25호선, 국도 제58호선을 이용할 수 있다.
대중교통 수단으로는 시내버스, 시외버스, 농어촌버스, 철도가 있으며, 시내버스, 마을버스, 고속·시외버스는 '''밀양'''에서 이용할 수 있다.
7. 1. 철도
KTX가 정차하는 밀양시는 철도 교통이 발달하였다. 밀양터미널 시외버스 노선이 부산, 마산·창원, 울산, 경산, 김해 등 주로 밀양시 주변 도시로 가는 노선 밖에 없는데다, 서울을 제외한 수도권과 충청, 호남권으로 가는 노선이 아예 없어 타 지방으로 가려면 철도 노선에 의지할 수 밖에 없다.[18]시내 중심부에 있는 밀양역 외에도, 외곽 지역은 경부선의 삼랑진역과 상동역, 경전선의 낙동강역이 있다. 이러한 외곽 역들은 소수의 무궁화호 여객열차만 운행한다.[18]
낙동강역을 제외하고 밀양의 역들은 화물열차도 운행한다. 가장 활발한 화물역은 상동역으로, 2004년 74,762톤의 화물을 발송했다.[18]

7. 2. 고속도로
대구-부산 고속도로가 지나가며, 삼랑진 나들목, 남밀양 나들목, 밀양 나들목이 있다.7. 3. 버스
밀양시는 시내버스, 시외버스, 농어촌버스, 철도 등의 대중교통 수단을 운영하고 있으며, 버스 교통보다 철도 교통이 발달하였다. 밀양터미널에서 운행하는 시외버스는 주로 부산, 마산, 창원, 울산, 경산, 김해 등 밀양시 주변 도시로 가는 노선이 대부분이다. 서울을 제외한 수도권, 충청, 호남권 방면 노선은 거의 없어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할 때는 철도를 이용해야 한다. 다만, 서울고속버스터미널로 가는 고속버스는 하루 4회 운행한다.[59]8. 교육
밀양시의 교육은 교육부의 감독을 받는 경상남도교육청 산하 밀양교육청에서 담당한다. 밀양시는 고려시대부터 향교를 운영해 온 오랜 교육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2007년에는 시급 이상 지역 최초로 공립 학원인 미리벌학습관이 설립되었다. 현재는 초등학교 23개, 중학교 14개, 고등학교 8개가 운영되고 있다.[23]
8. 1. 교육기관
밀양시의 교육 역사는 고려 시대, 마을 중심부(현재 교동)에 관립 학교인 향교가 세워진 때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규모가 큰 것으로 유명했던 이 학교는[22] 조선 시대에도 운영되었지만, 수많은 지역 서당과 서원에 점차 자리를 내주었다. 이러한 모든 기관들은 과거 시험을 위한 젊은 남성들을 교육하는 데 집중했다. 이러한 제도는 1894년 갑오개혁에서 과거제가 폐지될 때까지 지속되었다.오늘날 밀양시는 대한민국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중학교까지 의무 공교육이 모든 학생에게 제공되며, 거의 모든 학생이 고등학교도 졸업한다. 시내 교육은 밀양교육청에서 감독하며, 이는 경상남도교육청의 직접 관리를 받는다. 경상남도교육청은 다시 모든 학교의 국가 교육 과정을 설정하는 국가 교육부에 책임을 진다.
밀양시에는 초등학교 23개, 중학교 14개, 고등학교 8개가 있다.[23] 사설 보충 교육은 학원을 통해 제공되며, 시내 중심부에 집중되어 있고 일부는 외곽 지역에도 있다.

밀양시에는 부산대학교 밀양캠퍼스 하나의 고등 교육 기관이 있다. 밀양캠퍼스는 주로 나노과학기술대학과 생명과학대학을 두고 과학기술 분야 학생들을 위한 교육을 제공한다.[24] 밀양 시내에서 약 9km 떨어진 북쪽 삼랑진읍에 위치해 있다. 과거 본캠퍼스였던 분교는 밀양 시내 근처에 있다. 이 두 캠퍼스는 2006년 부산대학교와 통합되었다. 이전에는 1923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Miryang National University|ko|밀양대학교영어라는 별도의 대학교를 이루었다.
'''고등학교'''
'''중학교'''
- 미리벌학습관
2007년 시급 이상 지역 최초의 공립 학원을 세웠다.
9. 문화·관광
밀양은 밀양 아리랑의 고장으로 알려져 있으며, 때때로 아랑 전설에서 이름을 따왔을 가능성이 있어 아리랑의 원형에 가까운 것으로 여겨진다.[19] 밀양아리랑대축제는 매년 5월에 열려 이러한 전통과 지역 문화유산의 다른 측면들을 기념하고 계승한다.[19]
한국 전통 문화의 다른 보존된 측면으로는 백정 공연이 있다. 밀양 사람들은 한국어의 경상도 방언을 사용하는데, 한국 방언학 연구에서 밀양 방언은 높낮이의 사용 측면에서 창원 방언과 대조되어 왔다.[20]
밀양은 2007년 영화 ''밀양''(영어권 시장에서는 ''Secret Sunshine''이라는 제목으로 개봉)의 촬영지이자 배경으로 유명하다.[21]
밀양은 수 세기 동안 산과 계곡의 아름다운 경치로 유명했다. 밀양강을 내려다보는 영남루 정자는 조선 시대 많은 글에 등장한다. 도시의 북동쪽 끝은 영남알프스의 일부를 차지하며, 이 지역의 일부는 가지산 도립공원에 포함된다. 주목할 만한 자연 명소로는 북동쪽에 위치한 얼음골의 "얼음 골짜기"가 있다.
신라 시대에 건립된 양양지는 논의 관개용 저수지였으나, 대규모 추가 저수지로 인해 원래 기능을 상실했다. 그러나 논에 물을 대는 대신, 그림 같은 풍경으로 많은 관광객을 끌어들이고 있다.[25]
9. 1. 문화재
- '''영남루'''
영남루는 보물 제147호로, 경상남도 밀양시 내일동에 있는 누각으로 구 객사의 부속건물이다. 1365년 (고려 공민왕 때) 부사 김주(金湊)가 신라 때부터 이 자리에 있었던 영남사의 부속 누각으로 전해져 오던 작고 초라한 누각을 철거한 후, 진주 진주 촉석루의 제도를 취하여 다시 만들었는데, 이때부터 규모가 큰 독립된 누각이 되었다.[61] 정면 5칸, 측면 4칸으로, 1844년에 다시 지어진 조선 후기 건물의 특색을 잘 반영한다. 진주 촉석루, 평양 부벽루와 함께 한국 3대 누각 가운데 하나로, 옛날에 귀한 손님을 맞이하여 잔치를 베풀던 곳이다.
- '''표충사'''
표충사는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 해발 1,189m의 재약산에 있는 사찰이다. 654년 (신라 무열왕 1년) 원효대사가 창건하여 죽림사(竹林寺)라 하였다. 1286년 (고려 충렬왕 12년)에는 《삼국유사》의 저자인 일연 국사가 1,000여 명의 승려를 모아 불법을 일으키기도 하였다. 1839년 (조선 헌종 3년) 사명대사의 법손인 월파선사가 무안면에 있던 사명대사의 충혼을 기리기 위해 세워져 있던 ‘표충사’(表忠祠)를 이곳으로 옮기고 절 이름도 표충사라 고쳐 부르게 되었다. 밀양 표충사 청동은입사향완(국보 제75호), 밀양 표충사 삼층석탑(보물 제467호) 등 여러 유형 문화재들이 이 곳에 있다.
- '''표충비각'''
밀양시 무안면 홍제사 경내에 있는 비각이다. 일명 ‘땀흘리는 비각’이라고 하며, 국가의 중대사가 있을 때를 전후하여 비면에 자연적으로 땀방울이 맺혀서 마치 구슬땀처럼 흐르는데, 이것을 두고 사람들은 나라와 겨레를 염려하는 사명대사의 영험이라고 신성시하고 있다.[62]
- '''아랑사'''
아랑전설이 얽힌 곳으로, 1983년 7월 20일 경상남도문화재자료 제26호로 지정되었다. 조선 명종 때 밀양부사의 딸이었던 아랑이 자신을 욕보이려던 통인(通引) 백가(白哥)에게 항거하다가 죽임을 당하여 대숲에 버려진 후, 밀양에서는 신임 부사마다 부임 첫날밤에 죽게 되었다. 이후 이상사(李上舍)라는 사람이 밀양부사를 자원하여 아랑의 원혼에게서 억울한 사연을 듣고는 통인을 잡아 처형하고 아랑의 시신을 찾아내어 장사 지내니 그뒤로는 원혼이 나타나지 않았다는 전설이다. 지금도 매년 음력 4월 16일에 제사를 지내고 있으며, 이곳과 표충사(表忠祠)·아랑각·천진궁 등에서 매년 5월 16~20일에 밀양아랑제가 열린다.
- '''기타'''
- * 김종직을 기리는 예림서원과 불교 사찰(표충사) 안에 세워진 유일한 서원인 표충서원을 포함한 여러 서원(유교 학당)이 있다.
- * 신라 시대에 건립된 양양지는 논의 관개용 저수지였으나, 대규모 추가 저수지로 인해 원래 기능을 상실했다.
9. 2. 축제
- '''밀양아리랑대축제'''
밀양아리랑대축제는 매년 4월 말에서 5월 초에 전야제를 시작으로 문화예술행사, 체험행사, 공연, 전시 등 다채로운 행사가 열리는 50여 년 역사의 경상남도 대표적인 향토 축제 중 하나이다. 축제 기간에는 고유제, 길놀이, 서막식, 밀양아리랑 가요제, 밀양아리랑의 밤, 아랑 규수 뽑기, 무형문화재 공연, 연극 공연 등 전통문화 계승은 물론 시민 대화합의 장으로 펼쳐진다.[63] 밀양은 밀양 아리랑의 고장으로 알려져 있으며, 아랑 전설에서 이름을 따왔을 가능성이 있다. 밀양 아리랑 축제는 매년 5월에 열려 이러한 전통과 지역 문화유산의 다른 측면들을 기념하고 계승한다.[19]
- '''밀양대추축제'''
- 밀양 아리랑 대축제
- 밀양 멥쌀축제
9. 3. 공원
- 미리벌민속박물관
- '''얼음골'''
천황산 북쪽 중턱 해발 600m 지점에 있는 계곡으로, 한여름에도 얼음이 얼고 처서가 지나면 얼음이 녹는 신비로운 곳이다. 약 3000m2 넓이의 돌밭에는 6월 중순부터 바위 틈에서 얼음이 얼기 시작해 더위가 심해질수록 많아지고, 가을이 되면 얼음이 녹기 시작해 겨울에는 더운 김이 올라오며 물도 얼지 않는다.[64]
경남농업자원관리원은 토종 작물 소개와 보존을 위한 테마공원을 공개하였다.[65]
- '''트윈터널'''
삼랑진읍 무월산에 있는 옛 경부선 터널이다. 상행 457m, 하행 443m로 총 900m 길이의 쌍둥이 같은 모습 때문에 트윈터널이라 불린다.
- 빙곡(산내면)
- 양양지: 신라 시대에 건립된 논 관개용 저수지였으나, 대규모 추가 저수지로 인해 원래 기능을 상실했다. 현재는 그림 같은 풍경으로 많은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공원이 되었다.[25]
9. 4. 방언
영남 지방에 위치하여 동남 방언을 구사한다. 부산 말씨와 비슷한 뉘앙스를 풍기는 방언을 구사하기도 하지만, 대구와도 가까운 위치에 있기 때문에 특히 "ㅆ"을 "ㅅ"으로 발음하는 등 전반적으로 대구 말씨와도 유사한 편이다. 결과적으로 밀양 방언은 대구 방언+경남 방언의 혼합 형태를 띠고 있다. 한국 방언학 연구에서 밀양 방언은 높낮이의 사용 측면에서 창원 방언과 대조되어 왔다.[20]9. 5. 구전 민요
밀양아리랑은 밀양 부사(府使)의 딸 아랑(阿娘)이 젊은 관노(官奴)에게 억울하게 죽은 것을 슬퍼하여 ‘아랑아랑’ 하고 노래를 부른 데서 비롯되었다고 한다.[19] 밀양은 밀양아리랑의 고장으로 알려져 있으며, 때때로 아리랑의 원형에 가까운 것으로 여겨진다. 밀양 아리랑은 아랑의 밀양 지역 전설에서 이름을 따왔을 가능성이 있다.[19]9. 6. 민속놀이
밀양 백중놀이는 국가무형문화재 제68호로, 경상남도 밀양에 전승되어 오는 백중날의 민속놀이이다. 농신제, 작두말타기, 춤판, 뒷놀이로 구성되어 있다.[1]10. 출신 인물
- 김원봉
- 사명대사
- 히찬(HeeCHAN) (DKB)
11. 자매 도시
국가 | 도시 | 주/성/도 | 체결일 |
---|---|---|---|
일본 | 야스기시 | 시마네현 | 1990년 |
일본 | 오미하치만시 | 시가현 | 1994년 12월 1일 |
중국 | 번시 | 랴오닝성 | 1998년 |
대한민국 | 남원시 | 전라북도 | 1999년 |
중국 | 우란핫 | 내몽골 자치구 | 1999년 |
미국 | 뉴밀포드 | 뉴저지주 | 2004년 |
중국 | 한단 | 허베이성 | 2004년 |
일본 | 세토우치시 | 오카야마현 | 2006년 |
중국 | 난핑 | 푸젠성 | 2016년 |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2]
웹사이트
http://waks.aks.ac.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0-02-09
[3]
웹사이트
https://news.naver.c[...]
Newsis
2020-02-09
[4]
웹사이트
http://www.hannamilb[...]
hannamilbo
2020-02-09
[5]
웹사이트
http://encykorea.aks[...]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20-02-05
[6]
웹사이트
https://www.ulsanpre[...]
ulsanpress
2013-01-10
[7]
서적
Lee (1984), p. 143.
[8]
서적
Miryang massacre incident
Lee
1983-01-01
[9]
서적
Miryang police station bombing incident
Lee
1983-01-01
[10]
웹사이트
5. 기상개황
http://cal.miryang.g[...]
Miryang City
2006-09-26
[11]
웹사이트
http://www.miryang.g[...]
2006-09-22
[12]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13]
웹사이트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14]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01-01
[15]
웹사이트
행정구역
http://cal.miryang.g[...]
Miryang Statistical Yearbook
2006-09-23
[16]
웹사이트
Past Mayors
https://eng.miryang.[...]
2020-08-30
[17]
웹사이트
밀양시 주요 기업 현황
https://informative.[...]
2024-12-18
[18]
웹사이트
http://cal.miryang.g[...]
Statistical Yearbook of Miryang
2006-09-22
[19]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2006-09-26
[20]
간행물
http://www.korean.go[...]
[21]
웹사이트
Secret Sunshine
http://www.imdb.com/[...]
2020-04-12
[22]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2006-09-26
[23]
웹사이트
http://www.eduml.or.[...]
2006-09-26
[24]
웹사이트
PNU Focus
https://www.pusan.ac[...]
2020-08-30
[25]
웹사이트
http://korean.visitk[...]
2018-06-06
[26]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27]
법률
오산시등12개시및태안군설치와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8-12-31
[28]
법률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08-03
[29]
법률
朝鮮総督府令
1913-12-29
[30]
법률
道令
1928-01-28
[31]
법률
朝鮮総督府令
1930-12-29
[32]
법률
道令
1932-10-31
[33]
법률
읍설치에관한법률
1962-11-21
[34]
법률
郡条例
[35]
법률
읍설치에관한규정
1973-03-12
[36]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밀양(288)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03-25
[37]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밀양(288)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10-02
[38]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39]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40]
일반
[41]
법률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s:고종실록 32년 5월#음력 5월[...]
1895-05-26
[42]
법률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43]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29호
1912-11-01
[44]
법률
도령 제2호
1928-01-28
[45]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03호
1930-12-29
[46]
법률
도령 제17호
1932-10-31
[47]
법률
법률 제1177호 읍설치에관한법률
1962-11-21
[48]
법률
군조례 제103호
[49]
법률
대통령령 제6543호 읍설치에관한규정
1973-03-12
[50]
법률
법률 제4050호 오산시등12개시및태안군설치와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8-12-31
[51]
법률
법률 제4774호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08-03
[52]
공고
건설교통부공고 제2006-22호
http://gwanbo.mois.g[...]
2006-01-25
[53]
뉴스
국립밀양기상과학관·밀양아리랑우주천문대 동시 개관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0-05-21
[54]
웹사이트
밀양시의 지리
http://www.miryang.g[...]
2012-05-05
[55]
웹인용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밀양(288)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56]
웹인용
순위값 - 구역별조회 밀양(288)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57]
웹사이트
밀양시의 기후
http://www.miryang.g[...]
2012-05-05
[58]
웹사이트
밀양시의 인구통계
http://www.miryang.g[...]
2013-12
[59]
웹사이트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60]
웹사이트
국도25호선 마암산터널 전기시설 등 개선공사 실시설계용역 (입찰현황)
https://www.molit.go[...]
[61]
웹사이트
영남루 소개
http://tour.miryang.[...]
밀양관광명소
2012-05-06
[62]
웹사이트
밀양 관광명소 안내
http://tour.miryang.[...]
[63]
웹인용
밀양 아리랑 대축제의 소개
http://tour.miryang.[...]
2012-05-05
[64]
웹사이트
밀양 얼음골 소개
http://tour.miryang.[...]
2012-05-06
[65]
뉴스
제비콩·기장·아주까리… 토종 작물 여기 다 있었네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