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영주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영주역은 1973년 11월 30일 역사가 준공되어 1974년 8월 15일 신호소로 영업을 시작했다. 1985년 4월 27일 역무원이 철수했으며, 2020년 11월 12일 폐역이 고시되어, 2020년 12월 13일 중앙선 복선전철화 공사로 선로가 이설되면서 폐역되었다. 북영주삼각선은 중앙선의 신호소인 북영주역과 중앙본선 및 영동선을 잇는 삼각선으로, 열차 운행의 효율성을 높였다. 한국철도공사 소속으로, 중앙선 지선에 속하며 거리는 0.7km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호소 - 미전역
미전역은 경상남도 밀양시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의 신호장으로, 경부선과 미탄선이 교차하며 여객 취급은 하지 않고, 과거 열차 정면 충돌 사고가 발생했던 곳이다. - 신호소 - 신대신호소
신대신호소는 2015년 평택삼각선 및 평택직결선 개통과 함께 개업한 한국철도공사 평택선 상의 철도 신호장으로, 평택삼각선과 평택연결선을 통해 각각 신개신호장-평택지제역, 신개신호장-평택역을 연결한다. - 영주시의 건축물 - 영주 소수서원
소수서원은 1542년 주세붕이 안향의 위패를 모시기 위해 건립한 서원으로, 한국 최초의 사액서원이며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 영주시의 건축물 - 죽령터널
- 영동선 - 동백산역
동백산역은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에 위치한 영동선과 태백선이 만나는 철도역으로, 태백삼각선을 통해 분기점 역할을 하며 솔안터널을 통과하는 지상역이다. - 영동선 - 묵호역
묵호역은 1961년 개업한 강원도 동해시 소재의 영동선 철도역으로, 묵호항선과 연결되며 여객 위주로 운영되고, 전철 및 바다열차, 동해산타열차가 운행되고, 동해~강릉 구간 셔틀열차가 운행 중이다.
북영주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모국어 표기 | 북영주 |
읽기 | 푸ギョンジュ |
로마자 표기 | Bugyeongju |
부역명 | 해당 없음 |
소속 노선 | 영동선 |
역 종류 | 신호장 (폐역) |
소속 사업자 | 한국철도공사 |
역 등급 | 해당 없음 |
킬로미터 (km) | 1.8 |
기점역 | 영주 |
역 구조 | 지상역 |
개업일 | 1974년 8월 15일 |
폐지일 | 2020년 12월 13일 |
비고 | 해당 없음 |
위치 정보 | |
소재지 | 경상북도 영주시 원당로 96-1 |
노선 정보 | |
소속 노선 | 영동선 |
이전 역 | 영주 |
다음 역 | 문단신호장 |
역간 거리 (이전 역) | 1.8km |
역간 거리 (다음 역) | 7.2km |
2. 연혁
- 1973년 11월 30일 : 역사 준공
- 1974년 8월 15일 : 신호소로 영업 개시[1]
- 1985년 4월 27일 : 역무원 철수[1]
- 2020년 11월 12일 : 폐역 고시[2]
- 2020년 12월 13일 : 중앙선 복선전철화 공사로 선로 이설 및 폐역[2]
2. 1. 개업과 폐역
북영주역은 1974년 8월 15일 신호소로 영업을 시작하였고,[1] 1985년 4월 27일 역무원이 철수하였다.[1] 이후 2020년 12월 13일 중앙선 복선전철화 공사로 선로가 이설되면서 폐역되었다.[2]2. 1. 1. 1970년대
1973년 11월 30일 역사가 준공되었고, 1974년 8월 15일 신호소로 영업을 개시하였다.[1]2. 1. 2. 1980년대
1985년 4월 27일 역무원이 철수하였다.[1]2. 1. 3. 2020년대
2020년 11월 12일 폐역이 고시되었고,[2] 2020년 12월 13일 중앙선 복선전철화 공사로 선로가 이설되면서 폐역되었다.3. 북영주삼각선
'''북영주삼각선'''(北榮州三角線)은 중앙선 북영주역과 중앙본선, 영동본선을 잇는 삼각선이다. 이 삼각선으로 중앙선 단양역 방면에서 오는 열차나 영동선 봉화역 방면에서 오는 열차가 영주역을 거치지 않고 바로 영동선이나 중앙선으로 진입할 수 있다. 중앙선의 지선으로 취급되며, 북영주역 (상행) 기준 0.7km 거리이다.
;한국철도공사
: 영동선
:: 영주역 - '''북영주 신호장''' - (문단 신호장) - 봉화역
3. 1. 기능
북영주삼각선은 중앙선 단양역 방면에서 온 열차가 영동본선으로, 또는 영동본선 봉화역 방면에서 온 열차가 중앙본선으로 진입할 때 영주역을 거치지 않고 바로 운행할 수 있게 해주는 기능을 한다. 중앙선의 지선으로 취급되며, 북영주역(상행) 기준 0.7km 거리이다.3. 1. 1. 열차 운행 효율성 증대
북영주삼각선은 중앙선의 신호소인 북영주역과 중앙본선 및 영동본선을 잇는 삼각선이다. 북영주삼각선을 통해 중앙선 단양역 방면에서 온 열차가 영동선으로 진입하거나, 영동선 봉화역 방면에서 온 열차가 중앙선으로 진입하는 경우 영주역을 거치며 방향을 전환할 필요가 없어졌다.[1]3. 2. 구조
북영주삼각선은 중앙선의 신호소인 북영주역과 중앙본선 및 영동본선을 잇는 삼각선이다. 이 삼각선으로 중앙본선의 단양역 방면에서 온 열차가 영동본선으로 진입하는 경우와, 영동본선의 봉화역 방면에서 온 열차가 중앙본선으로 진입하는 경우에 영주역을 경유하면서 방향 전환을 할 필요가 없어졌다.3. 2. 1. 노선 정보
북영주삼각선은 중앙선의 신호소인 북영주역과 중앙본선 및 영동본선을 잇는 삼각선이다. 이 삼각선으로 중앙본선의 단양역 방면에서 온 열차가 영동본선으로 진입하는 경우와, 영동본선의 봉화역 방면에서 온 열차가 중앙본선으로 진입하는 경우에 영주역을 경유하면서 방향 전환을 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었다. 영업거리표상 중앙선의 지선으로 되어 있어 중앙선측 북영주역이 상행이며, 거리는 0.7km이다.4. 역 구조
#넘겨주기
5. 노선
참조
[1]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제37호
1974-08-12
[2]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20-798호
http://gwanbo.mois.g[...]
2020-1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