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암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불암산은 서울특별시 노원구, 중계동과 경기도 남양주시에 걸쳐 있는 산이다. 조선 시대에는 필암산으로 불렸으며, 큰 바위 봉우리가 승려의 송낙을 닮아 불암산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화강암 석산으로 암벽 등반 연습장으로 이용되며, 불암폭포는 겨울철 빙벽 타기 명소로 알려져 있다. 한국 전쟁 당시 육군사관학교 생도들이 '불암산 호랑이 유격대'를 조직하여 활동하기도 했다. 주변에는 불암사, 천보사, 정암사 등의 사찰이 있으며, 노원구는 탤런트 최불암을 불암산의 명예 주인으로 위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특별시의 산 - 남산 (서울)
남산은 서울특별시 중구에 위치한 높이 262m의 산으로, 조선시대에는 나라의 평안을 기원하는 제사를 지내던 곳이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식민지 지배의 상징적 공간이었으나, 광복 후 남산공원으로 조성되어 현재는 서울 시민들의 휴식처이자 관광 명소로 자리매김했다. - 서울특별시의 산 - 북악산
북악산은 서울의 진산으로, 한양도성의 기점이자 청계천의 발원지이며 북악스카이웨이가 위치해 있고, 2009년 명승으로 지정되었으며 청와대 북쪽 구역 개방으로 인왕산, 북한산, 안산까지 등산이 가능하다. - 서울특별시의 공원 - 한강공원
한강공원은 서울과 경기도에 걸쳐 조성된 대규모 공원 시스템으로, 1982년부터 1986년까지의 한강종합개발계획을 통해 조성되었으며, 한강르네상스 사업을 통해 문화, 예술, 레저 공간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행사와 활동을 제공하며 생태계 보전에도 기여한다. - 서울특별시의 공원 - 효창공원
효창공원은 조선 시대 문효세자의 묘에서 시작하여 일제강점기에는 일본군 시설이 있었고, 현재는 독립운동가들의 묘역을 중심으로 공원, 운동 시설, 기념관 등이 공존하며 사적 제330호로 지정되었다. - 경기도의 산 - 수락산
수락산은 서울특별시 노원구, 경기도 의정부시, 남양주시 경계에 있는 높이 637m의 산으로, 화강암 암벽과 유서 깊은 사찰, 폭포, 정자 등의 명소가 있으며 맑은 물이 떨어지는 모습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는 전설이 있다. - 경기도의 산 - 관악산
관악산은 서울과 경기도에 걸쳐 있는 높이 629m의 산으로, 험준한 봉우리와 기암절벽, 깊은 계곡으로 유명하며 효령대군과 관련된 연주대와 연주암이 있고, 도시자연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풍수지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방송 송신 시설이 위치해 있다.
| 불암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정보 | |
| 산 정보 | |
| 이름 | 불암산 |
| 한자 | 佛巖山 |
| 높이 | 507m |
| 위치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노원구, 경기도 남양주시 |
| 좌표 | 37 |
| 지질 정보 | |
| 종류 | 산 |
| 등산 정보 | |
| 쉬운 등산로 | Danggogae Station, Sanggye Station에서 시작 |
| 한국어 이름 정보 | |
| 한글 | 불암산 |
| 한자 | 佛巖山 |
| 로마자 표기 | Buramsan |
| 매큔-라이샤워 표기 | Puramsan |
| 기타 | |
![]() | |
2. 명칭 유래
조선 시대에 불암산은 양주목에 속했으며, 원래 '필암산(筆岩山)'이라 불렸다. 이는 먹골(墨洞), 벼루말(硯村)과 함께 필(筆)·묵(墨)·현(硯)으로 지기(地氣)를 꺾는다는 풍수지리적 의미를 지닌 지명이었다.[3] 현재의 '불암산'이라는 명칭은 큰 바위 봉우리가 승려의 모자인 송낙을 쓴 부처의 형상과 비슷하여 유래되었다.[3] '천보산(天寶山)'이라고도 불린다.
불암산은 한강의 지류인 한천(漢川)을 끼고 이루어진 한천평야의 동쪽에 있으며, 평야를 사이에 두고 서쪽으로는 북한산(北漢山)을 마주보고, 북쪽으로는 수락산(水落山)과 이웃하여 있다. 노원구 상계역에서도 볼 수 있는 화강암으로 된 주봉 남쪽에는 높이 420m의 제2봉이 있다.
화강암을 기반으로 한 돌산으로, 곳곳에 바위 절벽이 있어 암벽 등반 연습장으로 이용된다. 10여 개의 등산로와 약수터가 있으며, 불암폭포는 겨울철 빙벽 타기 명소이다. 산세는 단조로우나 거대한 암벽과 아름다운 수림이 불암산의 대표적인 특징이다.[5] 주요 사찰로는 불암사, 천보사, 정암사 등이 있다.[5]
한국 전쟁 당시 육군사관학교 생도들이 불암산 호랑이 유격대를 조직하여 불암산을 거점으로 활동했다.
3. 지리적 위치
4. 주요 특징
5. 역사
5. 1. 불암산 호랑이 유격대
한국 전쟁 초기 육군사관학교 생도들로 구성된 불암산 호랑이 유격대가 이곳을 은거지로 삼아 활동했다.[5] -- --
6. 기타
노원구는 최불암과 불암산의 한자가 같다는 점을 들어, 2009년 11월에 최불암을 불암산 명예 주인으로 위촉했다.[4]
6. 1. 자연사 생태광장
서울 노원구는 불암산도시자연공원 중계지구(중계동 산42-3번지 일대)에 64761m2 규모의 '자연사 생태광장'을 조성한다고 밝혔다.[4]6. 2. 명예 주인
최불암과 불암산은 한자까지 같아, 2009년 11월 서울 노원구는 최불암을 불암산 명예 주인으로 위촉했다.[4]7. 미디어
SBS TV의 TV 동물농장 970회에서 불암산 누렁이 구조 장면이 방영되었다.[1] KBS 1TV 트레킹노트 세상을 걷다에서 불암산이 소개되었다.[2]
참조
[1]
서적
한국의 산 여행 (Travel Guide to Korean Mountains)
https://books.google[...]
관동 상억연구회 (Kwandong)
[2]
서적
행복한 산행
[3]
기타
소나무 겨우살이로 만든 여승이 쓰는 모자
[4]
뉴스
노원구, 불암산 자락에 생태광장 조성
https://news.naver.c[...]
뉴시스(네이버)
2013-01-20
[5]
웹인용
육군사관학교
https://kma.ac.kr/km[...]
2010-02-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