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가역과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가역 과정은 열역학 과정의 한 종류로, 물질의 변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물리량의 변화를 다룬다. 가역 과정과 달리, 비가역 과정은 원래 상태로 되돌릴 수 없는 과정을 의미한다. 유한 온도차에서의 열 전달, 마찰, 소성 변형, 전류의 흐름, 히스테리시스, 유체의 팽창, 화학 반응, 혼합, 노화, 죽음, 시간 등이 비가역 과정의 예시이다. 클라우지우스는 엔트로피 개념을 도입하여 비가역성을 수학적으로 정량화했으며, 볼츠만은 통계역학적 설명을 통해 비가역성을 설명했다. 푸앵카레는 카오스 이론을 통해 비가역성을 설명하기도 했다. 비가역성은 복잡계, 특히 생물체와 생태계에서 자기 조직화 과정의 종료로 이어지는 사건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개념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비가역과정 | |
---|---|
개요 | |
정의 | 되돌릴 수 없는 과정 |
특징 | 계와 주위 환경의 엔트로피 변화의 합이 0보다 큼 |
관련 개념 | 가역 과정 |
설명 | |
발생 원인 | 열역학적 평형 상태로부터의 벗어남 |
주요 현상 | 마찰 점성 비탄성 열전도 전기 저항 자화 이력 화학 반응 확산 |
엔트로피 증가 | 엔트로피 증가를 동반하는 자연스러운 현상 |
예시 | |
자연 현상 | 열의 이동 화학 반응 생명체의 성장 및 노화 |
기술 시스템 | 자동차 엔진의 폭발 전기의 줄 가열 |
열역학적 분석 | |
중요성 | 실제 순환 과정의 성능 예측에 필수적임 |
고려 사항 | 마찰로 인한 에너지 손실 열 전달의 비효율성 화학 반응의 비완전성 |
과학적 의미 | |
통계역학 | 통계역학적 관점에서 분자 운동의 무작위성과 관련됨 |
시간의 화살 | 시간의 화살 개념과 관련하여, 과거와 미래의 비대칭성을 설명함 |
관련 법칙 | |
열역학 제2법칙 | 고립계의 엔트로피는 감소하지 않음 |
기타 | |
관련 개념 | 되돌림 |
2. 열역학적 과정
열역학은 물질의 변화 과정을 다루는 학문이고, 그 과정에서 여러 가지 물리량의 변화를 따진다. 열역학은 이상적인 과정을 따를 수도 있으나 실제로는 비이상적인 경로를 따른다. 이때의 경로를 열역학적 용어로 열역학 과정이라 정의하며, 열역학 과정에는 가역 과정과 비가역 과정이 있다.
2. 1. 가역 과정
열역학은 물질의 변화 과정을 다루는 학문이고, 그 과정에서 여러 가지 물리량의 변화를 따진다. 열역학은 이상적인 과정을 따를 수도 있으나 실제적으로는 비이상적인 경로를 따른다. 이때의 경로를 열역학적 용어로 열역학 과정이라 정의하며, 열역학 과정에는 가역 과정과 비가역 과정이 있다.피스톤을 어떤 부피에서 절반으로 압축시킨다고 생각하자. 이때 "무한소"만큼의 미소량의 질량을 가진 물체를 연속적으로 올려놓는다면 이 피스톤은 가역과정 상의 변화를 겪는다. 즉 가역과정은 연속적이고 이상적인 변화과정을 뜻하며 이 상태를 P-V 그래프로 도시하였을 때 경로를 하나의 연속적인 그래프로 표현할 수 있다.
그러나 미소량의 질량이라는 것은 단지 이론적인 것일 뿐이다.
2. 2. 비가역 과정
열역학은 물질의 변화 과정을 다루는 학문이며, 그 과정에서 여러 가지 물리량의 변화를 다룬다. 열역학은 이상적인 과정을 따를 수도 있으나 실제로는 비이상적인 경로를 따르는데, 이때의 경로를 열역학적 용어로 열역학 과정이라 정의한다. 열역학 과정에는 가역 과정과 비가역 과정이 있다.피스톤을 어떤 부피에서 절반으로 압축시킬 때 "무한소"만큼의 미소량의 질량을 가진 물체를 연속적으로 올려놓는다면 이 피스톤은 가역 과정 상의 변화를 겪는다. 즉 가역 과정은 연속적이고 이상적인 변화 과정을 뜻하며 이 상태를 P-V 그래프로 도시하였을 때 경로를 하나의 연속적인 그래프로 표현할 수 있다. 그러나 미소량의 질량이라는 것은 단지 이론적인 것일 뿐이다.
실제로는 매우 작은 질량의 물체도 어느 정도의 질량을 가지고 있다. 이를 감안하여 약간의 질량을 가진 추를 피스톤 위에 한 개씩 올려놓는다고 가정하면, 피스톤은 추를 하나씩 올려놓을 때마다 "급격히" 상태가 변하게 된다. 즉 이는 연속적인 과정으로 이해될 수 없으며, 경로 상에도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실생활의 문제는 모두 비가역적 문제이다. 이러한 비가역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태 함수의 성질을 이용하거나, 충분히 작은 비가역적 변화를 가역적 변화로 근사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물리적 영역에서 에너지 전달의 100% 효율을 달성할 수 없다는 점은 많은 비가역 과정에 기인한다. 다음은 과정의 비가역성에 기여하는 자발적인 사건 목록이다.[13]
줄-톰슨 팽창은 고전 열역학의 예시인데, 엔트로피의 증가를 쉽게 계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열적으로 격리된 용기의 한쪽 면에 기체가 (작은 칸막이를 통해) 유지되고, 용기의 다른 면이 진공 상태인 경우에 발생한다. 그런 다음 두 부분 사이의 칸막이를 열면 기체가 전체 용기를 채운다. 기체의 내부 에너지는 동일하게 유지되는 반면, 부피는 증가한다. 단순히 기체를 원래 부피로 압축하는 것만으로는 원래 상태를 복구할 수 없는데, 이 압축으로 내부 에너지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원래 상태는 재압축된 시스템을 냉각하여 환경을 비가역적으로 가열함으로써 복구될 수 있다.
비가역 과정의 예 |
---|
노화 - 가역 과정이라고 주장하는 이견이 존재한다.[14] NAD+[15] 와 텔로머라아제[16] 또한 노화를 되돌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
죽음 |
시간 |
유한 온도차의 열 전달 |
마찰 |
소성 변형 |
저항을 통과하는 전류 |
히스테리시스가 있는 자화 또는 분극 |
유체의 무제한적인 팽창 |
자발적인 화학 반응 |
다양한 조성 및 상태의 물질의 자발적인 혼합 |
물리학의 기본적인 이론적 법칙은 모두 시간 반전 대칭이지만,[8] 실험적으로 '''실제''' 가역성의 확률은 낮으며, 시스템과 주변 환경의 이전 상태는 특정 범위 내에서만 회복된다(참조: 불확정성 원리). 열역학의 가역성은 본질적으로 통계적이어야 한다. 즉, 시스템의 엔트로피가 감소하는 것은 매우 드물지만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시간 반전 대칭은 시간이 거꾸로 흐르거나, 과정에서 상태의 순서가 반전될 경우(마지막 상태가 첫 번째가 되고 그 반대) 과정이 동일하게 일어나는 경우 충족된다.
1850년대 독일 물리학자 루돌프 클라우지우스는 엔트로피 개념을 도입하여 자연에서의 비가역성을 수학적으로 처음 정량화했다. 클라우지우스는 1854년 논문 "열의 역학적 이론에서 두 번째 기본 정리에 대한 수정된 형태에 관하여"에서 더 차가운 물체에서 더 뜨거운 물체로 열이 전달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3. 절대적 가역성과 통계적 가역성
4. 역사
그러나 시스템의 미시적 분석과 거시적 상태 관찰을 조화시키려 할 때 역설이 발생했다. 많은 과정들은 고전적인 뉴턴 역학을 사용하여 분석할 때 미시적 상태에서 수학적으로 가역적이기 때문이다.
1872년부터 1875년까지 루트비히 볼츠만은 볼츠만 엔트로피 공식을 통해 이 역설에 대한 통계적 설명을 강화했다. 그의 공식은 윌리엄 톰슨, 1대 켈빈 남작이 주장한 분석을 정량화했다. 톰슨은 추상 역학의 운동 방정식은 완벽하게 가역적이지만, 물리적 과정은 비가역적이라고 말했다.[10][11]
앙리 푸앵카레는 비가역적 시스템에 대한 또 다른 설명을 제시했다. 1890년, 그는 카오스 이론이라고도 불리는 비선형 역학에 대한 첫 번째 설명을 발표했다.[12]
4. 1. 루돌프 클라우지우스의 엔트로피 개념
1850년대 독일 물리학자 루돌프 클라우지우스는 엔트로피 개념을 도입하여 자연에서의 비가역성을 수학적으로 처음 정량화했다. 클라우지우스는 더 차가운 물체에서 더 뜨거운 물체로 열이 전달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실온(약 22°C)에 놓인 뜨거운 커피 한 잔은 주변으로 열을 전달하여 식고 실온은 약간 상승하지만(약 22.3°C), 커피가 주변에서 열을 흡수하여 더 뜨거워지고 실온이 떨어지는 일은(약 21.7°C) 결코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커피가 식는 과정은 시스템에 추가 에너지가 가해지지 않는 한 비가역적이다.[9]
그러나 시스템의 미시적 분석과 거시적 상태 관찰을 조화시키려 할 때 역설이 발생했다.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은 1860년에 혼합 기체의 분자 충돌이 온도를 같게 만든다는 주장에서처럼 평형을 향하는 거시적 경향에 대한 미시적 설명을 명백히 손상시킨다고 하였다.[9] 1872년부터 1875년까지 루트비히 볼츠만은 볼츠만 엔트로피 공식을 통해 이 역설에 대한 통계적 설명을 강화하여, 시스템이 가질 수 있는 가능한 미시적 상태의 수가 증가하면 시스템의 엔트로피가 증가하여 이전 상태로 돌아갈 가능성이 줄어든다고 말했다.[10][11]
앙리 푸앵카레는 1890년 카오스 이론이라고도 불리는 비선형 역학에 대한 첫 번째 설명을 발표했다. 열역학 제2법칙에 카오스 이론을 적용하면, 비가역성의 역설은 미시 상태에서 거시 상태로의 스케일링과 실험적 관찰을 할 때 사용되는 자유도의 오류로 설명될 수 있다. 미시 상태에서 시스템과 환경 관련 초기 조건에 대한 민감성은 관찰 가능한 물리적 영역 내에서 비가역적 특성으로 나타난다.[12]
4. 2. 루트비히 볼츠만의 통계역학적 설명
1850년대 독일 물리학자 루돌프 클라우지우스는 엔트로피 개념을 도입하여 자연에서의 비가역성을 수학적으로 처음 정량화했다. 1854년 그의 논문에서 클라우지우스는 시스템이 더 차가운 물체에서 더 뜨거운 물체로 열을 전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실온(22°C)에 놓인 뜨거운 커피 한 잔은 주변으로 열을 전달하여 식고 실온의 온도는 약간 상승하지만(22.3°C), 동일한 커피가 주변에서 열을 흡수하여 더 뜨거워지고 실온의 온도는 떨어지는 일은(21.7°C) 결코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커피가 식는 과정은 시스템에 추가 에너지가 가해지지 않는 한 비가역적이다.[9]
그러나 시스템의 미시적 분석과 거시적 상태의 관찰을 조화시키려 할 때 역설이 발생했다. 많은 과정들은 고전적인 뉴턴 역학을 사용하여 분석할 때 미시적 상태에서 수학적으로 가역적이다. 이 역설은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이 1860년에 혼합 기체의 분자 충돌이 온도를 같게 만든다는 주장에서처럼 평형을 향하는 거시적 경향에 대한 미시적 설명을 명백히 손상시킨다. 1872년부터 1875년까지 루트비히 볼츠만은 볼츠만 엔트로피 공식의 형태로 이 역설에 대한 통계적 설명을 강화하여, 시스템이 가질 수 있는 가능한 미시적 상태의 수가 증가하면 시스템의 엔트로피가 증가하여 시스템이 이전 상태로 돌아갈 가능성이 줄어든다고 말했다. 그의 공식은 윌리엄 톰슨, 1대 켈빈 남작의 분석을 정량화했다.[10][11]
4. 3. 앙리 푸앵카레의 카오스 이론
앙리 푸앵카레는 1890년에 카오스 이론이라고도 불리는 비선형 역학에 대한 첫 번째 설명을 발표했다.[12] 열역학 제2법칙에 카오스 이론을 적용하면, 비가역성의 역설은 미시 상태에서 거시 상태로의 스케일링과 실험적 관찰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자유도의 오류로 설명될 수 있다. 미시 상태에서의 시스템과 환경과 관련된 초기 조건에 대한 민감성은 관찰 가능한 물리적 영역 내에서 비가역적 특성의 발현으로 이어진다.[12]
5. 비가역 과정의 예시
에너지 전달의 100% 효율을 달성할 수 없다는 점은 많은 비가역 과정의 원인이 된다. 다음은 과정의 비가역성에 기여하는 자발적인 사건 목록이다.[13]
- 노화 (이 주장은 논란의 여지가 있는데, 쥐에게서 노화가 역전되는 것이 입증되었기 때문이다.[14] NAD+[15] 와 텔로머라아제[16] 또한 노화를 되돌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 죽음
- 시간
- 유한한 온도 차이를 통한 열전달
- 마찰
- 소성 변형
- 저항을 통한 전류의 흐름
- 히스테리시스를 갖는 자화 또는 분극
- 제한되지 않은 유체의 팽창
- 자발적인 화학 반응
- 다양한 조성/상태의 물질의 자발적인 혼합
줄-톰슨 팽창은 고전 열역학의 예시인데, 엔트로피의 증가를 쉽게 계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열적으로 격리된 용기의 한쪽 면에 기체가 (작은 칸막이를 통해) 유지되고, 용기의 다른 면이 진공 상태인 경우에 발생한다. 그런 다음 두 부분 사이의 칸막이를 열면 기체가 전체 용기를 채운다. 기체의 내부 에너지는 동일하게 유지되는 반면, 부피는 증가한다. 단순히 기체를 원래 부피로 압축하는 것만으로는 원래 상태를 복구할 수 없는데, 이 압축으로 내부 에너지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원래 상태는 재압축된 시스템을 냉각하여 환경을 비가역적으로 가열함으로써 복구될 수 있다.
6. 복잡계와 비가역성
가역적 사건과 비가역적 사건의 차이는 복잡계(예: 생물체 또는 생태계)에서 특히 설명적 가치를 지닌다. 생물학자 움베르토 마투라나와 프란시스코 바렐라에 따르면, 생물체는 지속적인 존재를 가능하게 하는 자기생성의 특징을 갖는다. 일리야 프리고진은 더 원시적인 형태의 자기 조직화 시스템을 설명했다. 복잡계의 맥락에서, 죽음, 종의 멸종 또는 기상 시스템의 붕괴와 같이 특정 자기 조직화 과정의 종료로 이어지는 사건은 비가역적이라고 간주될 수 있다. 동일한 조직 원리(예: 동일한 DNA 구조)를 가진 클론을 개발할 수 있더라도, 이는 이전의 개별 시스템이 다시 존재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생물체, 종 또는 기타 복잡계의 자기 조직화 능력이 적응할 수 있는 사건, 즉 사소한 부상이나 물리적 환경의 변화는 가역적이다. 그러나 적응은 유기체로의 네겐트로피 유입에 의존하므로, 환경에서 비가역적 과정이 증가한다.[17] 지속 가능성 및 사전 예방 원칙과 같은 생태학적 원리는 가역성 개념을 참조하여 정의할 수 있다.[18][19][20][21][22][23][5][24][25]
참조
[1]
논문
Mathematical consequences and Gyarmati's principle in Rational Thermodynamics
[2]
논문
Global analysis of dissipations due to irreversibility
[3]
논문
Probability, ergodicity, irreversibility and dynamical systems
[4]
간행물
Evolution rate of thermodynamic systems
2008
[5]
논문
Irreversibility, entropy and incomplete information
2009-10
[6]
논문
Statistical approach of the irreversible entropy variation
[7]
논문
Irreversible Entropy in Biological Systems
[8]
웹사이트
David Albert on ''Time and Chance''
http://www.isepp.org[...]
[9]
논문
Maxwell and the normal distribution: A colored story of probability, independence, and tendency towards equilibrium
[10]
논문
Irreversibility in quantum mechanics
2004
[11]
서적
25 Years of Non-Equilibrium Statistical Mechanics
[12]
웹사이트
"The 2nd Law of Thermodynamics"
http://www.tim-thomp[...]
2002-02-19
[13]
서적
Fundamentals of Engineering Thermodynamics
John Wiley & Sons, Inc., USA
[14]
논문
Reversal of biological clock restores vision in old mice
2020-12-02
[15]
논문
Increasing ovarian NAD+ levels improve mitochondrial functions and reverse ovarian aging
2020-08-20
[16]
논문
Reversal of brain aging by targeting telomerase: A nutraceutical approach
2021-09-10
[17]
서적
Computation, Physics and Beyond
https://www.academia[...]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12-01-01
[18]
논문
Maximum principle and open systems including two-phase flows
[19]
논문
Irreversibility and entropy in Rational Thermodynamics
2001
[20]
논문
Thermoeconomic analysis of an irreversible Stirling heat pump cycle
[21]
논문
The relativistic behaviour of the thermodynamic Lagrangian
[22]
논문
Irreversible entropy variation and the problem of the trend to equilibrium
[23]
논문
Hydrodynamics cavitation: from theory towards a new experimental approach
[24]
간행물
The thermodynamic Lagrangian
[25]
논문
Maximum entropy generation and κ−exponential model
[26]
웹사이트
不可逆過程 - EMANの熱力学
https://eman-physics[...]
2022-08-09
[27]
웹사이트
不可逆過程とは
https://kotobank.jp/[...]
2022-08-09
[28]
웹사이트
可逆過程と不可逆過程(可逆変化と不可逆変化)
https://home.hiroshi[...]
2022-08-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