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단원숭이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단원숭이과는 신세계원숭이에 속하는 과로, 피그미마모셋, 비단마모셋, 타마린 등을 포함한다. 이들은 콜롬비아 북부에서 브라질 남부에 이르는 열대 우림 지역에 주로 분포하며, 작은 곤충, 과일, 수액 등을 섭취한다. 비단원숭이과는 소형 영장류로, 잡는 능력이 없는 꼬리와 갈고리 발톱을 가진 것이 특징이다. 과거에는 괼디원숭이가 초기 분기했다고 여겨지기도 했으나, 분자계통분석에 따르면 피그미마모셋과에서 타마린, 사자타마린, 괼디원숭이, 비단마모셋 순으로 분기된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3년 기재된 분류군 - 단궁류
단궁류는 측두창 특징을 가진 파충류 아강으로, 초기에는 육식동물로 번성하여 육상 생태계를 지배했으며, 수궁류를 거쳐 포유류로 진화하여 현재 5,500종 이상의 다양한 종을 포함한다. -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투아타라
투아타라는 뉴질랜드 고유종 파충류이자 린코케팔리아목의 유일한 현존종으로, 오랜 진화 역사를 지니고 완전한 아래 측두궁 두개골, 첨생치, 두정안 등의 특징을 가지며 멸종 위기에 처해 뉴질랜드 정부의 보호를 받는다. -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코뿔소
코뿔소는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서식하며 1~2개의 뿔과 두꺼운 피부를 가진 대형 초식성 포유류이지만, 밀렵으로 인해 5종 모두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 올드필드 토머스가 명명한 분류군 - 티티원숭이
티티원숭이는 신세계원숭이의 소형 영장류로, 다양한 털 색깔을 지니고 물가 숲에 서식하며, 일부일처제 가족 무리를 이루고, 과일을 주식으로 섭취하며, 듀엣 소리로 의사소통하고, 과거 *Callicebus* 속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세 개의 속으로 나뉘며 종 수가 증가하였다. - 올드필드 토머스가 명명한 분류군 - 다산저녁쥐
비단원숭이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영장목 |
아목 | 직비원아목 |
하목 | 진원류 |
소목 | 광비원류 |
과 | 비단원숭이과 (Callitrichidae) |
과 명명자 | Gray, 1821 |
모식속 | Callithrix |
모식속 명명자 | Erxleben, 1777 |
이명 | Callitrichidae Napier and Napier, 1967 Hapalidae Wagner, 1840 |
분포 | |
![]() | |
속 | |
속 | 겔디몽키속 (Callimico) 마모셋속 (Callithrix) 피그미마모셋속 (Cebuella) 미코속 (Mico) 사자타마린속 (Leontopithecus) 타마린속 (Saguinus) |
기타 | |
![]() |
2. 하위 분류
비단원숭이과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10][11][12][13]
마모셋(marmoset)은 코먼마모셋속(`Callithrix`), 미코속(`Mico`), 피그미마모셋(`Cebuella`)을 총칭하는 말이다.[15] 과거에는 이들을 구 마모셋속으로 묶기도 했다.[15] 1968년 피그미마모셋을 제외한 구 마모셋속을 아마존 지역의 ''C. argentata'' 그룹(실버마모셋 그룹)과 브라질 동해안의 ''C. jacchus'' 그룹(코먼마모셋 그룹)으로 나누는 설이 제기되었고,[25] 1984년에는 ''C. argentata'' 그룹을 ''Mico'' 아속, ''C. jacchus'' 그룹을 ''Callithrix'' 아속으로 분류하는 설이 나왔다.[19]
타마린(tamarin)은 타마린속(`Saguinus`)만을 가리키기도 하지만,[28][29] 타마린속과 사자타마린속(`Leontopithecus`)을 통칭하기도 한다.[15] 타마린속은 6개의 종군으로 구분된다.[15] 2016년 타마린속에서 검은목타마린과 얼룩타마린류를 검은망토타마린속(`Leontocebus`)으로 분리하고, 구 얼룩타마린을 여러 종으로 나누는 설이 제안되었다.[30]
과거에는 괼디원숭이가 초기 분기했다고 여겨져 독립된 골디원숭이아과(Callimiconinae) 또는 골디원숭이과(Callimiconidae)로 분류되기도 했으나,[15] 분자계통분석 결과 타마린속, 사자타마린속, 괼디원숭이, 코먼마모셋속, 실버마모셋속 순으로 피그미마모셋과의 공통 조상에서 분기한 것으로 추정된다.[31]
2. 1. 속 목록
비단원숭이과에 포함된 분류군은 다음과 같다.[10][11][12][13]속 | 종 |
---|---|
피그미마모셋속 (Cebuella) | |
루스말렌난쟁이마모셋속 (Callibella) | |
비단마모셋속 (Callithrix) | |
미코속 (Mico) | |
라이온타마린속 (Leontopithecus) | |
괼디원숭이속 (Callimico) | |
검은망토타마린속 (Leontocebus) | |
타마린속 (Saguinus) |
2. 2. 계통 분류
비단원숭이과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42]
분자계통분석에 따른 비단원숭이아과의 계통도는 다음과 같다.[31]
분자계통분석 |
---|
타마린속 |
사자타마린속 |
괼디원숭이 |
코먼마모셋속 |
피그미마모셋 |
실버마모셋속 |
타마린속(광의) 내부의 계통도는 다음과 같다.[32][33]
타마린속(광의) |
---|
Leontocebus (Saguinus nigricollis group) |
Tamarinus (S. mystax+inustus group) |
Saguinus (S. bicolor+midas group) |
Oedipomidas (S. oedipus group) |
소형 영장류이며, 암수 간의 신체 크기 차이(성적이형)는 적다.[15] 뒷다리의 엄지발가락을 제외하고, 모든 손가락과 발가락에 갈고리 발톱을 갖추고 있다.[15] 꼬리는 잡는 능력이 없다.[21]
열대 우림에 서식하지만, 카팅가나 세하두 등 건조한 식생에 적응한 종도 있다.[25] 수목형.[22] 동아과의 다른 종과 혼성 집단을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38]
대항해 시대에 이국적인 동물로서 유럽에 반입되어, 왕후 귀족의 애완동물로 길러진 종도 있다.[39]
[1]
서적
Mammal Species of the Worl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이전에는 사키류나 거미원숭이류를 포함하는 꼬리감는원숭이과와 대를 이루는 그룹으로 생각되었으나[15], 1979년에 다람쥐원숭이속을 포함하는 꼬리감는원숭이아과와 본 아과에서 꼬리감는원숭이과를 구성한다는 설이 제창되었다.[21] 본 아과와 꼬리감는원숭이아과·올빼미원숭이아과가 단계통군으로 간주된 이후에는 이것들을 꼬리감는원숭이과의 아과로 포함할 것인지, 꼬리감는원숭이과를 세분하여 독립된 과로 할 것인지에 대해 그 위치에 정설이 없다.[16][19]
과거에는 두개골과 이빨 형태의 비교로부터 많은 조상 형질을 가진 괼디원숭이가 초기에 분기했다고 생각되었으며[23], 본 아과에서 독립하여 골디원숭이아과(Callimiconinae) 또는 골디원숭이과(Callimiconidae)로 하는 설도 있었다.[15] 한편 분자계통분석에서는, 타마린속·사자타마린속·괼디원숭이·코먼마모셋속·실버마모셋속의 순으로 피그미마모셋과의 공통 조상에서 분기했다고 추정하고 있다.[31]
3. 형태
치열은 게르디원숭이를 제외하고 앞니가 위아래 4개씩, 송곳니가 위아래 2개씩, 작은 어금니가 위아래 6개씩, 큰 어금니가 위아래 4개씩으로 총 32개이며,[22] 세 번째 큰 어금니는 소실되었다(현생종 중에서는 게르디원숭이만이 세 번째 큰 어금니를 가지고 있다).[23] 상악의 큰 어금니는 삼첨두성이고,[21] 첫 번째 큰 어금니의 하이포콘(원심설측 咬頭)은 작고, 퇴화 경향을 보인다(게르디원숭이에서는 비교적 발달했으며, 화석종인 ''Micodon'' 속에서는 하이포콘이 현생종보다 크다).[23] 게르디원숭이, 타마린, 사자타마린에서는 하악의 앞니가 짧고, 송곳니가 길게 돌출한다.[15][23][24] 마모셋에서는 하악의 앞니가 크고, 송곳니와 마찬가지로 가늘고 길며,[15][24] 수액 식이에 적응한 것으로 여겨진다.[23]
4. 분포
5. 생태
곤충 등의 작은 동물, 과일 등을 먹으며, 마모셋에서는 수액을 섭취하기도 한다.[23][25]
한 번에 1~3마리의 새끼를 낳는다(보통 2마리, 골디원숭이는 1마리).[15]
6. 인간과의 관계
마모셋이라는 호칭은 프랑스어 marmouset(옛날에는 '아이·소인'의 뜻이 있었다)에서 유래된 것으로 생각된다.[15] 옛 일본 이름인 키누자루·키누게자루는 마모셋을 가리키는 독일어 명칭 Seidenaffe·Seidenäffchen(-äffchen은 '작은 원숭이'의 뜻)의 직역이며, 독일어 명칭은 속명 ''Callithrix''('예쁜 털'의 뜻)나 옛 속명 ''Hapale''('부드러운·상냥한 것'의 뜻)의 의역으로 생각된다.[15]
타마린은 카이엔에서 붉은손타마린을 가리키는 호칭으로서 프랑스 신부·탐험가인 앙투안 비에에 의해 언급되었고, 뷔퐁에 의해 현지어로 간주되었다.[15][39] 한편, 현재의 카리브계 언어에서는 붉은손타마린의 현지어는 Kusiri로 알려져 있으며, 식물인 타마린드를 가리키는 호칭으로 Tamaren·Tamarin이 존재하며, 타마린을 현지어로 하는 설에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39]
참조
[2]
서적
South American Primates: Comparative Perspectives in the Study of Behavior, Ecology, and Conservation
Springer
[3]
학술지
Some nomenclatural notes regarding authorship and dates of New World monkeys (Primates: Platyrrhini)
http://hbs.bishopmus[...]
[4]
서적
Living New World Monkeys (Platyrrhini) with an Introduction to the Primates
University of Chicago
[5]
학술지
Callitrichids as phyletic dwarfs, and the place of the Callitrichidae in Platyrrhini
1980-01-01
[6]
웹사이트
Marmosets and tamarins: dwarfed monkeys of the South American tropics
http://blogs.scienti[...]
2012-11-27
[7]
학술지
Social implications of gummivory in marmosets
[8]
서적
Primate Ecology and Social Structure
Pearson Custom Publishing
[9]
학술지
Social development during the first twenty weeks in the cotton-top tamarin ('' Saguinus o. oedipus'')
[10]
학술지
Phenotypic evolution in marmoset and tamarin monkeys (Cebidae, Callitrichinae) and a revised genus-level classification
[11]
학술지
Taxonomic Review of the New World Tamarins (Primates: Callitrichidae)
http://socgen.ucla.e[...]
[12]
서적
The Smallest Anthropoids: Developments in Primatology: Progress and Prospects
Springer
[13]
bioRxiv
Evolutionary history of New World monkeys revealed by molecular and fossil data
[14]
학술지
Re-description and assessment of the taxonomic status of ''Saguinus fuscicollis cruzlimai'' Hershkovitz, 1966 (Primates, Callitrichinae)
2015-04-01
[15]
학술지
サルの分類名(その6:マーモセット科)
[16]
서적
Order Primates
https://www.departm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7]
간행물
日本モンキーセンター 霊長類和名リスト 2018年11月版
https://www.j-monkey[...]
2018-12-16
[18]
간행물
世界哺乳類標準和名リスト2021年度版
https://www.mammalog[...]
2021-12-24
[19]
서적
The Systematics and Distributions of the Marmosets (''Callithrix'', ''Callibella'', ''Cebuella'', and ''Mico'') and Callimico (''Callimico'') (Callitrichidae, Primates)
Springer
[20]
간행물
日本モンキーセンター 霊長類和名リスト 2024年7月版
http://www.j-monkey.[...]
2024-08-15
[21]
학술지
広鼻猿類の進化と系統分類の現状
[22]
학술지
サルの分類名(その5:オマキザル科)
[23]
학술지
マーモセット科の系統関係
[24]
학술지
オマキザル科(Cebidae)の歯の形態とその分岐関係
[25]
학술지
マーモセットの種の分類と現状
[26]
학술지
The Description of a New Marmoset Genus, ''Callibella'' (Callitrichinae, Primates), Including Its Molecular Phylogenetic Status
[27]
학술지
What is in a genus name? Conceptual and empirical issues preclude the proposed recognition of ''Callibella'' (Callitrichinae) as a genus
[28]
학술지
''Saguinus mystax'' と ''Saguinus nigricollis'' の亜種の和名
[29]
학술지
頭蓋計測値に基づくクラライ(ペルー)のキンイロマントタマリンとアカマントセマダラタマリンの相違
[30]
학술지
Taxonomic review of the New World tamarins (Primates: Callitrichidae)
[31]
학술지
Phenotypic evolution in marmoset and tamarin monkeys (Cebidae, Callitrichinae) and a revised genus-level classification
[32]
학술지
Phylogenetics and an updated taxonomic status of the Tamarins (Callitrichinae, Cebidae)
Elsevier
[33]
학술지
Molecular systematics of tamarins with emphasis on genus ''Tamarinus'' (Primates, Callitrichidae)
Royal Swedish Academy of Sciences
[34]
학술지
How many pygmy marmoset (Cebuella Gray, 1870) species are there? A taxonomic re-appraisal based on new molecular evidence
[35]
학술지
The Munduruku marmoset: a new monkey species from southern Amazonia
[36]
논문
An integrative analysis uncovers a new, pseudo-cryptic species of Amazonian marmoset (Primates: Callitrichidae: ''Mico'') from the arc of deforestation
https://www.nature.c[...]
2021-08-02
[37]
논문
Taxonomic review of ''Saguinus mystax'' (Spix, 1823) (Primates, Callitrichidae), and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2023
[38]
논문
新世界ザルの種間関係
日本哺乳類学会
1979
[39]
논문
Linnaeus(1758)以前のアカテタマリンとワタボウシタマリン
日本霊長類学会
2014
[40]
문서
[41]
서적
남아메리카 영장류: Comparative Perspectives in the Study of Bahavior, Ecology, and Conservation
Springer
[42]
서적
Comparative primatology
Springer-Verla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