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디오 게임 익스플로잇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디오 게임 익스플로잇은 게임의 시스템이나 버그를 악용하여 게임 내에서 부당한 이득을 얻는 행위를 의미한다. 과거 게임 잡지에서 '금단의 비기' 또는 '울트라 기법' 등으로 불렸으며, 현대에는 '익스플로잇', '버그 기술', '꼼수' 등으로 통용된다. 익스플로잇 사용은 게임 커뮤니티와 게임 산업에서 치팅으로 간주되어 논란이 있으며, 복제, 렉 악용, 지형 악용, 트윙킹, 이동 속도 버그, 안전 구역, 게임 메커니즘 악용, 치즈 등 다양한 유형이 존재한다. 온라인 게임에서는 게임 밸런스를 해치고 다른 사용자에게 피해를 줄 수 있어 제재 대상이 되며, 개발자는 익스플로잇을 식별하고 대응하기 위해 노력한다.

2. 명칭

과거 한국 게임 잡지에서는 독자들이 제보한 비법 정보를 다루는 코너가 있었는데, 잡지마다 부르는 이름은 달랐다. 패미통에서는 "'''금단의 비기'''"라고 불렀고, 패밀리 컴퓨터 매거진에서는 "'''울트라 기법'''"("울트라 테크닉"의 약자, 울테크)이라고 불렀다.[11]

'비법(裏技)'이라는 용어는 1985년 일본의 만화 잡지 월간 코로코로 코믹에서 처음 사용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 로드 러너버그를 소개하면서 프로레슬링 용어였던 '비법'을 사용한 것이 유래이다.[11][12][13] 현대 한국어에서는 '익스플로잇', '버그 기술', '꼼수' 등의 용어가 혼용되어 사용된다.

3. 논란

익스플로잇 사용은 대부분의 게임 커뮤니티와 게임 산업에서 부정행위(Cheating)로 간주된다.[3] 익스플로잇을 사용하는 사람이 부당한 이점을 얻기 때문이다. 익스플로잇 사용을 옹호하는 측에서는 익스플로잇이 소프트웨어에서 허용된 행동을 이용하는 것일 뿐이며, 특정 익스플로잇은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일종의 기술로 봐야 한다고 주장한다.

익스플로잇 사용을 반대하는 측에서는 이것이 게임의 정신에 위배되고, 게임의 재미를 훼손하며, 게임 커뮤니티를 파괴한다고 주장한다.[4][5] 한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커뮤니티 매니저는 익스플로잇이 게임 커뮤니티에 미치는 영향을 "파괴적"이라고 묘사했다.[5]

익스플로잇 옹호자들은 게임의 규칙이 이를 허용하며, 익스플로잇을 사용하는 플레이어는 개발자의 의도에 반하는 행동을 하고 있는지 모를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3][6][7] 이러한 관점에서 소위 익스플로잇은 게임을 어떤 방식으로든 변경하지 않으며, 그것을 아는 모든 플레이어가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치트가 아니라고 한다.[2] 이러한 기술을 사용하는 플레이어는 서비스 약관이나 참여를 규정하는 기타 규칙에서 명시적으로 금지하지 않으면 게임에서 사용하는 것이 공정하다고 간주할 수 있다.[6]

대부분의 온라인 게임 개발사는 서비스 약관에서 익스플로잇 사용을 금지하며, 위반 시 계정 정지 등의 제재를 가한다. 과거에는 『리니지』, 『울티마 온라인』, 『라그나로크 온라인』 등에서 게임 내 통화를 부당하게 획득할 수 있게 되는 비법(익스플로잇)이 사용된 적이 있었다. 이 때문에 비법을 악용한 사용자에게는 게임 계정 정지나 데이터 롤백 등의 페널티가 부과되는 경우가 있으며, 비법의 원인이 되는 버그는 업데이트를 통해 수정되고 있다.

4. 유형

비디오 게임에는 다양한 비기가 존재한다. 각 게임은 해당 게임의 규칙에 고유한 익스플로잇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서 벽 타기는 플레이어가 미완성 지역에 들어가거나 자신의 캐릭터가 몹이나 다른 플레이어에게 공격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통과할 수 없는 가파른 산을 오르는 것을 허용했다.
  • ''에버퀘스트''에는 선수가 더 높은 레벨의 아이템과 기술을 사용하면서 더 낮은 레벨의 플레이어와 경쟁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레벨을 잃기 위해 죽는, 스포츠의 체중 감량과 유사한 플레이어 대 플레이어 익스플로잇이 있었다.
  • ''시티 오브 히어로'' 게임에서 플레이어는 텔레포트 능력을 사용하여 다른 플레이어를 PvP 구역의 감시탑 안에 배치했다. 감시탑은 원래 분위기를 위한 소품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텔레포테이션 외에는 탈출 수단이 없었다.


테스트 코드나 이스터 에그는 개발 현장 밖으로 전해지거나, 게임 잡지에서 공개되는 경우가 있다.

하드웨어에 물리적인 영향을 주어 특이한 현상을 일으키는 것은 프로그램의 버그에 기인하는 것은 아니지만, 버그 기술의 일종으로 간주되는 경우가 있다. 일본에서는 프로그램상의 버그에 국한되지 않고, 이상한 게임 화면이 나타난 상태를 가리켜 "버그났다"라고 형용하는 경우가 있다. 영어에서는 이러한 표시의 이상을 가리키는 경우, "bug"가 아닌 "glitch"(글리치. "이상"의 의미. 또는 버그 기술 그 자체를 가리킨다.)라고 칭한다. 버그 기술이나 쇼크 기술은 플레이어에게 이익을 가져다주기도 하지만, 때로는 게임이 멈추기도 하며, 최악의 경우 데이터 소실이나 본체의 고장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의 월드 9나 『포켓몬스터』의 뮤 출현에 대해서는, 제작사 스스로 위험하다는 것을 표명한 특이한 케이스이다.

4. 1. 일반적인 유형


  • 아이템 복제: 아이템이나 게임 내 화폐를 복제하는 행위이다.[2]
  • 렉 및 연결 끊김 악용: 의도적으로 렉을 유발하거나, 불이익 없이 게임 연결을 끊어 이득을 취하는 행위이다. 렉 처리가 부적절한 게임은 플레이어가 의도적으로 렉을 유발하여 이점을 얻도록 할 수 있다.[2] 마찬가지로, 플레이어가 아무런 불이익 없이 즉시 연결을 끊을 수 있는 게임은 플레이어가 손실 없이 게임을 종료하도록 할 수 있다. (''쇼군 2: 토탈 워'')
  • 지형/지오메트리 악용: 게임 맵의 구조적 결함을 이용하여 일반적으로 접근할 수 없는 지역에 도달하거나, 의도되지 않은 지름길을 이용하는 행위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벽을 통과하거나, 프로그래머가 만든 보이지 않는 장벽을 넘거나, 오르도록 의도되지 않은 턱을 오르는 방식으로 달성된다.
  • 트윙킹: 게임 내 장비 시스템의 허점을 이용, 저레벨 캐릭터에게 고레벨 장비를 장착시키는 행위이다. "트윙킹"이라고 일반적으로 언급되는 다른 행위에는 신규 캐릭터에게 많은 양의 골드를 주는 것과 캐릭터가 더 나은 장비를 얻으면서 의도적으로 낮은 레벨을 유지하는 것이 포함된다.
  • 이동 속도 버그: 의도된 것보다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버그를 이용하는 행위이다 (예: 바니 홉). 이러한 버그 중 다수는 ''Tribes'' 시리즈의 스키와 같이 특정 게임에서 받아들여졌다.
  • 안전 구역: 공격받지 않고 안전하게 공격할 수 있는 구역을 악용하는 행위이다. 이것은 종종 게임의 지오메트리(지형)의 익스플로잇 형태이지만, 게임은 플레이어가 공격받지 않으면서 공격할 수 있는 안전한 구역(특히 상대 진영이 들어갈 수 없는 PvP 게임/구역에서)을 가질 수 있다.
  • 게임 메커니즘 악용: 게임 시스템을 의도와 다르게 활용하는 행위이다. 게임 메커니즘 익스플로잇은 버그가 아니다. 이는 시스템이 설계된 대로 작동하지만 의도된 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이다. 한 예로, 방향 에어리얼 회피를 사용하여 얻은 운동량을 착지 시 유지할 수 있는 ''대난투 스매시 브라더스 DX''의 "웨이브 대시"가 있다. 적절한 타이밍으로 캐릭터는 땅을 미끄러지면서 고정된 공격을 사용할 수 있다.
  • 치즈: 상대방이 대응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한 특정 행동을 반복하는 행위이다 (예: ''스트리트 파이터 II''의 특정 패턴 반복). 한 예로, 적이 반격할 방법 없이 공격을 받으면서 화면 측면에 유지되는 반복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스트리트 파이터 II''가 있다.

4. 2. 개발자 의도에 따른 분류

裏技일본어는 개발자의 의도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숨겨진 기술 (Hidden Technique):''' 개발자가 의도적으로 게임 내에 숨겨 놓은 기능이나 요소이다. 예를 들어 이스터 에그, 숨겨진 커맨드, 무적 커맨드, 스테이지 선택, 컨티뉴, 사운드 테스트 등이 있다.[15][16][17][18][19] 무한 1UP, 숨겨진 메시지, 숨겨진 아이템 등도 숨겨진 기술에 해당한다.[20][21] 특이한 예시로 패밀리 컴퓨터판 게바라에서는 숨겨진 커맨드를 입력하면 사스케 vs 코만도의 가정용 이식판을 숨겨진 게임으로 플레이할 수 있다.
  • '''버그 기술 (Bug Technique):''' 프로그램 버그를 이용한 기술이다. 글리치라고도 불린다.[23] 이동 시 충돌 판정의 오작동을 이용하여 통과할 수 없는 장소에 침입하는 기술, 롤플레잉 게임 등에서 전투 프로그래밍의 허점을 이용한 기술, 아이템 증식, 얻을 수 없는 아이템 획득 등이 있다.[24][25]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게임에서는 비밀번호 조작이나 개조를 통해 게임 진행 상황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버그 기술은 세이브 데이터 파괴 등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회수 소동으로 이어지기도 한다.[26]

4. 3. 기타 유형

; 쇼크 기술

: 게임기나 주변기기에 물리적 충격을 주어 발생하는 현상을 이용하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롬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게임에서는 플레이 중에 롬 카트리지를 뽑았다 꽂거나[29], 기울여서[30] 다양한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CD-ROM이나 DVD 등의 미디어를 사용하는 게임에서는 플레이 중에 트레이를 열거나[31] (통칭 "오픈 트레이 기술"), 디스크를 교체하여[32] 다양한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33]. AC 어댑터를 반쯤 뽑거나[27] 커넥터를 쇼트시키는[28] 것도 쇼크 기술에 해당한다. 이러한 행위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34]

; 공략법

: 게임 시스템의 특징을 역이용하여 게임을 쉽게 풀어나가는 방법이다. 일반적인 플레이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볼 수 있지만, 특히 효과가 높은 것은 비기로 취급되기도 한다. 유용한 정보[35]부터 게임 밸런스를 붕괴시키는 수준[36]까지 다양하다. 예를 들어, 롤플레잉 게임(RPG)에서는 "증식하는 적을 계속 쓰러뜨려 경험치를 얻는 것", "무료 회복 시설 근처에서 레벨 올리기"와 같은 공략이 일반적이다. 격투 게임이나 슈팅 게임에서의 "함정 기술", "안전 지대", "벌이 플레이[37][38]"도 일종의 공략법으로 볼 수 있다.

; 현상

: 게임 내에서 발생하는 특이한 현상이나, 특정 조건에서만 볼 수 있는 현상 등을 이용하는 기술이다. 프로그램적인 장치나 오류, 처리 멈춤 등의 게임 하드웨어적인 제약을 포함해, 다양한 조건이 겹쳐서 발생한다.[39][40][41] 게임적인 이득으로 이어지는 경우는 거의 없고, 외형의 기발함을 즐기는 기술이다.[44]

5. 온라인 게임과 익스플로잇

온라인 게임에서 익스플로잇 사용은 게임 밸런스를 무너뜨리고 다른 사용자에게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민감한 문제로 다뤄진다.[3] 대부분의 온라인 게임 소프트웨어 개발자는 서비스 약관에서 익스플로잇을 금지하고 있으며, 익스플로잇을 사용하는 것으로 밝혀진 플레이어에게 제재를 가하는 경우가 많다.

과거 리니지, 울티마 온라인, 라그나로크 온라인 등에서 게임 내 재화를 부당하게 획득할 수 있게 되는 익스플로잇이 사용된 적이 있었다.

익스플로잇을 악용한 사용자는 게임 계정 정지나 데이터 롤백 등의 제재를 받을 수 있다. 익스플로잇의 원인이 되는 버그는 게임 업데이트를 통해 수정된다.

6. 대응

게임 개발사는 익스플로잇을 발견하고 대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게임의 취약점을 발견한 플레이어가 이를 알리지 않고 계속 악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2] 개발자가 익스플로잇을 인지하면,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할 수 있다.


  • 익스플로잇을 악용한 플레이어의 계정을 정지
  • 게임 규칙을 변경하여 익스플로잇을 제거하거나 덜 유용하게 만들기
  • 익스플로잇 수용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 익스플로잇은 창발적 게임 플레이로 수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Tribes'' 시리즈의 스키와 로켓 점프는 개발자가 예상하지 못한 방식으로 게임 메커니즘을 악용하여 시작되었지만, 현재는 표준이 되었다.

심각한 익스플로잇의 경우, 게임 밸런스를 복구하기 위해 게임 세계의 상태를 초기화해야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EverQuest II''에서 심각한 통화 복제 익스플로잇이 발생한 후, 개발자는 게임 내 만연한 인플레이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복제된 막대한 양의 돈을 제거했다.[10]

7. 게임 외 분야에서의 "비법"

1997년부터 2007년까지 방영된 텔레비전 프로그램 『이토 가의 식탁』에서는 "유성 펜"으로 낙서를 깨끗하게 지우는 비법" 등, "알고 있으면 편리한 생활의 기술(지혜)", 즉 라이프 핵을 '''비법'''으로 소개했다.

일반적인 경기에서는 "너무 지루하다", "위험하다" 등의 이유로 사용할 수 없지만, 실전에서는 유효한 관절기 등의 공격이나, 텔레비전 방송 촬영 등이 있는 경기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음담패설 계열의 기술을 "비장의 기술"이라고 칭하며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예시로는 "걸리면 관객들은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전혀 이해하거나 분간할 수 없지만, 매우 유효한 관절기", "눈 찌르기", "항문에 대한 손가락 찌르기 등의 공격" 등이 있다.

참조

[1] 서적 Developing online games https://archive.org/[...] New Riders
[2] 서적 Cheating: gaining advantage in videogames https://archive.org/[...] MIT Press
[3] 웹사이트 Exploits Aren't Cheating, Are They? - Neutralizing Attitudes in the Gaming Industry NBI Analytics 2017-08-30
[4] 서적 The Art of Videogames: New Directions in Aesthetics https://archive.org/[...] John Wiley and Sons
[5] 웹사이트 WoW Duping: Fact or Fiction? IGN Entertainment 2005-07-20
[6] 서적 Developing online games https://archive.org/[...] New Riders
[7] 서적 Crimeware: understanding new attacks and defenses Addison-Wesley
[8] 웹사이트 Team Roomba 2009-11-11
[9] 웹사이트 Ultimate Ultima 2009-11-11
[10] 웹사이트 Cheaters slam 'Everquest II' economy http://news.zdnet.co[...] 2007-02-21
[11] 뉴스 【徹底検証】やる夫と学ぶ「裏技」という言葉の誕生。そこには昭和の男性諸君を“賢者”にした「禁断のメディア」の俗称が影響していた…!? https://news.denfami[...] マレ 2020-04-25
[12] 뉴스 高橋名人が明かす「裏技」誕生秘話 私が「冒険島」になった理由 https://www.itmedia.[...] アイティメディア 2020-05-25
[13] 서적 定本コロコロ爆伝!! 1977-2009 『コロコロコミック』全史 飛鳥新社
[15] 문서 ファミリーコンピュータ版『ドルアーガの塔』など。『[[ファイナルファンタジー]]』などでは、ある隠しコマンドがゲーム中に暗号メッセージとして存在しており、それを解読すれば利用することができた。 東京電機大学出版局
[16] 문서 ファミリーコンピュータ版『[[ゼビウス]]』など。
[17] 문서 ファミリーコンピュータ版『ドルアーガの塔』など。
[18] 문서 『[[スーパーマリオブラザーズ]]』など。
[19] 문서 「ミュージックモード」とも。隠されているものとしては、『[[ファイナルファンタジータクティクス]]』などがある。同様に「グラフィックモード」の用意されているゲームもある(『桃太郎伝説(FC版)』)。特に特殊な操作を行わなくとも、ゲーム本編を一度クリアする、などで可能になるものもある。
[20] 문서 『[[スーパーマリオブラザーズ]]』など。「隠し技」というより「誤仕様」とするほうが適切である可能性がある。
[21] 문서 『[[えりかとさとるの夢冒険]]』など。
[22] 문서 『[[ダービースタリオン|ダービースタリオン96]]』、[[スーパーファミコン]]版『[[ドラゴンクエストV 天空の花嫁]]』など各種のパラメータを自由に変更できたりするものがある。後者は特定のアイテムを特定の順番に持つことにより、攻撃が全て[[クリティカルヒット]]する、モンスターが100%仲間になる、というデバッグコマンドである。
[23] 문서 ファミリーコンピュータ版『[[スーパーマリオブラザーズ]]』、『メトロイド』など。
[24] 문서 『[[ファイナルファンタジーVI]]』では、「バニシュ」(物理攻撃を確実に回避するが魔法効果が確実に命中し、本来無効であるはずの魔法効果を有効にする魔法)を敵にかけた後、即死の魔法「デス」もしくは「デジョン」を唱えると、無条件で即死する。ファミリーコンピュータ版『[[ドラゴンクエストIV 導かれし者たち]]』では、「逃げた回数」のフラグをオーバーフローさせることによって、以後プレイヤー側の攻撃が全てクリティカルヒットとなる技や、同様にオーバーフローにより、[[カジノ]]において大量のコインを非常に安価に入手できる技などが存在した(ただし『ドラクエIV』のオーバーフローは追加出荷版は修正済み)。
[25] 문서 『[[おいでよ どうぶつの森]]』、『[[ファイナルファンタジーIII]]』など。『[[ポケットモンスター 赤・緑]]』では同様に、[https://shinsu-blog.com/pokemon-bagu-all999/ 本来あり得ないステータスのモンスター]を仲間にすることが可能となっている。詳細は「[[けつばん]]」を参照。
[26] 문서 ランシールで強制的に1人にされるイベント中に特定の行動を取ると、アイテムの増殖やステータスの改ざんなどが可能になる現象が発生する。
[27] 문서 『[[ドラゴンクエスト]]』など。
[28] 문서 ファミリーコンピュータ版『ベースボール』では、ファミリーコンピュータ本体の拡張コネクタを金属の物体(ゼムクリップなど)でショートさせることにより、[[魔球]]を投げることができた。
[29] 문서 『[[スーパーマリオブラザーズ]]』における[[スーパーマリオブラザーズ#アンダーカバー|アンダーカバー]]では、異様なステージを出現させることができる(「ワールド9」「256面」「スーパーマリオX」などと呼ばれることがある)。『[[不思議のダンジョン 風来のシレン2 鬼襲来!シレン城!]]』の倉庫におけるコマンドバグなど。
[30] 문서 『[[ドラゴンボール3 悟空伝]]』など。
[31] 문서 『[[ファイナルファンタジーVII]]』では、イベントを飛ばしたりすることができる。また、『[[beatmania]]シリーズ』では、演奏中にやることで、音が一切流れず、ノーツの落下などが遅くなる。
[32] 문서 『[[ロックマンX5]]』などは、入れ替えた先のディスクのBGMを流してプレイすることができる。古くはPC版の『[[ザナドゥ (ゲーム)|ザナドゥ]]』などでも、フロッピーディスクの入れ替えによる裏技が存在した。
[33] 문서 なお、現在の据え置き型ゲーム機においては、ディスクを取り出した時点でゲームが終了するため、このようなショック技は使えない。
[34] 뉴스 本体温度を“ホットプレート”で調整するファミコン版『ドラクエ3』のRTA世界記録が更新。電源バグを活用し序盤から最強パーティを呼び出す https://news.denfami[...] マレ 2021-07-27
[35] 문서 『[[ゼルダの伝説]]』で階段状に並んだ障害物に下側から密着し、向こう側の敵に向かって横突きを繰り出すと、反撃を受けることなく安全に攻撃できる。
[36] 문서 『真・女神転生』シリーズの「その時点では強すぎる敵が現れるダンジョン」と「強敵ほど倒して得られる経験値が膨大化するシステム」を組み合わせたレベル上げ
[37] 문서 威力が低く得点の高い技を当て続ける
[38] 문서 『グラディウスII』のボスモアイに対して安全地帯から弾幕を貼って放置すると、吐き出されてくる雑魚敵のみを倒し続けることができる
[39] 문서 ファミコンのソフトでキャラの名前を濁点(゛)だけで付けると文字が七色に光って見える。当時のテレビとファミコン本体の画質の低さを利用した裏技であるためPCのエミュレータや、最新ハードへの移植版、配信版と高画質テレビによる組み合わせでの再現は困難
[40] 문서 『ドラゴンクエストII 悪霊の神々』で5体以上のキャラが横並びすると、処理落ちによってキャラが点滅する。この状態でタイミングよく「はなす」コマンドを使うと透明人間と話しているように見える
[41] 문서 ファミコンなどの同時発音数の少ないゲーム機で、同じ効果音を絶え間なく鳴らし続けると、ハード的な発音数の上限を越えてしまい、BGMの一部の音が鳴らなくなる
[42] 문서 『スーパーマリオブラザーズ』のマリオを画面上側に表示されたコインに跨がせると、マリオの股間が輝いて見えるという裏技「キンタマリオ」
[43] 문서 『グーニーズ (ゲーム)』で1プレイヤー用と2プレイヤー用のコントローラの十字キーをそれぞれ左右逆方向に入力すると、主人公がその場で足踏みする
[44] 문서 『ファミリーコンピュータMagazine』のウル技コーナーでの扱いは最低ランクの「序の口技」程度である場合が多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