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자푸르 술탄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자푸르 술탄국은 1490년 유수프 아딜 샤가 바흐마니 술탄국으로부터 독립하여 건국한 왕국이다. 비자야나가라 제국과의 격렬한 항쟁을 거쳐 1565년 탈리코타 전투에서 승리하며 세력을 확장했다. 이브라힘 아딜 샤 2세 치세에 전성기를 누렸고, 무굴 제국, 마라타 제국의 등장으로 쇠퇴하여 1686년 아우랑제브에 의해 멸망했다. 이슬람 건축이 번성하여 이브라힘 로자, 골굼바즈 등의 건축물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의 무슬림 왕조 - 수르 제국
수르 제국은 1539년 셰르 샤 수리가 건국하여 토지세 개혁과 화폐 제도 개혁을 추진했지만, 1555년 후마윤에 의해 멸망한 북인도의 왕조이다. - 인도의 무슬림 왕조 - 무굴 왕조
무굴 왕조는 위키백과에 등재된 문서가 아니므로 개요를 기반으로 요약할 수 없다. - 인도 아대륙의 이슬람 국가 - 마이소르 왕국
마이소르 왕국은 1610년 라자 워디야 1세가 건국한 남인도의 왕국으로, 여러 왕조와의 경쟁 속에서 영토를 확장하고 중앙집권화를 이루었으나, 하이데르 알리와 티푸 술탄 시대에 영국 동인도 회사와 전쟁을 치른 후 영국 인도 제국 내 토후국이 되었다가 인도 독립 후 카르나타카 주에 편입되었으며, 농업 기반 경제, 독특한 문화, 군사적·행정적 개혁으로 인도 역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인도 아대륙의 이슬람 국가 - 델리 술탄국
델리 술탄국은 1206년부터 1526년까지 인도 북부를 통치한 이슬람 왕조로, 튀르크계 유목민의 이동과 이슬람 확산 속에서 노예, 할지, 투글루크, 사이이드, 로디 왕조를 거치며 인도-페르시아 문화 융합과 독특한 건축 양식을 발전시켰으나 내분과 외부 침략으로 쇠퇴하여 무굴 제국에 멸망하였다.
비자푸르 술탄국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한국어 국명 | 비자푸르 왕국 |
다른 한국어 국명 | 아딜 샤히 왕조 |
영어 국명 | Adil Shahi dynasty |
건국 시기 | 1490년 |
멸망 시기 | 1686년 |
공용어 | 페르시아어 다키니어 칸나다어(1535년 이후) |
수도 | 비자푸르 |
지리 | |
![]() | |
정치 | |
정치 체제 | 술탄국 |
통치자 칭호 | 샤 |
유수프 아딜 샤 (1490년 ~ 1510년) | 초대 샤 |
역사 | |
건국 | 1490년 |
멸망 | 1686년 |
이전 국가 | 비자야나가라 왕국 바흐마니 왕조 |
계승 국가 | 마이소르 왕국 마라타 왕국 무굴 제국 |
2. 역사
바흐마니 술탄국의 태수 Yusuf Adil Shah|유수프 아딜 샤영어가 1490년에 독립하여 비자푸르 술탄국을 건국했다.[1] 1510년 아폰수 드 알부케르크와의 공방 끝에 고아를 상실했다.[1]
비자푸르 술탄국은 비자야나가라 제국과 격렬하게 대립했다.[1] 건국 초기에는 크리슈나 데바 라야 때문에 1520년 라이추르 지방을 빼앗기는 등 고전했으나, 1529년 크리슈나 데바 라야 사후 해당 지방을 일시적으로 되찾기도 했다. 그러나 크리슈나의 동생 아추타 데바 라야에게 다시 빼앗겼다. 이후 비자야나가라 제국의 압박에서 벗어나 다른 무슬림 왕국들과 동맹, 1565년 탈리코타 전투에서 승리하여 비자야나가르를 유린했다.[1]
이브라힘 아딜 샤 2세(재위 1580년 ~ 1627년) 치세는 비자푸르 술탄국의 최전성기였다. 그는 쇠퇴하는 비자야나가르 왕국 영토를 침략하고 예술을 보호했다. 1614년 비자야나가르 왕 벤카타 2세 사후 왕족 간 내란에 개입(톱푸르 전투 등)했고, 1619년 비다르 왕국을 멸망시켰다.[1] 1636년 무굴 제국과 아흐마드나가르를 분할하여 남반부를 병합했다. 1649년 무함마드 아딜 샤 치세에 비자야나가르 왕국을 멸망시키고 남인도에 세력을 확대했다.
1686년 무굴 제국의 아우랑제브가 수도 비자푸르를 함락하면서 비자푸르 술탄국은 멸망했다.[3]
2. 1. 건국
비자푸르는 원래 바흐마니 술탄국의 일부였으나, 태수 Yusuf Adil Shah|유수프 아딜 샤영어가 1490년에 독립하여 비자푸르 왕국을 건국했다.[1]1510년 포르투갈 제독 아폰수 드 알부케르크와의 공방 끝에 고아(포르투갈령 인도)를 빼앗겼다.[1]
이 왕국은 비자야나가라 제국과 격렬하게 다툰 것으로 알려져 있다.[1] 건국 초기에는 명군 크리슈나 데바 라야 때문에 1520년 라이추르 지방을 빼앗기는 등 고전했다. 1529년 크리슈나 데바 라야가 죽기 직전, 비자푸르 왕 Ismail Adil Shah|이스마일 아딜 샤영어가 라이추르 지방을 되찾았지만, 크리슈나의 동생 아추타 데바 라야에게 다시 빼앗겼다.
2. 2. 비자야나가라 제국과의 항쟁
1510년, 포르투갈 제독 아폰수 드 알부케르크와의 공방 끝에 고아를 빼앗겼다(포르투갈령 인도).[1]비자푸르 왕국은 비자야나가라 제국과 격렬하게 다툰 것으로 알려져 있다.[1] 건국 초기에는 크리슈나 데바 라야의 존재로 인해, 1520년에 라이추르 지방을 비자야나가라 제국에 빼앗기는 등 고전을 면치 못했다. 1529년 크리슈나 데바 라야가 죽기 직전, 비자푸르 왕 Ismail Adil Shah|이스마일 아딜 샤영어가 라이추르 지방을 빼앗았지만, 크리슈나의 동생 아추타 데바 라야에 의해 되찾아졌다.
이후 비자야나가르 왕국의 압박에서 벗어나 다른 5개의 무슬림 왕국 등과 동맹하여 1565년 탈리코타 전투에서 비자야나가르군을 격파하고, 그 수도 비자야나가르를 유린했다.[1]
2. 3. 전성기

이브라힘 아딜 샤 2세(재위 1580년 ~ 1627년)의 치세는 비자푸르 술탄국의 최전성기였다. 그는 50년 가까이 통치하며 쇠퇴하는 비자야나가르 왕국의 영토를 자주 침략했고, 예술을 보호했으며, 그 자신도 음악가였다. 1614년 비자야나가르 왕 벤카타 2세가 죽자 왕족 간에 발발한 내란에 개입했고(톱푸르 전투 등), 1619년에는 같은 무슬림 5개 왕국 중 하나인 비다르 왕국을 멸망시켰다.[1] 1636년에는 무굴 제국과 아흐마드나가르를 분할하여 그 남반부를 병합했다.
1649년, 무함마드 아딜 샤의 치세에 비자푸르 왕국은 백 수십 년간 다투던 비자야나가르 왕국을 멸망시키고 남인도에 세력을 확대했다.
2. 4. 쇠퇴와 멸망
1686년 무굴 제국의 아우랑제브가 수도 비자푸르를 함락하면서 비자푸르 술탄국은 멸망했다.[3]3. 건축
비자푸르 왕국에서는 이슬람 건축이 번성했으며, 이브라힘 로자(Bijapur Fort#Ibrahim Rauza영어)와 골굼바즈 등 왕국과 관련된 역사적 건축물이 현존하고 있다. 이브라힘 로자는 이브라힘 아딜 샤 2세의 묘이고, 골굼바즈는 무함마드 아딜 샤의 묘이다.[1]
4. 역대 군주
이름 | 재위 기간 |
---|---|
유수프 아딜 샤 | 1490년 ~ 1510년 |
이스마일 아딜 샤 | 1510년 ~ 1534년 |
말루 아딜 샤 | 1534년 |
이브라힘 아딜 샤 1세 | 1534년 ~ 1558년 |
알리 아딜 샤 1세 | 1558년 ~ 1580년 |
이브라힘 아딜 샤 2세 | 1580년 ~ 1627년 |
무함마드 아딜 샤 | 1627년 ~ 1656년 |
알리 아딜 샤 2세 | 1656년 ~ 1672년 |
시칸다르 아딜 샤 | 1672년 ~ 1686년 |
참조
[1]
서적
世界歴史大系 南アジア史2―中世・近世―
[2]
서적
世界歴史大系 南アジア史2―中世・近世―
[3]
서적
世界歴史大系 南アジア史2―中世・近世―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