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자야나가라 제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자야나가라 제국은 14세기 남인도에 건국된 힌두 왕국으로, '승리의 도시'를 의미하는 비자야나가르를 수도로 삼았다. 델리 술탄국의 침략으로 혼란스러웠던 시기에 하리하라 1세와 부카 1세 형제에 의해 건국되었으며, 상가마 왕조, 살루바 왕조, 툴루바 왕조를 거치며 번성했다. 특히 크리슈나 데바 라야 시기에 전성기를 맞이하여 영토를 확장하고 문화적으로도 발전했으나, 탈리코타 전투(1565년) 패배 이후 쇠퇴하여 1646년 멸망했다. 비자야나가라 제국은 강력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광대한 영토를 지배했으며, 건축, 문학, 종교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독자적인 문화를 꽃피웠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자야나가라 제국 - 비자야나가라 제국군
비자야나가라 제국군은 14세기부터 17세기까지 존재했던 비자야나가라 제국의 군사력으로, 보병, 기병, 전쟁 코끼리를 주요 병력으로 아마라나야카 사이야 제도와 카이지타 사이야를 핵심 조직으로 운영하며 요새를 활용한 방어, 다양한 출신 군인 모집 등의 특징을 지닌다. - 중세 힌두 왕국 - 마타람 왕국
마타람 왕국은 8세기부터 11세기까지 자바섬 중부와 동부를 통치하며 힌두교와 불교 문화를 융합한 왕국으로, 산자야 왕조가 건국하고 샤일렌드라 왕조의 영향을 받아 프람바난 사원을 건설하는 등 전성기를 누렸으나 자연재해로 동부 자바로 천도하여 크디리 왕국으로 이어졌고 보로부두르, 프람바난 등 유네스코 세계유산 건축물을 남겼다. - 중세 힌두 왕국 - 크메르 제국
크메르 제국은 802년경 자야바르만 2세의 즉위를 기점으로 건국되어 앙코르 와트와 앙코르 톰 등의 거대한 사원 건축과 정교한 관개 시스템 구축으로 유명하며 힌두교와 불교가 공존하는 문화를 꽃피웠으나, 13세기 이후 쇠퇴하여 1431년 멸망한 동남아시아의 강력한 제국이다. - 인도의 중세사 - 팔라 제국
팔라 제국은 8세기 중반 벵골 지역에 고팔라 1세가 건국하여 다르마팔라와 데바팔라 시대에 전성기를 누렸으나, 12세기 중엽 세나 왕조에 의해 멸망한 불교를 후원한 왕조이다. - 인도의 중세사 - 델리 술탄국
델리 술탄국은 1206년부터 1526년까지 인도 북부를 통치한 이슬람 왕조로, 튀르크계 유목민의 이동과 이슬람 확산 속에서 노예, 할지, 투글루크, 사이이드, 로디 왕조를 거치며 인도-페르시아 문화 융합과 독특한 건축 양식을 발전시켰으나 내분과 외부 침략으로 쇠퇴하여 무굴 제국에 멸망하였다.
비자야나가라 제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 | |
기본 정보 | |
국명 | 비자야나가라 제국 |
칸나다어 국명 | (Vijayanagara Sāmrājya) |
텔루구어 국명 | (Vijayanagara Sāmrājyamu) |
상태 | 제국 |
정치 체제 | 군주제 |
건국일 | 1336년 4월 18일 |
멸망일 | 1646년 |
최초 기록 | 1343년 |
멸망 원인 | 탈리코타 전투 패배 |
멸망일 | 1565년 1월 23일 |
수도 | 비자야나가라 (1336–1565) 페누콘다 (1565–1592) 찬드라기리 (1592–1604) 벨로르 (1604–1646) |
통용 언어 | 칸나다어 산스크리트어 텔루구어 |
종교 | 힌두교 |
추정 인구 | 18,000,000명 |
인구 추정 년도 | 1500년 |
통화 | 바라하 |
역대 황제 | |
초대 황제 | 하리하라 1세 (1336–1356) |
주요 황제 | 부카 라야 1세 (1356–1377) |
주요 황제 | 데바 라야 2세 (1423–1446) |
주요 황제 | 크리슈나 데바 라야 (1509–1529) |
주요 황제 | 아추타 데바 라야 (1529–1542) |
마지막 황제 | 스리랑가 3세 (1642–1646) |
황제 칭호 | 황제 |
역사 | |
선대 국가 | 호이살라 왕국 |
후대 국가 | 치트라두르가 나야카 왕조 케랄디 나야카 왕조 마이소르 왕국 탄자부르 나야카 왕조 마두라이 나야카 왕조 |
추가 정보 | |
주요 신 | 비슈누, 시바, 바라하 |
민족 | 드라비다인 |
현재 국가 | 인도 |
2. 이름
'비자야나가르'는 '승리의 도시'를 의미한다.[6] 비자야나가라 제국은 크리슈나 데바 라야의 산스크리트어 작품 잠바바바티 칼랴남과 텔루구어 작품 바수 차리타무를 포함한 비자야나가라 시대의 일부 비문과 문학 작품에 "카르나타 라지야(카르나타 왕국)"로 기록되어 있다.[71] 유럽인들은 비자야나가라 제국을 "나라싱가 왕국"이라고 불렀는데,[7] 이는 포르투갈어로 "나라심하"에서 유래한 이름이다.[8] 이 이름이 살루바 나라심하 데바 라야 또는 나라심하 라야 2세에서 파생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델리 술탄국의 침략으로 남인도의 힌두 왕조들이 멸망하면서 혼란스러운 상황이 이어졌다.[83][87] 이 시기에 비자야나가라 제국이 건국되었는데, 건국자인 하리하라 1세와 부카 1세 형제에 대한 주요 기원설로는 칸나다인 기원설과 텔루구인 기원설이 있다.[78][79][80][81][82] 학계에서는 스링게리의 성자 비드나라니야(Vidnaranya)가 이들을 지원했고, 그의 도움으로 하리하라 1세와 그의 형제들이 남인도의 무슬림 군대를 몰아낼 수 있었다고 보고 있다.[83][84]
3. 역사
1336년, 하리하라와 부카는 투글루크 왕조로부터 독립을 선언하고, 퉁가바드라 강 남안의 도시 비자야나가르(승리의 도시)를 수도로 삼아 비자야나가라 왕국을 건국했다. 이들은 비디야라냐에 의해 이슬람교에서 힌두교로 개종했다.[57] 상가마의 이름을 따서 '''상가마 왕조'''라 명명되었고, 하리하라가 하리하라 1세로 즉위했다.
하리하라 1세는 퉁가바드라 강 남쪽 지역 대부분을 장악하고 "동서양의 지배자"(''Purvapaschima Samudradhishavara'')라는 칭호를 얻었다.[93] 부카 라야 1세는 아르콧, 콘다비두의 레디 왕조, 마두라이 술탄을 정복하고 서쪽의 고아와 북쪽의 퉁가바드라 강-크리슈나 강 도압을 장악했다.[93][94]
하리하라 2세는 크리슈나 강 너머로 제국을 더욱 확장했고, 남인도는 비자야나가라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왔다.[96] 데바 라야 1세는 오디샤의 가자파티를 성공적으로 물리치고 성곽과 관개 시설 공사를 진행했다.[97]
1424년에 즉위한 데바 라야 2세는 상가마 왕조의 가장 성공적인 통치자로, 봉건 영주들과 남쪽의 캘리컷과 퀼론의 자모린을 진압했고, 스리랑카를 침공하여 페구와 타나세림에서 버마 왕의 대군주가 되었다.
1486년, 살루바 나라심하는 상가마 왕조의 마지막 왕에게서 왕위를 찬탈하고 살루바 왕조를 세웠다.[60] 1505년, 툴루바 가문의 비라 나라심하라야는 살루바 왕조를 몰아내고 왕위에 올라 툴루바 왕조를 열었다.[60]
비라 나라심하라야의 동생 크리슈나데바라야가 1509년에 왕위를 계승했다.[60] 크리슈나데바라야는 비자야나가라 제국의 가장 위대한 군주로 여겨진다.
크리슈나 데바 라야의 재위 기간(1509년 ~ 1529년) 동안 비자야나가라 제국은 전성기를 맞았다.[108] 칼링가를 비롯한 데칸 북부와 동부 지방을 정복하고 남쪽으로도 영토를 확장했다.[109] 또한 많은 건물과 사원들을 건설하고 수많은 법령들을 반포하였다.[110]
크리슈나 데바 라야 사후, 1565년 탈리코타 전투에서 데칸 술탄국 연합군에게 패배하면서 제국은 몰락의 길을 걸었다.[114] 라마 라야가 사로잡혀 참수당하는 등 큰 피해를 입었고,[114][115][116] 수도 함피는 약탈되어 폐허가 되었다.[114]
이후 아라비두 왕조가 세워져 국가 재건을 시도하였으나, 결국 1646년에 완전히 멸망하였다.[115][116]
3. 1. 배경과 기원론
14세기 초, 델리 술탄국의 침략으로 남인도의 힌두 왕조들이 멸망하면서 혼란스러운 상황이 이어졌다.[83][87] 이 시기 남인도를 여행했던 방랑객들의 견문록과 최근 비자야나가라 지역에서 출토된 기록들을 통해 당시 비자야나가라 제국의 역사, 요새, 군대, 건축적 성과에 대해 어느 정도 알 수 있다.[85][86]
비자야나가라 제국의 건국자 하리하라 1세와 부카 1세 형제에 대한 두 가지 주요 기원설이 있다.
이들의 출신과 관계없이, 학계에서는 스링게리의 성자 비드나라니야(Vidnaranya)가 이들을 지원했고, 그의 도움으로 하리하라 1세와 그의 형제들이 남인도의 무슬림 군대를 몰아낼 수 있었다고 보고 있다.[83][84]
1334년 이후, 무함마드 빈 투글루크의 실정으로 각지에서 반란이 일어났고 남인도 타밀 지역에서는 지방관이 독립하여 마두라이 술탄 왕조가 성립하는 등, 남인도도 불안정한 상태가 되었다. 당시 무함마드 빈 투글루크는 하리하라와 부카를 남인도 카르나타카 지역에 파견하여 통치를 맡겼지만, 이들 역시 힌두 세력을 결집하여 투글루크 왕조로부터 독립을 생각하기 시작했다.[57]
1336년, 하리하라와 부카는 투글루크 왕조로부터 독립을 선언하고, 퉁가바드라 강 남안의 도시 비자야나가르(승리의 도시)를 수도로 삼아 비자야나가라 왕국을 건국했다. 이들은 이 지역의 종교 지도자였던 비디야라냐에 의해 이슬람교에서 힌두교로 개종했다.[57] 그리고 이 제1왕조는 하리하라와 부카의 아버지 상가마의 이름을 따서 '''상가마 왕조'''라고 명명되었고, 초대 왕에는 형 하리하라가 하리하라 1세로 즉위했다.
3. 2. 초기
하리하라 1세는 퉁가바드라 강 남쪽 지역 대부분을 장악하고 "동서양의 지배자"(''Purvapaschima Samudradhishavara'')라는 칭호를 얻었다.[93] 부카 라야 1세는 아르콧의 족장, 콘다비두의 레디 왕조, 마두라이 술탄을 정복하고 서쪽의 고아와 북쪽의 퉁가바드라 강-크리슈나 강 도압을 장악했다.[93][94] 제국의 초기 수도는 오늘날 카르나타카에 있는 퉁가바드라 강 북쪽 기슭의 애네곤디 공국에 있었다. 북쪽에서 끊임없이 공격해 오는 무슬림 군대에 대한 방어가 용이했기 때문에 부카 라야 1세 통치 기간 동안 비자야나가라로 천도되었다.[95]
부카 라야 1세의 둘째 아들인 하리하라 2세는 크리슈나 강 너머로 제국을 더욱 확장했고, 남인도는 비자야나가라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왔다.[96] 다음 통치자인 데바 라야 1세는 오디샤의 가자파티를 성공적으로 물리치고 성곽과 관개 시설 공사를 진행했다.[97] 바흐마니 술탄국의 피루즈 바흐마니는 1407년 데바 라야 1세와 조약을 맺었는데, 데바 라야 1세는 바흐마니에게 매년 "10만 훈, 진주 5마운드, 코끼리 50마리"의 조공을 바치기로 되어 있었다. 1417년 비자야나가라가 조공을 바치지 않자 술탄국은 비자야나가라를 침략했다. 이러한 비자야나가라의 조공 지불을 위한 전쟁은 15세기에 반복되었다.[89]
3. 3. 상가마 왕조
1374년경, 하리하라 1세의 후계자인 부카 라야 1세는 아르콧과 마두라이의 술탄들을 꺾고 서쪽으로는 고아, 북쪽으로는 퉁가바드라 강과 크리슈나 강이 만나는 지역까지 영토를 확장하였다.[93][94] 부카 라야 1세의 둘째 아들인 하리하라 2세는 제국의 영토를 크리슈나 강 너머로 확장하여 남인도 지역 전체를 제국의 영향력 아래 두는 데 성공하였다.[96]
하리하라 2세의 뒤를 이은 데바 라야 1세는 오디샤에 맞서 성공적인 군사 원정을 이끌었고 지역을 요새화하여 군사력을 강화하였다.[97] 1424년에 데바 라야 2세(현대 문학에서는 가자베테카라라고 불림)[103]가 왕위를 계승했는데, 그는 상가마 왕조의 가장 성공적인 통치자였다.[104] 그는 봉건 영주들과 남쪽의 캘리컷과 퀼론의 자모린을 진압했고, 스리랑카를 침공하여 페구와 타나세림에서 버마 왕의 대군주가 되었다.
1446년, 데바 라야 2세의 맏아들 말리카르주나 라야가 왕위를 계승하였다. 당시 가자파티 황제는 라자흐문드라이, 콘다비두, 칸치푸람, 티루치라팔리의 레디 왕국을 점령하여 타밀 국가에 대한 비자야나가라 통제권을 제거했다. 말리카르주나의 후계자 비루파크샤 라야 2세는 고아와 카르나타카의 많은 부분을 바흐마니 술탄국에 빼앗겼다.
3. 4. 살루바 왕조와 툴루바 왕조
1486년, 살루바 나라심하는 상가마 왕조의 마지막 왕 프라우다 라야에게서 왕위를 찬탈하고 살루바 왕조를 세웠다.[60] 1491년 살루바 나라심하가 사망하자, 툴루바 가문의 툴루바 나라사 나야카가 그의 어린 아들들의 섭정이 되어 왕국의 실권을 장악했다.[59]
1503년, 툴루바 나라사 나야카가 사망하고 그의 아들 비라 나라심하라야가 섭정직을 계승했다. 1505년, 그는 살루바 왕조의 임마디 나라심하 라야를 몰아내고 왕위에 올라 툴루바 왕조를 열었다.[60]
비라 나라심하라야의 통치는 짧았고, 1509년에 그의 동생 크리슈나데바라야가 왕위를 계승했다.[60] 크리슈나데바라야는 비자야나가라 제국의 가장 위대한 군주로 여겨지며, 가자파티 왕조와 비자푸르 왕국에 대한 원정을 통해 영토를 확장하고 문예를 보호하여 백성의 행복을 기원하는 군주라는 최고의 찬사를 받았다.
3. 5. 전성기
비자야나가라 제국은 크리슈나 데바 라야의 재위 기간(1509년 ~ 1529년) 동안 전성기를 맞았다.[108] 크리슈나 데바 라야는 군사적으로 성공을 거두어, 칼링가를 비롯한 데칸 북부와 동부 지방을 정복하고 남쪽으로도 영토를 확장했다.[109] 또한 문화적으로도 융성하여 많은 건물과 사원들을 건설하고 수많은 법령들을 반포하였다.[110]
크리슈나 데바 라야는 1509년에 즉위하여,[105] 군사력을 강화하고 내치를 안정시켰다. 그는 오디샤의 가자파티 왕조를 공격하여 고다바리 강 하구를 넘어 우다야기리를 함락시키고, 싱하찰람까지 평정했다. 또한 비자푸르 왕국과 대결하여 1520년에는 라이추르 전투에서 승리하여 라이추르 지방을 획득했다.
크리슈나 데바 라야는 포르투갈과 교역하여 서아시아로부터 군마를 수입하고 군사력을 유지했다. 파에스에 따르면, 크리슈나 데바 라야 통치 시대 비자야나가라 제국은 13,000필에 달하는 군마를 수입했다. 또한 300개 이상의 항구를 통해 아라비아, 중국, 동남아시아 등과 무역하며 번성했다.
크리슈나 데바 라야는 국내에 저수지, 댐 등을 건설하고 상공업을 장려하여 백성들의 생활을 안정시켰다. 또한 나야카 제도를 확립하여 세수를 안정시키려 했다. 그는 힌두교를 보호하면서도 종교적으로 관용적인 정책을 펼쳤다.
크리슈나 데바 라야 사후, 1529년에 그의 이복동생인 아추타 데바 라야가 즉위하였다. 아추타 데바 라야는 반란을 진압하고 비자푸르 왕국으로부터 라이추르 지방을 되찾았으나,[62] 말년에는 라마 라야에게 실권을 빼앗겼다.
1542년 아추타 데바 라야 사후, 그의 조카 사다시바 라야가 즉위하였고, 라마 라야가 섭정을 하였다. 라마 라야는 사다시바 라야를 감금하고 사실상 통치자가 되었다. 그는 무슬림 장군들을 채용하며 권력을 강화하고, 데칸 술탄국들의 내정에 간섭하였다.
3. 6. 쇠퇴와 멸망
1565년 1월, 탈리코타 전투에서 데칸 술탄국 연합군에게 패배하면서 제국은 쇠퇴하기 시작했다.[114] 이 전투에서 비자야나가라 군대는 초반 우세에도 불구하고, 두 무슬림 장군의 배신으로 인해 라마 라야가 사로잡혀 참수당하는 등 큰 피해를 입었다.[114][115][116] 술탄국 군대는 수도 함피를 약탈하여 폐허로 만들었다.[114]
라마 라야 사후, 티루말라 데바 라야는 아라비두 왕조를 세우고 수도를 페누콘다로 옮겨 국가 재건을 시도하였다.[115] 그는 1572년에 퇴위하여 제국을 세 아들에게 나누어 주었으나, 제국은 1614년에 사실상 붕괴되었다.[115] 이후 비자푸르 술탄국 등의 공격으로 1646년에 완전히 멸망하였다.[115][116]
비자야나가라 제국의 멸망 이후, 남인도 지역에는 마이소르 왕국, 케랄디 나야카 왕국, 마두라이 나야카 왕국, 탄자부르 나야카 왕국, 치트라두르가 왕국 등 여러 소국들이 독립하여 각축을 벌였다.[117]
4. 정치
비자야나가라 제국의 통치자들은 호이살라, 카카티야 등 이전 왕조의 행정 체제를 참고하여 안정적인 통치 구조를 확립하였다. 황제는 국가 최고 권력자였으며, '마하프라다나'(महाप्रधान|마하프라다나sa)를 비롯한 장관들이 황제를 보좌했다.
제국은 '라지야'(राज्य|라지야sa)라고 불리는 5개의 주요 주로 나뉘었고, 각 주는 '단다나카야'(दण्डनायक|단다나카야sa)라는 부왕이 통치했다. 각 라지야는 다시 '코탐'(कोट्टम|코탐sa), '나두'(नाडु|나두sa) 등의 하위 행정 구역으로 세분되었다.
군사적으로는 황제 친위군과 봉건 영주들의 군대로 구성되었으며, 해군도 운영되었다.
5. 경제
비자야나가라 제국의 경제는 농업에 크게 의존하였다. 건기에는 수수, 솜 등을, 우기에는 쌀, 사탕수수, 밀 등을 재배하였다. 코코넛, 아레카속, 베틀후추 등의 상품 작물과 강황, 후추, 마늘 등의 향신료도 재배되었다.[126] 특히 솜은 대규모로 생산되어 제국의 직물 산업 원료로 사용되었다.
명나라와의 무역이 활발하여 솜, 향신료, 보석, 준보석, 상아, 코뿔소 뿔, 산호, 향료 등을 수출하였다. 정화는 망갈로르, 바쿠르, 코친, 카나노르, 다르마담 등 300여 개의 항구를 방문하여 중국 제품을 전파하였다.[128] 아랍인, 페르시아인 상인들은 캘리컷을 자주 방문했다.[128]
조선업도 발달하여 배수량이 1,000에서 1,200여 톤에 달하는 큰 배들이 만들어졌다. 이 배들은 못 대신 밧줄로 묶는 방식을 사용했다. 비자야나가라 제국의 상선들은 홍해의 아덴과 메카, 베네치아까지 운행하였으며, 주로 후추, 시나몬, 마늘, 준보석, 진주, 알로에, 도자기 등을 수출하였다.[128] 미얀마에는 솜을, 페르시아에는 염료 등을 팔았다. 팔레스타인에서는 주로 구리, 수은, 버밀리온, 산호, 사프란, 벨벳, 장미수, 칼, 금과 은 등을 수입하였다. 페르시아 말과 중국 비단, 벵골 설탕도 수입되었다.
인도 동부 해안에서는 골콘다 지방에서 쌀, 밀, 담배, 인디고 등이 재배되었다. 마칠리파트남은 철 수출 중심지였으며, 콜루르 지역에서는 다이아몬드 광산이 번성하였다. 직물 업계는 모슬린과 칼리코 두 가지 천을 제조하였으며, 골콘다 지방에서는 무늬 없는 직물을, 풀리캣 지방에서는 염료를 입힌 직물을 잘 만들었다. 동부 해안 지방의 주 수입품은 가공하지 않은 금속, 도자기, 비단과 사치품 등이었다.
사원들은 '스로트리야스'(타밀어로는 '조디')라고 불리는 지주세를 냈다. '지바다남'은 공공지에 가축을 방목하는 대가로, 유명 사원들은 '카니케'라는 입장료를 걷었다. 주거세는 '일라리'라고 불렸다.[129]
6. 문화
비자야나가라 제국 시대에는 시인, 학자, 철학자들이 칸나다어, 텔루구어, 산스크리트어, 타밀어 등 다양한 언어로 종교, 전기, 소설(프라반다), 음악, 문법, 시, 의학, 수학 등 여러 주제로 글을 썼다.[170][171] 칸나다어와 텔루구어는 제국의 행정 및 궁정 언어였으며, 특히 텔루구어는 크리슈나 데바 라야 통치 시기에 문화적, 문학적으로 크게 발전했다.[170][171]
산스크리트어 작품은 대부분 베다, 라마야나, 마하바라타 서사시에 대한 해설이었으며, 사야나차르야(베다 주석서 '베다르타 프라카샤' 저술, 1856년 맥스 뮐러가 영어로 번역)와 비드야라냐 등이 저술했다. 이들은 아드바이타 철학의 우월성을 강조했다. 우두피 교단의 드바이타 성자들인 자야티르타(논쟁적인 저술로 '티카차르야' 칭호 획득), 비야사티르타(아드바이타 철학 반박), 바디라자티르타, 슈리파다라야(아디 상카라 비판) 등도 있었다. 이들 외에도 산스크리트어 학자들이 황제와 봉건 영주들의 궁정을 장식했다. 왕족 중에는 크리슈나 데바 라야(''잠바바티 칼리아나''[172] 저술)와 부카 1세의 며느리 강가데비(''마두라 비자얌'' 저술) 등 뛰어난 작가도 있었다.
제국의 칸나다어 시인과 학자들은 하리다사(비슈누 신자), 브라만, 베에라샤이바 문학이 알린 바크티 운동을 지지하는 중요한 저술을 남겼다. 하리다사 시인들은 '데바라나마'(서정시)를 통해 헌신을 표현했다. 푸란다라다사와 카나카다사는 가장 뛰어난 하리다사로 여겨진다. 쿠마라 비야사는 ''마하바라타''를 칸나다어로 번역한 ''가두기나 바라타''를 저술했다. 차마라사는 데바 라야 2세 궁정에서 활동한 베에라샤이바 학자이자 시인으로, ''프라불링가 리일레''를 저술했다.
텔루구어 문학은 크리슈나 데바 라야 시대가 전성기였으며, 프라반다 양식의 ''마누차리타무''가 유명하다. 크리슈나데바라야는 ''아묵타말야다''[174][175][176]를 저술했다. 그의 궁정에는 '아슈타디가자스'라 불리는 여덟 명의 학자들이 있었는데, 알라사니 페다나("텔루구 시의 아버지")와 테날리 라마크리슈나[177]가 가장 유명했다. 난디 티마나, 아얄라라주 라마바드라, 마다야가리 말라나, 바투 무르티, 핑갈리 수라나, 두르자티도 여기에 속했다. 슈리나타는 데바 라야 2세의 후원을 받았다.
타밀 문학은 타밀어 사용 지역에서 판디아 왕조의 후원으로 번성했다. 칸나다어, 텔루구어, 산스크리트어가 궁정과 행정에서 주로 사용되었지만, 타밀 문학도 크리슈나데바라야를 비롯한 비자야나가라 통치자들의 지원을 받았다. 샤이바와 바이슈나바 전통이 모두 지원되었고, 슈리랑감과 같은 사원이 종교 텍스트 전파의 중심지였다. 스바루파난다 데시카르와 타투바라야르 등이 중요한 타밀 학자였다.
음악과 의학 분야에서는 비드야라냐의 ''상기츠사라'', 프라우다 라야의 ''라티라트나프라디피카'', 사야나의 ''아유르베다 수다니디'', 락슈마나 판디타의 ''바이디아라자발라밤''이 주목할 만하다. 케랄라 천문학 및 수학 학파는 마다바와 닐라칸타 소마야지 등의 학자들을 배출했다.[178]
비자야나가라 건축은 찰루키아, 호이살라, 판디아, 촐라 양식이 조합된 것이다.[179] 잦은 침략 위협 때문에 내구성이 강한 화강암을 주로 사용했다. 함피의 비탈라 사원과 하자라 라마스와미 사원은 칼리아나만타파 양식의 대표적인 예이다.[182] 비자야나가라 수도의 기념물들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180]
14세기 황제들은 베사라나 데칸 양식 기념물을 만들었지만, 후에 드라비다 양식 고푸람을 추가했다. 부카의 프라산나 비루팍샤 사원(지하 사원)과 데바 라야의 하자레 라마 사원은 데칸 건축의 예이다.
비자야나가라 양식의 또 다른 특징은 함피의 사시베카루 가네샤와 카달레카루 가네샤, 카르칼라와 베누르의 고마테슈와라, 레팍시의 난디 황소와 같은 대형 기둥 조각과 봉헌이다.
비자야나가라 예술에는 함피의 비루팍샤 사원의 다샤바타라와 기리자칼리아나, 레팍시의 비라바드라 사원의 시바푸라나 벽화 등이 있다. 이러한 남인도 양식의 혼합은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예술적 표현을 만들어냈으며, 조각 외에도 부조에 중점을 두었다.
6. 1. 사회
비자야나가라 제국 사회에는 카스트 제도가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었으며, 카스트는 세습되었다.[129] 카스트는 브라만, 크샤트리아, 바이샤, 수드라의 네 계급 외에도 수많은 하위 카스트가 존재했다.[129] 각 카스트에는 제국이 임명한 원로와 장로들이 있어 사람들을 통제했으며, 제국은 특권층의 이익을 옹호하는 법과 관습을 만들었다.[129] '불가촉천민' 개념도 존재했는데, 이는 사회 최하층 카스트가 고기를 먹는 것을 불결하게 여겼기 때문으로 보인다.[129] 무슬림들은 카르나타카 지역에 모여살며 자신들만의 사회를 이루었다.[129]비자야나가라 제국은 카스트가 고착화되었지만, 군대에서는 낮은 카스트 출신도 공을 세워 높은 관직에 오를 수 있었다.[129] 민간에서 브라만들은 제사 등을 지내며 존경받았으나, 사원의 재정은 지주, 정치인, 관리들이 맡아 브라만들이 재정적으로 풍요롭지는 않았다.[129] 이는 종교적 힘과 부의 분리를 가져왔고, 브라만은 사법, 종교 문제에만 관여하는 명예직이 되었다.[129]
당시 남편이 죽으면 부인이 함께 죽는 사티 풍습이 만연했다.[129] 학계에서는 이를 종교적 관습, 부부간 애정, 순교 등 다양하게 설명한다.[129] 그러나 이전 세기에 등장한 '링가야티즘' 사상이 여성 권리를 신장시켰기에, 비자야나가라 제국의 여성 인권이 낮았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129] 여성들은 행정, 사업, 무역, 예술 등 전통적으로 남성의 영역에도 참여했다.[129] 산스크리트어로 여성시를 남긴 티루말람바 데비, 강가데비 등이 대표적인 여성 작가이다.[129] 여성들은 사원에서 예술 활동을 하는 데바다시가 되기도 했다.[129]
부유한 남성들은 비단으로 만들고 금으로 장식한 '페타'라는 긴 터번을 썼다.[129] 남녀 모두 팔찌, 반지, 목걸이, 귀고리 등 보석을 착용했고, 축제 때는 꽃 장식이나 장미수 향수를 사용했다.[129] 평민들은 소박하게 살았지만, 황족과 귀족들은 보석과 금붙이로 사치스러운 생활을 했다.[129]
6. 2. 종교
비자야나가라 제국은 모든 종교에 대해 매우 관용적인 태도를 보였다.[130] 황제들은 "소와 브라만들의 보호자"라는 칭호를 사용하며 힌두교를 보호하고자 했다.[131] 제국의 창시자들은 시바교도였지만, 비슈누 사원에도 보조금을 지급했다. 바라하(비슈누의 멧돼지 화신)는 제국의 상징이었다.[144]바크티 운동이 활발했으며, 당시 잘 알려진 하리다사들이 참여했다. 12세기의 비라샤이바 운동처럼 이 운동은 수백만 명의 삶에 스며드는 또 다른 강력한 헌신의 흐름을 제시했다. 하리다사들은 비야사쿠타와 다사쿠타 두 그룹으로 대표되었으며, 전자는 베다, 우파니샤드 및 기타 다르샤나에 능숙해야 하는 반면 다사쿠타는 칸나다어로 된 헌신곡(데바라나마스 및 키르타나스)을 통해 마드바차리아의 메시지를 사람들에게 전달했다.[148]
11세기 초 자이나교가 쇠퇴하고, 12세기 비슈누파와 비라샤이바파 힌두교 추종자들이 증가했다.[149] 비자야나가라 영토에서 주목할 만한 자이나교 숭배지로는 슈라바나벨골라와 캄바다할리가 있었다.
남인도와 이슬람교의 접촉은 7세기 초 무역을 통해 시작되었다. 주무아 모스크는 10세기까지 라슈트라쿠타 제국에 존재했으며,[150] 14세기 초에는 말라바르 해안에 많은 모스크가 번성했다.[151] 무슬림 정착민들은 현지 여성들과 결혼했고, 그들의 아이들은 마필라로 알려졌고 말 거래 및 선박 선단 배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5세기 초 데바 라야는 비자야나가라에 무슬림을 위한 모스크를 짓고 그의 왕좌 앞에 쿠란을 두었다.
기독교의 도입은 8세기에 시작되었다. 15세기 포르투갈인의 도착과 제국과의 무역, 성 하비에르(1545)의 신앙 전파, 네덜란드 정착촌의 존재는 남부에서 기독교의 성장을 촉진했다.[153]
6. 3. 문학
비자야나가라 제국 시대에는 칸나다어, 텔루구어, 산스크리트어 등 다양한 언어로 문학 작품이 창작되었다. 종교, 전기, 소설(프라반다), 음악, 문법, 시, 의학, 수학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다.[170][171] 제국의 행정 및 궁정 언어는 칸나다어와 텔루구어였으며, 특히 텔루구어는 크리슈나 데바 라야 치세에 문화적, 문학적으로 큰 발전을 이루었다.[170][171]대부분의 산스크리트어 작품은 베다나 라마야나, 마하바라타 서사시에 대한 해설이었으며, 사야나차르야(베다에 대한 논문인 '베다르타 프라카샤'를 저술, 1856년 맥스 뮐러에 의해 영어로 번역됨)와 비드야라냐와 같은 유명 인물들이 저술했다. 이들은 다른 경쟁적인 힌두 철학에 비해 아드바이타 철학의 우월성을 찬양했다. 다른 작가들은 우두피 교단의 유명한 드바이타 성자들로, 논쟁적인 저술로 '티카차르야'라는 칭호를 얻은 자야티르타, 아드바이타 철학과 초기 논리학자들의 결론을 반박한 비야사티르타, 아디 상카라의 신념을 비판한 바디라자티르타와 슈리파다라야 등이 있다. 이들 외에도 저명한 산스크리트어 학자들이 비자야나가라 황제들과 그들의 봉건 영주들의 궁정을 장식했다. 왕족 중 일부는 실력 있는 작가들이었으며, 크리슈나 데바 라야 황제의 ''잠바바티 칼리아나''[172]와 부카 1세 황제의 며느리인 공주 강가데비가 지은 ''마두라 비자얌''(또는 ''베에라캄파라야 차리타'')는 비자야나가라 제국의 마두라이 술탄국 정복을 다루고 있다.
제국의 칸나다어 시인과 학자들은 하리다사스(비슈누의 신자들), 브라만, 베에라샤이바 문학이 알린 바이슈나바 박티 운동을 지지하는 중요한 저술을 만들었다. 하리다사 시인들은 '상가티야'(4행시), '술라디'(비트 기반), '우가보가'(멜로디 기반), '문디게'(비밀스러운)와 같은 고유한 운율로 '데바라나마'(서정시)라는 노래를 통해 그들의 헌신을 기념했다. 그들의 영감은 마드바차르야와 비야사티르타의 가르침이었다. 푸란다라다사와 카나카다사는 엄청난 공헌으로 많은 '다사스'(신자들) 중에서 가장 뛰어난 사람으로 여겨진다. 브라만 학자 중 가장 주목할 만한 쿠마라 비야사는 서사시 ''마하바라타''를 번역한 ''가두기나 바라타''를 저술했다. 이 작품은 칸나다 문학이 옛 칸나다어에서 현대 칸나다어로 전환되는 것을 보여준다. 차마라사는 데바 라야 2세의 궁정에서 바이슈나바 학자들과 많은 논쟁을 벌였던 유명한 베에라샤이바 학자이자 시인이었다. 그의 ''프라불링가 리일레''는 나중에 텔루구어와 타밀어로 번역되었으며, 성자 알라마 프라부(이 성자는 가네샤의 화신으로 여겨졌고, 파르바티는 바나바시의 공주 모습을 취함)를 찬양하는 내용이다.
텔루구어 문학의 전성기에는 프라반다 양식으로 가장 유명한 저술이 ''마누차리타무''였다. 크리슈나데바라야 황제는 능숙한 텔루구어 학자였으며, ''아묵타말야다''[174][175][176]를 저술했는데, 이것은 신 비슈누와 타밀 알바르 성자 시인이자 페리얄바르의 딸인 안달의 결혼 이야기이며, 슈리랑감에서 이루어졌다. 그의 궁정에는 문학 모임의 기둥(''아슈타디가자스'')으로 여겨지는 여덟 명의 유명한 학자들이 있었다. 그들 중 가장 유명한 사람은 "안드라카비타피타마하"("텔루구 시의 아버지"라는 뜻)라는 명예로운 칭호를 가진 알라사니 페다나와 여러 주목할 만한 작품을 저술한 테날리 라마크리슈나였다.[177] 다른 여섯 명의 시인은 난디 티마나(무쿠 티마나), 아얄라라주 라마바드라, 마다야가리 말라나, 바투 무르티(라마라자 부샤나), 핑갈리 수라나, 그리고 두르자티였다. ''마루트라차리타무''와 ''살리바하나-삽타-사티''와 같은 책을 저술한 슈리나타는 데바라야 2세의 후원을 받았으며, 궁정의 중요한 장관들과 같은 지위를 누렸다.
이 시대의 대부분의 타밀 문학은 타밀어를 사용하는 지역에서 나왔는데, 이 지역은 타밀 문학의 재배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인 봉건적인 판디아에 의해 통치되었다. 칸나다어, 텔루구어, 산스크리트어가 제국의 궁정과 행정 기능을 지배했지만, 타밀 문학도 번영했으며, 특히 비자야나가라 제국이 통치한 남부 지역에서 그러했다. 많은 타밀어 시인들과 학자들은 왕과 지역 봉건 영주들 모두에게 후원을 받았다. 이 시대의 타밀 문학은 주로 헌신적인 것이었으며, 박티 운동의 지속적인 영향을 반영했다. 샤이바와 바이슈나바 전통 모두 지원되었으며, 슈리랑감과 같은 사원이 타밀 종교 텍스트의 전파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 특히 크리슈나데바라야는 타밀어 바이슈나바 문학을 지원한 것으로 유명했다. 바이슈나바 시인 하리다사는 샤이바교와 바이슈나바교를 비교 연구한 이루사마야 빌라캄을 작곡했는데, 왕의 후원하에 바이슈나바 철학에 대한 선호도를 강조했다. 다른 중요한 타밀 학자로는 아드바이타 철학에 대한 구절 모음집인 시바프라카삽-페룬디라투를 저술한 스바루파난다 데시카르와 그의 제자 타투바라야르가 있는데, 그는 짧은 구절 모음집인 쿠룬디라투를 작곡했다.
음악과 의학에 관한 세속적인 저술 중 주목할 만한 것으로는 비드야라냐의 ''상기츠사라'', 프라우다 라야의 ''라티라트나프라디피카'', 사야나의 ''아유르베다 수다니디'', 그리고 락슈마나 판디타의 ''바이디아라자발라밤''이 있다. 케랄라 천문학 및 수학 학파는 삼각법과 미적분에 중요한 공헌을 한 마다바와 행성의 궤도에 대해 가정한 닐라칸타 소마야지와 같은 학자들과 함께 이 시대에 번영했다.[178]
6. 4. 건축
비자야나가라 건축은 찰루키아, 호이살라, 판디아, 촐라 양식이 조합되어 발전하였다.[179] 제국이 끊임없이 침략 위협을 받았기 때문에 장인들은 내구성이 강한 화강암을 주로 사용하였다. 함피의 비탈라 사원과 하자라 라마스와미 사원은 기둥 모양의 칼리아나만타파 양식의 대표적인 예이다.[182] 비자야나가라의 수도에 있는 기념물들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180]
14세기에 황제들은 베사라나 데칸 양식의 기념물들을 만들었지만, 후에 의례적인 필요를 충족하기 위해 드라비다 양식의 고푸람들을 포함시켰다. 부카의 프라산나 비루팍샤 사원(지하 사원)과 데바 라야의 하자레 라마 사원은 데칸 건축의 예이다.
비자야나가라 양식의 또 다른 요소는 함피의 사시베카루(겨자) 가네샤와 카달레카루(땅콩) 가네샤, 카르칼라와 베누르의 고마테슈와라(바후발리), 레팍시의 난디 황소와 같은 대형 기둥 조각과 봉헌이었다.
비자야나가라 예술에는 함피의 비루팍샤 사원에 있는 다샤바타라와 기리자칼리아나(시바의 배우자인 파르바티의 결혼), 레팍시의 비라바드라 사원에 있는 시바푸라나 벽화(시바 이야기) 등이 있다. 이러한 남인도 양식의 혼합은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예술적 표현을 만들어냈으며, 이전 인도와는 달리 조각 외에도 부조에 중점을 두었다.
7. 여행자들
1420년경 함피를 방문한 이탈리아 상인이자 여행가인 니콜로 데 콘티는 함피의 둘레가 약 96.56km라고 기록했다.[47] 1442년 페르시아에서 방문한 압둘 라자크는 함피가 7층으로 이루어진 요새 도시라고 묘사했다.[47] 1520년 포르투갈 여행자 도밍구 파이스는 비자야나가라를 "로마만큼 크고, 보기에도 매우 아름다운... 세계 최고의 도시"라고 언급했다.[48] 파이스에 따르면, "그 안에는 많은 숲이 있고 집의 정원에는 그 가운데로 흐르는 많은 수로가 있으며 곳곳에 호수가 있다."고 한다.[48] 1565년 비자야나가라 제국의 붕괴 이후 방문한 이탈리아 상인 체사레 페데리치는 함피를 "완전히 파괴되지 않았지만, 집들은 텅 비어 있으며 호랑이들과 다른 야수들 외에는 아무것도 거주하지 않는다"고 묘사했다.[49]
참조
[1]
웹사이트
The Vijayanagara Empire
https://ebooks.infli[...]
[2]
서적
The Courts of Pre-colonial South India: Material Culture and Kingship
Psychology Press
1998
[3]
서적
The Encyclopedia of Empire
[4]
서적
Globalising Migration History: The Eurasian Experience (16th–21st Centuries
https://books.google[...]
Algora
2016-07-28
[5]
웹사이트
Vijayanagar Ancient City & Empire, India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10-30
[6]
웹사이트
Vijayanagara Empire
https://en.m.wikiped[...]
2024-12-20
[7]
웹사이트
The Narasinga Kingdom
https://www.deccanhe[...]
Deccan Herald
2023-03-14
[8]
웹사이트
The Rayas of Vijayanagar
https://www.notesoni[...]
Notes on Indian History
2023-03-14
[9]
서적
Precolonial India in Practice: Society, Region, and Identity in Medieval Andhr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0]
서적
Head and Heart: Valour and Self-Sacrifice in the Art of Ind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1]
서적
The position of Hindus under the Delhi Sultanate, 1206–1526
https://books.google[...]
Munshiram Manoharlal
[12]
서적
Beyond Turk and Hindu: Rethinking Religious Identities in Islamicate South As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Florida
[13]
서적
India in the Persianate Age, 1000–1765
Penguin Books
[14]
서적
Administration and social life under Vijayanagara
https://archive.org/[...]
Madras University Historical Series, No. 15. University of Madras
[15]
논문
[16]
논문
[17]
논문
[18]
학술지
Taxation of Hindu Temples in the Telugu districts of the Vijayanagara Empire (1978)
[19]
서적
Sati, the Blessing and the Curse: The Burning of Wives in Ind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
서적
Religion and Rajput Women: The Ethic of Protection in Contemporary Narrativ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1]
학술지
Sati Memorial Stones of Vijayanagara Period – A Study
https://journals.edu[...]
2019-00-00
[22]
서적
Material Background to the Vijayanagara Empire (A Study with Special reference To Southern Āndhradēśa From A.D. 1300 To 1500)
K.Y. Publications
[23]
서적
Sources of Vijayanagar History
Alpha Editions
[24]
서적
Woman, Her History and Her Struggle for Emancipation
Bharathi Puthakalayam
[25]
서적
Administration and Social Life under Vijayanagar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Madras Historical Series No. 15
[26]
서적
The Felt Community: Commonalty and Mentality Before the Emergence of Indian Nationalism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7]
학술지
"Sultan among Hindu Kings": Dress, Titles, and the Islamicization of Hindu Culture at Vijayanagara
Cambridge University Press (CUP)
[28]
서적
Pattadakal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9]
서적
Carving Devotion in the Jain Caves at Ellora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
[30]
서적
Cave by Cave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
[31]
서적
Defining Hinduism: A Reader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32]
학술지
The Envisioning of a Nation: A Defence of the Idea of India
[33]
학술지
Social Relations in the Maratha Country in the Medieval Period
https://www.jstor.or[...]
1970-00-00
[34]
학술지
Impact of endowments on society during the Vijayanagara period: A study of the Rayalaseema region, 1336–1556
[35]
서적
Encyclopaedia of South Indian Literature – Volume 2
Anmol Publications
[36]
논문
Indian Christians and The Making of Composite Culture in South India
https://doi.org/10.1[...]
2018-11-01
[37]
뉴스
A masterpiece in Telugu literature
http://www.thehindu.[...]
2016-06-09
[38]
서적
Giver of the Worn Garland: Krishnadevaraya's Amuktamalyada
https://books.google[...]
Penguin UK
2016-06-09
[39]
서적
Amuktamalyada
https://archive.org/[...]
Telugu Collection for the British Library
2016-06-09
[40]
서적
Religion, Tradition, and Ideology: Pre-colonial South India
Oxford University Press
[41]
서적
History of Science and Philosophy of Science: A Historical Perspective of the Evolution of Ideas in Science
Pearson Longman
[42]
웹사이트
Group of Monuments at Hampi-Cultural Sites
http://whc.unesco.or[...]
1986
[43]
서적
Hampi Travel Guide
https://books.google[...]
Eicher Goodearth supported by Department of Tourism, Government of India
2003
[44]
논문
Mapa mondi (Catalan Atlas of 1375), Majorcan cartographic school, and 14th century Asia
https://www.proc-int[...]
2017
[45]
서적
Cartography between Christian Europe and the Arabic-Islamic World, 1100–1500: Divergent Traditions
https://books.google[...]
Brill
[46]
서적
Circa 1492: Art in the Age of Exploration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991
[47]
서적
The Political Economy of Craft Production: Crafting Empire in South India, c. 1350–165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8]
서적
Nationalism and Imperialism in South and Southeast Asia: Essays Presented to Damodar R.SarDesai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49]
서적
Polities and Power: Archaeological Perspectives on the Landscapes of Early Stat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Arizona Press
[50]
서적
Our Oriental Heritage: The Story of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51]
서적
Divining the Deccan: A Motorbike to the Heart of Ind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52]
서적
Lost Cities of China, Central Asia, and India: A Traveler's Guide
https://books.google[...]
Adventures
[53]
뉴스
Salman Rushdie's new novel is an ode to storytelling and freedom
https://www.economis[...]
2023-02-11
[54]
웹사이트
'Malleeswari' (1951)
http://www.thehindu.[...]
2015-12-26
[55]
기타
[56]
서적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63]
서적
[64]
서적
[65]
서적
[66]
서적
The Courts of Pre-colonial South India: Material Culture and Kingship
Psychology Press
1998
[67]
서적
The Encyclopedia of Empire
[68]
웹사이트
https://frontline.th[...]
[69]
웹사이트
https://www.hindusta[...]
[70]
기타
[71]
논문
[72]
웹인용
Karnataka: A name centuries in the making, stamped in '73
https://www.hindusta[...]
Hindustan Times
2022-09-04
[73]
웹인용
When the south was one
https://fountainink.[...]
Fountain Ink
2022-09-04
[74]
웹인용
Book Review: 'Hampi' by Pierre-Sylvain Filliozat and Vasundhara Kavali-Filliozat is more than a coffee-table book on the Vijayanagar Empire
https://frontline.th[...]
2022-01-09
[75]
웹인용
The Narasinga Kingdom
https://www.deccanhe[...]
Deccan Herald
2023-03-14
[76]
웹인용
Andrea Corsali. L'esploratore Amico Di Leonardo Da Vinci, Scomparso In Oriente
https://archive.org/[...]
GINGKO EDIZIONI
2023-03-14
[77]
웹인용
The Rayas of Vijayanagar
https://www.notesoni[...]
Notes on Indian History
2023-03-14
[78]
서적
History of Vijayanagar, The Aravidu Dynasty of Vijayanagara, Social and Political Life in the Vijayanagara Empire, The Hoysala Vamsa
[79]
논문
[80]
논문
[81]
논문
[82]
논문
[83]
논문
[84]
논문
[85]
논문
[86]
논문
[87]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India
https://archive.org/[...]
Clarendon: Oxford University Press
[88]
서적
The New Cambridge History of India: Vijayanagar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89]
서적
Precolonial India in Practice: Society, Region, and Identity in Medieval Andhr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90]
서적
Head and Heart: Valour and Self-Sacrifice in the Art of Ind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91]
서적
The position of Hindus under the Delhi Sultanate, 1206-1526
https://books.google[...]
Munshiram Manoharlal
[92]
서적
Beyond Turk and Hindu: Rethinking Religious Identities in Islamicate South As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Florida
[93]
논문
[94]
논문
[95]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India
https://archive.org/[...]
Clarendon: Oxford University Press
[96]
논문
[97]
논문
[98]
서적
Columbia Chronologies of Asian History and Culture
Colu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99]
논문
[100]
논문
[101]
논문
[102]
서적
Hampi, A Travel Guide
[103]
논문
[104]
논문
[105]
논문
[106]
harvard
[107]
harvard
[108]
서적
Hampi, A Travel Guide
[109]
harvard
[110]
서적
[111]
서적
A Social History of the Deccan, 1300–1761 – Eight Indian Lives – Part 1, Volume 8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11-17
[112]
서적
Rebel Sultans:The Deccan from Khilji to Shivaji
Juggernaut Books
[113]
harvard
[114]
서적
India in the Persianate Age, 1000–1765
Penguin Books
[115]
harvard
[11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Tamils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117]
harvard
[118]
harvard
[119]
서적
Administration and social life under Vijayanagara
https://archive.org/[...]
Madras University Historical Series, No. 15. University of Madras
[120]
harvard
[121]
harvard
[122]
harvard
[123]
harvard
[124]
harvard
[125]
harvard
[126]
harvard
[127]
harvard
[128]
harvard
[129]
저널
Taxation of Hindu Temples in the Telugu districts of the Vijayanagara Empire (1978)
[130]
harvard
[131]
서적
The Felt Community: Commonalty and Mentality Before the Emergence of Indian Nationalism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32]
저널
"Sultan among Hindu Kings": Dress, Titles, and the Islamicization of Hindu Culture at Vijayanagara
Cambridge University Press (CUP)
[133]
서적
Pattadakal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34]
서적
Carving Devotion in the Jain Caves at Ellora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
[135]
서적
Cave by Cave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
[136]
서적
Defining Hinduism: A Reader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37]
저널
"Sultan among Hindu Kings": Dress, Titles, and the Islamicization of Hindu Culture at Vijayanagara
Cambridge University Press (CUP)
[138]
서적
Pattadakal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39]
서적
Carving Devotion in the Jain Caves at Ellora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
[140]
서적
Cave by Cave
https://books.google[...]
BRILL Academic
[141]
저널
Ramayana and Political Imagination in India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2]
저널
The Envisioning of a Nation: A Defence of the Idea of India
[143]
저널
Social Relations in the Maratha Country in the Medieval Period
https://www.jstor.or[...]
[144]
하버드
[145]
하버드
[146]
하버드
[147]
저널
Impact of endowments on society during the Vijayanagara period: A study of the Rayalaseema region, 1336–1556
[148]
서적
Encyclopaedia of South Indian Literature – Volume 2
Anmol Publications
[149]
하버드
[150]
하버드
[151]
하버드
[152]
하버드
[153]
저널
Indian Christians and The Making of Composite Culture in South India
https://doi.org/10.1[...]
2018-11-01
[154]
하버드
[155]
하버드
[156]
하버드
[157]
하버드
[158]
하버드
[159]
하버드
[160]
하버드
[161]
하버드
[162]
하버드
[163]
하버드
[164]
하버드
[165]
하버드
[166]
하버드
[167]
하버드
[168]
하버드
[169]
하버드
[170]
하버드
[171]
서적
[172]
서적
Madhura Vijaya (or Veerakamparaya Charita): An Historical Kavya
https://archive.org/[...]
Sridhara Power Press
2016-06-21
[173]
서적
[174]
뉴스
A masterpiece in Telugu literature
http://www.thehindu.[...]
The Hindu
2010-06-22
[175]
서적
Giver of the Worn Garland: Krishnadevaraya's Amuktamalyada
https://books.google[...]
Penguin UK
2016-06-09
[176]
서적
Amuktamalyada
https://archive.org/[...]
Telugu Collection for the British Library
2016-06-09
[177]
harv
1955
[178]
서적
History of Science and Philosophy of Science: A Historical Perspective of the Evolution of Ideas in Science
Pearson Longman
[179]
harv
2001
[180]
뉴스
Group of Monuments at Hampi-Cultural Sites
http://whc.unesco.or[...]
2021-04-27
[181]
harvnb
2001
[182]
서적
Hampi Travel Guide
https://books.google[...]
Eicher Goodearth supported by Department of Tourism, Government of India
2003
[183]
저널
Mapa mondi (Catalan Atlas of 1375), Majorcan cartographic school, and 14th century Asia
https://www.proc-int[...]
2017
[184]
서적
Cartography between Christian Europe and the Arabic-Islamic World, 1100–1500: Divergent Traditions
https://books.google[...]
Brill
[185]
서적
Circa 1492: Art in the Age of Exploration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991
[186]
서적
The Political Economy of Craft Production: Crafting Empire in South India, c. 1350–165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7]
서적
Nationalism and Imperialism in South and Southeast Asia: Essays Presented to Damodar R.SarDesai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88]
서적
The Cambridge Economic History of India: Volume 1, c. 1200–c. 1750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9]
서적
Polities and Power: Archaeological Perspectives on the Landscapes of Early Stat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Arizona Press
[190]
서적
Our Oriental Heritage: The Story of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