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르 제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르 제국은 1539년 셰르 샤 수리가 무굴 제국을 물리치고 북인도 술탄을 자처하며 건국한 왕조이다. 셰르 샤는 토지세 제도 개혁, 로타스 요새 건설 등 개혁을 추진했지만 1545년 사망했다. 그의 사후, 왕위 계승 다툼과 기근 등으로 혼란을 겪다 1555년 후마윤에 의해 멸망했다. 수르 제국은 짧은 존속 기간에도 불구하고 무굴 제국의 행정에 영향을 미쳤으며, 루피아를 도입하는 등 화폐 제도를 개혁했고, 그랜드 트렁크 로드를 재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의 근세사 - 무굴 제국
무굴 제국은 16세기 초 바부르가 건국하여 1857년 영국에 의해 멸망할 때까지 인도 아대륙을 지배했던 제국으로, 악바르 대제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아우랑제브 시대 이후 쇠퇴하여 멸망하였으며, 페르시아 문화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문화를 꽃피웠다. - 인도의 근세사 - 벵골 수바
벵골 수바는 무굴 제국 시대에 현재의 방글라데시와 인도 서벵골 주를 아우르는 지역을 통치했던 행정 구역으로, 번영하는 경제와 독특한 문화 유산을 남겼으나 플라시 전투 이후 영국 동인도 회사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 인도의 무슬림 왕조 - 무굴 왕조
무굴 왕조는 위키백과에 등재된 문서가 아니므로 개요를 기반으로 요약할 수 없다. - 인도의 무슬림 왕조 - 투글루크 왕조
투글루크 왕조는 1320년부터 1414년까지 델리 술탄국을 통치했으며, 튀르크 계통으로 추정되고, 기야스 웃 딘 투글루크가 할지 왕조를 몰아내고 건국했으나, 티무르의 침략으로 멸망했다. - 인도의 옛 군주국 - 무굴 제국
무굴 제국은 16세기 초 바부르가 건국하여 1857년 영국에 의해 멸망할 때까지 인도 아대륙을 지배했던 제국으로, 악바르 대제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아우랑제브 시대 이후 쇠퇴하여 멸망하였으며, 페르시아 문화의 영향을 받아 독자적인 문화를 꽃피웠다. - 인도의 옛 군주국 - 마라타 제국
마라타 제국은 17세기 중반 시바지 보살레에 의해 건국되어 인도 아대륙의 상당 부분을 지배했으나, 1818년 영국 동인도 회사와의 전쟁에서 패배하며 멸망했다.
수르 제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
일반 명칭 | 수르 제국 |
국가 유형 | 제국 |
존속 기간 | 1538년/1540년 – 1556년 |
건국일 | 1538년 4월 6일 |
멸망일 | 1555년 6월 22일 |
이전 국가 | 무굴 제국 벵골 술탄국 포르투갈 제국 말와 술탄국 랑가 술탄국 라지푸타나 |
계승 국가 | 벵골 술탄국 말와 술탄국 무굴 제국 |
종교 | 수니파 이슬람교 |
수도 | 사사람 델리 |
정치 체제 | 전제군주제 |
통치자 | |
통치자 칭호 | 술탄 |
초대 통치자 | 셰르 샤 수리 |
초대 통치자 재위 기간 | 1538년/1540년 – 1545년 |
마지막 통치자 | 아딜 샤 수리 |
마지막 통치자 재위 기간 | 1555년 – 1556년 |
언어 | |
공용어 | 힌다비어 |
일반 언어 | 페르시아어 벵골어 보지푸리어 |
2. 역사
1539년, 셰르 샤 수리는 무굴 제국의 2대 황제 후마윤을 차우사 전투에서 물리치고 북인도의 술탄으로 즉위했다.[22] 왕조의 이름은 자신의 아프가니스탄계 부족 이름에서 따왔다.[23][22]
셰르 샤는 지세 제도의 금납화, 측량 실시, 검시법 도입 등 중요한 정책을 시행했다.[24][25] 펀자브 지방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로타스 요새를 건설하여 중앙아시아 유목 민족의 침입에 대비했다. 셰르 샤는 1545년 5월 22일 불의의 사고로 사망했다.[26]
셰르 샤의 아들 이슬람 샤 수리는 왕조의 개혁을 추진했지만, 역량이 부족해 제국은 혼란에 빠졌다. 1554년 이슬람 샤가 사망하고, 그의 아들 피루즈 샤 수리가 즉위했으나, 왕족 간 내분으로 살해당했다.[27][28] 이후 술탄 자리를 둘러싼 다툼, 1554년 발생한 가뭄과 기근, 역병으로 민심이 악화되었다.[29][30][31]
1555년 7월, 카불을 떠난 후마윤에 의해 델리가 함락되면서 수르 제국은 멸망하고, 북인도는 다시 무굴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32]
2. 1. 셰르 샤 수리의 집권과 개혁 (1539-1545)
1539년 12월, 셰르 샤 수리는 차우사 전투에서 무굴 제국의 2대 황제 후마윤을 격파하고 북인도의 술탄으로 즉위했다.[22] 왕조의 이름은 자신의 아프가니스탄계 부족 이름에서 따왔다.[23][22]
셰르 샤는 즉위 후 무굴 제국에서 크게 발전하는 토지세 제도, 군사 제도 등 중요한 정책들을 시행했다. 토지세의 현금 납부, 토지 측량 실시, 검시법 도입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24][25]
또한, 펀자브 지방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로타스 요새를 건설하여 중앙아시아 유목 민족의 침입에 대비했다.

셰르 샤는 벵골 술탄국에 대한 지속적인 공격으로 벵골 술탄국의 통치자가 후마윤에게 지원을 요청하게 만들었고, 1539년 차우사 전투와 1540년 칸나우지 전투에서 승리하여 델리를 점령했다.[4]
벵골의 중요성을 인식한 셰르 샤는 행정력을 이 지역에 집중시켰다. 1541년 3월, 벵골 총독 키지르 칸이 반란을 일으키자 셰르 샤는 직접 군대를 지휘하여 진압하고 벵골을 복속시켰다. 벵골은 47개의 작은 행정 구역으로 나뉘었고, 각 구역에는 시크다르가, 이들은 무크타르의 최고 감독관인 카지 파질롯의 감독을 받았다.[4]
셰르 샤는 방글라데시에서 아프가니스탄까지 이어지는 그랜드 트렁크 로드를 대대적으로 재건하고 현대화했다. 여행자들을 위한 숙박 시설인 카라반사라이와 모스크를 건설하고, 도로 양쪽에 나무를 심어 그늘을 제공했으며, 서쪽 구간에는 우물도 설치했다. 또한, 말을 이용해 교대로 우편물을 운반하는 효율적인 우편 제도도 구축했다.[7]

셰르 샤는 무굴 제국의 주화를 특징짓는 삼금본위제를 도입했다. 이전에는 은화를 통칭하는 용어로 "루피아(rūpya)"가 사용되었지만, 셰르 샤의 통치 기간 동안 "루피(rūpee)"는 178그레인의 표준 무게를 가진 은화의 이름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이는 현대 루피의 전신이 되었다.[7] 셰르 샤는 169그레인 무게의 금화 ''모후르(Mohur)''와 구리 화폐 파이사(Paisa)도 주조했다.[7]
이러한 개혁으로 수르 제국은 전성기를 맞았지만, 셰르 샤 수리는 1545년 5월 22일 불의의 사고로 사망했다.[26]
2. 2. 셰르 샤 사후의 혼란과 멸망 (1545-1555)
셰르 샤 수리가 1545년 칼린자르 요새 공방전 중 화약 폭발 사고로 사망한 후, 그의 아들 이슬람 샤 수리가 왕위를 계승했다.[26] 이슬람 샤는 아버지의 정책을 이어받아 개혁을 추진하려 했으나, 역량이 부족하여 제국은 혼란에 빠졌다.1554년 이슬람 샤가 사망하자, 그의 어린 아들 피루즈 샤 수리가 즉위했으나, 왕족 간의 권력 다툼으로 인해 곧 살해당했다.[27][28] 이후 무함마드 아딜 샤, 이브라힘 샤 수리, 시칸다르 샤 수리 등이 난립하며 내분이 계속되었다. 이와 더불어 1554년에 발생한 가뭄, 기근, 역병으로 인해 민심이 악화되었다.[29][30][31]
이러한 혼란을 틈타, 1555년 7월 후마윤이 카불을 떠나 델리를 점령하면서 수르 제국은 멸망하고 무굴 제국이 부활했다.[32]
3. 역대 군주
순서 | 사진 | 이름 | 재위 기간 | 비고 |
---|---|---|---|---|
1 | 셰르 샤 수리 | 1539년 ~ 1545년 | 1539년 12월, 무굴 제국의 2대 황제인 후마윤을 물리치고 북인도의 술탄으로 즉위했다.[22] | |
2 | ![]() | 이슬람 샤 수리 | 1545년 ~ 1554년 | 셰르 샤 수리의 아들. 아버지의 유지를 이어받아 개혁을 추진했지만, 재능이 부족해 제국이 혼란에 빠졌다. |
3 | 피루즈 샤 수리 | 1554년 | 이슬람 샤 수리의 아들. 어린 나이로 인해 왕족 내부에서 내분이 일어나 살해당했다.[27][28] | |
4 | 무함마드 아딜 샤 | 1554년 ~ 1555년 | ||
5 | 이브라힘 샤 수리 | 1555년 | ||
6 | 시칸다르 샤 수리 | 1555년 |
4. 정치 및 행정 제도
셰르 샤는 중앙 집권적인 통치 체제를 구축하고 효율적인 행정 제도를 마련했다. 제국을 여러 개의 행정 구역으로 나누고 각 구역에 관리를 파견하여 통치했다.
수르 제국은 익타(행정 구역)로 구성되었다. 익타의 수장은 하킴(Hakim), 파우즈다르, 또는 모민(Momin)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으며, 5,000명 미만의 병력을 거느리고 지역의 질서 유지를 담당했다.[4] 익타는 다시 사르카르(지역)로 나뉘었다. 사르카르에는 시크다르와 문시프라는 두 주요 관리가 있었다. 시크다르는 민정 및 군정을 담당하고 200~300명의 병사를 거느렸으며, 문시프는 세금 징수와 민사 재판을 담당했다.[4]
사르카르는 다시 2~3개의 파르가나로 나뉘었다. 파르가나는 중간 규모 도시와 주변 마을을 포함하는 지역이었다. 각 파르가나에는 시크다르, 문시프, 폿다르(Fotdar)라는 재무관, 그리고 힌디어와 페르시아어를 읽고 쓸 수 있는 카르쿤(Karkun)이 있었다. 파르가나의 시크다르는 사르카르 시크다르의 감독을 받는 군사 장교였고, 파르가나의 안정 유지, 토지 세금 징수 및 토지 측량에서 문시프를 돕는 책임을 맡았다. 파르가나의 문시프는 사르카르의 수석 문시프의 감독을 받았다.[4]
마을은 자치권을 가지고 판차야트(Panchayats)라는 자체 집회에 의해 통치되었다. 셰르 샤는 이를 존중했다. 각 집회는 마을 어른들로 구성되었고, 마을 주민의 필요를 돌보고 공동체 관습에 따라 처벌을 결정했다. 마을의 장은 마을과 상위 정부 간의 외교관 역할을 했다.[4]
셰르 샤는 제국을 통합하는 동안 주(州) 경계에 부과되던 세금을 폐지하여 인도 전역의 무역을 활성화하고자 했다. 국내로 반입되는 상품과 상품 판매 시에만 세금을 부과하여 관세를 철폐했다.[4]
셰르 샤는 은화 '루피'를 도입하고, 금화 '모후르(Mohur)', 동화 '파이사(Paisa)'를 주조하여 통화 제도를 확립했다.[7] "루피아(rūpya)"라는 용어는 이전에는 은화를 통칭하는 일반적인 용어였지만, 셰르 샤의 통치 기간 동안 "루피(rūpee)"는 178그레인의 표준 무게를 가진 은화의 이름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이는 현대 루피의 전신이다.[7] 루피는 오늘날 인도, 인도네시아, 몰디브, 모리셔스, 네팔, 파키스탄, 세이셸, 스리랑카의 국가 통화로 사용된다.
5. 군사 제도
셰르 샤는 무굴 제국을 몰아내고 인도를 통일하기 위해 강력한 군대를 육성했다. 그의 군대는 주로 기병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보병은 머스킷으로 무장했다. 또한 5천 마리 이상의 전투 코끼리를 운용하여 전투력을 강화했다.[9]
셰르 샤는 군대를 여러 부대로 나누고 각 부대에 지휘관을 임명하여 효율적인 지휘 체계를 구축했다. 군율은 매우 엄격했으며, 병사들에게는 명확한 역할이 부여되었다. 또한 '다그 시스템'을 통해 첩자를 색출하여 군대의 기강을 확립했다. 군대의 보급은 '반자라'들이 담당했다.[9]
셰르 샤는 파슈토어를 사용하는 아프간인들을 우대하여 군대의 결속력을 강화했다. 파슈토어를 할 줄 아는 아프간인들에게는 더 높은 봉급을 지급했다.[9] 1540년 셰르 샤의 군대는 15만 명 이상의 기병, 2만 5천 명의 보병, 5천 마리 이상의 전투 코끼리로 구성되었다.[9]
6. 사회 및 문화
셰르 샤 수리는 정의로운 통치자로 명성이 높았다. 카지(Qadis)들이 법정을 열었고, 셰르 샤 자신도 민사 사건을 관찰했다. 힌두교도들은 판차야트 집회에서 분쟁을 해결했으며, 형사 사건의 경우에는 누구도 제국의 법에서 예외가 아니었다. 제국의 형사법은 매우 가혹했는데, 이는 처벌에 대한 두려움으로 다른 사람들이 범죄를 저지르는 것을 막기 위함이었다. 셰르 샤는 정부 관리들을 포함한 고위직 인물들에게도 무거운 처벌을 내렸다.[1][2]
셰르 샤는 상인들이 강도나 도적의 위협 없이 사막을 여행하고 잠을 잘 수 있을 정도로 정의로운 통치를 펼쳤다. 셰르 샤의 군인들은 경찰 역할을 했으며, 도둑과 강도를 찾는 것이 그들의 임무였다. 또한 자기 책임 개혁을 시행하여, 살인과 같은 사건에서 범인을 찾지 못하면 관리들이 직접 책임을 지고 교수형을 당해야 했다. 이러한 개혁에 대해 역사가들은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1][2]
셰르 샤는 파키스탄에 있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로흐타스 요새, 비하르에 있는 로흐타스가르 요새의 많은 건축물, 파트나에 있는 셰르 샤 수리 사원, 델리의 푸라나 킬라 단지 내에 있는 킬라-이-쿠나 사원과 셰르 만달 등 여러 기념비를 건설했다. 셰르 만달은 후마윤의 도서관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1545년 현재 파키스탄에 있는 브헤라라는 새로운 도시를 건설했으며, 그 안에는 그의 이름을 딴 웅장한 사원도 포함되어 있다.
셰르 샤 수리의 묘는 그 위엄과 품격으로 인해 인도에서 가장 아름다운 기념물 중 하나로 여겨진다. 커닝햄은 심지어 이 묘를 타지마할보다 더 선호하기도 했다.
6. 1. 종교 정책
셰르 샤의 종교 정책은 역사가들 사이에서 논쟁의 여지가 있다. Qanungo 박사는 셰르 샤가 힌두교 신자들에게 종교적 관용을 유지했다고 말한다. Ram Sharma는 셰르 샤 수리가 그의 신앙에 헌신적이었으며 항상 5번의 기도를 드렸다고 주장한다.[8] 반면, 셰르 샤의 라지푸트족에 대한 전쟁은 지하드로 묘사되기도 하고, 말데오에 대한 그의 처우는 종교적 불관용의 징후로 여겨지기도 한다.[8] 그러나 그는 대체로 힌두교 신자들에게 관용적이었으며, 그들에 대한 원한을 품거나 선전을 벌이지는 않았다.[8]Srivastava에 따르면, 셰르 샤의 균형 잡힌 정책은 그의 동료 무슬림들이 힌두교 신자들에 대한 관대한 대우에 만족하게 만들었다. 셰르 샤의 정책은 이슬람이 정복한 땅에서 우위를 점해야 하지만 힌두교를 대체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6. 2. 사회 정의
셰르 샤 수리는 정의로운 통치자로 명성이 높았다. 카지(Qadis)들이 법정을 열었고, 셰르 샤 자신도 민사 사건을 관찰했다. 힌두교도들은 판차야트 집회에서 분쟁을 해결했으며, 형사 사건의 경우에는 누구도 제국의 법에서 예외가 아니었다. 제국의 형사법은 매우 가혹했는데, 이는 처벌에 대한 두려움으로 다른 사람들이 범죄를 저지르는 것을 막기 위함이었다. 셰르 샤는 정부 관리들을 포함한 고위직 인물들에게도 무거운 처벌을 내렸다.[1][2]셰르 샤는 정의로운 통치자로 명성이 높았다. 상인들은 강도나 도적의 위협 없이 사막을 여행하고 잠을 잘 수 있을 정도였다. 셰르 샤의 군인들은 경찰 역할을 했으며, 도둑과 강도를 찾는 것이 그들의 임무였다. 또한 자기 책임 개혁을 시행하여, 살인과 같은 사건에서 범인을 찾지 못하면 관리들이 직접 책임을 지고 교수형을 당해야 했다. 이러한 개혁에 대해 역사가들은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1][2]
6. 3. 건축
셰르 샤는 파키스탄에 있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로흐타스 요새, 비하르에 있는 로흐타스가르 요새의 많은 건축물, 파트나에 있는 셰르 샤 수리 사원, 델리의 푸라나 킬라 단지 내에 있는 킬라-이-쿠나 사원과 셰르 만달 등 여러 기념비를 건설했다. 셰르 만달은 후마윤의 도서관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1545년 현재 파키스탄에 있는 브헤라라는 새로운 도시를 건설했으며, 그 안에는 그의 이름을 딴 웅장한 사원도 포함되어 있다.
셰르 샤 수리의 묘는 그 위엄과 품격으로 인해 인도에서 가장 아름다운 기념물 중 하나로 여겨진다. 커닝햄은 심지어 이 묘를 타지마할보다 더 선호하기도 했다.
7. 평가 및 영향
수르 제국은 짧은 기간 존속했지만, 셰르 샤의 개혁은 이후 무굴 제국의 행정, 경제, 군사 제도에 큰 영향을 미쳤다.[5] 특히 무굴 황제 아크바르는 셰르 샤의 통치 방식을 계승하여 무굴 제국 번영의 기틀을 마련했다. 셰르 샤는 지세의 금납화, 측량 실시, 검시법 도입 등 중요한 정책을 시행했으며,[24][25] 도로 정비와 대상 숙소 건설은 인도 아대륙의 교통과 무역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참조
[1]
서적
A Historical Atlas of South Asia
https://dsal.uchica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8
[2]
학술지
The pursuit of Persian: Language in Mughal Poli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3]
서적
National Geographic Visual History of the World
National Geographic Society
[4]
웹사이트
Rule of Afghans
https://en.banglaped[...]
2023-08-16
[5]
서적
History of Medieval India: From 1000 A.D. to 1707 A.D.
https://books.google[...]
Atlantic Publishers & Dist
2002
[6]
웹사이트
Táríkh-i Sher Sháhí; or, Tuhfat-i Akbar Sháhí, of 'Abbás Khán Sarwání. CHAPTER I. Account of the reign of Sher Sháh Súr.
http://persian.packh[...]
Packard Humanities Institute
2010-09-04
[7]
웹사이트
Mughal Coinage
http://www.rbi.org.i[...]
Reserve Bank of India
2010-08-24
[8]
웹사이트
Shēr Shah of Sūr
http://www.britannic[...]
2010-08-23
[9]
웹사이트
Táríkh-i Sher Sháhí; or, Tuhfat-i Akbar Sháhí, of 'Abbás Khán Sarwání. CHAPTER I. Account of the reign of Sher Sháh Súr.
https://books.google[...]
Packard Humanities Institute
2010-09-04
[10]
Banglapedia
[11]
서적
The Mughul Empire
Bharatiya Vidya Bhavan
2007
[12]
서적
The Mughul Empire
Bharatiya Vidya Bhavan
2007
[13]
서적
The Mughul Empire
Bharatiya Vidya Bhavan
2007
[14]
서적
The Mughul Empire
Bharatiya Vidya Bhavan
2007
[15]
서적
ムガル皇帝歴代誌
[16]
서적
世界歴史大系 南アジア史2―中世・近世―
[17]
서적
世界歴史大系 南アジア史2―中世・近世―
[18]
서적
ムガル帝国の興亡
[19]
서적
ムガル皇帝歴代誌
[20]
서적
世界歴史大系 南アジア史2―中世・近世―
[21]
서적
National Geographic Visual History of the World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2]
서적
ムガル皇帝歴代誌
[23]
서적
世界歴史大系 南アジア史2―中世・近世―
[24]
서적
世界歴史大系 南アジア史2―中世・近世―
[25]
서적
ムガル皇帝歴代誌
[26]
서적
世界歴史大系 南アジア史2―中世・近世―
[27]
서적
ムガル帝国の興亡
[28]
서적
世界歴史大系 南アジア史2―中世・近世―
[29]
서적
ムガル帝国の興亡
[30]
서적
ムガル皇帝歴代誌
[31]
서적
世界歴史大系 南アジア史2―中世・近世―
[32]
서적
世界歴史大系 南アジア史2―中世・近世―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