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콜어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콜어군은 필리핀 비콜반도와 인근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들의 어군이다. Ethnologue, McFarland, Lobel 등 여러 학자에 의해 분류되었으며, 해안 비콜어, 내륙 비콜어, 북부 카탄두아네스 비콜어 등으로 나뉜다. 비콜어군은 라틴 문자를 사용하며, a, e, i, o, u의 모음과 p, t, k, b, d, g, m, n, ŋ, s, l, r, w, y의 자음을 가진다. 어휘 구성은 접두사, 접미사, 중복, 합성에 의하며, 접사는 시제, 상, 태, 수 등을 나타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콜어군 - 중부 비콜어
중부 비콜어는 필리핀 비콜 지역에서 사용되며 6개의 방언으로 나뉘고, 스페인어와 산스크리트어 어휘를 포함하며, 동사 중심의 어순을 따르고 특수한 어휘와 표현 방식을 갖는다. - 중앙필리핀어군 - 타갈로그어
타갈로그어는 필리핀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필리핀어의 기초가 되며 해외 이민자 공동체에서도 사용되고, 라틴 알파벳 기반에 독특한 음운론 및 문법 특징, 스페인어와 영어 차용어를 포함한다. - 중앙필리핀어군 - 비사야어군
비사야어군은 필리핀 중부 비사야 제도와 민다나오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어군으로, 세부아노어, 힐리가이논어, 와라이어를 포함한 약 36개의 언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남부, 세부, 중부, 반톤, 서부의 다섯 주요 분파로 나뉜다.
비콜어군 | |
---|---|
개요 | |
사용 지역 | 비콜 지방 |
사용자 수 | 약 460만 명 |
어족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필리핀어군 중앙필리핀어군 |
문자 | 라틴 문자 |
언어 코드 (ISO 639-2) | bik |
언어 코드 (ISO 639-3) | bik |
글롯토로그 | biko1240 |
글롯토로그 명칭 | Bikol |
![]() | |
하위 언어 | |
해안 비콜어 | 중앙 비콜어 리가오 비콜어 북카탄두아네스 비콜어 |
내륙 비콜어 | 알바이 비콜어 리논수들 비콜어 미라야 비콜어 부히논 비콜어 남카탄두아네스 비콜어 서알바이 비콜어 이리가 비콜어 |
기타 | 판단 비콜어 |
언어학적 정보 | |
조어 | 원시 비콜어 |
2. 내부 분류
2. 1. Ethnologue
Ethnologue는 비콜어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 '''비콜어'''
- * 해안 비콜어(북부)
- ** 이사로그 아그타어
- ** 이라야 산지 아그타어
- ** 중앙 비콜어
카나만 방언 (표준)
나가 방언
파르티도 방언
타바코-레가스피-소르소곤(TLS) 방언
다에트 방언
비락 방언
- ** 남부 카탄두아네스 비콜어
- * 내륙 비콜어(남부)
- ** 이리가 산지 아그타어
- ** 알바이 비콜어
부히논어
리본어
서미라야 어
동미라야 어
- ** 린코나다 비콜어
*고원 / 시나부키드 방언
**아그타 방언
**이리가 방언 (표준)
*저지 / 시나라너우 방언
**바오 방언
**바토 방언
**불라-필리 방언
**나부아-발라탄 방언
- * 북부 카탄두아네스 비콜어
- ** 판단 비콜어

2. 1. 1. 해안 비콜어 (북부)
- 이사로그 아그타어
- 이라야 산지 아그타어
- 중앙 비콜어
- * 카나만 방언 (표준)
- * 나가 방언
- * 파르티도 방언
- * 타바코-레가스피-소르소곤(TLS) 방언
- * 다에트 방언
- * 비락 방언
- 남부 카탄두아네스 비콜어
2. 1. 2. 내륙 비콜어 (남부)
- 이리가 산지 아그타어
- 알바이 비콜어
- ** 부히논어
- ** 리본어
- ** 서미라야 어
- ** 동미라야 어
- 린코나다 비콜어
- **고원 / 시나부키드 방언
아그타 방언
이리가 방언 (표준)
- **저지 / 시나라너우 방언
바오 방언
바토 방언
불라-필리 방언
나부아-발라탄 방언
2. 1. 3. 북부 카탄두아네스 비콜어
판단 비콜어2. 2. McFarland (1974)
Curtis McFarland는 비콜어군에 대해 다음과 같은 분류를 제시한다.[1]- '''북부 카탄두아네스'''
- * 판단 (북부 카탄두아네스)
- '''내륙 비콜어'''
- * 이리가(린코나다)
- * 알바이
- ** 부히 (부히논)
- ** 리봉
- ** 오아스 (서부 미라야)
- ** 다라가 (동부 미라야)
- '''해안 비콜어'''
- * 나가 (표준 비콜어), 레가스피, 및 파르티도
- * 비락 (남부 카탄두아네스)
- * 산 파스쿠알 (북부 부리아스섬)
2. 2. 1. 북부 카탄두아네스
판단 (북부 카탄두아네스)2. 2. 2. 내륙 비콜어
이리가(린코나다)[1], 알바이[1]는 다음과 같이 나뉜다.링코나다 비콜어[1]는 다음과 같이 나뉜다.
- 고원 / 시나부키드 방언
- * 아그타 방언
- * 이리가 방언 (표준)
- 저지 / 시나라너우 방언
- * 바오 방언
- * 바토 방언
- * 불라-필리 방언
- * 나부아-발라탄 방언
2. 2. 3. 해안 비콜어
나가 (표준 비콜어), 레가스피, 및 파르티도, 비락 (남부 카탄두아네스), 산 파스쿠알 (북부 부리아스섬)2. 3. Lobel (2000)
Lobel (2000)은 비콜어를 12개의 방언과 4개의 주요 가지로 나눈다.[2]- '''북부 해안 비콜어'''
- ** '''중앙 표준어''' – 주로 나가시, 카마리네스 수르주, 타바코 및 레가스피, 알바이주, 소르소곤시, 소르소곤주에서 사용된다. 카마리네스 노르테주 다엣(Daet), 카마리네스 수르주의 다른 많은 지역, 산 파스쿠알, 마스바테주(부리아스섬), 알바이주의 제1선거구와 제2선거구, 카탄두아네스주 남서부 해안, 소르소곤주 북동부에서도 인식되고(때로는 이해되고) 있다.
다엣 지역 방언
나가시 지역 방언
타바코-레가스피-소르소곤 지역 방언
산 안드레스 및 카라모란 남서부 및 북부 마을, 카탄두아네스주.
- ** '''파르티도 비콜어''' – 카마리네스 수르주의 오캄포, 고아, 티가온, 라고노이, 사그나이, 산호세 시에서 사용된다. 이 방언은 부드러운 억양을 가지고 있으며 린코나다 비콜어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 ** '''남부 카탄두아네스어''' – 카탄두아네스주의 남쪽 절반에서 사용된다.
비라크 지역 방언
바토 지역 방언
바라스 지역 방언
산 미겔 방언(북부 카탄두아네스어로 이행)
2. 3. 1. 북부 해안 비콜어
- '''중앙 표준어''' – 주로 나가시, 카마리네스 수르주, 타바코 및 레가스피, 알바이주, 소르소곤시, 소르소곤주에서 사용된다. 카마리네스 노르테주 다엣(Daet), 카마리네스 수르주의 다른 많은 지역, 산 파스쿠알, 마스바테주(부리아스섬), 알바이주의 제1선거구와 제2선거구, 카탄두아네스주 남서부 해안, 소르소곤주 북동부에서도 인식되고(때로는 이해되고) 있다.
다엣 지역 방언
나가시 지역 방언
타바코-레가스피-소르소곤 지역 방언
산 안드레스 및 카라모란 남서부 및 북부 마을, 카탄두아네스주.
- '''파르티도 비콜어''' – 카마리네스 수르주의 오캄포, 고아, 티가온, 라고노이, 사그나이, 산호세 시에서 사용된다. 이 방언은 부드러운 억양을 가지고 있으며 린코나다 비콜어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 '''남부 카탄두아네스어''' – 카탄두아네스주의 남쪽 절반에서 사용된다.
비라크 지역 방언
바토 지역 방언
바라스 지역 방언
산 미겔 방언(북부 카탄두아네스어로 이행)
2. 3. 2. 남부 해안 및 내륙 비콜어
- '''린코나다 비콜어''' – 주로 이리가시, 바아오, 훌라, 발라탄, 바토 및 나부아, 카마리네스 수르주에서 사용된다. 또한 카마리네스 수르주 오캄포, 부히, 필리 일부 지역과 알바이주 폴랑귀 일부 지역에서도 사용된다.
호숫가 린코나다 방언(/ə/ 모음 없음)
고지대 린코나다 방언(/ə/ 모음 있음)
- '''부히논''' – 부히, 카마리네스 수르주에서 사용된다. 알바이주 폴랑귀의 비콜어와 이리가의 린코나다 비콜어 방언의 특징을 모두 포함한다.
- '''리본''' – 리본, 알바이주에서 사용된다.
- '''서쪽 미라야''' – 리가오시, 폴랑귀, 오아스, 피오 두란, 알바이주에서 사용된다.
- '''동쪽 미라야''' – 기누보탄, 카말리그, 다라가 및 호벨라르, 알바이주 및 돈솔 및 필라르, 소르소곤주에서 사용된다.
중앙(기누보탄)
극동(카말리그, 다라가)
남동부(호벨라르, 돈솔, 필라르)
남부 비콜어의 일부 방언은 폐쇄 중앙 무원순 모음 /ɨ/을 원시 오스트로네시아어 *ə의 반사로 가지고 있다. 그러나 원시 오스트로네시아어 *ə는 리본에서는 로 실현된다. 두 개의 비콜어 방언은 고유한 추가 자음을 가지고 있는데, 즉 남부 카탄두아네스어는 치간측 자음 /l̟/ (로도 표기됨)을 가지고 있으며,[3][4] 부히논은 유성 연구개 마찰음 /ɣ/을 가지고 있다.[5]
2. 3. 3. 북부 카탄두아네스어
판단 비콜어는 카탄두아네스주 북쪽 절반에서 약 8만 명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세부 방언은 다음과 같다.[2]- 바가마녹 지역 방언
- 카라모란 지역 방언 (남부 카탄두아네스어로 이행)
- 기그모토 지역 방언 (남부 카탄두아네스어로 이행)
- 판단 지역 방언
- 판가니반 지역 방언
- 비가 지역 방언
2. 3. 4. 비스아콜어
비스아콜어는 비콜어와 비스아와어의 특징이 섞인 언어이다.- '''북부 소르소곤어''' – 소르소곤시, 카스티야, 카시구란 및 주반에서 사용된다.
- 카스티야 지역 방언(비콜-레가스피와 혼합)
- 카시구란-주반 지역 방언
- '''남부 소르소곤어''' (구밧어로도 알려짐) – 구밧; 바르셀로나, 불루산, 산타 마그달레나, 마트노그, 이로신, 불란에서 사용된다.
- '''마스바테뇨어''' – 마스바테시, 모보, 우손, 디마살랑, 팔라나스, 마스바테, 아로로이(마스바테섬), 티카오섬, 클라베리아(부리아스섬 남쪽 절반)에서 사용된다.
- 표준 마스바테뇨어
- 티카오섬 방언
3. 문자
비콜어군은 라틴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4. 음운
비콜어군의 모음은 a, e, i, o, u이며, 자음은 p, t, k, b, d, g, m, n, ŋ, s, l, r, w, y가 있다.
4. 1. 음운적 특징
비콜어군의 모음은 a, e, i, o, u이며, 자음은 p, t, k, b, d, g, m, n, ŋ, s, l, r, w, y가 있다. 남부 비콜어의 일부 방언은 폐쇄 중앙 무원순 모음 을 원시 오스트로네시아어 의 반사로 가지고 있는데, 리본에서는 로 실현된다. 남부 카탄두아네스어는 치간측 자음 (로도 표기됨)을, 부히논은 유성 연구개 마찰음 을 가지고 있다.5. 대명사
비콜어의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
주격 | 능격 | 여격 | |
---|---|---|---|
1인칭 단수 | ako | ko | sakuya, sako |
2인칭 단수 | ika, ka | mo | saimo, si-mo |
3인칭 단수 | siya | niya | saiya |
1인칭 복수(포함) | kita | nyato, ta | satuya, sato |
1인칭 복수(제외) | kami | nyamo, mi | samuya, samo |
2인칭 복수 | kamo | nindo | saindo |
3인칭 복수 | sinda | ninda | sainda |
6. 형태론
어휘 구성은 접두사, 접미사, 중복(일종의 접사), 합성에 의한다. 접사는 시제, 상, 태(초점), 수 등을 나타낸다. 많은 접두사가 공기한다. 그에 비해 접중사, 접미사는 종류가 적어 1~3종류가 한계이다.
중복에는 어간의 일부 반복(부분 중복), 전체 반복(완전 중복), 또는 그 조합이 있으며, 접사와 함께 활발하게 사용된다. 상, 반복성, 다량성, 축소성 등을 나타낸다.
7. 기본 표현
안녕하세요. (아침 인사) marhay na aga.
안녕하세요. (오후 인사) marhay na hapon po.
안녕히 주무세요. marhay na banggi.
참조
[1]
논문
1974
[2]
논문
2000
[3]
학술지
Minangali (Kalinga) Digital Wordlist: Presentation Form
2008
[4]
웹사이트
Interdental Lateral
https://vagabonddrif[...]
2012-03-17
[5]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Languag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Elsevier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