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사야어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사야어군은 필리핀 비사야 제도와 주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들의 집합으로, 세부아노족, 힐리가이논족, 와라이족 등 다양한 민족 집단이 사용한다. 이 언어들은 '비사야' 또는 '비니사야'로 불리기도 하지만, 비사야 제도 밖에서는 다른 의미로 사용될 수 있어 혼동을 야기할 수 있다. 데이비드 조크는 비사야어군을 남부, 세부, 중부, 반톤, 서부의 다섯 주요 갈래로 분류했으며, 롬블론 지방은 언어적 다양성이 가장 큰 지역이다. 비사야어군은 인칭 대명사 및 일반 명사를 나타내는 격 표지 체계가 발달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앙필리핀어군 - 타갈로그어
    타갈로그어는 필리핀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필리핀어의 기초가 되며 해외 이민자 공동체에서도 사용되고, 라틴 알파벳 기반에 독특한 음운론 및 문법 특징, 스페인어와 영어 차용어를 포함한다.
  • 중앙필리핀어군 - 비콜어군
    비콜어군은 필리핀 비콜 지방의 언어 집합으로, 민족어, Ethnologue, McFarland (1974), Lobel (2000) 등의 분류 기준에 따라 언어와 방언이 다양하게 구분되며 라틴 문자로 표기되고 독특한 음운 및 형태론적 특징을 갖는다.
  • 비사야족 - 로드리고 두테르테
    로드리고 두테르테는 강력한 반부패 및 범죄 척결 정책으로 다바오 시장을 장기간 역임한 필리핀 정치인으로, 2016년 대통령에 당선되어 "마약과의 전쟁"을 추진하며 범죄율 감소를 이루었으나 인권 침해 논란을 겪었고, 중국과의 관계 개선 및 경제 성장을 위한 정책을 펼치는 등 필리핀 사회에 복합적인 영향을 남겼다.
  • 비사야족 - 힐리가이논족
    힐리가이논족은 필리핀 비사야 제도에 거주하며 힐리가이논어를 사용하는 민족 집단으로, 파나이섬, 기마라스주, 서네그로스주에 주로 거주하며 농업과 어업을 중심으로 독특한 문화를 이루고 로마 가톨릭 신앙을 믿으며 축제와 스포츠 활동을 통해 문화를 보존한다.
  • 비사야어군 - 타우수그어
    타우수그어는 술루 제도 타우수그족이 사용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비사야어군에 속하며 술랏 수그 문자로 표기되었으나 현재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고 아랍어와 산스크리트어 차용어가 많다.
  • 비사야어군 - 아클라논어
    아클라논어는 필리핀 아클란 주에서 쓰이는 언어로 악란, 악라노 등으로도 불리며 21개 음소를 가지고 비사야어군 언어와 유사하고 말라이논어와 어휘 공유율이 높으며 아클라논어 시인 멜초르 F. 시촌의 시 "어머니"는 필리핀 콜레지언에 실린 첫 아클라논어 시이다.
비사야어군
언어 정보
이름비사야어군
다른 이름Bisayâ
Binisayâ
Visayan
사용 지역비사야 제도
민다나오섬 대부분 지역
민도로의 미마로파 지역
사바주 (말레이시아)
칼리만탄우타라주 (인도네시아)
이민자 공동체
사용자비사야족
언어학적 분류
어족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어파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어군필리핀어군
하위 어군더 큰 중앙 필리핀어군
조어원시 비사야어
하위 언어
지도 정보
비사야어 지도
에스놀로그 및 필리핀 국가 통계청 2000년 인구 주택 센서에 따른 비사야어의 지리적 범위
범례세부

중부 비사야












서부 비사야






아시

남부 비사야



기타 범례

2. 명명법

비사야어군의 원어민 화자, 특히 세부아노족, 힐리가이논족, 와라이족들은 그들의 언어를 지역 이름으로 부를 뿐만 아니라, '비사야' 또는 '비니사야'라고도 부르며, 이는 '비사야어'를 의미한다. 이는 서로 상호 이해도가 없는 서로 다른 언어들이 화자에 의해 '비사야'라고 불릴 수 있기 때문에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비사야 제도 밖에서 사용되는 비사야어족에 속하는 언어들은 자체적으로 '비사야' 또는 '비니사야'라는 명칭을 사용하지 않는다. 쿠요논어 , 수리가오논어, 부투아논어 그리고 타우수그어 화자들에게 '비사야인'이라는 용어는 보통 세부아노어 또는 힐리가이논어를 지칭한다. 타우수그족이 대부분 무슬림이기 때문에, 그들은 비사야를 기독교 필리피노를 의미하는 종교적인 용어로 본다. (대체로 가까운 세부아노족이나 힐리가이논족을 가리킨다.)

'비사야'의 기원을 증명할 만한 확실한 기록은 없다. 그러나 말레이시아브루나이에는 스스로를 같은 이름으로 부르는 비사야족이 있다. 하지만 이 필리핀의 민족 집단은 보르네오의 비사야족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

3. 내부 분류

데이비드 조크(David Zorc)는 비사야어군을 남부, 세부, 중부, 반톤, 서부의 다섯 주요 갈래로 분류했다.[5][2] 조크는 비사야어군이 명확히 구분되는 언어들의 집합이라기보다는 방언연속체에 가깝다고 지적했다. 남부 비사야어군이 가장 먼저 분화되었고, 그 다음으로 세부어군, 그리고 나머지 세 갈래가 분화되었다. 롬블론 지방은 언어적 다양성이 가장 큰 지역으로, 롬블로마논어, 반톤어, 이논한어 등 여러 비사야어군 언어가 사용된다.

비사야어군 트리 차트

3. 1. 비사야어군 언어 목록

조르크(Zorc, 1977: 14–15)는 비사야어군의 다음과 같은 이름과 위치를 나열하고 있다. 최근에 문서화된 언어인 카롤라노스어, 마가핫어, 카발리안어는 조르크(1977)에 나열되어 있지 않다.

하위 그룹언어다른 이름위치
반톤반톤어반톤섬, 롬블론
반톤시발레반톤시발레 (마에스트레 데 캄포) 섬, 롬블론
반톤오디옹가논코르쿠에라 섬 방언오디옹안 지역, 타블라스섬, 롬블론
서부알칸타라논알칸타라, 타블라스섬, 롬블론
서부디스포홀논산 안드레스 (데스푸홀스), 타블라스섬
서부룩논어이눈한룩 및 산타페, 타블라스섬
서부다타그논어라타그눈, 라타그눈일리안섬 및 막사이사이, 서민도로
서부산타 테레사막사이사이의 바리오 산타 테레사
서부불랄라카우논불라라카오 (산 페드로), 남부 동민도로
서부세미라라세미라라 섬 그룹
서부쿠요논어쿠유노쿠요섬, 아구타야 제외; 푸에르토 프린세사, 팔라완 주변 해안 지역; 쿨리온 및 부수앙가 섬
서부아클라논어아케아논, 아클라노, 아클란아클란 및 북부 카피스, 파나이섬
서부판단판단 지역, 안티케, 부루안가, 아클란 지역 포함 파나이섬
서부키나라야어안티케뇨, 히나라야, 술루드, 파나야노대부분의 안티케, 파나이섬; 대부분의 내륙 지역 일로일로카피스; 남부 기마라스 섬 일로일로에서 떨어진 곳
서부기마라스기마라스섬, 일로일로
중부롬블로마논어니롬블론, 시부야논롬블론 및 시부얀섬; 산 아구스틴 지역, 타블라스섬
중부반타얀어반타얀 섬
중부카피스논어카피스 및 북동부 일로일로, 파나이섬
중부힐리가이논어일롱고대부분의 일로일로, 파나이섬; 서부 기마라스 및 네그로스 옥시덴탈
중부카와얀카우아얀, 네그로스 옥시덴탈
중부마스바테마스바테마스바테 및 티카오섬
중부카모테스카모테스섬, 세부와 레이테 사이
중부북사마르사마레뇨, 와라이와라이북사마르
중부사마르-레이테사마레뇨, 와라이와라이, 시나마르중부 사마르; 북반부 레이테
중부와라이어사마레뇨, 와라이와라이, 비니사야남부 사마르섬, 동사마르
중부소르소고논어소르소고논, 비콜북부 소르소곤, 비콜
중부구바트소르소고논남부 소르소곤, 비콜 (구바트 포함)
세부안세부아노어수그부아논, 수그부하논, 세부아노, 세부아노세부 섬; 네그로스 오리엔탈; 동부 비사야와 북부 및 동부 민다나오의 해안 지역
세부안보홀라노어볼-아논보홀
세부안레이테카나, 레이테뇨중부 서부 레이테; 디나가트섬으로 이주민
남부부투아논어부투안, 북아구산 지역
남부수리가오논어자운 비사야북수리가오
남부자운-자운시아르가오논시아르가오 섬, 북수리가오
남부칸틸란칸틸란 및 마드리드, 수리가오델수르
남부나투랄리스탄다그 및 타고, 수리가오델수르
남부타우수그어모로, 타우 수그홀로섬; 남부 및 서부 팔라완


3. 1. 1. 남부 비사야어군


  • 타우수그어홀로섬, 남부 및 서부 팔라완 등지에 분포한다.
  • 부투아논어는 북아구산 부투안 지역에서 사용된다.
  • 수리가오논어는 북수리가오 지역에서 사용되며, '자운 비사야'라고도 불린다.
  • * 시아르가오 섬, 북수리가오 지역에서 쓰이는 '자운-자운' 또는 '시아르가오논'
  • * 수리가오델수르의 칸틸란 및 마드리드 지역에서 쓰이는 '칸틸란'
  • * 수리가오델수르의 탄다그 및 타고 지역에서 쓰이는 '나투랄리스'

:

3. 1. 2. 세부 비사야어군

세부아노어는 수그부아논, 수그부하논으로도 불리며, 세부 섬, 네그로스 오리엔탈, 동부 비사야와 북부 및 동부 민다나오의 해안 지역에서 사용된다. 보홀라노어는 볼-아논으로도 불리며, 보홀 섬에서 사용된다.

3. 1. 3. 중부 비사야어군

와라이어, 바이바이, 카발리안어, 힐리가이논어(일롱고어), 반타야논어, 카피스논어, 포로하논어, 마스바테뇨어, 중앙소르소곤어(마스바테 소르소곤어), 롬블로마논어

3. 1. 4. 아시 비사야어군

아시어는 반톤섬, 롬블론 지역에서 사용된다.

3. 1. 5. 서부 비사야어군

아클라논어, 말라이논어, 카라이아어, 이논한어(키나라야어와 관련된 언어), 다타그논어, 쿠요논어, 칼루야논어가 서부 비사야어군에 속한다.

3. 2. Ethnologue 분류

wikitable

언어 계열언어 수언어
반톤어1반토아논어
세부아노어1세부아노어
중앙 비사야어1반타야논어
주변부5아티어, 카피즈논어, 힐리가이논어, 마스바테뇨어, 포로하논어
롬블론1롬블로마논어
와라얀3바야바논어, 카발리안어, 북부 소르소고논어
구밧1남부 소르소고논어
사마르-와라이1와라이어
남부 비사야어2수리가오논어, 탄다가논어
부투안-타우소그2부투아논어, 타우소그어
서부 비사야어1칼루야논어
아클란2아클라논어, 말라야논어
카라이안1카라이아어
쿠얀2쿠요논어, 라타그논어
북중앙1이노난어
총계25


3. 2. 1. 반톤어군

반토아논어는 오드나한어라고도 불린다.

3. 2. 2. 세부아노어군

세부아노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하는 언어이다.

3. 2. 3. 중부 비사야어군

주변부: 아티어, 카피즈논어, 힐리가이논어, 마스바테뇨어, 포로하논어,

롬블론: 롬블로마논어,

와라얀: 바야바논어, 카발리안어, 북부 소르소고논어,

구밧: 남부 소르소고논어,

사마르-와라이: 와라이어

3. 2. 4. 남부 비사야어군

남부 비사야어군은 수리가오논어와 탄다가논어, 부투안-타우소그어군으로 나뉜다. 부투안-타우소그어군은 부투아논어와 타우소그어로 이루어져 있다.

3. 2. 5. 서부 비사야어군

서부 비사야어군은 다음과 같은 언어들로 구성되어 있다.

  • 칼루야논어
  • 아클란
  • * 아클라논어
  • * 말라야논어
  • 카라이안
  • * 카라이아어
  • 쿠얀
  • * 쿠요논어
  • 라타그논어
  • 북중부
  • * 이노난어

4. 특징

데이비드 조크는 비사야어군의 특징으로 다음과 같은 음운 변화를 제시했다.[2] 타우수그어는 이 그룹에서 일찍 분기되었으며 다른 언어에 영향을 미친 일부 음운 변화를 피했을 수 있다.


  • *lC, *Cl > *Cl (여기서 C는 *h, *q, *l이 아닌 모든 자음)
  • *qC, *Cq > *Cq (대부분) *qC, *Cq > *qC (타우수그어, 그리고 대부분의 비콜어군)


PCPh와 PPh의 반사음
*qaldaw*qalsəm*qitlug*baqguh
타갈로그어*qaːdaw*qaːsəm*qitlug*baːguh
비콜어*qaldaw*qalsəm*qitlug*baqguh (나가: ˈbaʔ.go)
비사야어군*qa'dl'aw*qa'sl'əm*qi'tl'ug*ba'gq'uh (세브: ˈbag.ʔo)


5. 음운 체계

5. 1. 원시 비사야어

데이비드 조크는 원시 비사야어를 재구축하면서 15개의 자음과 4개의 모음을 설정했다(Zorc 1977:201).[2] 조크는 모음 길이, 제1 강세(끝에서 두 번째, 마지막 음절), 제2 강세(끝에서 세 번째 음절 앞)도 재구축했다.

caption | '''원시 비사야어 자음'''
colspan=2|양순음치음경구개음연구개음성문음
파열음무성음ptkʔ
유성음bdɡ
비음mnŋ
마찰음sh
설측음l
접근음wj



caption | '''원시 비사야어 모음'''
높이전설중설후설
폐쇄i /i/colspan="2" |u /u/
중고colspan="2" |ə /ə/colspan="2" |
colspan="2" |a /a/colspan="2" |


5. 1. 1. 자음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요약과 원본 소스를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 형식으로 작성해 드리겠습니다.

5. 1. 2. 모음

6. 어휘 비교

다음은 Zorc (1997)가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비교이다.

=== 인칭 명사 표지 ===

비사야어군 언어들은 인칭 대명사를 나타내는 격 표지 체계가 발달되어 있다. 이들 언어는 단수와 복수, 주격(NOM), 속격(ERG), 목적격(OBL)에 따라 형태가 달라진다.

하위 그룹변종단수복수
NOMERGOBLNOMERGOBL
반톤반톤sinikangsanakaná
반톤시발레sinikangsínanínakína
반톤오디오농sinikangsanakaná
서부, 이논한알칸타라논
서부, 이논한디스포홀논sinikaysándaynándaykánday
서부, 이논한룩논sinikaysándaynándaykánday
서부, 쿠얀, 라타그논다타그논sinikisándanándakanánda
서부, 쿠얀, 라타그논산타 테레사sinikaysándaynándaykánday
서부, 이논한불랄라카우논sinikaysándaynándaykánday
서부, 쿠얀, 칼루야논세미라라sinikaysándaynándaykánday
서부, 쿠얀쿠요논sinikisandanandakanda
서부아클라논sinikaysánda(y)nánda(y)kánda(y)
서부, 키나라이아판단sinikaysándaynándaykánday
서부, 키나라이아키나라이아sinikaysándaynándaykánday
서부, 키나라이아기마라스
중앙롬블로마논sinikaysináninákiná
중앙, 주변반타얀
중앙, 주변카피즈논sinikaysándaynándaykánday
중앙, 주변힐리가이논sinikaysilá niníla nisa íla ni
중앙, 주변카와얀
중앙, 주변마스바테sinikansindanindakanda
중앙, 주변카모테스
중앙, 와라얀, 와라이북사마르sinikansiránirákánda
중앙, 와라얀, 와라이사마르-레이테sinikansiránírakánda
중앙, 와라얀, 와라이와라이hinikanhiránírakánda
중앙, 주변소르소곤 (중앙 소르소고논)sinikansiránirákánda
중앙, 와라얀구바트 (남부 소르소고논)sinikansiránirákánda
세부안세부아노sinikangsilá siníla nisa íla ni,
세부안볼라논sinikangsílanílakaníla
세부안레이테silangnilangsa ilang
남부, 부투안-타우수그부투아논sinikangsílanílakánda
남부, 수리가오논수리가오논sinikaysílanílakaníla
남부, 수리가오논자운-자운sinikansíla siníla nidíla ni
남부, 수리가오논칸틸란
남부, 탄다가논나투랄리스
남부, 부투안-타우수그타우수그hihikanhindahindakanda



=== 일반 명사 표지 ===

비사야어군에는 일반 명사를 나타내는 격 표지 체계가 발달해 있다. 부정, 정관사, 과거, 비과거, 미래 시제 등에 따라 형태가 달라진다.

하위 그룹방언주격대격OBL
부정정관사부정정관사
과거비과거과거비과거미래
반톤반톤어-ykagitittongsa
반톤시발레-ykagititkagsa
반톤오디옹가논-ykagitittongsa
서부, 이논한알칸타라논angittangsa
서부, 이논한디스포홀논angitkangsa
서부, 이논한룩논어angittangsa
서부, 쿠얀, 라타그논다타그논어ang#angsa
서부, 쿠얀, 라타그논산타 테레사angkangsa
서부, 이논한불라카워논angittangsa
서부, 쿠얀, 칼루야논세미라라어angkangsa
서부, 쿠얀쿠요논어angii-angsa
서부아클라논어-yro~doitkusa
서부, 키나라야판단angitkangsa
서부, 키나라야키나라야어angtikangsa
서부, 키나라야기마라스angtikangsa
중부롬블로마논어angningnangsa
중부, 주변부반타얀어angsingsangsa
중부, 주변부카피즈논어angsingsangsa
중부, 주변부힐리가이논어angsingsangsa
중부, 주변부카와얀angsingsangsa
중부, 주변부마스바테어ansinsansa
중부, 주변부카모테스어inansinsansa
중부, 와라얀, 와라이북사마르inansi(n)sa(n)sa
중부, 와라얀, 와라이사마르-레이테inanitsinsansitsa
중부, 와라얀, 와라이와라이어inanithinhanhitha
중부, 주변부소르소곤어 (중부 소르소곤어)ansinsansa
중부, 와라얀구바트어 (남부 소르소곤어)ansinsansa
세부안세부아노어-yangugsasa
세부안볼라야노어angugsasa
세부안레이테어angugsasa
남부, 부투안-타우수그부투아논어anghungsa
남부, 수리가오논수리가오논어angnangsa
남부, 수리가오논자운-자운annansa
남부, 수리가오논칸틸란angnangsa
남부, 탄다가논나투랄리스angnangsa
남부, 부투안-타우수그타우수그어insinha


6. 1. 인칭 명사 표지

비사야어군 언어들은 인칭 대명사를 나타내는 격 표지 체계가 발달되어 있다. 이들 언어는 단수와 복수, 주격(NOM), 속격(ERG), 목적격(OBL)에 따라 형태가 달라진다.

하위 그룹변종단수복수
NOMERGOBLNOMERGOBL
반톤반톤sinikangsanakaná
반톤시발레sinikangsínanínakína
반톤오디오농sinikangsanakaná
서부, 이논한알칸타라논
서부, 이논한디스포홀논sinikaysándaynándaykánday
서부, 이논한룩논sinikaysándaynándaykánday
서부, 쿠얀, 라타그논다타그논sinikisándanándakanánda
서부, 쿠얀, 라타그논산타 테레사sinikaysándaynándaykánday
서부, 이논한불랄라카우논sinikaysándaynándaykánday
서부, 쿠얀, 칼루야논세미라라sinikaysándaynándaykánday
서부, 쿠얀쿠요논sinikisandanandakanda
서부아클라논sinikaysánda(y)nánda(y)kánda(y)
서부, 키나라이아판단sinikaysándaynándaykánday
서부, 키나라이아키나라이아sinikaysándaynándaykánday
서부, 키나라이아기마라스
중앙롬블로마논sinikaysináninákiná
중앙, 주변반타얀
중앙, 주변카피즈논sinikaysándaynándaykánday
중앙, 주변힐리가이논sinikaysilá niníla nisa íla ni
중앙, 주변카와얀
중앙, 주변마스바테sinikansindanindakanda
중앙, 주변카모테스
중앙, 와라얀, 와라이북사마르sinikansiránirákánda
중앙, 와라얀, 와라이사마르-레이테sinikansiránírakánda
중앙, 와라얀, 와라이와라이hinikanhiránírakánda
중앙, 주변소르소곤 (중앙 소르소고논)sinikansiránirákánda
중앙, 와라얀구바트 (남부 소르소고논)sinikansiránirákánda
세부안세부아노sinikangsilá siníla nisa íla ni,
세부안볼라논sinikangsílanílakaníla
세부안레이테silangnilangsa ilang
남부, 부투안-타우수그부투아논sinikangsílanílakánda
남부, 수리가오논수리가오논sinikaysílanílakaníla
남부, 수리가오논자운-자운sinikansíla siníla nidíla ni
남부, 수리가오논칸틸란
남부, 탄다가논나투랄리스
남부, 부투안-타우수그타우수그hihikanhindahindakanda



6. 2. 일반 명사 표지

비사야어군에는 일반 명사를 나타내는 격 표지 체계가 발달해 있다. 부정, 정관사, 과거, 비과거, 미래 시제 등에 따라 형태가 달라진다.

하위 그룹방언주격대격OBL
부정정관사부정정관사
과거비과거과거비과거미래
반톤반톤어-ykagitittongsa
반톤시발레-ykagititkagsa
반톤오디옹가논-ykagitittongsa
서부, 이논한알칸타라논angittangsa
서부, 이논한디스포홀논angitkangsa
서부, 이논한룩논어angittangsa
서부, 쿠얀, 라타그논다타그논어ang#angsa
서부, 쿠얀, 라타그논산타 테레사angkangsa
서부, 이논한불라카워논angittangsa
서부, 쿠얀, 칼루야논세미라라어angkangsa
서부, 쿠얀쿠요논어angii-angsa
서부아클라논어-yro~doitkusa
서부, 키나라야판단angitkangsa
서부, 키나라야키나라야어angtikangsa
서부, 키나라야기마라스angtikangsa
중부롬블로마논어angningnangsa
중부, 주변부반타얀어angsingsangsa
중부, 주변부카피즈논어angsingsangsa
중부, 주변부힐리가이논어angsingsangsa
중부, 주변부카와얀angsingsangsa
중부, 주변부마스바테어ansinsansa
중부, 주변부카모테스어inansinsansa
중부, 와라얀, 와라이북사마르inansi(n)sa(n)sa
중부, 와라얀, 와라이사마르-레이테inanitsinsansitsa
중부, 와라얀, 와라이와라이어inanithinhanhitha
중부, 주변부소르소곤어 (중부 소르소곤어)ansinsansa
중부, 와라얀구바트어 (남부 소르소곤어)ansinsansa
세부안세부아노어-yangugsasa
세부안볼라야노어angugsasa
세부안레이테어angugsasa
남부, 부투안-타우수그부투아논어anghungsa
남부, 수리가오논수리가오논어angnangsa
남부, 수리가오논자운-자운annansa
남부, 수리가오논칸틸란angnangsa
남부, 탄다가논나투랄리스angnangsa
남부, 부투안-타우수그타우수그어insinha


7. 각주

참조

[1] 서적 The Austronesian languages of Asia and Madagascar Routledge
[2] 서적 The Bisayan Dialects of the Philippines: Subgrouping and Reconstruction https://archive.org/[...] Dept. of Linguistics, Research School of Pacific Studies,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1977
[3] 서적 Concise Encyclopedia of Languag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Elsevier
[4] 학위논문 Philippine and North Bornean languages: issues in description, subgrouping, and reconstruction http://www.ling.hawa[...]
[5]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