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뿔닭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뿔닭은 닭목에 속하는 조류로, 아프리카가 원산지이며 검은뿔닭속, 뿔닭속, 관뿔닭속, 독수리뿔닭속 등으로 분류된다. 깃털이 없는 머리와 흰색 반점이 있는 깃털이 특징이며, 초원, 삼림, 사막 등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한다. 잡식성으로 곤충, 절지동물, 과실 등을 먹으며, 무리를 지어 생활한다. 일부일처제 또는 순차적 일부일처제를 따르지만, 일부다처제 경향도 보인다. 뿔닭은 식용으로 사용되며,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는 종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뿔닭과 - 호로새
    호로새는 아프리카 원산의 꿩과 조류로, 독특한 외형과 군집 생활을 하며, 식용 또는 가금류로 사육되고 친환경 축산에도 적합하다.
  • 말리의 새 - 타조
    타조는 현존하는 가장 크고 무거운 새로, 아프리카 사바나와 사헬 지대에 주로 분포하며 강력한 다리와 퇴화된 날개를 지녔고, 풀과 씨앗을 먹는 초식성이지만 잡식성도 보이며, 고기, 알, 깃털, 가죽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어 왔으나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일부 아종은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 가나의 새 - 아프리카뿔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 분포하는 아프리카뿔매는 중간 크기의 수리로, 나무가 울창한 사바나 등에서 서식하며 보넬리수리와 유사하지만 먹이, 둥지, 번식 행동에서 차이를 보이는 '관심 필요' 종이다.
  • 가나의 새 - 올리브따오기
    올리브따오기는 아프리카 서부 및 동부 해안 열대 지역에 서식하며 녹색, 청동색 무지개빛 어두운 갈색 깃털과 자주색 볏을 가진 따오기 속 조류로,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위협받지만 IUCN 최소관심종으로 평가된다.
뿔닭과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호로호로초과 (Numididae)
학문적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강
하강신악하강
상목닭기러기류
닭목
명명자de Sélys Longchamps, 1842
기타
영어 이름Guineafowl
발음 (영어)IPA: /ˈɡɪnifæʊl/
투구뿔닭 (Numida meleagris)
투구뿔닭 (Numida meleagris)

2. 분류

뿔닭과는 크게 검은뿔닭속, 독수리뿔닭속, 뿔닭속, 관뿔닭속의 4개 속으로 나뉜다.

2. 1. 하위 분류

Numididae영어과에는 4개의 속이 있다.

현존하는 종
검은뿔닭속
독수리뿔닭속
뿔닭속
관뿔닭속


2. 2. 계통 분류

다음은 해킷 등(Hackett ''et al.'')의 연구에 기초한 분자생물학적 계통 분류이다.[12]

{| class="wikitable"

|-

| 닭기러기류

|

{| class="wikitable"

|-

| 닭목

|



|-

| 기러기목

|}

|}

다음은 2021년에 De Chen과 공동 연구자들이 발표한 연구를 기반으로 한 분기도이다.[1]

Numida


Agelastes


Guttera


Acryllium

  • 뿔닭속 (*Acryllium*)
  • *Acryllium vulturinum* 수염뿔닭
  • Agelastesla
  • *Agelastes meleagrides* 흰가슴뿔닭
  • *Agelastes niger* 검은뿔닭
  • Gutterala
  • *Guttera plumifera* 깃털뿔닭
  • *Guttera pucherani* 관뿔닭
  • 뿔닭속
  • *Numida meleagris* 뿔닭

3. 형태

뿔닭은 40-71cm 크기의 중대형 조류로, 자고와 비슷하지만 깃털이 없는 머리가 특징적이다. ''Guttera'' 속의 두 종은 뚜렷한 검은색 볏을 가지고 있으며, 독수리뿔닭은 목덜미에 솜털 같은 갈색 반점이 있다. 대부분의 뿔닭 종은 짙은 회색 또는 검은색 깃털[2]에 빽빽한 흰색 반점이 있지만, ''Agelastes'' 속의 두 종은 반점이 없다. 뿔닭의 크기는 40cm이며, 무게는 700g이다. 암컷 뿔닭은 수컷보다 몸무게가 더 많이 나가는데, 이는 암컷의 생식 기관이 더 크기 때문일 수 있다.

최대종은 훔친뿔닭으로 전체 길이는 56cm이다. 종에 따라 머리 깃털이 길어지는 경우(관우)가 있다. 머리에는 깃털이 없고 피부가 노출되어 있으며, 종에 따라 볏이 있다.

4. 생태

뿔닭은 초원, 삼림, 사막 등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며, 지상에서 생활한다. 주행성이며 야간에는 나무 위에서 잠을 잔다. 무리를 이루어 생활하며, 특히 뿔닭은 2,000마리 이상의 대규모 무리를 형성하기도 한다. 위험을 감지하면 경계음을 내거나 달아나지만, 짧은 거리는 비행도 가능하다.[8]

잡식성으로, 곤충, 절지동물, 갑각류, 과실, 종자 등 다양한 먹이를 먹는다.[8] 뿔닭은 무리 동물 뒤를 따라가거나 원숭이 무리 아래에서 이동하며 하층식생에서 배설물과 수관에서 떨어진 먹이를 찾는다. 진드기, 파리, 메뚜기, 전갈 및 기타 무척추 동물을 제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사체와 배설물에서 구더기를 잡아먹기도 한다.[8]

번식기가 되면 수컷은 영역을 형성하고 무리는 흩어진다. 암컷은 땅을 파고 낙엽이나 풀 등을 깐 둥지를 만들고, 한 번에 4-12개의 알을 낳는다.[8] 뿔닭은 진드기를 잡아먹기 때문에 라임병 확산을 막기 위해 사육되기도 한다.[8]

5. 행동

알려진 뿔닭 종들은 일반적으로 일부일처제로 평생 짝짓기를 하거나 순차적 일부일처제를 따른다. 그러나 헬멧뿔닭과 케냐뿔닭은 사육 상태에서 일부다처제가 보고되기도 했다.[3] 모든 뿔닭은 사회적이며 소규모 그룹이나 대규모 무리로 생활한다. 일부일처제임에도 불구하고, 가장 덜 파생된 속인 ''Guttera'', ''Agelastes'', ''Acryllium'' 종은 일부다부제 경향을 보인다.

뿔닭은 무리 동물 뒤를 따라가거나 원숭이 무리 아래에서 이동하며 진드기, 파리, 메뚜기, 전갈 및 기타 무척추 동물을 잡아먹는다.

야생 뿔닭은 날기에 능숙하며, 가슴 근육이 발달하여 어려운 상황에서도 상당한 거리를 날 수 있다. 벌처린 뿔닭과 같은 일부 뿔닭 종은 물을 마시지 않고 오랫동안 버틸 수 있으며, 먹이에서 수분을 섭취한다. 어린 뿔닭은 날씨, 특히 추운 온도에 매우 민감하다.

뿔닭은 좋은 어미로 알려져 있지 않지만,[4] 야생에서 수컷 뿔닭은 낮 동안 어린 새끼를 따뜻하게 하고 먹이를 찾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때로는 두 마리 이상의 수컷이 새끼를 키우는 데 도움을 주기도 한다.

수컷과 암컷은 다른 소리를 내어 성별을 구별할 수 있다.[5]

뿔닭은 여우의 접근을 막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7] 라임병이 진드기로부터 확산됨에 따라, 진드기를 잡아먹기 때문에 뿔닭을 자주 사육한다.[8]

6. 분포

뿔닭은 아프리카가 원산지로,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전역에 걸쳐 분포한다. 깃털뿔닭은 서중앙 아프리카, 독수리뿔닭은 북동 아프리카에 분포하는 등 일부 종은 특정 지역에 국한되어 분포하기도 한다. 뿔닭은 사바나나 반사막과 같은 반개방 서식지에 살고 있으며, 검은뿔닭과 같은 일부 종은 주로 숲에 서식한다. 일부는 나무 꼭대기에 높이 둥지를 튼다.

헬멧뿔닭은 동아프리카, 남아메리카, 서인도 제도, 미국, 영국, 인도 등지에 도입되어 가금으로 사육되기도 한다.[1]

7. 인간과의 관계

뿔닭 고기는 닭고기보다 촉촉하고 탄력 있으며 살코기가 많고 약간의 사냥 냄새가 난다. 닭고기나 칠면조 고기보다 단백질이 약간 더 많고, 닭고기 지방의 약 절반이며, 그램당 식품 에너지는 약간 적다.[9] 뿔닭의 알은 닭의 알보다 훨씬 더 풍부하다.[10]

식용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뿔닭은 서식지 이외에서도 가금으로 사육되기도 한다. 뿔닭과에 속하는 종들을 통칭하는 guineafowl, guineahen은 전자가 "기니의 닭", 후자가 암컷을 지칭하는 "기니의 암탉"이라는 의미로, 가금의 원종인 뿔닭이 아프리카 서부(기니만) 산인 것에 기인한다.

개발에 의한 서식지 파괴, 사냥 등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는 종도 있다.

참조

[1] 논문 Divergence time estimation of Galliformes based on the best gene shopping scheme of ultraconserved elements 2021
[2] 웹사이트 Guinea Fowl - Missouri http://www.moscience[...] 2018-10-20
[3] 문서 Madge and McGowan
[4] 웹사이트 Are Guinea Hens the Worst Moms of All? https://backyardpoul[...] 2019-05-08
[5] 웹사이트 Guinea Hen: All You Need To Know (Complete Care Guide) https://www.thehappy[...] 2021-08-27
[6] 웹사이트 How many roosters can I have?from My Pet Chicken https://www.mypetchi[...] 2019-11-20
[7] 웹사이트 Which Animals Protect Chickens From Foxes? https://poultryowner[...] 2019-07-30
[8] 웹사이트 Ticking Off the Ticks? https://www.communit[...] 2020-05-08
[9] 문서 USDA handbook #8 and circular #549, leclercq 1985
[10] 웹사이트 Guinea Fowl Production http://www.gov.bw/Gl[...]
[11] 서적 Naturalised Bird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T & A D Poyser
[12] 저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