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가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가번은 류조지씨 가신의 영지 상속으로 시작되어, 나베시마 나오시게가 실권을 잡고 성립된 일본의 번이다. 35만 7천 석의 영지를 다스렸으나, 지번과 류조지 분가의 자치령이 있어 실제 번주의 실권은 6만 석 정도였다. 10대 번주 나베시마 나오마사 대에 번정 개혁과 서양 기술 도입으로 재정을 안정시켰으며, 보신 전쟁에서 막부와 싸웠다. 메이지 유신 이후 한 제도가 폐지되면서 사가현과 나가사키현으로 분할되었고, 에토 신페이, 오쿠마 시게노부 등 많은 인물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류조지씨 - 오키타나와테 전투
    1584년 시마바라반도에서 류조지 다카노부가 이끄는 류조지 군은 아리마 하루노부, 시마즈 이에히사가 이끄는 시마즈-아리마 연합군과의 오키타나와테 전투에서 쓰리노부세 전법에 패배하여 류조지 가문은 쇠퇴하고 시마즈 가문이 규슈의 패권을 장악하게 되었다.
  • 사가번 - 사가성
    사가성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까지 류조지 가문과 나베시마 가문의 거점이었으며, 1726년 대화재와 1874년 사가의 난을 겪었으며, 현재는 샤치 문과 쓰즈키 망루가 국가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 사가번 - 페이튼 호 사건
    1808년 영국 해군 페이튼 호가 네덜란드 국기를 달고 나가사키에 침입하여 네덜란드 상관 직원을 납치하고 물자를 강탈한 사건으로, 나가사키 봉행의 할복, 막부의 쇄국 정책 강화, 일본 내 서양 학문 연구 필요성 증대, 나베시마 번의 근대화 가속화 등의 결과를 초래했다.
  • 히젠국의 번 - 가라쓰번
    가라쓰번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가신 데라자와 히로타카가 임진왜란의 공으로 히젠국 마쓰우라군 일대를 받아 시작되었으나, 시마바라의 난 이후 데라자와 가문의 단절과 함께 여러 가문이 번갈아 통치하며 나가사키항 경호 역할인 나가사키 순찰역을 맡아 번주의 승진에 제약이 있었다.
  • 히젠국의 번 - 오무라번
    오무라번은 오무라 씨가 규슈 히젠국 지역을 다스린 번으로, 오무라 스미타다가 일본 최초로 기독교로 개종한 다이묘이자 나가사키를 포르투갈인에게 제공하여 남만 무역의 중심지로 발전시켰으며,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도쿠가와 막부로부터 영지를 인정받아 메이지 유신까지 존속 후 화족이 되었다.
사가번
지도 정보
사가 성 정면 모습
기본 정보
공식 명칭사가 번
다른 이름히젠 번
나베시마 번
유형
국가일본
상태
정부 형태다이묘
수장 직책다이묘
초대 수장나베시마 가쓰시게
초대 수장 재임 기간1607-1657년
마지막 수장나베시마 나오히로 (사가)
마지막 수장 재임 기간1861-1871년
수도사가 성
현재 위치사가 현
존속 기간에도 시대
시작 연도1590년
종료 연도1871년
문장나베시마 가문의 몬
나베시마 가문의 문장
위치 정보
좌표33°14′44.69″N 130°18′7.65″E
역사적 사건
주요 사건나베시마 가쓰시게가 초대 번주로 임명되며 번 성립
해체 사건폐번치현으로 인해 폐지
기타 정보
석고35만 7천 석

2. 번의 역사

번조 나베시마 나오시게(鍋島直茂)


나베시마씨는 류조지씨의 가신이었지만, 류조지 다카노부의 전사 이후 나베시마 나오시게가 영지를 상속하여 성립되었다. 번의 성립 후에도 종종 남아있던 류조지 분가들과 대립이 일어났다. 이를 나베시마 소동(鍋島騒動)이라 하며 이 대립 구도에서 나온 이야기가 ‘나베시마의 바케네코 소동’(鍋島の化け猫騒動)이다.

1584년 류조지 다카노부는 시마바라 반도에서 시마즈씨, 아리마씨 연합군과 싸운 오키타나와테 전투에서 전사했다.[10] 그의 아들인 류조지 마사이에의 보좌역으로 실권을 잡은 것은 중신이었던 나베시마 나오시게였다. 1590년에는 마사이에를 폐하고 그의 아들 류조지 다카후사를 옹립했고, 나오시게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후견인으로 인정받았다.[10] 이후 나베시마 가문은 주가를 압도하게 되었고, 임진왜란세키가하라 전투에서도 나오시게가 대장으로 참전했다.[10]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서군에 가담했지만, 다치바나 무네시게를 공략하여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영지를 안도받았다.[10]

1607년 에도에서 다카후사가 급사했다. 다카후사 사후 한 달 후에는 히젠에 은거하고 있던 아버지 마사이에 도 급사했다. 나오시게는 다카후사의 아들 하쿠안을 출가시키는 등 류조지 본가를 사실상 단절시키고, 자신의 장남 나베시마 가쓰시게에게 류조지 가문의 가독을 계승시켜 사가번 35만 7천 석을 손에 넣었다.[10] 1608년 4월 4일부로 나오시게·가쓰시게에게 충성을 맹세하는 기청문을 제출하고 나베시마 가문에 의한 영토 지배가 확립되었다.[10]

1613년 막부로부터 가쓰시게에게 영지 안도의 명이 내려졌다. 도쿠가와 쇼군가는 가쓰시게의 적자 나베시마 다다나오 이후 역대 번주에게 마쓰다이라 성과 쇼군 실명 일자를 수여했다.[11]

사가 번은 35만 7천 석의 대영지였지만, 3개의 지번(하스노이케, 오기, 가시마)과 나베시마 4서류가(시라이시, 가와쿠보, 무라타[19], 구보타), 류조지 4분가(다쿠, 다케오, 이사하야, 스고)의 각 자치령이 있었기 때문에, 번주의 실질적인 석고는 6만 석 정도였다.[13] 류조지가의 지배체제를 계승했기 때문에 류조지가의 영지도 안정시킬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이 때문에 막부에 대한 공사비 지출 등을 이유로 가신의 영지 30%를 반환시키는 '삼부상지'(三部上地)를 두 차례(게이초 16년(1611년), 겐나 7년(1621년))나 실시해 직할지를 확대하고 있다.[14] 1차에는 전가신[20], 2차에는 류조지 4가가 대상으로, 지번에 할당하거나 류조지 4가에 양자를 보내는 등 점차 번을 전체적으로 나베시마화하였다.

나베시마 가문은 도쿠가와 시대 내내 35만 7천 곡의 고쿠다카를 할당받았다. 도쿠가와 쇼군은 나베시마 가문에 "마쓰다이라" 성을 의례적으로 사용할 권한과 쇼군의 이름에서 한 자를 가쓰시게의 장남인 나베시마 다다나오를 시작으로 역대 다이묘에게 하사했다. 영주령의 위치는 조선에 가깝고 쇼군의 수도인 에도와는 멀리 떨어져 있었으며, 무역 연결로 인해 상당한 외국 영향을 받았다. 이 지역은 조선과의 교류를 통해 도자기 생산과 기술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유럽으로 수출되는 중요한 상품이었던 이마리 도자기로 유명해졌다.

류조지 가문의 잔당은 때때로 나타나 나베시마 가문의 권력 장악을 위협했다. 류조지 가문의 일원들이 영주령의 업무에서 높은 지위를 차지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지만, 류조지 가문이 독립적인 영주령으로서의 지위 회복을 얻으려는 시도는 쇼군에 의해 거부되었다. 초기에는, 나베시마 가의 일족인 나베시마 쇼잔, 나베시마 가의 외척 가문인 이시이 가의 나베시마 시게무리 등이 번정을 주도했지만, 후에 다쿠, 이사하야, 다케오, 스고의 류조지 4가가 번정의 실권을 장악해 간다. 이것은 번정을 류조지 4가에 담당시키는 한편, 재정 면의 책임도 지게 하려고 한 “가쓰시게의 참으로 교묘한 통치책”의 결과라는 것이다.[15] 간에이 11년(1634년), 고부사의 유자인 하쿠안이 막부에 류조지 가 재흥을 호소하고, 그 후에도 여러 번 소송을 일으켰지만, 사가 번의 대세는 나베시마 가의 지배를 지지하고 있었고, 막부도 하쿠안의 소송을 받아들이지는 않았다.

이 지역에는 상당한 기리시탄 인구가 있었는데, 유명한 시마바라의 난(1637~1638)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2대 번주인 나베시마 미쓰시게를 섬겼던 야마모토 조초의 구술을 저술한 "무사도란 죽는 것임을 알았다"로 유명한 『하가쿠레』는, 후의 사가 번의 정신적 지주가 되었다.

사가 번은 나가사키에 가까웠기 때문에, 1631년 쇼군은 나가사키를 경비할 군대를 번이 매년 순환하여 제공하도록 명령했고, 후쿠오카번과 교대했다. 그 대가로 영주령은 산킨코타이 의무가 감소되었는데, 에도에 출석해야 하는 기간이 일반적인 2년 대신 2년 중 약 3개월로 줄었다. 하지만 이것은 여전히 상당한 비용이었고, 때때로 영주령은 항구를 방어하기 위해 파견되는 사무라이의 수를 줄임으로써 손실을 줄이려고 했다. 간에이 18년에 에도 막부로부터 산킨코타이의 에도 재부 기간을 통상 2년 중 1년에서 2년 중 약 3개월로 면제받는 대신, 후쿠오카 번과 1년 교대로 텐료인 나가사키 항의 경비를 명령받았고, 그 부담은 대대로 번 재정에 무겁게 짓눌렸다. 1808년 나폴레옹 전쟁 중에 피턴 사건이 발생하여 영국 프리깃이 나가사키를 침략하여 네덜란드 무역 거점의 인도를 요구했다. 그러나 사가 번은 허가 없이 경비 인원을 감축했기 때문에(의무 인원인 1000명이 아닌 100명의 사가 사무라이만이 상황 대처에 나섰다) 쇼군은 영국 함선의 요구에 굴복할 수밖에 없었고, 사가 번의 의무 불이행에 대해 심하게 질책했다. 분카 5년(1808년), 나폴레옹 전쟁에 의해, 영국의 프리깃함이 나가사키에 침입하여 네덜란드 상관의 인도를 요구하는 페이턴호 사건이 발생했지만, 사가 번은 무단으로 경비 인원을 줄였기 때문에 필요한 대책을 취할 수 없었고, 그 부주의를 막부로부터 질책받았다. 또한 1828년에는 지볼트 태풍으로 거의 1만 명이 사망하고 영주령의 재정이 파탄 직전에 이르면서 영주령 주변 상황은 악화되었다.

10대 번주인 나베시마 나오마사(간소) 이후, 번정 개혁과 서양 기술의 흡수에 힘썼다. 특히 대규모의 구조조정을 실시하여, 역관을 5분의 2로 감축하고, 농민의 보호 육성, 도자기, , 석탄 등의 산업 육성·교역에 힘써, 번 재정은 윤택해졌다.

나베시마 나오마사(간소)는 영지 행정 개혁과 서양 기술 도입에 힘썼다. 특히 관리 수를 5분의 2로 줄이고 농민 보호와 육성에 힘쓰는 등 광범위한 개혁을 단행하여 영지 재정을 개선했다. 또한 제철, 증기 기관, 포병 등 서양 기술 연구 기관인 정련방을 설립하여 영지의 역량을 집중시켰다. 그 결과 사가는 1849년 일본 최초의 제철소를 가동했고, 3년 후에는 최초로 재련로를 사용했다. 1852년에는 츠키지 반사로를 본격적으로 가동시켰다.

1853년 러시아의 예브피미 푸탸틴(Yevfimy Putyatin) 제독이 나가사키 항에 도착하여 일본인들에게 최초로 증기 기관차 시연을 선보였다. 이시구로 칸지(Ishiguro Hirotsugu), 나카무라 키스케(Nakamura Kisuke), 타나카 히사시게(Tanaka Hisashige) 등은 증기 기관차와 증기선 제작을 시도하여 성공했다. 막부가 대선 건조의 금을 완화하자, 사가는 일본 최초의 증기선인 릉풍환(Ryōfūmaru)을 진수시켰다. 1855년 나가사키 해군 전습소가 설립되자 학생들을 파견했다. 1866년까지 영국 암스트롱 휘트워스(Armstrong Whitworth) 대포를 거의 자력으로 완성하여 배치했다. 시나가와(Shinagawa)의 방어 포대에도 사가산 대포가 공급되었다.

사가번은 분큐 3년(1862년) 군정 개혁을 통해 양식 총포대 편성을 지향했다.[16] 게이오 원년(1865년)에는 나가사키 경비 편중에서 벗어나 전 대조를 증강하고, 직신·배신의 구별을 없애고 전 가신단에 화술 연마와 총진법 채용을 명령했다.[16] 해군 체제도 통합하여 실전적으로 개편했다.[16]

사가번은 1867년 파리 만국 박람회(Exposition Universelle (1867))에 출품하는 등 일본 유수의 군사력과 기술력을 자랑했지만, 중앙 정국에 대해서는 명확한 입장을 취하지 않았다. 그러나 1867년 말, 토사, 사쓰마, 장주와 연합하여 막부에 대항했다. 보신 전쟁(Boshin War)에서 사가는 호쿠리쿠 고속도로를 따라 북상하는 선봉대를 맡았고, 우에노 전투(Battle of Ueno) 등에서 막부와 싸웠다.

메이지 유신 이후, 에토 신페이(Etō Shinpei), 오쿠마 시게노부(Ōkuma Shigenobu), 오키 타카토(Ōki Takatō), 사노 츠네타미(Sano Tsunetami) 등 사가 출신 인물들이 메이지 정부에 등용되었다. 1871년 봉건 영지가 폐지되면서 사가 번 영토는 사가와 나가사키현(Nagasaki Prefecture)으로 나뉘었다. 조선 침략에 대한 논쟁과 지위 및 봉급 상실에 대해 메이지 정부에 환멸을 느낀 전직 사무라이들은 1874년 사가의 난(Saga Rebellion)을 일으켰으나 진압되었다.

2. 1. 번의 성립

1584년 류조지 다카노부는 시마바라 반도에서 시마즈씨, 아리마씨 연합군과 싸운 오키타나와테 전투에서 전사했다.[10] 그의 아들인 류조지 마사이에의 보좌역으로 실권을 잡은 것은 중신이었던 나베시마 나오시게였다. 1590년에는 마사이에를 폐하고 그의 아들 류조지 다카후사를 옹립했고, 나오시게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후견인으로 인정받았다.[10] 이후 나베시마 가문은 주가를 압도하게 되었고, 임진왜란세키가하라 전투에서도 나오시게가 대장으로 참전했다.[10]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서군에 가담했지만, 다치바나 무네시게를 공략하여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영지를 안도받았다.[10]

1607년 에도에서 다카후사가 급사했다. 다카후사 사후 한 달 후에는 히젠에 은거하고 있던 아버지 마사이에 도 급사했다. 나오시게는 다카후사의 아들 하쿠안을 출가시키는 등 류조지 본가를 사실상 단절시키고, 자신의 장남 나베시마 가쓰시게에게 류조지 가문의 가독을 계승시켜 사가번 35만 7천 석을 손에 넣었다.[10] 1608년 4월 4일부로 나오시게·가쓰시게에게 충성을 맹세하는 기청문을 제출하고 나베시마 가문에 의한 영토 지배가 확립되었다.[10]

1613년 막부로부터 가쓰시게에게 영지 안도의 명이 내려졌다. 도쿠가와 쇼군가는 가쓰시게의 적자 나베시마 다다나오 이후 역대 번주에게 마쓰다이라 성과 쇼군 실명 일자를 수여했다.[11]

2. 2. 에도 시대의 사가 번

사가 번은 35만 7천 석의 대영지였지만, 3개의 지번(하스노이케, 오기, 가시마)과 나베시마 4서류가(시라이시, 가와쿠보, 무라타[19], 구보타), 류조지 4분가(다쿠, 다케오, 이사하야, 스고)의 각 자치령이 있었기 때문에, 번주의 실질적인 석고는 6만 석 정도였다.[13] 류조지가의 지배체제를 계승했기 때문에 류조지가의 영지도 안정시킬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이 때문에 막부에 대한 공사비 지출 등을 이유로 가신의 영지 30%를 반환시키는 '삼부상지'(三部上地)를 두 차례(게이초 16년(1611년), 겐나 7년(1621년))나 실시해 직할지를 확대하고 있다.[14] 1차에는 전가신[20], 2차에는 류조지 4가가 대상으로, 지번에 할당하거나 류조지 4가에 양자를 보내는 등 점차 번을 전체적으로 나베시마화하였다.

나베시마 가문은 도쿠가와 시대 내내 35만 7천 곡의 고쿠다카를 할당받았다. 도쿠가와 쇼군은 나베시마 가문에 "마쓰다이라" 성을 의례적으로 사용할 권한과 쇼군의 이름에서 한 자를 가쓰시게의 장남인 나베시마 다다나오를 시작으로 역대 다이묘에게 하사했다. 영주령의 위치는 조선에 가깝고 쇼군의 수도인 에도와는 멀리 떨어져 있었으며, 무역 연결로 인해 상당한 외국 영향을 받았다. 이 지역은 조선과의 교류를 통해 도자기 생산과 기술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유럽으로 수출되는 중요한 상품이었던 이마리 도자기로 유명해졌다.

류조지 가문의 잔당은 때때로 나타나 나베시마 가문의 권력 장악을 위협했다. 류조지 가문의 일원들이 영주령의 업무에서 높은 지위를 차지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지만, 류조지 가문이 독립적인 영주령으로서의 지위 회복을 얻으려는 시도는 쇼군에 의해 거부되었다. 초기에는, 나베시마 가의 일족인 나베시마 쇼잔, 나베시마 가의 외척 가문인 이시이 가의 나베시마 시게무리 등이 번정을 주도했지만, 후에 다쿠, 이사하야, 다케오, 스고의 류조지 4가가 번정의 실권을 장악해 간다. 이것은 번정을 류조지 4가에 담당시키는 한편, 재정 면의 책임도 지게 하려고 한 “가쓰시게의 참으로 교묘한 통치책”의 결과라는 것이다.[15] 간에이 11년(1634년), 고부사의 유자인 하쿠안이 막부에 류조지 가 재흥을 호소하고, 그 후에도 여러 번 소송을 일으켰지만, 사가 번의 대세는 나베시마 가의 지배를 지지하고 있었고, 막부도 하쿠안의 소송을 받아들이지는 않았다.

이 지역에는 상당한 기리시탄 인구가 있었는데, 유명한 시마바라의 난(1637~1638)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2대 번주인 나베시마 미쓰시게를 섬겼던 야마모토 조초의 구술을 저술한 "무사도란 죽는 것임을 알았다"로 유명한 『하가쿠레』는, 후의 사가 번의 정신적 지주가 되었다.

사가 번은 나가사키에 가까웠기 때문에, 1631년 쇼군은 나가사키를 경비할 군대를 번이 매년 순환하여 제공하도록 명령했고, 후쿠오카번과 교대했다. 그 대가로 영주령은 산킨코타이 의무가 감소되었는데, 에도에 출석해야 하는 기간이 일반적인 2년 대신 2년 중 약 3개월로 줄었다. 하지만 이것은 여전히 상당한 비용이었고, 때때로 영주령은 항구를 방어하기 위해 파견되는 사무라이의 수를 줄임으로써 손실을 줄이려고 했다. 간에이 18년에 에도 막부로부터 산킨코타이의 에도 재부 기간을 통상 2년 중 1년에서 2년 중 약 3개월로 면제받는 대신, 후쿠오카 번과 1년 교대로 텐료인 나가사키 항의 경비를 명령받았고, 그 부담은 대대로 번 재정에 무겁게 짓눌렸다. 1808년 나폴레옹 전쟁 중에 피턴 사건이 발생하여 영국 프리깃이 나가사키를 침략하여 네덜란드 무역 거점의 인도를 요구했다. 그러나 사가 번은 허가 없이 경비 인원을 감축했기 때문에(의무 인원인 1000명이 아닌 100명의 사가 사무라이만이 상황 대처에 나섰다) 쇼군은 영국 함선의 요구에 굴복할 수밖에 없었고, 사가 번의 의무 불이행에 대해 심하게 질책했다. 분카 5년(1808년), 나폴레옹 전쟁에 의해, 영국의 프리깃함이 나가사키에 침입하여 네덜란드 상관의 인도를 요구하는 페이턴호 사건이 발생했지만, 사가 번은 무단으로 경비 인원을 줄였기 때문에 필요한 대책을 취할 수 없었고, 그 부주의를 막부로부터 질책받았다. 또한 1828년에는 지볼트 태풍으로 거의 1만 명이 사망하고 영주령의 재정이 파탄 직전에 이르면서 영주령 주변 상황은 악화되었다.

10대 번주인 나베시마 나오마사(간소) 이후, 번정 개혁과 서양 기술의 흡수에 힘썼다. 특히 대규모의 구조조정을 실시하여, 역관을 5분의 2로 감축하고, 농민의 보호 육성, 도자기, , 석탄 등의 산업 육성·교역에 힘써, 번 재정은 윤택해졌다.

2. 3. 막말·유신기의 사가 번

나베시마 나오마사(간소)는 영지 행정 개혁과 서양 기술 도입에 힘썼다. 특히 관리 수를 5분의 2로 줄이고 농민 보호와 육성에 힘쓰는 등 광범위한 개혁을 단행하여 영지 재정을 개선했다. 또한 제철, 증기 기관, 포병 등 서양 기술 연구 기관인 정련방을 설립하여 영지의 역량을 집중시켰다. 그 결과 사가는 1849년 일본 최초의 제철소를 가동했고, 3년 후에는 최초로 재련로를 사용했다. 1852년에는 츠키지 반사로를 본격적으로 가동시켰다.

1853년 러시아의 예브피미 푸탸틴(Yevfimy Putyatin) 제독이 나가사키 항에 도착하여 일본인들에게 최초로 증기 기관차 시연을 선보였다. 이시구로 칸지(Ishiguro Hirotsugu), 나카무라 키스케(Nakamura Kisuke), 타나카 히사시게(Tanaka Hisashige) 등은 증기 기관차와 증기선 제작을 시도하여 성공했다. 막부가 대선 건조의 금을 완화하자, 사가는 일본 최초의 증기선인 릉풍환(Ryōfūmaru)을 진수시켰다. 1855년 나가사키 해군 전습소가 설립되자 학생들을 파견했다. 1866년까지 영국 암스트롱 휘트워스(Armstrong Whitworth) 대포를 거의 자력으로 완성하여 배치했다. 시나가와(Shinagawa)의 방어 포대에도 사가산 대포가 공급되었다.

사가번은 분큐 3년(1862년) 군정 개혁을 통해 양식 총포대 편성을 지향했다.[16] 게이오 원년(1865년)에는 나가사키 경비 편중에서 벗어나 전 대조를 증강하고, 직신·배신의 구별을 없애고 전 가신단에 화술 연마와 총진법 채용을 명령했다.[16] 해군 체제도 통합하여 실전적으로 개편했다.[16]

사가번은 1867년 파리 만국 박람회(Exposition Universelle (1867))에 출품하는 등 일본 유수의 군사력과 기술력을 자랑했지만, 중앙 정국에 대해서는 명확한 입장을 취하지 않았다. 그러나 1867년 말, 토사, 사쓰마, 장주와 연합하여 막부에 대항했다. 보신 전쟁(Boshin War)에서 사가는 호쿠리쿠 고속도로를 따라 북상하는 선봉대를 맡았고, 우에노 전투(Battle of Ueno) 등에서 막부와 싸웠다.

메이지 유신 이후, 에토 신페이(Etō Shinpei), 오쿠마 시게노부(Ōkuma Shigenobu), 오키 타카토(Ōki Takatō), 사노 츠네타미(Sano Tsunetami) 등 사가 출신 인물들이 메이지 정부에 등용되었다. 1871년 봉건 영지가 폐지되면서 사가 번 영토는 사가와 나가사키현(Nagasaki Prefecture)으로 나뉘었다. 조선 침략에 대한 논쟁과 지위 및 봉급 상실에 대해 메이지 정부에 환멸을 느낀 전직 사무라이들은 1874년 사가의 난(Saga Rebellion)을 일으켰으나 진압되었다.

3. 역대 번주

류조지 다카후사/龍造寺高房일본어80px1590년 ~ 1607년



1590년부터 1607년까지는 류조지 다카후사(龍造寺高房)가 사가번의 번주였다. 류조지 다카후사는 스루가노카미(駿河守)라는 예의 칭호를 사용했고, 종오위하(従五位下)의 궁중 계급을 받았다. 류조지 다카후사의 재임 기간 동안 류조지 마사이에(龍造寺政家)가 사실상의 번주였고, 실권은 가로인 나베시마 나오시게(鍋島直茂)가 쥐고 있었다.

'''나베시마씨''' (도자마 다이묘)

대수번주초상화재임 기간비고
1나베시마 가쓰시게
鍋島勝茂일본어
80px1607년 ~ 1657년
2나베시마 미쓰시게
鍋島光茂일본어
80px1657년 ~ 1695년초대 번주 나베시마 가쓰시게의 손자
3나베시마 쓰나시게
鍋島綱茂일본어
80px1695년 ~ 1706년2대 번주 나베시마 미쓰시게의 장남
4나베시마 요시시게
鍋島吉茂일본어
80px1707년 ~ 1730년2대 번주 나베시마 미쓰시게의 차남
5나베시마 무네시게
鍋島宗茂일본어
80px1730년 ~ 1738년2대 번주 나베시마 미쓰시게의 15남
6나베시마 무네노리
鍋島宗教일본어
80px1738년 ~ 1760년5대 번주 나베시마 무네시게의 장남
7나베시마 시게모치
鍋島重茂일본어
80px1760년 ~ 1770년5대 번주 나베시마 무네시게의 7남
8나베시마 하루시게
鍋島治茂일본어
80px1770년 ~ 1805년5대 번주 나베시마 무네시게의 10남, 가시마번주 시절의 이름은 나오히로
9나베시마 나리나오
鍋島斉直일본어
80px1805년 ~ 1830년8대 번주 나베시마 하루시게의 장남, 사위는 대장경 다테 무네나리
10나베시마 나리마사
鍋島斉正일본어
80px1830년 ~ 1861년9대 번주 나베시마 나리나오의 17남
11나베시마 모치자네(나오히로)
鍋島茂実(直大)일본어
80px1861년 ~ 1871년10대 번주 나베시마 나리마사(나오마사)의 장남



나베시마 가쓰시게(鍋島勝茂일본어)가 1607년 사가번의 초대 번주가 된 이후, 1871년까지 나베시마 가문이 사가 번을 통치했다. 나베시마 가문은 도자마 다이묘에 속하며, 357,000 석고쿠의 영지를 다스렸다. 나베시마 가쓰시게는 종오위하(従五位下) 시나노노카미(信濃守)에 임명되었으며, 이후 역대 번주들도 시나노노카미, 히젠노카미 등의 관직을 받았다. 10대 번주 나베시마 나오마사는 개척장관을 역임하기도 했다. 11대 번주 나베시마 나오히로는 1884년 후작 작위를 받았다.

3. 1. 류조지 가문

1590년부터 1607년까지는 류조지 다카후사(龍造寺高房)가 사가번의 번주였다. 류조지 다카후사는 스루가노카미(駿河守)라는 예의 칭호를 사용했고, 종오위하(従五位下)의 궁중 계급을 받았다. 류조지 다카후사의 재임 기간 동안 류조지 마사이에(龍造寺政家)가 사실상의 번주였고, 실권은 가로인 나베시마 나오시게(鍋島直茂)가 쥐고 있었다.

대수번주초상화재임 기간비고
1류조지 다카후사
류조지 다카후사/龍造寺高房일본어
80px
1590년 ~ 1607년


3. 2. 나베시마 가문

나베시마 가쓰시게(鍋島勝茂일본어)가 1607년 사가번의 초대 번주가 된 이후, 1871년까지 나베시마 가문이 사가 번을 통치했다. 나베시마 가문은 도자마 다이묘에 속하며, 357,000 석고쿠의 영지를 다스렸다.

역대 사가 번주는 다음과 같다.

대수번주초상화재임 기간비고
1나베시마 가쓰시게
鍋島勝茂일본어
80px
1607년 ~ 1657년
2나베시마 미쓰시게
鍋島光茂일본어
80px
1657년 ~ 1695년초대 번주 나베시마 가쓰시게의 손자
3나베시마 쓰나시게
鍋島綱茂일본어
|80px]]
1695년 ~ 1706년2대 번주 나베시마 미쓰시게의 장남
4나베시마 요시시게
鍋島吉茂일본어
|80px]]
1707년 ~ 1730년2대 번주 나베시마 미쓰시게의 차남
5나베시마 무네시게
鍋島宗茂일본어
|80px]]
1730년 ~ 1738년2대 번주 나베시마 미쓰시게의 15남
6나베시마 무네노리
鍋島宗教일본어
|80px]]
1738년 ~ 1760년5대 번주 나베시마 무네시게의 장남
7나베시마 시게모치
鍋島重茂일본어
|80px]]
1760년 ~ 1770년5대 번주 나베시마 무네시게의 7남
8나베시마 하루시게
鍋島治茂일본어
|80px]]
1770년 ~ 1805년5대 번주 나베시마 무네시게의 10남, 가시마번주 시절의 이름은 나오히로
9나베시마 나리나오
鍋島斉直일본어
|80px]]
1805년 ~ 1830년8대 번주 나베시마 하루시게의 장남, 사위는 대장경 다테 무네나리
10나베시마 나리마사
鍋島斉正일본어
|80px]]
1830년 ~ 1861년9대 번주 나베시마 나리나오의 17남
11나베시마 모치자네(나오히로)
鍋島茂実(直大)일본어
|80px]]
1861년 ~ 1871년10대 번주 나베시마 나리마사(나오마사)의 장남



나베시마 가쓰시게는 종오위하(従五位下) 시나노노카미(信濃守)에 임명되었으며, 이후 역대 번주들도 시나노노카미, 히젠노카미 등의 관직을 받았다. 10대 번주 나베시마 나오마사는 개척장관을 역임하기도 했다. 11대 번주 나베시마 나오히로는 1884년 후작 작위를 받았다.

4. 가신단

사가번의 가신단 서열은 “삼가(三家)”・“친류(親類)”・“친류동격(親類同格)”・가로(家老)・착좌・독례(独礼)・사무라이(侍)・수명창(手明鑓)(※본번(本藩)과 지번(支藩)인 렌케번(蓮池藩)만 해당)・도시(보행)(徒士(歩行))・아시가루(足軽)로 되어 있다. 이 외에도 상급 가신과 주종 관계를 갖는 배신(陪臣)이나 피관과 같은 신분이 존재했으며, 소록(小禄)의 사무라이나 수명창 이하는 일상적으로 농상업에 종사하여 생활을 영위했다. 사가성(佐賀城) 성하(城下)의 마을 사람 지역 지도에 이름을 가진 상인이 자주 보이는 것은 이 때문이다.

; 구주 료조지 일족의 번정(藩政)에 대한 관여

료조지 마사이에(龍造寺政家)·고부(高房) 부자의 사후에도 료조지 일족은 건재하였으며, 영내에서 광대한 소령을 소유하고 있었다. 료조지 계열의 각 가문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규슈 국토 분할 시에 직접 히데요시로부터 슈인조(朱印状)를 하부 받았기 때문에, 그들에게는 “영지는 태합 전하로부터 직접 안도(安堵) 받은 것이며, 나베시마가(鍋島家)로부터 받은 것이 아니다”라는 의식이 강했다. 그들 일족은 나베시마가의 번정 아래 중신으로서 번정을 좌우하는 핵심에 있었지만, 나베시마가를 꺼려 료조지 성을 개명하였다. 무라타가(村田家)·이사하야가(諫早家)·다쿠가(多久家)·무사시 나베시마가(武雄鍋島家)·스고 나베시마가(須古鍋島家)는 모두 료조지 일족이다.

; 테아카리야리(手明槍)

료조지 다카노부(龍造寺隆信)의 전성기, 북규슈 일대의 대소 명문을 포괄하여 가신단이 급격히 확대·형성되었으나, 덴쇼 12년(1584년)의 오키타나와테 전투(沖田畷の戦い)에서 다카노부가 전사함으로써 료조지가의 세력이 쇠퇴하고 지배지는 대폭 감소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기 가신단을 그대로 유지하였기 때문에 큰 재정 부담이 되고 있었다. 그래서 초대 번주 나베시마 가쓰시게(鍋島勝茂)는 지행 50석 이하의 사무라이의 지행지를 징수하여 무역으로 하고, 창고미(蔵米)로부터 록(禄)을 지급하기로 하였다.

단, 전시에는 창 한 자루와 갑옷 한 벌로 군역을 담당하도록 하였다. 후대에 이르러서는 “테아카리야리(手明槍)”로도 여러 직책에 임명될 수 있게 되었다.

; 지방 지행제(地方知行制)

사가번에서는 전국 시대의 영국 지배 형태를 짙게 남기고 있으며, 막말까지 가신의 대부분은 지행지(知行地)를 가지고, 거기서 독자적으로 연공을 징수하여 군역의 준비를 하고, 가신을 기르고 있었다. 그러나 번정 시대 후기에는 번의 재정 핍박으로 지행취(知行取り)에서 켓토리(切米取り) 사무라이가 증가하였다.

상급 가신에 대해서는 “대배분(大配分)”이라고 칭해지며, 본번의 통일 지배가 아닌 지행주의 자치가 행해지고 있었다.

4. 1. 나베시마 고산케

나베시마 고산케(御三家)에는 하스노이케 나베시마가(蓮池鍋島家), 오기 나베시마가(小城鍋島家), 가시마 나베시마가(鹿島鍋島家)가 있다.

4. 2. 주요 가문

사가번의 주요 가문은 다음과 같다.

이 외에도 산다이 나베시마가, 이시이 가문(번주 외척), 나리토미 가문, 지바 가문, 나베시마 사다유 가문, 오카베 가문, 오오키 가문, 사카베 가문, 시코쿠 가문, 다쿠 가문, 이마리 나베시마가, 나카노 가문, 나리마쓰 가문, 하라다 가문, 후카에 가문, 이와무라 가문 등이 있었다.

5. 막말의 영지

사가번(佐賀藩)은 한 제도 영지와 마찬가지로, 주기적인 토지조사와 예상되는 농업 생산량을 기준으로 할당된 국역을 제공하기 위해 계산된 여러 개의 불연속적인 영토로 구성되었다.[7][8]

히젠국(肥前国) 관할 하에 있던 지역은 다음과 같다.



메이지유신 이후에는 쿠시로국쿠시로군, 가와카미군, 아키시군, 치시마국후루베쓰군을 관할했지만, 후에 후루베쓰군은 센다이번으로 이관되었다.

규슈(九州)의 후쿠오카현(福岡県) 관할 하에 있던 지역은 다음과 같다.

6. 번교

1781년 홍도관이 설립되었으며, 이는 현재의 사가시립 칸코 초등학교, 사가현립 사가니시 고등학교로 이어졌다.[18] 사가번의 낙제자에 대한 처벌은 전국의 번교 중에서 가장 엄격하여, 규정된 나이에 합격하지 못하면 가록 감봉, 역방으로의 등용 불허, 벌금(쌀 공출) 등이 부과되었다.[18] 무예보다 학문을 우선시했기 때문에 상당한 공부를 해야 했지만, 시험 합격이 목적이 되어 본래 학문을 배우는 정신에서 멀어져 9년 만에 폐지되었다.[18]

1834년에는 의학관이 설립되었고, 1858년 호생관으로 개칭된 후 현립 호생관 병원, 공립 사가 병원을 거쳐 사가현 의료센터 호생관이 되었다. 1867년에는 치엔관이 설립되었으며, 이는 사가현립 치엔관 중학교·고등학교로 명칭을 이어받았다.

7. 주요 출신 인물

다나카 히사시게(田中 久重)는 도시바의 창업자로, 궁술소년, 만년자명종 제작자로 알려져 있으며, 막말부터 메이지 시대에 걸쳐 일본 산업화에 공헌했다. 무타구치 렌야(牟田口廉也)도 사가번 출신이다. 오쿠마 시게노부(大隈 重信)는 전 총리대신이자 와세다대학 창설자로 후작 작위를 받았다. 나베시마 시게요시(鍋島 茂義), 에토 신페이(江藤 新平), 오키 타카토(大木 喬任), 사노 쓰네타미(佐野 常民), 시마 요시타케(島 義勇)도 사가번 출신이다.

폐번 이후 인물은 사가현 출신 인물 일람을 참조하면 된다.

사가번 출신의 주요 인물은 다음과 같다:

참조

[1] 서적 江戸三百藩大全 全藩藩主変遷表付 Kosaido Publishing 2015
[2] 서적 藩と城下町の事典―国別 Tokyodo Printing 2004
[3] 서적 Historical and Geographic Dictionary of Japan Tuttle (reprint) 1972
[4] 서적 Hagakure: The Secret Wisdom of the Samurai https://books.google[...] Tuttle Publishing 2014-05-27
[5] 서적 The Military Dimension: Volume III: The Military Dimens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3-02-04
[6] 서적 The East Asian War, 1592-1598: International Relations, Violence and Mem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12-05
[7] 서적 The Bakufu in Japa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8] 서적 Warlords, Artists, & Commoners: Japan in the Six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9] 웹사이트 Genealogy http://reichsarchiv.[...]
[10] 간행물 『久保田町史』「二 村田家の成立」 http://www.city.saga[...] 久保田町史編さん委員会
[11] 서적 日本近世武家政権論 近代文芸社 2000
[12] 기타
[13] 기타
[14] 기타
[15] 간행물 『佐賀市史』第二巻 【近世】一 佐賀藩の成立 https://www.city.sag[...] 佐賀市史編さん委員会
[16] 서적 佐賀藩 吉川弘文館 2010
[17] 기타
[18] 방송 サムライたちの受験戦争 2013-05-25
[19] 기타
[20]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