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냥꾼 허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냥꾼 허른(Herne the Hunter)은 셰익스피어의 희곡 《윈저의 즐거운 아낙네들》에 처음 등장하는 전설 속 인물이다. 그는 윈저 숲의 유령 관리인으로 묘사되며, 뿔과 쇠사슬을 가지고 겨울 밤에 특정 참나무를 배회하며 가축에게 해를 입힌다고 전해진다. 허른의 기원에 대해서는 다양한 설이 존재하며, 켈트 신 케르눈노스, 앵글로색슨 신 오딘, 실존 인물 리처드 혼 등과 연관 지어 해석되기도 한다. 허른의 이야기는 19세기 이후 문학과 예술 작품에 자주 등장하며, 현대 대중문화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재해석되어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윈저 (버크셔주) - 센트리카
    센트리카는 1812년 설립된 영국의 에너지 회사로, 가스 사업을 중심으로 성장하여 브리티시 가스로 민영화되었으며, 현재 브리티시 가스, Bord Gáis Energy, Direct Energy 등 7개의 브랜드를 운영한다.
사냥꾼 허른
사냥꾼 허른 정보
윈저 대공원 내의 허른 오크, 1796년 그림
윈저 대공원 내의 허른 오크, 1796년 그림
분야영국 민속
기원윈저 대공원
거주지윈저 숲
다른 이름사냥꾼 허른
특징
외모뿔이 달린 유령, 사냥꾼 복장
능력숲을 배회하며 가축과 사람들을 괴롭힘, 임박한 재앙의 징조
관련 작품
문학윈저의 즐거운 아낙네들》 (윌리엄 셰익스피어)
《케인》 (에밀리 브론테)
《심야의 종》 (로버트 그레이브스)
《가넷의 보물》 (존 메이스필드)
대중 문화《닥터 후》
《저스티스 리그 다크》
《헬보이》
《아메리칸 호러 스토리: 로어노크》

2. 전설과 기원

허른에 대한 전설은 셰익스피어의 희곡 ''윈저의 즐거운 아낙네들''에서 처음 등장하며, 윈저 숲의 관리인이었으나 죄를 짓고 목을 매 자살한 유령 이야기이다. 셰익스피어는 허른을 뿔이 달리고 쇠사슬을 흔들며 가축에게 해를 끼치는 존재로 묘사했는데, 이는 유령 이야기의 전형적인 특징과 숲 배경에 어울리는 독창적인 요소를 결합한 것이다.[1]

허른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있지만, 확실한 증거는 없다. 주요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내용비고
켈트 신화 연관설켈트 신화의 뿔 달린 신 케르눈노스와 관련 있다는 주장. "허른"이 "뿔"을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신이교주의자들 사이에서 지지받지만, 케르눈노스 숭배는 주로 유럽 대륙에서 발견되며 영국에서는 증거가 부족하다.[7]
앵글로색슨 신화 연관설앵글족 숭배 신 오딘(워든) 관련설. 워든은 와일드 헌트를 이끌었고, 허른은 워든의 칭호 "헤리안"(Herian)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
실존 인물 동일 인물설헨리 8세 시대 밀렵꾼 리처드 혼(Richard Horne)이 모델이라는 가설.윈저의 즐거운 아낙네들 초판본에 허른 이름이 "Horne"으로 표기.[19]



허른의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셰익스피어 작품으로 널리 알려진 후 민간 설화와 결합하여 다양하게 전승되고 있다.

2. 1. 셰익스피어의 기록

허른에 대한 가장 초기의 기록은 셰익스피어의 희곡 ''윈저의 즐거운 아낙네들''(1597년경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에서 찾아볼 수 있다. 공식적으로 출판된 희곡 버전에서는 허른의 이야기가 윈저 숲의 전직 관리인 유령에 관한 것으로, 그는 겨울 밤 자정에 특정 참나무를 배회하며 뿔을 가지고 쇠사슬을 흔들며 소가 우유 대신 피를 생산하게 한다고 묘사한다.

1602년의 희곡 초판, 해적판은 이 텍스트의 다른 버전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 버전에서는 유령(이 버전에서는 "호른"으로 표기)이 아이들을 순종시키기 위해 만들어졌으며, 어머니들은 아이들에게 숲을 거대한 수사슴의 모습으로 걷는 유령의 이야기를 들려준다고 한다. 흔한 성씨이기 때문에 셰익스피어의 허른을 더 이상 식별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그의 전설에 대한 이전의 언급은 존재하지 않는다.[1]

거의 200년 후인 1792년, 새뮤얼 아일랜드는 셰익스피어의 내용을 약간 확장하여 "엘리자베스 시대에 숲의 관리인이었던 이 허른의 이야기는 다음과 같다. 그는 어떤 큰 죄를 저질러 자신의 지위를 잃고 불명예를 겪을까 두려워하여 이 나무에 목을 맸다."라고 기술했다.[2]

1840년대 이전에는 사냥꾼 허른에 대한 기록된 증거가 거의 없으며, 그의 원래 민간 설화의 세부 사항은 셰익스피어의 ''윈저의 즐거운 아낙네들''의 다양한 버전을 통해 걸러졌다.

허른의 죽음을 자살로 묘사한 것은 이러한 종류의 죽음이 유령을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더 높다는 전통적인 믿음에 부합한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셰익스피어가 쇠사슬을 흔드는 언급 또한 매우 흔한 유령 모티프에 부합한다. 그러나 이야기의 다른 요소들은 셰익스피어 시대의 다른 유령 이야기에서는 드문 일이다. 유령의 가축이나 개는 흔했지만, 유령의 수사슴은 당대의 예가 거의 없다. 셰익스피어가 숲의 배경에 더 잘 맞추기 위해, 또는 엘리자베스 시대의 청중에게 뿔이 달린 인물의 유머러스한 이미지로 이끌기 위해 이 세부 사항을 발명했을 가능성이 있다.[1] 또한 이 시대의 유령이 이처럼 파괴적인 효과를 내는 것은 드문 일이었다. 허른은 가축을 마법으로 홀리고("취하고"), 그들의 우유에 피를 묻히고, 나무를 시들게 한다고 묘사된다.[1]

2. 2. 후대의 기록과 해석

새뮤얼 아일랜드는 1792년에 셰익스피어의 내용을 확장하여, 허른이 엘리자베스 시대에 숲의 관리인이었는데 큰 죄를 짓고 지위를 잃을까 두려워 나무에 목을 매 자살했다고 기록했다.[2] 허른의 죽음을 자살로 묘사한 것은 이러한 죽음이 유령을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더 높다는 전통적인 믿음과 관련이 있다. 쇠사슬을 흔드는 묘사는 유령 이야기에서 흔히 나타나는 모습이다. 그러나 유령 수사슴은 당시에는 드문 예였는데, 셰익스피어가 숲이라는 배경에 맞추거나 뿔 달린 인물의 우스꽝스러운 이미지를 위해 이 부분을 창작했을 가능성이 있다.[1]

1843년 윌리엄 해리슨 에인스워스의 소설 ''윈저 성''에는 허른이 등장하는데, 허른이 수사슴에게 뿔로 받혀 죽을 뻔했지만 악마가 사슴의 뿔을 쓰는 조건으로 그를 구했다는 내용이 추가되었다. 야코프 그림은 허른이라는 이름이 야생 사냥의 지도자와 관련이 있다고 처음으로 제시했다.[1]

20세기에는 허른의 유령이 국가적 재앙이나 왕의 죽음 직전에 나타난다는 이야기가 추가되었다. 또한, 20세기에는 윈저 숲에서 허른의 유령을 직접 만났거나 그의 사냥개와 뿔피리 소리를 들었다는 이야기가 처음으로 보고되었다.[1]

2. 3. 허른의 오크

허른의 오크, 《템스강 서쪽의 그림 같은 여행》(1849) 삽화


셰익스피어의 연극에 등장한 이후 허른은 널리 알려졌으며, 허른의 오크로 추정되는 위치는 수년 동안 지역에서 추측과 논쟁의 대상이었다. 일부 국토 조사국 지도에는 윈저 대공원(에 인접한 윈저 대공원)의 프로그모어 하우스 북쪽에 허른의 오크가 표시되어 있다. 이 나무는 1796년에 잘렸다. 1838년, 에드워드 제시(Edward Jesse)는 가로수길에 있는 다른 나무가 진짜 허른의 오크라고 주장했고, 특히 빅토리아 여왕에게 인기를 얻었다. 이 나무는 1863년 8월 31일에 쓰러졌고, 빅토리아 여왕은 같은 장소에 다른 나무를 심었다. 여왕의 나무는 가로수길을 다시 심을 때인 1906년에 제거되었다.

1906년에 심어진 새로운 참나무 중 하나가 현재 허른의 오크라는 명칭을 가지고 있다.[1]

2. 4. 기원 가설

허른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가설이 제기되어 왔지만, 확실한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허른에 대한 이야기는 대부분 셰익스피어의 희곡 ''윈저의 즐거운 아낙네들''을 통해 전해지고 있다.[1]

  • 켈트 신화의 케르눈노스 연관설: R. 로우 톰슨은 허른이 켈트 신화의 뿔 달린 신 케르눈노스와 같은 기원을 가진다고 주장했다. 그는 "허른"이라는 이름이 "뿔"을 의미하는 라틴어 "cornu"와 관련이 있으며, 이는 "케르눈노스"와 연관될 수 있다고 보았다.[4] 마가렛 머레이 역시 허른을 케르눈노스와 동일시했다.[5] 일부 신이교주의자들은 이러한 연관성을 받아들이지만,[6] 케르눈노스 숭배는 주로 유럽 대륙에서 발견되며 영국에서는 뚜렷한 증거가 없다는 반론도 있다.[7] "허른"은 "뿔"을 의미하는 고대 영어 단어 ''hyrne''에서 유래했을 가능성도 있어,[9][10][11] 케르눈노스 가설과 상충된다.[12]

  • 앵글로색슨 신화의 오딘(워든, 헤리안) 연관설: 중세 초기 윈저 숲 지역을 지배했던 앵글족오딘과 동일시되는 신 워든을 숭배했다. 워든은 와일드 헌트를 이끌었으며, 세계수 위그드라실에 목을 매달았다는 전설이 있다. 허른이라는 이름은 워든의 칭호 중 하나인 "헤리안"(Herian)에서 유래했을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3]

  • 리처드 혼(Richard Horne) 동일 인물설: 새뮤얼 아일랜드는 허른이 실존 인물이며, 불경스러운 죽음으로 인해 유령 이야기가 생겨났다고 주장했다.[2] 헨리 8세 시대에 밀렵꾼으로 기록된 리처드 혼(Richard Horne)이 허른의 모델일 수 있다는 가설이 있다.[18] ''윈저의 즐거운 아낙네들'' 초판본에는 허른의 이름이 "Horne"으로 표기되어 있다.[19]

3. 현대의 재해석

현대에는 허른이 다양한 방식으로 재해석되고 있다. 20세기에는 허른의 유령이 국가적 재앙이나 왕의 죽음 직전에 나타난다는 믿음이 생겨났다. 또한 윈저 숲에서 허른의 유령을 직접 보거나 그의 사냥개와 뿔피리 소리를 들었다는 이야기가 보고되기도 했다.[1]

1929년 R. 로우 톰슨은 저서 《악마의 역사 – 서구의 뿔 달린 신》에서 "허른"이 유럽 민속의 다른 야생 사냥 사냥꾼들과 동일한 고대 기원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하며, "허른"이 케르눈노스 이름의 어원일 수 있다고 했다.[4] 마가렛 머레이도 1933년 저서 《마녀의 신》에서 케르눈노스를 허른과 동일시했다.[5] 일부 현대 신이교주의자, 예를 들어 위카교도들은 허른을 케르눈노스와 동일시하며, 더 나아가 그리스-로마 신 판과 연결하기도 한다.[6] 그러나 허른은 버크셔와 윈저 숲이 뻗어 있던 주변 카운티 지역 밖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지역적인 인물이며, 케르눈노스 숭배에 대한 명확한 증거는 유럽 본토에서만 발견되었고 영국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7]

하위 섹션인 '문학과 예술'에서는 허른이 등장하는 다양한 문학작품과 예술작품들을 소개하고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중복을 피하기 위해 해당 내용을 생략한다.

3. 1. 문학과 예술

윌리엄 해리슨 에인스워스의 1843년 소설 ''윈저 성''은 허른의 전설을 대중화하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3] 에인스워스는 허른이 수사슴에게 뿔로 받혀 죽을 뻔했지만, 악마가 사슴의 뿔을 쓰는 조건으로 그를 구한다는 설정을 추가했다.[3] 야코프 그림은 허른이라는 칭호가 그가 한때 야생 사냥의 지도자로 여겨졌음을 보여준다고 처음으로 제시했다.[1]

20세기에는 허른의 유령이 국가적 재앙이나 왕의 죽음 직전에 나타난다는 믿음이 추가되었다. 또한, 윈저 숲에서 허른의 유령을 직접 보거나 그의 사냥개와 뿔피리 소리를 들었다는 이야기가 처음으로 보고되었다.[1]

허른은 다양한 예술 작품에서 다음과 같이 등장한다.

분야작품명 및 설명
오페라
발레 및 경가극
음악
문학


3. 2. 신이교주의

1929년 저서 《악마의 역사 – 서구의 뿔 달린 신》에서 R. 로우 톰슨은 "허른"과 유럽 민속의 다른 야생 사냥 사냥꾼들이 모두 동일한 고대 기원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하며, "허른"이 케르눈노스 이름의 어원일 수 있다고 했다.[4] 마가렛 머레이도 1933년 저서 《마녀의 신》에서 케르눈노스를 허른과 동일시했다.[5] 일부 현대 신이교주의자, 예를 들어 위카교도들은 로우 톰슨이 허른을 케르눈노스와 동일시하는 것을 받아들인다. (그들은 이를 더 나아가 그리스-로마 신 판과 연결한다).[6] 그러나 허른은 버크셔와 윈저 숲이 한때 뻗어 있던 주변 카운티의 지역 밖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지역화된 인물이며, 케르눈노스 숭배에 대한 명확한 증거는 유럽 본토에서만 발견되었으며 영국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7]

4. 대중문화

윌리엄 해리슨 에인스워스의 1843년 소설 ''윈저 성''에서 허른이 등장하며 그의 전설이 대중화되었다.[3] 20세기에는 윈저 숲에서 허른의 유령을 직접 보았거나, 그의 사냥개와 뿔피리 소리를 들었다는 목격담이 처음 보고되었다.[1]

허른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 등장한다.


  • 로이드 알렉산더하이 판타지 소설 ''프라이다인 연대기''에는 허른에게서 영감을 받은 두 캐릭터, 뿔 달린 왕과 사냥꾼 귄이 등장한다.
  • 수잔 쿠퍼의 ''어둠이 걷히는 시간 연작''에서 허른은 야생 사냥을 이끄는 중요한 역할로, 동명의 책과 시리즈 마지막 작품인 ''나무 위의 은빛''에 등장한다.
  • 에릭 모트람의 시집 《허른의 책》(1975, 1981)은 허른 신화를 탐구한다.
  • 사르반의 소설 ''그의 뿔 소리''(1952)에서 악당 마스터 포레스터는 허른의 화신이다.[20]
  • 테드 윌리엄스의 기억, 슬픔, 그리고 가시 시리즈에서 허른은 숲 왕국 헤르니사다르크를 건국했으며, 그의 백성 헤르니스티리는 하얀 수사슴을 상징으로 하는 헤른 가문의 통치를 받았다.
  • 테리 프래쳇의 ''디스크월드'' 시리즈에서 허른 더 헌티드는 허른을 패러디한 작은 신이다.
  • 루스 니콜스의 어린이 소설 ''세상의 골수''에서 허른은 초자연적인 속성이 없는 핵심 인물이다.
  • 영국의 계관 시인 존 메이스필드는 어린이 책 ''기쁨의 상자''에서 허른 더 헌터를 숲의 정령으로 묘사했다.[21]
  • 세실리아 다트-손턴의 비터바인드 3부작에서 허른은 헬하운드를 이끌고 주인공을 찾는 "언시리 와이트"로 묘사된다.
  • 사이먼 그린의 ''나이트사이드'' 시리즈에서 허른은 조연으로 등장한다.
  • C. E. 머피의 ''어반 샤먼''에서 허른은 적대자 중 하나이다.
  • 데이비드 클레멘트-데이비스의 책 ''불의 사자''에서 허른은 사슴 신이다.
  • 마이클 스콧의 《연금술사, 니콜라스 플라멜의 불멸의 비밀》 시리즈에서 허른 더 헌터는 케르눈노스로 불린다.
  • 짐 부처의 드레스덴 파일 시리즈 중 《콜드 데이즈》에서 엘킹은 "로드 허른"으로 불린다.
  • 케빈 헌의 아이언 드루이드 연대기 시리즈 6권 《헌티드》에 허른이 등장한다.
  • 패트릭 네스의 책 《몬스터 콜스》에서 몬스터는 허른이다.
  • 조안 D. 뱅의 1980년 소설 《눈의 여왕》에서 메르의 사냥꾼이자 여왕의 배우자인 허른 더 헌터는 "스타벅"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 소설은 1981년 휴고상 최우수 소설상을 수상했다.
  • 제인 욜렌의 1995년 책 《야생 사냥》에서 로드 허른은 뿔 달린 왕의 진정한 이름이다.[21]
  • 1984년 TV 시리즈 ''로빈 후드''에서 록슬리의 로빈은 허른의 부름을 받아 '후드의 남자' 역할을 맡고, 노르만 압제자들에 맞서 싸운다. 배우 존 아비네리가 연기한 무당 캐릭터는 사슴 머리를 쓰고 숲의 정령이 된다.[21]
  • 1984년 BBC TV 각색 작품인 마세필드의 소설 ''기쁨의 상자''에서 허른은 안내 캐릭터로 등장한다.
  • 그린 애로우 코믹북 시리즈 26호에서 허른은 숲의 정령으로 등장한다.
  • 2004년 액션 어드벤처 비디오 게임 ''바드 테일''에서 허른은 나무와 같은 마법적 존재이자 중요한 적대자이다.
  • 몬스터 인 마이 포켓 2번째 시리즈의 #56번은 사냥꾼 허른 피규어이다.
  • 2010년, 콜린 베이커 시대의 닥터 후 오디오 어드벤처 ''레비아탄''에 사냥꾼 허른이 등장한다.
  • 레슬리 리빙스턴의 2008년 소설 ''원더러스 스트레인지''에서 허른은 고대 사냥꾼이자 퀸 매브의 전 연인이며, 뉴욕 센트럴 파크의 태번 온 더 그린을 소유하고 있다.
  • 코믹북 ''헬보이: 와일드 헌트''에 사냥꾼 허른을 연기하는 인물이 등장한다.
  • 어슐라 버논의 휴고상 수상 웹코믹 ''디거''에 사슴 머리를 한 사냥꾼 허른이 등장한다.
  • 덴마크 밴드 우더링 하이츠는 2004년 앨범 ''매딩 크라우드에서 멀리 떨어져서''에 "숲에 대한 갈망 파트 III: 허른의 예언"이라는 노래를 발표했다.
  • 판타지 컴퓨터 RPG ''엘더스크롤 III: 모로윈드''의 확장팩 ''블러드문''에는 사냥꾼 히르신이 등장한다.
  • 와일드 카드 시리즈의 책에서 딜런 하데스티는 밤이 되면 뿔 소리로 분노와 살의를 불러일으키는 사냥꾼 허른이 되는 돌연변이이다.
  •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어둠땅'' 확장팩에서 로드 허른은 야생 사냥 진영의 일원인 영웅 NPC 캐릭터이다.
  • ''어둠이 덮쳐올 때''에서 영향력 있는 캐릭터는 사냥꾼 허른으로 알려져 있으며, 야생 사냥을 이끈다.
  • 2024년 디즈니+ 텔레비전 시리즈 ''레니게이드 넬 (시즌 1)''에서 사냥꾼 허른은 포인턴 백작 로버트 헤네시에 의해 소환되며, 군주의 죽음을 예고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참조

[1] 서적 Haunted England: The Penguin Book of Ghosts Penguin UK 2013
[2] 서적 Picturesque Views on the River Thames 1792
[3] 논문 The History of the Devil 1929
[4] 서적 The History of the Devil 1920
[5] 서적 Embracing the Darkness: A Cultural History of Witchcraft Bloomsbury Publishing 2017
[6] 서적 Simple Wicca: A simple wisdom book Conari 2000
[7] 서적 The Pagan Religions of the Ancient British Isles: Their Nature and Legacy
[8] 웹사이트 radices-linguarum-celticarum https://sites.google[...]
[9] 서적 Dictionary of Early English Philosophical Library 1955
[10]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rodneymackay.[...] 2008-11-02
[11] 서적 A Dictionary of the Anglo-Saxon Language, Containing the Accentuation—the Grammatical Inflections—the Irregular Words Referred to Their Themes—the Parallel Terms, from the Other Gothic Languages—the Meaning of the Anglo-Saxon in English and Latin—and Copious English and Latin Indexes ... Longman, Rees, Orme, Brown, Green, and Longman 1838
[12] 서적 Herne the Hunter: A Berkshire Legend William Smith (Booksellers) Ltd. 1972
[13] 서적 The Quest for the Green Man Quest Books 2001
[14] 서적 Hero Tales and Legends of the Rhine BiblioBazaar 2007
[15] 서적 The Tree of Mythology, Its Growth and Fruitage: Genesis of The Nursery Tale, Saws of Folk-lore, etc 1889
[16] 서적 Hedge-Rider: Witches and the Underworld Pendraig Publishing 2008
[17] 서적 The Nature of Magic: An Anthropology of Consciousness Berg Publishers 2005
[18] 문서 Hedley, Windsor Castle
[19] 논문 The "ill kill'd" Deer: Poaching and Social Order in The Merry Wives of Windsor 2001
[20] 웹사이트 Sarban http://sf-encycloped[...] 2018-08-12
[21] 서적 Pagan Themes in Modern Children's Fiction: Green Man, Shamanism, Earth Mysteries Palgrave Macmillan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