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루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루만은 J. R. R. 톨킨의 소설 《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인물로, 인간의 모습을 한 마법사이다. 원래는 사우론에 대항하기 위해 중간계로 파견된 다섯 명의 현자 중 한 명이었으나, 힘에 대한 욕망으로 타락하여 사우론과 동맹을 맺고 배신한다. 그는 백색 의회의 수장이었으며, 아이센가르트의 오르상크 탑에 거주하며 세력을 키웠다. 사루만은 강력한 목소리와 기술력을 활용하여 로한을 공격하고, 우르크하이를 창조하는 등 다양한 악행을 저질렀다. 결국 엔트에게 아이센가르트를 잃고, 간달프에게 마법사 자격을 박탈당한 후, 샤이어에서 최후를 맞이한다. 사루만의 타락은 권력욕과 산업화의 폐해를 상징하며, 다양한 매체로 각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운데땅의 마법사 - 라다가스트
라다가스트는 톨킨의 중간계 소설에 등장하는 "갈색의 라다가스트"로 알려진 이스타리 중 한 명으로, 야생 동물과의 유대감, 약초 지식, 변신 능력을 지녔으며 간달프와 친척 관계이고 영화 호빗 시리즈에서 확장된 역할을 수행한다. - 가운데땅의 마법사 - 간달프
J.R.R. 톨킨의 소설에 등장하는 마법사 간달프는 "미스란디르"라고도 불리며, 불, 빛, 연기를 다루는 능력과 여러 종족과의 관계를 통해 절대반지 파괴에 기여하고, 죽음 이후 백색의 간달프로 부활하여 사우론을 무찌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판타지 문학의 상징적인 캐릭터이다. - 호빗 - 발린 (가운데땅)
발린은 《호빗》과 《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두린 가문의 드워프이며, 소린 오큰실드 일행으로서 에레보 탐험에 참여했고, 이후 모리아 재건을 시도했으나 고블린과 발로그에 의해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 호빗 - 골룸
골룸은 J. R. R. 톨킨의 판타지 소설 《호빗》과 《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스미골이라는 호빗에서 변한 인물로, 절대반지에 압도되어 잔인하고 기괴한 모습이 되었으며 "내 소중한 것"이라는 말버릇과 반지를 되찾기 위해 프로도를 추격하는 이중인격자이지만, 반지를 파괴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비극적인 최후를 맞는 톨킨 작품의 주요 등장인물로서 여러 문화적 영향을 미쳤다. - 1954년 창조된 가공인물 - 고지라
고지라는 고릴라와 고래 이름을 합쳐 만든 일본 거대 괴수 영화 주인공으로, 공룡 특징을 결합한 외형과 방사열선을 지녔으며, 수소폭탄 실험으로 탄생한 돌연변이 생물이라는 설정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크기와 설정 변화를 거치며 세계적인 인기를 얻은 일본 대중문화의 상징이다. - 1954년 창조된 가공인물 - 글로인
사루만 - [가상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사루만 |
원어 이름 | Saruman |
이명 | 쿠루니르 쿠루모 샤키 기술의 남자 백색의 사자 백색 회의의 수장 아이센가드의 군주 |
종족 | 마이아 |
성별 | 남자 |
등장 작품 | |
첫 등장 | 반지 원정대 (1954) |
마지막 등장 | 끝나지 않은 이야기 (1980) |
창작자 | |
창작자 | 존 로널드 루엘 톨킨 |
역할 및 소속 | |
직업 | 마법사 |
소속 단체 | 마법사들 |
기타 | |
![]() | |
언어별 이름 |
2. 초기 행적 및 배신
사루만은 인간 노인의 모습을 했지만, 실제로는 인간이 아니었다. 그는 서쪽 아만 땅에서 사우론에 대항하는 임무를 띠고 중간계에 온 다섯 현자 중 한 명이었다. 다른 현자들로는 청색 마법사 두 명(이름은 알려지지 않음), 회색 간달프, 갈색 라다가스트가 있었다. 이들은 마이아였으며, 사루만의 마이아로서의 이름은 쿨모였다. 그는 처음에 홀로 중간계에 도착하여 동쪽으로 여행을 하고 돌아온 후 아이젠가르트의 오르상크 탑에 살았다.
사루만의 목소리는 매우 감미롭고 설득력이 강했다. ''두 개의 탑''에서는 그의 목소리가 "낮고 감미로우며, 그 소리 자체가 마법"과 같다고 묘사된다.[23] 이 목소리를 듣는 사람들은 그가 하는 말에 쉽게 동의하고 현명하다고 느끼게 되었다.[23]
톨킨은 ''반지의 제왕'' 당시의 사루만을 긴 얼굴과 높은 이마를 가진 인물로 묘사했다. 그의 머리카락과 수염은 하얗지만, 입술과 귀 주위에는 검은 가닥이 남아 있었다.[6] 그는 '흰 사루만'으로 불렸고 원래 흰 로브를 입었지만, ''반지의 원정대''에서는 "모든 색깔로 짜여져 빛나고 색깔이 바뀌어 눈이 어리둥절해졌다"는 묘사를 통해 '많은 색깔의 사루만'으로 불리게 된다.[4]
사우론에 대항하기 위해 백색 의회가 조직되었고, 사루만은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이 무렵부터 힘의 반지 전승에 대해 연구하던 사루만은 유일반지를 손에 넣고자 하는 욕심을 품게 되었다. 그는 잃어버린 팔란티르 중 하나를 찾아 사우론과 접촉하여 동맹을 맺는 배신을 저질렀다.
간달프가 유일반지의 행방을 알아냈다는 것을 안 사루만은 라다가스트를 속여 간달프를 아이젠가르트로 불러들였다. 사루만은 간달프에게 자신이 사우론의 종이 되어 중간계를 지배하려는 음모를 꾸미고 있음을 밝히며 동참할 것을 유혹했고, 이때 자신을 '''반지장이 사루만''', '''다채로운 사루만'''이라고 칭했다. 간달프가 거절하자, 사루만은 그를 오르상크 탑에 감금했다.
이후 간달프는 오르상크 탑에서 탈출하여 엘론드의 회의에서 사루만의 배신을 보고했다.
2. 1. 마이아로서의 기원
사루만은 원래 발라 아울레를 섬기는 마이아였으며, 당시 그의 이름은 쿠루모였다.[10] 그는 이스타리의 일원으로 중간계에 파견되었다.2. 2. 이스타리로서의 임무
사루만은 간달프, 라다가스트와 함께 '마법사'로 알려진 이스타리 다섯 명 중 한 명이었다. 이들은 마이아로서, 신과 같은 발라의 사절이었다. 제3시대에 사우론에 맞서 중간계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는 방식으로, 직접적인 충돌이 아닌 방식으로 돕기 위해 파견되었다.[10] 톨킨은 그들을 어느 정도 구현된 천사와 비슷하다고 여겼다.[11]이스타리의 임무는 중간계 백성들을 직접적인 무력으로 돕는 것이 아니라, 조언과 인도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사루만은 처음에 동쪽을 여행했고, 나중에 백색 의회의 수장으로 임명되어 곤도르의 아이젠가르트 전초기지에 정착했다.
2. 3. 백색 회의와 아이센가드 정착
사루만은 사우론에 대항하기 위해 조직된 백색 회의의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힘의 반지 전승에 대해 연구하며 점차 유일반지를 소유하고자 하는 욕망을 품게 되었다.[1] 곤도르의 허락을 받아 아이젠가르트의 오르상크 탑에 정착했으며, 팔란티르 중 하나를 찾아 사우론과 접촉하여 동맹을 맺기도 했다.[1]2. 4. 권력에 대한 욕망과 타락
사루만은 힘의 반지 전승에 대해 연구하면서 유일반지를 손에 넣고자 하는 욕심을 품게 되었다. 그는 잃어버린 팔란티르 중 하나를 찾아 사우론과 접촉하여 동맹을 맺었다.간달프가 유일반지의 행방을 알아냈다는 것을 알게 된 사루만은 라다가스트를 속여 간달프를 아이젠가르트로 불러들였다. 사루만은 간달프에게 사우론의 종이 되어 중간계를 지배하려는 음모를 밝히며 동참할 것을 유혹했고, 이때 자신을 '''반지장이 사루만''', '''다채로운 사루만'''이라고 불렀다. 간달프가 이를 거절하자 사루만은 그를 오르상크 탑에 가두었다.
2. 5. 간달프와의 갈등
사루만은 간달프와 상의하기 위해 그를 아이센가드로 불렀으나, 이는 그를 감금하기 위한 함정이었다.[6] 사루만은 마법사들이 사우론의 힘과 동맹을 맺고, 결국에는 자신들의 목적을 위해 사우론을 통제해야 한다고 제안하며 자신의 배신을 드러냈다.[6] 그는 심지어 자신들이 직접 절대반지를 차지하여 사우론에게 대항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6]간달프가 이 두 가지 제안을 모두 거절하자, 사루만은 그를 아이센가드의 오르상크 탑에 가두고 절대반지의 위치를 알아내려 했다.[6] 간달프는 오르상크 정상에서 사루만이 이전에 녹색이었던 아이센가드 계곡을 산업화하고, 사우론에 대항할 자신만의 오크-인간 혼혈 전사와 워그 군대를 만들고 있는 것을 보았다.[6]
사루만은 간달프에게 자신의 계획에 동참할 것을 제안하면서, 자신이 '반지 제작자'이자 '다채로운 색의 사루만'임을 선언했다.[6] 그는 간달프에게 자신의 지배하에 들어오라고 강요했지만, 간달프는 이를 거절하고 오르상크 탑에 갇히게 되었다.[6]
거대한 독수리를 타고 탑 꼭대기에서 탈출한 간달프는[6] 엘론드의 회의에서 사루만의 배신을 보고했다.[6]
3. 반지의 제왕에서의 역할
사루만은 원래 사우론에 대항하기 위해 서쪽 아만 땅에서 온 다섯 현자 중 한 명이었다. 이들은 마이아이며, 사루만의 마이아로서의 이름은 쿨모였다. 그는 처음에 홀로 중간계에 왔다가 동쪽으로 여행을 하고 돌아온 후 아이젠가르트의 오르상크 탑에 살았다.[26]
사우론에 대항하기 위해 백색 의회가 조직되자, 사루만은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이때부터 힘의 반지에 대해 연구했고, 유일반지를 손에 넣고자 욕심을 품게 되었다. 심지어 팔란티르 중 하나를 찾아 사우론과 접촉하여 동맹을 맺었다.[31]
사루만은 간달프에게 자신이 사우론의 종이 되어 중간계를 지배하려는 음모를 밝히고 동참을 권유하며, 자신을 '''반지장이 사루만''', '''다채로운 사루만'''이라고 불렀다. 간달프가 거절하자, 사루만은 그를 오르상크 탑에 감금했다. 그러나 간달프는 탈출하여 엘론드의 회의에서 사루만의 배신을 알렸다.
이후 사루만은 공개적으로 반지를 빼앗으려는 행동을 시작했으나, 호빗촌에서 도망친 프로도 배긴스의 여정에 보낸 간첩들은 프로도를 잡지 못했고, 로한에 건 전쟁과 반지 원정대를 공격하기 위해 파견한 우르크하이 부대도 실패했다.
엔트에 의해 아이젠가르트가 파괴되었고, 사루만은 오르상크 탑에 감금되었다. 그는 테오덴 왕에게 평화를 제안했으나 실패했고, 간달프와의 우정을 회복하려 했으나 거절당했다. 간달프는 사루만의 지팡이를 부러뜨리고 그를 현자회와 백색 의회에서 추방했다.
힘을 잃은 사루만은 나무수염을 설득하여 아이젠가르트를 떠났다. 갈라드리엘의 자비를 받아들였다면 발리노르로 가는 마지막 배를 탈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 그는 호빗촌으로 가서 '''샤르키'''라는 이름으로 호빗들을 제압했지만, 결국 부하였던 뱀의 혀 그리마에게 배신당해 살해되었다.
3. 1. 프로도와 반지 원정대 추적
사루만은 절대반지를 차지하기 위해 프로도와 반지원정대를 추적했다. 처음에는 간달프를 이센가드의 오르쌍크 탑에 가두어 반지의 위치를 알아내려 했으나, 간달프는 거대한 독수리를 타고 탈출했다.[33] 이후 사루만은 스파이들을 보내 프로도와 반지 원정대를 추적하게 했다.사루만은 사우론에 맞설 군대를 만들기 위해 오크와 인간을 혼혈한 우르크하이 전사들과 워그를 이용했다.[33] 이들은 프로도 일행을 공격하여 메리와 피핀을 납치했지만, 두 호빗은 팡고른 숲으로 도망쳐 엔트들을 만났다.[33]
3. 2. 로한과의 전쟁
사루만은 로한에 전쟁을 걸었다.[38] 그는 그리마 웜텅을 이용하여 테오덴 왕을 조종하고 로한을 약화시키려 했다.[38] 간달프가 아이젠가르트를 방문했을 때, 사루만은 자신이 사우론의 종이 되어 중간계를 지배하려는 음모를 밝히고 간달프에게 동참할 것을 권유했다. 이때 그는 자신을 '''반지장이 사루만''', '''다채로운 사루만'''이라고 불렀다.[38] 간달프가 이를 거절하자 사루만은 간달프를 오르상크 탑에 가두었다. 그러나 간달프는 탈출하여 엘론드의 회의에서 사루만의 배신을 알렸다.[38]배신이 드러난 후, 사루만은 공개적으로 반지를 차지하려 했다. 그는 반지 원정대를 공격하기 위해 우르크하이 부대를 파견했으나, 그의 군대는 헬름 협곡 전투에서 패배했다.[38] 간달프는 로한에 승리를 가져다주었다.[38]
3. 3. 아이센가드 함락과 몰락
엔트에 의해 아이센가드가 파괴되었고, 사루만은 오르상크 탑에 감금되었다.[3] 마지막 시도로 그는 로한의 테오덴 왕에게 평화를 제안했으나 실패했고, 간달프와의 우정을 회복하려 했으나 간달프는 이를 거절했다.[3] 간달프는 사루만의 지팡이를 부러뜨리고 그를 현자회와 백색 의회에서 추방했다.[3]3. 4. 샤이어 점령과 최후
사루만은 힘을 잃은 후 오르상크 탑에 한동안 감금되어 있었지만, 감시자였던 엔트 나무수염을 설득하여 아이젠가르트를 떠났다.[44] 이후 간달프 일행과 마주쳤다. 이미 사우론은 멸망했고, 이스타리는 중간계에서의 임무를 완수한 뒤였다. 이때 갈라드리엘의 자비를 받아들였다면 발리노르로 가는 마지막 배를 탈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 사루만은 오랫동안 부하들을 보내 장악해왔던 호빗촌으로 가서, 부하 인간 악당들의 폭력으로 호빗들을 제압하고 배긴스가의 집에 살았다. 그는 여기서 '''샤르키'''라고 불렸다.[44] 결국 사루만은 호빗촌 지배에도 실패하고, 부하였던 뱀의 혀 그리마에게 배신당해 살해되었다.[44]4. 마법 능력
사루만은 작중에서 다양한 마법 능력을 선보였는데, 그가 본래 아울레의 백성이자 공예의 마이아였기 때문에 기술적인 면모를 보이는 마법이 많았다. 이는 사우론을 모방한 것이기도 하며, 역사적으로 첨단 과학 기술이 마법으로 인식되기도 했던 점, 그리고 톨킨이 자연을 파괴하는 근대 산업화를 악으로 여겼던 점 등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 세오덴에 대한 저주: 세오덴 왕을 쇠약하게 만드는 저주를 걸어 로한을 조종하려 했다. 영화에서는 초자연적인 주술로 묘사되었지만, 원작에서는 심리적인 압박이나 최면의 가능성도 제시된다.
- 크레바인 감시: 크레바인이라는 까마귀들을 이용하여 반지 원정대의 동향을 감시했다. 영화에서는 사루만이 직접 조종하는 것으로 묘사되지만, 원작에서는 불분명하며 사우론의 소행일 가능성도 있다.
- 칼라스갈라스의 눈보라 (영화): 영화에서는 칼라스갈라스의 눈보라와 눈사태를 퀘냐 주문으로 일으킨 것으로 묘사된다. 원작에서는 사우론의 소행일 가능성이 있다.
- 화구 발사 (영화): 영화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 확장판에서는 오르상크 꼭대기에서 간달프를 향해 지팡이 끝에서 화구를 발사하지만, 간달프의 마법 방어막에 막힌다.
4. 1. 목소리의 힘
사루만의 가장 강력한 힘은 바로 그의 '목소리'였다. 그의 목소리는 낮고 감미로우면서도 그 자체로 마법과 같아서, 듣는 이들을 현혹시키고 설득하여 자신의 지배하에 두는 능력을 지녔다.[23] 심지어 지팡이를 잃은 후에도 목소리의 힘은 어느 정도 남아있어, 강한 마음을 가진 자가 아니면 저항하기 힘들었다. 톰 십피는 사루만이 정치인처럼 말하며, 중간계의 다른 어떤 인물도 그처럼 양립할 수 없는 것을 해결하고 빈말을 내놓는 인물은 없다고 평가했다.[25]그가 마법을 사용하는 장면은 많지 않지만, 등장하는 기술은 목소리를 제외하면 대부분 기술적인 것이다. 이는 그가 원래 아울레의 백성인 공예의 마이아이기 때문이며, 마찬가지로 공예의 마이아인 사우론을 모방했고, 역사적으로는 종종 최첨단 과학 기술이 마법으로 인식되었던 경로가 존재하며, 또한 톨킨이 아름다운 자연을 파괴하는 근대 산업화를 악으로 여겼던 것 등이 그 이유로 생각된다. 아래는 그가 사용한 기술들이다.
- '''목소리:''' 듣는 자의 마음을 현혹시켜 상대를 설득하고 궁극적으로 자신의 지배하에 두는 것이 가능하다. 사루만의 힘으로 가장 주요하게 다뤄진다. 지팡이가 부러지면서 많은 힘을 잃었지만, 이 목소리만큼은 전성기만큼의 힘은 아니더라도 끝까지 유지하여 악행을 저지르려 했으나, 강한 마음을 가진 자에게는 통하지 않았다.
- '''불, 증기, 기계 장치:''' 아이센가르드를 산업화했을 뿐만 아니라, 샤이어 또한 마찬가지로 했다. 전투에서는 불(영화에서는 명확하게 화약으로 묘사됨)로 뿔나팔 요새의 방벽을 날려 버리고, 아이센가르드에 침입해 온 엔트들을 기계 장치를 이용한 증기와 불로 격퇴하려고 시도한다.
- '''요술:''' 인간과 오크를 교배시켜 햇빛에도 견딜 수 있는 신종 오크, 우르크-하이를 만들어냈다. 구체적인 방법은 불명이다.
- '''저주:''' 세오덴을 저주로 쇠약하게 만들고, 뱀혓바닥 그리마를 통해 로한을 조종하려 했다. 이 저주가 문자 그대로 초자연적인 주술인지, 말로 세오덴을 심리적으로 몰아붙여 쇠약하게 만들고 최면을 걸었는지는 애매하지만, 영화판에서는 전자로 묘사되었다.
- '''크레바인:''' 크레바인이라는 까마귀들을 이용하여 반지 원정대의 동향을 감시하게 했다. 명확하게 사루만이 조종하고 있다고 묘사된 것은 영화판뿐이며, 원작에서는 이를 방출한 자에 대한 언급이 없고 사우론이 주인일 가능성도 있다. 또한 사루만의 소행이라고 해도, 그의 마력이 아니라 라다가스트의 협력을 악용했을 가능성도 있다.
- '''눈보라와 눈사태:''' 원작에서는 칼라스갈라스의 눈보라와 눈사태는 사우론의 소행일 가능성이 시사되지만, 영화에서는 사루만이 퀘냐 주문으로 일으켰다고 되어 있다.
- '''화구:''' 영화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 확장판(SEE)에서는 오르상크 정상에서 백색 간달프를 향해 지팡이 끝에서 화구를 발사하는 장면이 있다. 그러나 이것은 간달프를 둘러싼 마법의 아우라에 의해 막혔다.
4. 2. 기술과 산업화
사루만은 불과 증기, 기계 장치를 이용하는 기술을 선보였다. 그는 아이센가드를 산업화했을 뿐만 아니라, 샤이어 또한 산업화하려 했다. 전투에서는 불(영화에서는 명확하게 화약으로 묘사됨)을 사용하여 뿔나팔 요새의 방벽을 날려 버렸고, 아이센가드에 침입해 온 엔트들을 기계 장치를 이용한 증기와 불로 격퇴하려고 시도했다.[53]4. 3. 우르크하이 창조
사루만은 요술을 사용하여 인간과 오크를 교배시켜 햇빛에도 견딜 수 있는 신종 오크인 우르크하이를 만들어냈다. 구체적인 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다.[53]4. 4. 기타 마법 능력
사루만은 작중에서 다양한 마법 능력을 선보였는데, 그가 본래 아울레의 백성이자 공예의 마이아였기 때문에 기술적인 면모를 보이는 마법이 많았다. 이는 사우론을 모방한 것이기도 하며, 역사적으로 첨단 과학 기술이 마법으로 인식되기도 했던 점, 그리고 톨킨이 자연을 파괴하는 근대 산업화를 악으로 여겼던 점 등이 반영된 결과로 보인다.- 목소리: 사루만은 강력한 목소리로 듣는 이의 마음을 현혹시켜 설득하고 지배하는 능력을 지녔다. 이는 그의 가장 주요한 힘으로, 지팡이가 부러진 후에도 어느 정도 유지되었다. 하지만 강한 의지를 가진 자에게는 통하지 않았다.
- 불과 증기, 기계 장치: 아이센가드와 샤이어를 산업화했으며, 전투에서 불(영화에서는 화약으로 묘사)을 사용하여 뿔나팔 요새의 방벽을 파괴하고, 엔트를 격퇴하려 했다.
- 우르크-하이 창조: 요술을 사용하여 인간과 오크를 교배, 햇빛에 견딜 수 있는 새로운 오크 종족인 우르크-하이를 만들어냈다.
- 세오덴에 대한 저주: 세오덴 왕을 쇠약하게 만드는 저주를 걸어 로한을 조종하려 했다. 영화에서는 초자연적인 주술로 묘사되었지만, 원작에서는 심리적인 압박이나 최면의 가능성도 제시된다.
- 크레바인 감시: 크레바인이라는 까마귀들을 이용하여 반지 원정대의 동향을 감시했다. 영화에서는 사루만이 직접 조종하는 것으로 묘사되지만, 원작에서는 불분명하며 사우론의 소행일 가능성도 있다.
- 칼라스갈라스의 눈보라 (영화): 영화에서는 칼라스갈라스의 눈보라와 눈사태를 퀘냐 주문으로 일으킨 것으로 묘사된다. 원작에서는 사우론의 소행일 가능성이 있다.
- 화구 발사 (영화): 영화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 확장판에서는 오르상크 꼭대기에서 간달프를 향해 지팡이 끝에서 화구를 발사하지만, 간달프의 마법 방어막에 막힌다.
5. 분석 및 평가
반지의 제왕의 등장인물 사루만은 다양한 분석과 평가를 받고 있다.
5. 1. 타락한 마법사
사루만은 마법사 중 한 명으로, 본래 선한 존재였다. 그러나 권력에 대한 욕심으로 인해 타락하게 되었다.[2] 그는 권능의 반지에 매료되어 유일반지를 차지하여 중간계를 지배하려는 야욕을 품게 된다.사루만의 타락은 반지의 제왕에서 권력의 위험성에 대한 경고를 보여준다. 그의 이야기는 권력이 어떻게 선한 존재를 타락시킬 수 있는지 보여주는 예시이다.
참조
[1]
서적
A Concise Anglo-Saxon Dictiona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2
[2]
서적
The Shadow of the Past
1954
[3]
서적
The Last Stage
1937
[4]
서적
The Council of Elrond
1954
[5]
서적
Treebeard
1954
[6]
서적
The Voice of Saruman
1954
[7]
서적
Many Partings
1955
[8]
서적
Homeward Bound
1955
[9]
서적
The Scouring of the Shire
1955
[10]
서적
The Third Age
1955
[11]
서적
Letters
2006
[12]
서적
Of the Rings of Power and the Third Age
1977
[13]
서적
The Hunt for the Ring
1980
[14]
서적
The Istari
1980
[15]
서적
2002
[16]
서적
Letters
2006
[17]
서적
Foreword
1988
[18]
서적
1989
[19]
서적
1989
[20]
서적
The Scouring of the Shire
1992
[21]
서적
The Scouring of the Shire
1992
[22]
서적
The Lord of the Rings: A Reader's Companion
Houghton Mifflin
[23]
백과사전
J. R. R. Tolkien Encyclopedia
[24]
서적
Tolkien and the Critics; Essays on J. R. R. Tolkien's the Lord of the Ring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Notre Dame
[25]
서적
2005
[26]
서적
Ents, Elves, and Eriador: The Environmental Vision of J.R.R. Tolkie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7]
서적
Letters
2006
[28]
백과사전
J. R. R. Tolkien Encyclopedia
Routledge
[29]
서적
The Return of the King
1973
[30]
서적
Tolkien and the Critics; Essays on J. R. R. Tolkien's the Lord of the Ring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Notre Dame
[31]
서적
1973
[32]
서적
Letters
2006
[33]
서적
Treebeard
1954
[34]
백과사전
J. R. R. Tolkien Encyclopedia
Routledge
[35]
서적
A Companion to J. R. R. Tolkien
Wiley
2020
[36]
서적
The horses of the Mark
[37]
서적
Interlacements and the Ring
[38]
서적
Interlacements and the Ring
[39]
서적
Cosmic Order
[40]
서적
Tolkien's World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41]
서적
Saruman and Denethor: technologist and reactionary
[42]
서적
Sauron and the nature of evil
[43]
서적
Of the beginning of days
[44]
서적
An Unexpected Party
[45]
서적
JRR Tolkien's The Lord of the Rings
[46]
서적
JRR Tolkien's The Lord of the Rings
[47]
웹사이트
Hobitit
https://www.videodet[...]
1993-03-29
[48]
비디오
The Lord of the Rings : The Fellowship of the Ring Extended Edition (Director and Writers' commentary)
New Line Cinema
2004
[49]
서적
The Return of the King (2003)
[50]
뉴스
Hey, what happened to Saruman?
http://edition.cnn.c[...]
2008-01-23
[51]
비디오
The Lord of the Rings : The Return of the King Extended Edition (Director and Writers' commentary)
New Line Cinema
2004
[52]
웹사이트
Five things changed/expanded from the book for 'The Hobbit' films
https://edition.cnn.[...]
CNN
2020-09-27
[53]
웹사이트
The Lord Of The Rings: The War Of The Rohirrim Anime Will Have Christopher Lee's Voice – But Not How You Think
https://www.slashfil[...]
2024-10-28
[54]
웹사이트
Saruman the White
https://www.behindth[...]
2020-09-27
[55]
웹사이트
Save the Multiverse With Our Full LEGO Dimensions Story Levels Guide
https://v1.escapistm[...]
2020-09-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