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수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무수염은 J. R. R. 톨킨의 소설 《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팡고른 숲의 엔트이다. 팡고른 숲은 로한 협곡 근처, 미스티 산맥 남동쪽 끝자락에 위치하며, 림라이트 강과 엔트워시 강이 숲을 통과한다. 나무수염은 숲에 남은 세 명의 엔트 중 하나로, 홉빗 메리와 피핀에게 엔트의 역사와 중간계의 숲에 대해 이야기한다. 그는 사루만의 배신에 분노하여 엔트들을 이끌고 아이센가드로 진격하여 파괴하고, 사우론을 물리친 후 오르상크 계곡을 나무정원으로 가꾼다. 나무수염은 여러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었으며, 영화 《반지의 제왕》에서는 존 웨스트브룩, 스티븐 손, 존 라이스-데이비스 등이 목소리 연기를 맡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엔트 - 그루트
그루트는 마블 코믹스에 등장하는 외계 식물 종족 플로라 콜로서스 출신 캐릭터로, "나는 그루트다"라는 문장만 반복하는 의사소통 방식과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멤버로서의 활약으로 알려져 있다. - 가운데땅의 등장인물 - 에루 일루바타르
에루 일루바타르는 톨킨의 가운데땅 세계관에서 '모든 것의 아버지'로 불리는 절대적인 창조신으로, 아이누를 통해 세계를 창조하고 요정과 인간을 직접 창조하여 '일루바타르의 자손'이라 칭하며, 작품 내 직접적인 등장은 적지만 세상 모든 일에 그의 의도가 반영되어 있고, 특히 아칼라베스에서 그의 권능이 드러난다. - 가운데땅의 등장인물 - 웅골리안트
웅골리안트는 톨킨 소설에 등장하는 거대한 거미 괴물로, 모르고스를 도와 발리노르의 두 나무를 파괴하고 세계의 빛을 앗아갔으며, 쉴롭을 포함한 거대 거미들의 조상으로 북유럽 신화, 실낙원과 비교되며 헤비 메탈 음악의 소재로도 사용된다. - 1954년 창조된 가공인물 - 고지라
고지라는 고릴라와 고래 이름을 합쳐 만든 일본 거대 괴수 영화 주인공으로, 공룡 특징을 결합한 외형과 방사열선을 지녔으며, 수소폭탄 실험으로 탄생한 돌연변이 생물이라는 설정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크기와 설정 변화를 거치며 세계적인 인기를 얻은 일본 대중문화의 상징이다. - 1954년 창조된 가공인물 - 글로인
나무수염 | |
---|---|
나무수염 | |
종족 | 엔트 |
첫 등장 | 두 개의 탑 (1954) |
팡고른 숲 | |
유형 | 짙고 밀집된 숲 엔트와 후오른의 고향 더 큰 고대 숲의 잔재 |
위치 | 와일더랜드 남서쪽 |
통치자 | 나무수염 |
장소 | 웰링홀 던딩글 나무수염의 언덕 엔트워시 |
2. 지리적 위치 및 환경
팡고른 숲은 로한 협곡 근처, 미스티 산맥 남동쪽 끝자락에 위치한다. 숲의 동쪽과 남쪽에는 로한이, 북쪽과 약간 동쪽에는 로스로리엔이 있었다. 숲은 습기가 많고, 여러 종류의 나무들이 무성하게 자라 빛이 거의 들어오지 않았다. 숲 깊숙한 곳에는 후오른들이 살았으며, 엔트들은 엔트워시 강물로 엔트 음료를 만들었다.[1]
2. 1. 지리적 특징
팡고른 숲은 로한의 협곡 근처 미스티 산맥 남동쪽 끝에 위치했다. 산맥은 팡고른의 서쪽 경계를 이루었다. 산맥 끝에는 숲의 남서쪽 모퉁이 근처에 사루만의 요새인 아이센가드가 있었다. 팡고른의 동쪽과 남쪽에는 로한의 땅이 있었고, 로스로리엔은 북쪽과 약간 동쪽에 있었다. 팡고른 숲은 수 마일에 걸쳐 펼쳐져 있었고 많은 길들이 있었다.[2][1]
두 개의 중요한 강이 숲을 통과했다. 북쪽에는 림라이트 강이 숲에서 흘러나와 로한의 북쪽 경계를 이루었다. 그 강은 더 큰 안두인 강과 합쳐졌다. 남쪽에는 엔트워시 강이 미스티 산맥 근처에 있는 메테드라스라는 산악 지대에서 흘러나와 숲 깊숙이 뻗어 있었다. 그 강은 로한을 통과하여 큰 강인 안두인 강으로 흘러들었다. 더른딩글 계곡은 남서쪽에 있었다. 엔트워시 강이 웰링홀이라는 지역으로 흘러드는 길이 있었는데, 그곳에는 나무수염의 집 중 하나가 있었다.[2][1]
팡고른 숲은 습기가 많다고 알려져 있으며, 여러 종류의 나무의 줄기와 가지들이 무성하게 자라서 빛이 거의 투과되지 않았다. '''후오른'''들도 숲 깊숙한 곳에 살았는데, 엔트와 비슷하지만 더 은밀했다. 엔트와 후오른들은 엔트워시 강에서 물을 마셨고, 엔트들은 그 강물로 전설적인 음료인 엔트 음료를 만들었다.[1]
2. 2. 주요 강
숲을 통과하는 두 개의 중요한 강이 있다. 북쪽에는 림라이트 강이 숲에서 흘러나와 로한의 북쪽 경계를 이루며, 더 큰 안두인 강과 합쳐진다. 남쪽에는 엔트워시 강이 미스티 산맥 근처 메테드라스 산악 지대에서 발원하여 숲 깊숙이 뻗어 있으며, 로한을 거쳐 안두인 강으로 흘러든다.[2][1]2. 3. 환경
팡고른 숲은 습한 기후를 지니며, 여러 종류의 나무 줄기와 가지들이 무성하게 자라서 빛이 거의 투과되지 않았다.[1] 숲 깊숙한 곳에는 엔트와 비슷하지만 더 은밀한 후오른들이 살았다. 엔트와 후오른들은 엔트워시 강에서 물을 마셨고, 엔트들은 그 강물로 전설적인 음료인 엔트 음료를 만들었다.[1]3. 소설 속 역사
엔트는 엘더 데이즈(Elder Days)에 나무의 "목자"가 되어 드워프들이 초래할 것으로 예상되는 파괴로부터 나무들을 보호하도록 창조되었다.[1]
3. 1. 나무수염과 엔트
나무수염은 팡고른 숲에 남은 세 명의 엔트 중 하나이며, 엘프들에 의해 말을 배우고 깨어난 존재이다.[1] 그는 홉빗 메리와 피핀에게 엔트들의 역사와 중간계의 숲에 대해 이야기한다.[1]나무수염은 키가 최소 약 4.27m나 되는 크고 튼튼한 존재로, 겉모습은 인간과 비슷하지만 트롤과도 닮았다. 그의 몸은 녹색과 회색 나무껍질 같은 것으로 덮여 있었고, 팔은 매끄러운 갈색 피부로 덮여 있었다. 큰 발에는 각각 일곱 개의 발가락이 있었고, 긴 얼굴 아랫부분은 무성하고 가지처럼 보이는 회색 수염으로 덮여 있었다. 특히 그의 깊은 눈은 녹색 빛이 도는 갈색으로, 느리고 엄숙했지만 매우 예리했다.[1]
그는 반지의 제왕에서 홉빗인 메리와 피핀에게 엔트들이 어떻게 깨어나 엘프들에게 말을 배우게 되었는지, 그리고 벨레리안드를 포함한 중간계의 숲을 며칠 동안 걸어 다닐 수 있었던 엘더 데이즈(Elder Days)에 대해 이야기한다. 벨레리안드는 몰고스와의 전쟁으로 파괴되어 "파도 아래"에 잠겼다. 또한 팡고른 숲에는 대흑암(Great Darkness)이 결코 사라지지 않은 계곡들이 있으며, 그곳의 나무들은 그보다 더 오래되었다고 말한다.[1]
메리와 피핀이 간달프가 죽었다고 생각하는 것을 알게 되지만, 간달프는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는 듯하다. 그는 그들을 웰링홀(Wellinghall)이라는 곳으로 데려가고, 홉빗들은 그곳에서 그들의 모험과 사루만의 배신에 대해 이야기한다. 나무수염은 "내가 볼 수 있는 매우 큰 일이 벌어지고 있다"고 대답하고, 홉빗들은 "큰 폭풍에 휘말린 것 같다"고 말한다.[1]
나무수염은 사루만이 "힘"이 되려고 음모를 꾸미고 있다는 것을 깨닫고, 그가 실제로 어떤 악행을 저지르고 있는지 궁금해한다. 그는 오르상크의 불을 지피기 위해 나무들이 베어지는 것에 분노한다.[1] 그는 분노를 극복하고, 다음 날을 위한 계획을 세우기 시작하고, 메리와 피핀에게 엔트와이프에 대해 이야기한다.[1]
다음날, 나무수염은 엔트들의 모임인 엔트무트(Entmoot)에 메리와 피핀을 데려간다. 사흘 동안 지속된 모임은 모든 엔트들이 외치고, 행진곡을 부르고, 나무수염이 선두에 서서 아이센가드로 향하는 것으로 끝난다. 나무수염은 그것을 "엔트들의 마지막 행진"이라고 부른다. 후오른들이 따라 행진하고, 나중에 그들이 헬름 협곡 전투로 향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1]
엔트들은 사루만의 군대가 떠나고 있을 때 아이센가드에 도착하여 외벽을 잔해로 만들고 내부의 많은 것을 파괴한다. 나무수염은 엔트들이 아이젠 강을 돌리게 하여 폐허가 된 요새와 지하 용광로와 작업장을 물에 잠기게 한다. 사루만은 물과 엔트들의 감시 속에 둘러싸인 난공불락의 탑에 남겨진다.[3]
간달프가 이끄는 사절단이 아이센가드에 도착하고, 간달프를 제외하고는 그것이 파괴되었다는 사실에 놀란다. 나무수염은 사루만이 탑에 남을 것이라고 약속한다.[4]
곤도르의 왕 아라곤이 이끄는 무리가 사우론을 물리친 승리 후에 도착했을 때, 나무수염은 여전히 오르상크의 나무정원(Treegarth of Orthanc)으로 이름이 바뀐 아이센가드에 있다. 엔트들이 사루만의 군대를 파괴하는 데 도움을 주었기 때문에 승리가 가능해졌다. 나무수염은 사루만을 놓아주었다고 인정한다. 간달프는 그를 부드럽게 나무라고, 사루만이 "그의 목소리의 독"으로 나무수염을 설득했을 수도 있다고 말한다. 나무수염은 오르상크의 열쇠를 왕에게 넘겨주고, 왕은 오르상크 계곡을 나무수염과 그의 엔트들에게 준다.[5]
3. 2. 아이센가드 전투
메리와 피핀은 사루만의 배신과 그로 인한 환경 파괴에 대해 나무수염에게 이야기한다. 나무수염은 이에 분노하여 엔트들을 소집하고, 엔트들의 회의인 엔트무트를 개최한다. 사흘 간의 회의 끝에 엔트들은 아이센가드로 진격하기로 결정한다. 나무수염은 이를 "엔트들의 마지막 행진"이라고 칭한다.[1]엔트들은 아이센가드에 도착하여 외벽을 파괴하고, 아이젠 강의 물길을 돌려 요새 전체를 물에 잠기게 만든다.[3] 이 공격으로 사루만은 오르상크 탑에 고립된다.[3]
3. 3. 전후 복구
아라고른은 사우론을 물리치고 승리한 후, 팡고른 숲을 나무수염과 엔트들에게 돌려주었다.[5] 오르상크 계곡은 나무정원으로 재탄생했다.[5] 이는 자연과의 조화로운 공존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다.4. 어원 및 상징
싱다린(엘프어의 일종)에서 "팡고른(Fangorn)"은 "수염"을 뜻하는 ''fanga''와 "나무"를 뜻하는 ''orne''의 합성어로, 영어의 "Treebeard(트리비어드)"와 같은 의미이다. 로한의 기수들은 팡고른 숲을 엔트들의 숲이라는 뜻으로 "엔트우드(Entwood)"라고 불렀다. 나무수염은 또 다른 엘프어인 퀘냐로 이 숲을 ''Ambaróna''(위로 향하는, 일출, 동쪽), ''Aldalómë''(나무의 황혼), ''Tauremorna''(어두운 숲), ''Tauremornalómë''(어두운 황혼의 숲) 등 여러 이름으로 불렀다.[6][7]
4. 1. 톨킨의 교수적 면모
언어학자이자 톨킨 학자인 톰 쉽피는 나무수염에 대한 설명이 "권위적이고 실제로… '교수적인' 성격을 띤다. 부정을 허용하지 않는다"고 썼다.[5] 톨킨의 전기 작가인 험프리 카펜터는 나무수염의 깊고 우렁찬 목소리와 "흐름, 훔"이라는 말투가 톨킨의 친구이자 잉클링 회원이었으며 옥스퍼드 대학교 영문학 교수였던 C. S. 루이스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했다고 썼다.[9]4. 2. 환경주의적 관점
팡고른 숲과 엔트들의 이야기는 톨킨의 환경 윤리에서 중요한 부분이다. 이들은 모든 종류의 야생 지역, 특히 숲을 보존하고 돌봐야 한다는 톨킨의 철학을 반영한다.[4] 톨킨의 전기 작가 존 가스는 "나무에 대한 깊은 감정은 톨킨이 자연 세계에 대해 가장 독특하게 반응하는 방식이다"라고 언급했다.[3]매슈 T. 디커슨과 조나단 에반스는 나무수염이 톨킨의 환경 윤리를 강조하는 중요한 목소리라고 보았다.[2]
5. 각색
나무수염은 잉거 에델펠트(Inger Edelfeldt), 존 하우(John Howe),[10] 테드 네스미스(Ted Nasmith),[11] 안케 아이스만(Anke Eißmann),[12] 앨런 리(Alan Lee)[13] 등 톨킨을 영감으로 삼은 예술가와 삽화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랄프 빡시(Ralph Bakshi) 감독의 1978년 애니메이션 영화 ''반지의 제왕''에서는 존 웨스트브룩(John Westbrook)이 나무수염의 목소리를 연기했다.[14] 스티븐 손(Stephen Thorne)은 BBC 라디오의 1981년 라디오 드라마에서 이 캐릭터의 목소리를 연기했다.[15]
피터 잭슨(Peter Jackson) 감독의 영화 ''반지의 제왕: 두 개의 탑''(2002)과 ''반지의 제왕: 왕의 귀환''(2003)에서 나무수염은 대형 애니마트로닉 모델과 CGI의 조합으로 만들어졌으며, 그의 목소리는 김리 역을 맡은 존 라이스-데이비스(John Rhys-Davies)가 연기했다.[16] 잭슨의 해석에서 나무수염은 톨킨의 묘사보다 호빗을 (오크로 오인하여) 훨씬 더 의심하고,[17] 사루만에게 피해를 입은 숲을 볼 때까지 전쟁에 참여하기를 훨씬 더 꺼린다.[18]
톨킨의 사촌 티모시 톨킨(Tim Tolkien)이 만든 6m 높이의 나무수염 조각상이 톨킨이 자란 버밍엄에서 건설 허가를 받았다.[19] 톨킨 앙상블(The Tolkien Ensemble)의 앨범 ''리븐델의 새벽(At Dawn in Rivendell)''에서 나무수염의 목소리는 크리스토퍼 리(Christopher Lee)가 연기했다.[20]
참조
[1]
서적
Treebeard
1954
[2]
지도
The West of Middle-earth at the End of the Third Age
[3]
서적
Flotsam and Jetsam
1954
[4]
서적
The Road to Isengard
1954
[5]
서적
Many Partings
1955
[6]
서적
Elements in Quenya and Sindarin Names
1977
[7]
서적
1987
[8]
서적
J. R. R. Tolkien: Author of the Century
Houghton Mifflin
2001
[9]
서적
Letter to W. H. Auden
2023
[10]
웹사이트
Treebeard
http://www.john-howe[...]
2012-09-16
[11]
웹사이트
Treebeard and the Entmoot
https://web.archive.[...]
2012-09-16
[12]
웹사이트
Treebeard
http://anke.edoras-a[...]
2012-09-16
[13]
웹사이트
Trees as art
https://www.bbc.co.u[...]
BBC
2012-09-16
[14]
서적
The Animated Movie Guide
https://archive.org/[...]
Chicago Review Press
2005-10-28
[15]
서적
A Brief Guide to C. S. Lewis: From Mere Christianity to Narnia
https://books.google[...]
Little, Brown Book Group
2013
[16]
웹사이트
The Making Of The Two Towers
https://www.empireon[...]
Empire
2020-03-28
[17]
서적
Summa Jacksonica: A Reply to Defenses of Peter Jackson's 'The Lord of the Rings' films, after St. Thomas Aquinas
Mythopoeic Press
2005
[18]
서적
Elisions and Ellipses: Counsel and Council in Tolkien's and Jackson's ''The Lord of the Rings''
Mythopoeic Press
2005
[19]
웹사이트
LOTR statue in safety debate
http://news.bbc.co.u[...]
CBBC Newsround
2010-11-06
[20]
웹사이트
'At Dawn in Rivendell' Review
http://archives.theo[...]
2022-1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