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마이파타 암벽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마이파타 암벽화는 볼리비아에 위치한 고고 유적지로, 차네족, 잉카 제국, 스페인 식민 시대에 걸쳐 사용되었다. 기원후 300년경 차네족이 의례 및 거주 지역으로 사용하면서 거대한 바위를 조각하기 시작했으며, 잉카 제국 시대에는 행정, 의례, 종교 중심지 역할을 했다. 유적은 의례 구역과 주거 및 행정 구역으로 나뉘며, 다양한 기하학적 형상과 동물 형상이 조각된 바위와 대형 사다리꼴 광장, 칼란카 등의 건축물이 존재한다. 엘 카스카벨로 불리는 천문학적 의미를 지닌 조각이 있으며, 잉카 이전 시대에 핼리 혜성을 기념한 것이라는 가설도 있다. 현재는 유적 보호를 위해 접근이 통제되고 있으며, 유네스코 세계 유산 등재 기준 (ⅱ)와 (ⅲ)을 충족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볼리비아의 유적 - 티아우아나코
    티와나쿠는 남아메리카 안데스 지역에서 1세기부터 10세기까지 번성했던 고대 문명 및 유적으로, 현재의 볼리비아, 페루, 칠레, 아르헨티나에 걸쳐 영향을 미쳤으며, 아카파나, 푸마푼쿠, 칼라사야 등의 유적에서 정교한 석조 기술과 독특한 건축 양식을 엿볼 수 있다.
  • 산타크루스주 (볼리비아)의 건축물 - 치키토스의 예수회 선교단 시설
    치키토스의 예수회 선교단 시설은 17~18세기 남아메리카 치키토스 지역에 예수회 선교사들이 건설한 마을 및 교회 시설로, 원주민 개종과 문화 발전을 도모하며 독특한 건축 양식과 음악 교육을 장려했으나, 예수회 억압 운동으로 버려진 후 볼리비아에 유일하게 남아있는 예수회 선교 유적으로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 식민지 시대 볼리비아 - 리오데라플라타 부왕령
    리오데라플라타 부왕령은 1776년 스페인 제국이 남아메리카 남부에 설치한 식민 통치 기구로, 현재의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파라과이, 볼리비아 지역을 관할하며 부에노스아이레스를 수도로 경제적, 행정적 중심지 역할을 했으나, 19세기 초 나폴레옹 전쟁과 영국의 침공, 크리오요들의 독립 열망으로 1810년 5월 혁명을 기점으로 해체되었다.
  • 식민지 시대 볼리비아 - 망코 잉카 유팡키
    망코 잉카 유팡키는 16세기 잉카 제국의 황족으로, 스페인 정복자들의 꼭두각시 황제였다가 쿠스코 탈출 후 저항 운동을 이끌며 신잉카국을 건설하고 스페인에 저항한 인물이다.
사마이파타 암벽화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사마이파타 요새 바위 조각 모습
엘 푸에르테의 조각된 바위 모습
위치산타크루스 주, 볼리비아
지역안데스
좌표18
역사
건설 시기300년경
문화차네, 잉카, 스페인
유산 정보
지정 구분세계 유산
공식 명칭푸에르테 데 사마이파타
지정 연도1998년 (제22차 세계 유산 위원회)
지정 번호883
지정 기준ii, iii
지정 유형문화
지역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2. 역사

사마이파타 유적지는 기원후 300년경 모호코야스 시대(200~800년)의 차네족이 의례 및 거주 지역으로 사용하면서 그 역사가 시작되었다. 그들은 사마이파타 유적의 의식 중심지인 거대한 바위를 조각하기 시작했다.[5]

이후 1615년, 치리구아노족의 위협이 여전한 가운데 스페인의 공식적인 정착이 시작되었고, 유적에 스페인 가옥이 남아있다.[11] 사마이파타 요새는 인근 사마이파타 마을 사람들이 사용했다. 이 요새는 군사 거점이 아닌 콜럼버스 도달 이전의 종교적인 유적이며,[16] 건설한 선주민족은 특정되지 않았다.[16]

20세기 이후, 에리히 폰 뫼니히는 이 유적이 비행접시의 발착 시설 흔적이라고 주장했지만, 이 설은 특별히 검토되지 않았다.

현재는 관광객들의 방문으로 바위에 새겨진 심볼군에 손상이 있어 내부의 추가 손상을 막기 위해 폐쇄되었지만, 대부분은 여전히 견학이 가능하다. 유적은 사마이파타 마을에서 연락 버스가 여러 대 운행하고 있어 접근이 용이하며, 소액의 입장료를 징수한다.

2. 1. 잉카 제국의 확장

17세기 스페인 연대기 작가 디에고 펠리페 데 알카야에 따르면, 잉카 제국은 투팍 유판키 통치 말기(1471-1493)에 사마이파타 지역을 병합하기 시작했다. 이 지역은 잉카 제국의 가장 외딴 동쪽 지역 중 하나였다.[6]

2. 1. 1. 잉카의 몰락

투팍 유판키 통치 말기(1471-1493)에 잉카 제국은 사마이파타 지역을 병합하기 시작했다. 유판키의 친척인 구아카네는 잉카 군대를 이끌고 이 지역으로 와서, 그리고자라는 칭호를 가진 지역 지도자와 그의 5만 명의 신하들을 정교한 선물로 설득하여 잉카의 통치를 따르게 했다. 구아카네는 해발 1900m의 산 정상에 사마이파타(사바이 파타)에 수도를 건설했다. 사마이파타는 잉카인이 사용하던 케추아어로 "휴식의 고지"를 의미한다.[6]

사마이파타는 잉카의 행정, 의례, 종교 중심지였다. 오론코타와 같은 잉카 제국의 다른 변경 지역 행정 중심지와 마찬가지로, 사마이파타는 외곽 요새에 의해 보호받았다. 그중 하나는 동쪽으로 약 50km 떨어진 라 포르탈레자에서 발견되었다. 요새 유적은 현재 산타 크루스 도시 주변 저지대가 내려다보이는 산 정상에 있다.[7] 다른 요새는 위치가 알려지지 않았지만 과나코팜파라고 불리며, 역시 위치가 알려지지 않은 사이푸루 또는 카이푸룸의 광산을 보호했다.[8]

알카야의 기록에 따르면, 구아카네와 그리고타는 스페인인들이 치리구아노라고 불렀던 볼리비아 동부 과라니족의 공격으로 사망했다. 치리구아노족은 저지대에서 안데스 산기슭으로 진격해 왔다. 잉카의 반격은 치리구아노족을 몰아내지 못했고, 그들은 사마이파타와 그 주변 지역에 정착했다. 사마이파타에서 불에 탄 잉카 건물은 이 이야기에 신빙성을 더한다.[9] 전쟁 시기는 불확실하지만, 많은 학자들은 치리구아노족의 잉카 동부 변경 지역 공격이 1520년대에 시작되었다고 본다.[10]

스페인인들은 잉카 지지자들과 함께 1570년대 초부터 사마이파타를 요새와 기지로 사용했을 수 있지만, 공식적인 스페인 정착은 치리구아노족이 여전히 위협하던 1615년에 시작되었다. 유적에는 스페인 가옥이 남아 있다.[11]

2. 2. 스페인 식민 시대

17세기 스페인 연대기 작가 디에고 펠리페 데 알카야에 따르면, 잉카 제국은 투팍 유판키 통치 말기(1471-1493)에 사마이파타 지역을 병합하기 시작했다. 유판키의 친척인 구아카네는 잉카 군대를 이끌고 이 지역으로 와서, 그리고자라는 칭호를 가진 지역 지도자와 그의 5만 명의 신하들을 정교한 선물로 설득하여 잉카의 통치를 따르게 했다. 구아카네는 해발 1900m의 산 정상에 사마이파타 또는 사바이 파타에 수도를 건설했다. 사마이파타는 잉카인이 사용하던 케추아어로 "휴식의 고지"를 의미한다.[6]

사마이파타는 잉카의 행정, 의례, 종교 중심지였다. 잉카 제국의 다른 변경 지역의 행정 중심지(예: 오론코타)와 마찬가지로, 사마이파타는 외곽 요새에 의해 보호받았다. 그중 하나는 동쪽으로 약 50km 떨어진 라 포르탈레자라고 불리는 곳에서 발견되었다. 요새의 유적은 현재 산타 크루스 도시 주변 저지대가 내려다보이는 산 정상에 있다.[7] 다른 요새는 위치가 알려지지 않았지만 과나코팜파라고 불리며, 역시 위치가 알려지지 않은 사이푸루 또는 카이푸룸의 광산을 보호했다.[8] 사마이파타 지역은 잉카 제국의 가장 외딴 동쪽 지역 중 하나였다.

알카야의 기록에 따르면, 구아카네와 그리고타는 스페인인들이 치리구아노라고 불렀던 볼리비아 동부 과라니족의 공격으로 사망했다. 치리구아노족은 저지대에서 안데스 산기슭으로 진격해 왔다. 잉카의 반격은 치리구아노족을 몰아내지 못했고, 그들은 사마이파타와 그 주변 지역에 정착했다. 사마이파타에서 불에 탄 잉카 건물은 이 이야기에 신빙성을 더한다.[9] 전쟁의 시기는 불확실하지만, 많은 학자들은 치리구아노족의 잉카 동부 변경 지역 공격이 1520년대에 시작되었다고 본다.[10]

스페인인들은 잉카 지지자들과 함께 1570년대 초부터 사마이파타를 요새와 기지로 사용했을 수 있지만, 공식적인 스페인 정착은 치리구아노족이 여전히 위협하던 1615년에 시작되었다. 유적에 스페인 가옥이 남아 있다.[11]

3. 유적의 구성

사마이파타 요새의 조각된 바위


약 20ha 규모의 사마이파타 고고 유적지는 의례 구역과 행정/주거 구역으로 나뉜다. 잉카 건축물 중 일부는 차네의 이전 구조물 위에 지어졌다. 의례 구역은 유적지 북쪽에, 주거 및 행정 중심지는 남쪽에 위치해 있다.

3. 1. 의례 구역



의례 구역은 유적지 북쪽에 있으며, 크기는 약 220m x 60m이다. 이 구역은 잉카 및 잉카 이전 시대에 조각된 대형 바위 안장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조각에는 다양한 기하학적 형상과 동물 형상, 벽, 틈새, 그리고 "뱀의 등뼈" 또는 "엘 카스카벨"(방울뱀)이라고 불리는 긴 운하 모양의 조각이 포함되어 있다.[12] 의례 구역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바위의 가장 높은 지점에 있는 "코로 데 로스 사체도테스"(사제의 합창단)로, 바위에 조각된 18개의 틈새는 개인 좌석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바위 아래쪽에는 21개의 조각된 직사각형 틈새가 있는데, 이는 사제의 거처나 의례용품 보관소로 사용되었을 것이다. 유적지 주변에는 다른 틈새와 벽감들이 흩어져 있다.[12]

3. 2. 주거 및 행정 구역

사마이파타 고고 유적지는 약 20ha 규모로, 의례 구역과 행정/주거 구역으로 나뉜다. 잉카 건축물 중 일부는 차네의 이전 구조물 위에 지어졌다.

'''주거 및 행정 중심지'''는 유적지 남쪽에 위치해 있다. 사마이파타는 잉카의 지방 수도였을 수 있으며, 그 지위에 맞는 모든 기반 시설을 갖추고 있었다.[13]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각 변이 약 100m인 대형 사다리꼴 광장으로, 남쪽에는 잉카 도시에 전형적이며 잉카의 정치적 권력을 상징하는 직사각형 건물인 "칼란카"가 있다. 길이가 70m, 폭이 16m인 칼란카는 공공 모임, 축제, 방문객 및 군인 숙소로 사용되었다. 사마이파타의 칼란카는 볼리비아에서 두 번째로 크지만, 배수관과 초가 지붕이 완성되지 않아 건설이 중단된 것으로 보인다.[14]

또한 이 구역에는 Aclla라고 불리는 격리된 여성들을 위한 수녀원인 아클라후아시가 있는데, 이들은 직물을 짜고, 잉카 귀족의 아내가 되며, 의식에 참여하고, 때로는 종교 의식에서 희생되도록 선택되었다. 아클라후아시의 존재는 중요한 잉카 정착지의 전형적인 특징이었다.[15]

4. 엘 카스카벨

엘 카스카벨(El Cascabel, 방울뱀)은 의례 구역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로, 바위의 가장 높은 지점에 있는 "코로 데 로스 사체도테스"(사제의 합창단) 근처에 새겨진 긴 운하 모양의 조각이다.

4. 1. 여러가지 가설들

엘 푸에르테 지역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딸랑이(스페인어:El Cascabel)이다. 'El Cascabel'은 'The Rattle(딸랑이)'로 번역될 수 있는데, 방위 71°, 고도 6.75° 정도의 동쪽 하늘의 어떤 지점을 가리키는 두 평행선으로, 비너스와 쥬피터 별자리에 관한 것으로 보인다.

몇몇 고고학자들은 바위에 새겨진 것이 잉카 제국 이전에 이 곳에 있던 인디언들이 1066년 3월에 지나간 핼리 혜성을 본 것을 기념한 것이라 생각한다. 더 최근에는, 비행 물체의 이착륙 지점이라는 의견도 제기된 적이 있다.[16]

20세기 이후에는 《신들의 전차》(일본어판 제목: 《미래로의 기억》)로 알려진 고대 우주 비행사설의 주창자 중 한 명인 에리히 폰 뫼니히가 이 유적은 비행접시의 발착 시설의 흔적이라고 주장했다. 그에 따르면, 유적 정상의 바위에 새겨진 경사진 평행한 홈으로 그려진 원이 그 증거라고 하지만, 그 설은 특별히 검토되지 않았다.[16]

5. 보호

방문객들이 바위 위를 걸어다니면서 생긴 균열과 폭포에 의한 침식으로 인해, 내부 지역은 더 이상의 손상을 막기 위해 접근이 통제되고 있다. 하지만 나머지 대부분은 여전히 방문이 가능하다.[16]

현재 이 장소는 바위예술의 보호를 위한 NGO인 'Stonewatch'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유적지로의 접근은 용이하며, 많은 운영업체들이 인근 사마이파타에서 버스를 운행한다. 소정의 입장료가 있다.

6. 세계유산 등재 기준

사마이파타 암벽화는 다음의 세계 유산 등록 기준을 충족한다.


  • 기준 (ⅱ): 사마이파타의 암벽화는 현재는 사라진 문명의 뛰어난 증거이며, 고대 로마 제국의 영향력과 그 이후 아메리카 대륙에서 독자적으로 발전한 복잡한 문화 교류의 증거이다. 암벽화는 이러한 복잡한 문화 교류의 중요한 증거로, 이후 안데스 지역의 예술과 사회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기준 (ⅲ): 사마이파타의 암벽화는 14세기에서 17세기 사이에 존재했던 차네 문화의 독창적인 증거이다. 이 암벽화는 안데스 지역의 기존 문화와 아마존 지역의 새로운 문화가 융합되어 형성된 독특한 문화적 산물로서, 이 지역의 문화 유산을 대표한다.

참조

[1] 웹사이트 Fuerte de Samaipata--UNESCO World Heritage Centre https://whc.unesco.o[...] 2016-09-23
[2] 웹사이트 Fuerte de Samaipata https://whc.unesco.o[...] 2016-09-23
[3] 웹사이트 Fuerte de Samaipata https://whc.unesco.o[...] 2016-09-23
[4] 웹사이트 Gobierno Autonomo: Santa Cruz https://www.santacru[...] 2016-09-27
[5] 웹사이트 Fuerte de Samaipata https://whc.unesco.o[...] 2016-09-23
[6] 논문 "At the Limits of Empire: Incas, Spaniards, and the Ava-Guarani (Chiriguanaes) on the Charcas-Chiriguana Frontier, Southeastern Andes (1450s-1620s)" University of Florida
[7] 웹사이트 Inka Archaeology in Eastern Bolivia: Some Aspects of the Samaipata Project https://www.research[...] 2016-09-24
[8] 간행물 El Sitio Ceremonial y Administrativo de El Fuerte de Samaipata https://www.academia[...] Tesapa Arundu 2016-09-25
[9] 문서
[10] 웹사이트 Fuerte de Samaipata https://whc.unesco.o[...]
[11] 웹사이트 Incas, Españoles y el Paytiti: la perspectiva desde el “Fuerte de Sabaypata”, Oriente de Bolivia. https://www.academia[...] Archivio per L’Antropologia e la Etnologia 2016-09-25
[12] 간행물 Samaipata, el Cerro Esculpido: Locales e Incas https://www.academia[...] Arqueoantropologiccas 2016-09-27
[13] 문서
[14] 학술지 El Sitio Ceremonial y Administrativo de el Fuerte de samaipata https://www.academia[...] 2016-09-25
[15] 웹사이트 Fuerte de Samaipata https://whc.unesco.o[...] 2016-09-23
[16] 서적 すべてがわかる世界遺産大事典・下 マイナビ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