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리오데라플라타 부왕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오데라플라타 부왕령은 1776년 스페인에 의해 설립된 부왕령으로, 현재의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파라과이, 볼리비아 지역을 포괄했다. 부에노스아이레스가 수도로 지정되었으며, 페루 부왕령의 지배 분산, 포르투갈의 침략 대비, 밀수 감소 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18세기 동안 부에노스아이레스는 스페인 제국의 교역 도시로 번영했지만, 19세기 초 영국 침략과 스페인 정부의 지원 부족으로 쇠퇴했다. 1810년 5월 혁명을 통해 자치 정부가 수립되면서 부왕령은 사실상 해체되었고, 1814년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오데라플라타 부왕령 - 스페인 식민지 레알
    스페인 식민지 레알은 1642년 스페인 식민지에서 처음 발행된 화폐 단위로, 8레알 은화는 스페인 달러로 국제 무역의 기준 화폐 역할을 했으며, 1737년 화폐 개혁 이후 19세기 초까지 기준 통화로 사용되었으나, 스페인 식민지 독립 후 새로운 통화로 대체되었다.
  • 남아메리카의 옛 식민지 - 영국령 기아나
    영국령 기아나는 17세기 초 네덜란드가 건설한 남아메리카 북부의 식민지를 영국이 점령하여 1831년 에세키보-데메라라와 베르비체가 통합되어 성립되었으며, 사탕수수 플랜테이션 경제에서 다각화되었고, 노예 노동과 인도인 계약 노동에 기반한 사회 구조를 거쳐 1966년 가이아나로 독립하였으나 현재 주변국과 영토 분쟁이 남아있다.
  • 19세기 남아메리카 - 혁명의 시대
    혁명의 시대는 프랑스 혁명부터 1848년 혁명까지 산업 혁명과 자유주의, 민족주의 이념의 등장으로 유럽 사회가 정치적, 사회적 격변을 겪은 시기이다.
리오데라플라타 부왕령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지도
리오 데 라 플라타 부왕령
리오 데 라 플라타 부왕령 및 법적 확장 (연한 녹색)
기본 정보
통칭리오 데 라 플라타 부왕령
지위부왕령, 스페인 제국
국가 표어 (번역)더 멀리
국가Marcha Real
국가 (한국어)국왕 행진곡
공용어스페인어 (공식, 행정)
기타 언어토착어
종교로마 가톨릭교회
역사
성립조직
성립일1776년 8월 1일
해체알토 페루에서 수크레 전역 후 공식 폐지
해체일1825년 4월 1일
주요 사건영국의 리오 데 라 플라타 침공
주요 사건 (1차)1차 - 1806년 1월 2일
주요 사건 (2차)2차 - 1807년 2월 3일
주요 사건5월 혁명
주요 사건 (날짜)1810년 5월 25일
주요 사건카디스 코르테스
주요 사건 (날짜)1810년 9월 28일
주요 사건몬테비데오 함락
주요 사건 (날짜)1814년 6월 23일
이전 국가페루 부왕령
후계 국가리오 데 라 플라타 연합 주
후계 국가파라과이
후계 국가볼리비아
국기
스페인 국기
스페인의 국기
문장
부에노스아이레스의 문장
문장
수도
수도부에노스아이레스
수도 (기간)1776년–1810년
수도몬테비데오
수도 (기간)1811년–1814년
정치
정치 체제군주제
군주국왕
첫 번째 군주카를로스 3세
군주 (재위 기간)1776년–1788년
마지막 군주페르난도 7세
군주 (재위 기간)1813년–1825년
부왕부왕 목록 참고
총독 및 지방 장관총독 목록, 인텐덴테 목록 참고
경제
통화스페인 레알

2. 역사

리오데라플라타 지역의 역사는 1535년, 스페인 탐험대가 라플라타강 유역에 도착하여 부에노스아이레스를 건설하면서 시작되었다. 이후 약 2세기 반 동안 이 지역은 페루 부왕령의 일부로 관리되었다.

1776년, 스페인 국왕 카를로스 3세는 행정 효율성을 높이고 포르투갈의 남하를 견제하며 밀수를 단속하기 위해 기존 페루 부왕령에서 리오데플라타 유역을 분리하여 새로운 부왕령을 창설했다.[15] 이 새로운 행정 구역은 오늘날의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파라과이, 볼리비아에 해당하는 광대한 영토를 포함했으며, 부에노스아이레스가 수도로 지정되었다. 부왕령 설립 초기, 초대 부왕 페드로 안토니오 데 세바요스는 포르투갈 세력을 몰아내고 반다 오리엔탈(현재의 우루과이) 지역을 확보하는 등 영토를 안정시켰다.

1790년의 스페인 제국과 포르투갈 제국


18세기 후반, 부왕령은 부에노스아이레스를 중심으로 경제적 번영을 누렸다. 특히 포토시에서 생산된 은의 주요 수출항이 되었고, 유럽의 산업 혁명과 맞물려 팜파스 지역의 목축업이 크게 발전하여 가죽과 염장 쇠고기 수출이 활발해졌다.[15][16] 그러나 이러한 경제 성장은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집중되어 다른 지역과의 갈등 요인이 되기도 했다.[17]

19세기 초, 나폴레옹 전쟁으로 스페인 본국이 혼란에 빠지고 해상 교역로가 마비되면서 부왕령은 큰 어려움을 겪었다. 결정적으로 1806년과 1807년, 영국의 두 차례에 걸친 부에노스아이레스 침공을 크리오요 민병대가 중심이 되어 격퇴하면서[15] 식민지 주민들의 자치 의식과 독립에 대한 열망이 크게 고조되었다.

결국 1810년 5월, 부에노스아이레스의 크리오요들은 5월 혁명을 일으켜 자치 정부(후타)를 수립하고 사실상 스페인의 통치에서 벗어났다.[15] 이후 독립 전쟁이 전개되면서 파라과이(1811년), 우루과이, 볼리비아 등이 차례로 독립해 나갔고, 1814년 반란군이 몬테비데오를 함락시키면서 리오데라플라타 부왕령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비록 일부 지역에서는 독립을 위한 투쟁이 더 이어졌지만, 부왕령의 해체는 남미 지역 독립 역사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2. 1. 기원 및 설립

리오데라플라타 지역의 스페인 역사는 1535년, 스페인 탐험가들이 16척의 배와 1,600명의 병력을 이끌고 라플라타강 유역에 도착하여 부에노스아이레스를 건설하면서 시작되었다.

리오데라플라타 부왕령은 1776년, 기존의 페루 부왕령에 속해 있던 리오데플라타 유역 지역을 중심으로 일부 종속 지역을 통합하여 성립되었다. 새롭게 설립된 부왕령의 영역은 오늘날의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파라과이, 볼리비아에 해당하는 광대한 지역을 포함했다.[15] 라플라타강 하구 서쪽 연안에 위치한 부에노스아이레스가 수도로 지정되었는데, 이는 강 건너편에 포르투갈의 전초 기지인 콜로니아델사크라멘토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내려진 결정이었다.

부왕령 설립 이전, 이 지역에서는 포르투갈과의 영토 분쟁이 지속되었다. 1680년, 포르투갈의 리오데자네이루 총독 마누엘 로보는 콜로니아 델 사크라멘토를 건설하여 토르데시야스 조약(1494) 이후 브라질 영토 확장의 거점으로 삼으려 했다. 1580년부터 1640년까지 스페인이 포르투갈과 그 영토를 통제했던 시기가 있었으나, 이후 포르투갈은 다시 독립하여 팽창을 시도했다. 1681년, 스페인의 호세 데 가로가 콜로니아 델 사크라멘토를 공격하여 점령했지만, 같은 해 5월 7일 체결된 리스본 임시 조약에 따라 이 요새는 다시 포르투갈에 반환되었다. 이는 이후에도 계속될 양국 간 갈등의 씨앗이 되었다.

한편, 페루 부왕령의 상업 정책은 모든 무역품이 태평양 연안의 리마 항구를 거치도록 강제했다. 이러한 비효율적인 정책은 대서양 항구로서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잠재력 발전을 저해했으며, 상품 운송에 수개월의 시간을 추가시켜 물류 비용을 증가시켰다. 결과적으로 이는 아순시온, 부에노스아이레스, 몬테비데오를 포함한 동부 지역에서 광범위한 밀수 활동을 조장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러한 복합적인 배경 속에서, 1776년 8월, 페루 부왕 마누엘 데 아마트 이 후니엔트는 전 리오 데 라 플라타 총독이었던 페드로 안토니오 데 세바요스에게 새로운 부왕령 설립을 명하는 칙령을 내렸다. 이 결정은 리마의 기득권 세력의 반대에 부딪혔으나 결국 시행되었다. 부왕령 설립의 주요 목적은 히스파노 아메리카의 광대한 영토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포르투갈의 남하를 저지하며, 성행하는 밀수를 단속하고, 말비나스 제도를 둘러싼 영국과의 긴장 고조에 대응하여 남대서양 지역의 군사적 통제를 강화하는 것이었다.[15] 칠레 사령관령의 카빌도(도시 자치 의회)는 새 부왕령 편입에서 제외해 줄 것을 스페인 국왕에게 청원했고, 이는 받아들여졌다.[10] 하지만 주요 도시 멘도사를 포함한 쿠요 지역은 칠레에서 분리되어 리오데라플라타 부왕령에 편입되었다. 산티아고의 지도자들은 쿠요 지역이 원래 칠레에서 이주한 스페인인들에 의해 개척되었다는 이유로 이 조치에 불만을 표출했다.[10]

부왕령 설립 결정에는 국제 정세 변화도 영향을 미쳤다. 7년 전쟁에서 영국프랑스에 승리한 후, 포르투갈의 실권자 퐁발 후작은 파리 조약 (1763년)에서 스페인에 할양된 영토에 대한 점령을 시도하며 팽창 정책을 추진했다. 이에 카를로스 3세는 프랑스와의 동맹 관계를 활용하고, 북아메리카 13개 식민지의 독립 문제로 분주했던 영국이 중립을 지키는 유리한 상황을 이용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했다.

초대 부왕으로 임명된 페드로 안토니오 데 세바요스는 즉시 군사 행동에 나서 포르투갈 세력을 몰아냈다. 그는 3일간의 포위 공격 끝에 콜로니아 델 사크라멘토와 산타 카타리나 섬을 정복했다.[15] 이러한 군사적 성공은 1777년 제1차 산 일데폰소 조약 체결로 이어졌다. 이 조약을 통해 포르투갈은 라플라타강 유역에서 철수하고 반다 오리엔탈(현재의 우루과이)을 스페인에 할양했다. 그 대가로 스페인은 포르투갈에게 히우그란데두술 지역을 넘겨주었고, 이 지역은 이후 브라질 영토로 편입되었다. 세바요스는 군사 작전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새로운 부왕령의 행정 체계를 구축하기 시작했으나, 취임 후 불과 몇 달 만에 후안 호세 베르티스 이 살세도로 교체되었다.[15] 부왕령의 설립은 스페인 직물 산업에 원료를 공급하기 위해 아마와 대마 같은 수출용 작물의 현지 생산을 장려하는 임무도 부여받았다.[10]

2. 2. 초기 부왕령

스페인 제국페루 부왕령의 광대한 영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특히 라플라타 강 유역에서 포르투갈의 남하를 견제하며 밀수를 단속할 필요성을 느꼈다. 또한 영국포클랜드 제도(말비나스 제도)에 대한 야심을 드러내면서 남대서양 지역의 군사적 중요성도 커졌다.[15] 이러한 배경 속에서 카를로스 3세는 1776년, 기존 페루 부왕령의 일부였던 현재의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파라과이, 우루과이 지역을 관할하는 리오데라플라타 부왕령을 새롭게 창설했다.[15] 초대 부왕으로는 페드로 데 세바요스가 임명되어 포르투갈군을 몰아내고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새로운 행정 체계를 구축했다.[15]

카를로스 3세는 부왕령의 경제적 발전을 위해 기존의 엄격한 상업 규제를 완화하는 정책을 추진했다. 스페인 해군 장교가 승선한 스페인 국적 선박에 한해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의 상업 활동을 허용했으며, 부에노스아이레스와 몬테비데오를 포함한 특정 항구들이 스페인 본토 및 다른 아메리카 식민지 항구들과 직접 교역할 수 있도록 했다. 일부 식민지 생산품에 대해서는 스페인 수입 시 면세 혜택을 부여하기도 했다. 이것은 완전한 자유 무역은 아니었지만, 이전의 폐쇄적인 구조에 비하면 상당한 진전이었다.[11] 이러한 정책 변화에 힘입어 1778년부터 1788년까지 10년간 스페인과 아메리카 식민지 간의 교역량은 거의 700%나 증가했다.[11] 부에노스아이레스에는 1778년, 몬테비데오에는 1789년에 세관이 설치되어 무역 관리가 체계화되었다.

그러나 스페인 정책은 여전히 아르헨티나의 상업을 제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제국은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은 수출을 금지하고 포토시에서 수출을 지시하려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에노스아이레스는 부왕령의 경제 중심지로 빠르게 성장했다. 과거 페루를 통해 수출되던 포토시의 은이 점차 부에노스아이레스를 통하게 되었고,[15] 유럽의 산업 혁명으로 인한 가죽 수요 증가와 카리브해 사탕수수 농장의 노예 및 영국 선원들을 위한 염장 쇠고기 수요 증가는 광활한 팜파스 지역의 목축업 발전을 이끌었다. 1780년대에만 약 1천만 마리 분의 가죽이 부에노스아이레스를 통해 수출될 정도로 목축업은 호황을 누렸다.[16] 하지만 부왕령의 수도로서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집중된 경제적 특혜는 파라과이나 반다 오리엔탈(현재의 우루과이)과 같은 다른 지역들의 불만을 사기도 했다.[17]

행정적으로는 1782년, 기존의 코레히미엔토 제도가 폐지되고 왕권 강화와 중앙 집권화를 목표로 하는 ''인텐덴시아'' 제도가 도입되었다.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중심 인텐덴시아가 설치되었고, 다른 주요 도시들에도 지방 인텐덴시아가 들어섰다. 사법 부문에서는 1778년, 초대 부왕 세바요스가 부에노스아이레스 왕립 아우디엔시아(고등법원)를 설치하여 사법권을 강화했다. 코차밤바의 아우디엔시아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상업 활동을 관장하는 부에노스아이레스 상무 영사관 설립은 같은 해에 승인되었으나, 법적인 문제로 인해 실제 설립은 1794년에야 이루어졌다.

한편, 부왕령의 초기 역사는 포클랜드 제도(말비나스 제도)를 둘러싼 영국과의 갈등으로 점철되었다. 스페인은 1766년 프랑스로부터 포클랜드(말비나스) 제도의 포트 생 루이 정착지를 인수하고, 1767년부터 부에노스아이레스 총독의 관할 하에 두었다. 그러나 영국 역시 이 섬에 포트 에그몬트라는 정착지를 건설하고 영유권을 주장했다. 1770년, 스페인 군대가 영국 정착민들을 강제로 추방하면서 1770년 포클랜드 위기가 발발하여 양국은 전쟁 직전까지 치달았다. 위기는 스페인이 영국 측에 "모든 대포와 비품과 함께 에그몬트 항구와 요새를 복구"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평화 조약을 제안하고 영국이 이를 수락하면서 봉합되었다. 하지만 이 조약에도 불구하고 스페인과 영국 어느 쪽도 포클랜드(말비나스) 제도에 대한 영유권 주장을 철회하지 않아 갈등의 불씨는 남게 되었다.[12]

2. 3. 쇠퇴

19세기에 들어 부에노스아이레스는 연간 약 60만 마리의 소를 생산하며 자급자족하는 도시로 성장했다. 이 중 약 4분의 1이 지역 내에서 소비될 정도로 경제는 빠르게 발전하고 있었다.[16] 그러나 영국과의 전쟁으로 해상 교통이 사실상 마비되면서 경제는 큰 타격을 입었다.

내부적으로도 불만이 커져갔다. 상페루 지역은 부에노스아이레스 중심의 행정 및 방어 비용 부담에 반발했다. 상페루는 부왕령 재정에 크게 기여했지만, 주요 수입원이었던 포토시 은 생산량은 감소하고 있었다. 부왕령 초기에는 지출의 약 75%가 상페루 지역 수입으로 충당될 정도였다. 현재의 파라과이 대부분을 포함하는 알토 플라타 지역 역시 부에노스아이레스 행정부와의 관계가 좋지 않았는데, 특히 부에노스아이레스가 수출 독점권을 유지하려 했기 때문이다.[17]

나폴레옹 전쟁은 유럽 대륙에서 스페인 정부를 큰 곤경에 빠뜨렸다. 나폴레옹은 스페인을 점령하고 자신의 형 조제프를 스페인 왕위에 앉혔다. 1795년 동맹 관계였던 스페인은 1805년 프랑스를 지원하다가 트라팔가 해전에서 해군력을 영국에 상실했다. 스페인 총리는 부왕령에 영국의 침공 가능성을 경고하면서도, 본국에서 부에노스아이레스 시에 어떠한 지원도 제공할 수 없음을 통보했다.

결국 1806년 6월 27일, 윌리엄 카 베레스포드 대령이 이끄는 약 1,500명의 영국군이 부에노스아이레스를 침공하여 점령했다. 당시 부왕이었던 라파엘 데 소브레몬테는 코르도바로 도망쳤다.[15] 그러나 영국군은 같은 해 12월, 산티아고 데 리니에르가 이끄는 몬테비데오 출신의 크리오요 민병대에 의해 격퇴되었다. 1807년 2월, 새뮤얼 오치머티 장군 휘하의 약 8,000명에 달하는 영국 증원군이 격렬한 전투 끝에 몬테비데오를 점령했다. 5월에는 존 화이트록 중장이 총사령관으로 부임하여 7월 5일 부에노스아이레스를 다시 공격했지만, 병력의 절반 이상을 잃고 휴전 협정을 맺은 뒤 철수했다.

스페인 본국의 지원 없이 지역 민병대의 힘으로 세계 강대국인 영국군을 물리친 경험은 크리오요 부르주아지의 자신감을 크게 높였고, 이는 자율과 독립에 대한 열망으로 이어졌다.[15] 1810년, 부에노스아이레스의 크리오요들은 자치 정부(후타)를 수립하며 사실상 부왕령의 통치를 거부하고 독립 운동의 시작을 알렸다(5월 혁명).[15]

이후 부왕령은 급격히 해체되었다. 1811년 독립 국가 선언 이후 왕당파 군대는 라스피에드라스 전투에서 패배했다. 1814년까지 현재의 아르헨티나 지역은 약 4년간 자치 정부를 운영했으며, 파라과이는 이미 독립을 선언한 상태였다. 1812년부터 이어진 부에노스아이레스에 대한 긴 포위 공격 끝에 반란군이 1814년 몬테비데오에 입성하면서 부왕령은 사실상 멸망하였다. 그러나 상페루 지역에서는 1825년까지 독립을 위한 전쟁이 계속되었다.

3. 행정 구역

리오데라플라타 부왕령의 행정 구역은 크게 왕립 아우디엔시아(Real Audiencia|레알 아우디엔시아es)와 그 아래의 관청(Intendencia|인텐덴시아es), 정부(Gobernación|고베르나시온es) 단위로 구성되었다.

부왕령 내에는 차르카스 왕립 아우디엔시아가 있었으며, 이는 1776년 부왕령에 편입되었다. 차르카스 왕립 아우디엔시아와 그 관할 구역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부왕령의 주요 관청과 정부, 그리고 각 행정 구역의 중심 도시는 다음과 같다.

행정 구역유형주요 도시
부에노스아이레스관청부에노스아이레스, 코리엔테스, 산타페, 콜로니아델사크라멘토, 카르멘 데 파타고네스
몬테비데오정부몬테비데오
미시오네스정부산 이그나시오, 야페유, 칸델라리아
파라과이관청아순시온
코르도바관청리오 콰르토, 코르도바, 라 리오하, 산 후안, 멘도사, 산 루이스
살타관청카타마르카, 산티아고델에스테로, 투쿠만, 살타, 후후이
치키토스정부(주요 도시 정보 없음)
모소스정부(주요 도시 정보 없음)


3. 1. 차르카스 왕립 아우디엔시아

차르카스 왕립 아우디엔시아는 1559년에 설립되어 1825년까지 존속했다. 이 아우디엔시아의 소재지는 추키사카(오늘날의 수크레)였다. 리오데라플라타 부왕령 내에서 차르카스 왕립 아우디엔시아의 관할 아래 있던 주요 행정 구역(Intendencia|인텐덴시아es)과 그 도시들은 다음과 같다.

관청주요 도시
차르카스차르카스 (수크레)
코차밤바코차밤바, 산타 크루스 데 라 시에라
라파스라파스
포토시포토시, 오루로


4. 통치

리오데라플라타 부왕령은 1776년 스페인 국왕 카를로스 3세에 의해 설립되었다. 형식상 스페인의 식민지였으나, 법적으로는 스페인 국왕 개인의 소유였기에 유럽 본토 스페인과는 별개의 독자적인 법과 규정을 가질 수 있었다.

새로운 부왕령 설립은 기존 페루 부왕령이 관리하던 광대한 지역(현재의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파라과이, 볼리비아 등)에 대한 행정적 분산과 효율적 통치를 목적으로 했다[15]. 또한, 라플라타 강 북안 지역에서 포르투갈의 남하를 견제하고, 부에노스아이레스를 중심으로 성행하던 밀수를 단속하며, 말비나스 제도를 둘러싼 영국과의 긴장에 대비해 남대서양 지역의 군사력을 강화하려는 카를로스 3세의 전략적 판단도 작용했다[15].

초대 부왕 페드로 데 세바요스는 포르투갈 세력을 몰아내고 부에노스아이레스에 새로운 통치 기반을 마련했다[15].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부왕의 통치력은 도전에 직면했다. 1804년 부임한 라파엘 데 소브레몬테 부왕 시기, 두 차례의 영국 침공이 있었으나 부왕은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피신했다. 반면 부에노스아이레스의 크리오요(식민지 태생 스페인인)들은 스스로의 힘으로 영국군을 격퇴하는 데 성공했다[15]. 이 경험은 크리오요들에게 자율적인 통치 능력과 자위력에 대한 강한 자신감을 심어주는 계기가 되었다. 결국 1810년, 크리오요들은 5월 혁명을 일으켜 자치 정부(후타)를 수립하였고, 이로써 리오데라플라타 부왕령에 대한 스페인의 통치는 사실상 종결되고 본격적인 독립 운동의 시대가 시작되었다[15].

4. 1. 역대 부왕

스페인 국왕은 자신의 이름으로 스페인 부왕령을 통치하기 위해 부왕을 임명했다. 초기 부왕의 임기는 정해져 있지 않아 종신직으로 여겨졌으나, 이후 국왕은 임기를 3년에서 5년으로 정했다.[13] 스페인 본국과 남아메리카 식민지 사이의 먼 거리와 당시 주요 운송 수단이 항해였던 탓에, 부왕 지명과 실제 부왕이 권력을 행사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렸다. 또한 국왕과 부왕령 간의 정기적인 소통에도 지연이 발생하여, 부왕령은 상당한 수준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가지고 운영될 필요가 있었다.

#사진이름임기임명비고
1--페드로 안토니오 데 세바요스1777년 10월 15일 ~ 1778년 6월 26일1776년 8월 1일스페인의 카를로스 3세에 의해 임명됨.
2
후안 호세 데 베르티스 이 살세도
후안 호세 데 베르티스 이 살세도1778년 6월 26일 ~ 1784년 3월 7일1777년 10월 27일스페인의 카를로스 3세에 의해 임명됨. 사임.
3
니콜라스 델 캄포
니콜라스 델 캄포1784년 3월 7일 ~ 1789년 12월 4일1783년 8월 13일스페인의 카를로스 3세에 의해 임명됨.
4
니콜라스 안토니오 데 아레돈도
니콜라스 안토니오 데 아레돈도1789년 12월 4일 ~ 1795년 3월 16일1789년 3월 21일스페인의 카를로스 4세에 의해 임명됨. 사임.
5
페드로 멜로 데 포르투갈
페드로 멜로 데 포르투갈1795년 3월 16일 ~ 1797년 4월 15일1794년 2월 5일스페인의 카를로스 4세에 의해 임명됨. 재임 중 사망.
-부에노스 아이레스 왕립 법원1797년 4월 15일 ~ 1797년 5월 2일새로운 부왕이 도착할 때까지 과도 정부 역할 수행.
6
안토니오 올라게르 펠리우
안토니오 올라게르 펠리우1797년 5월 2일 ~ 1799년 5월 14일재임 기간 동안 영국포르투갈 군대의 라 플라타 지역 주둔 문제와 프랑스 혁명의 영향을 받은 초기 혁명 움직임에 대처해야 했다. 부왕령의 상업 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부에노스아이레스 항구를 외국 무역에 개방했다.
7
가브리엘 데 아빌레스, 아빌레스 후작 2세
가브리엘 데 아빌레스, 아빌레스 후작 2세1799년 3월 14일 ~ 1801년 5월 20일1797년 10월 25일
8
호아킨 델 피노 이 로사스
호아킨 델 피노 이 로사스1801년 5월 20일 ~ 1804년 4월 11일1800년 7월 14일스페인의 카를로스 4세에 의해 임명됨. 재임 중 사망.
9
라파엘 데 소브레몬테
라파엘 데 소브레몬테1804년 4월 24일 ~ 1807년 2월 10일1804년 11월 10일라 플라타 영국 침공 당시 부에노스아이레스몬테비데오가 잠시 영국 통치 하에 놓였다. 1806년 8월 14일 공개 카빌도(cabildo abierto)에 의해 몬테비데오로 이동하도록 강요받았으며, 군사적 권한은 산티아고 데 리니에르에게, 다른 정부 업무는 법원에 위임해야 했다. 군사 재판을 통해 부왕직에서 완전히 해임되었고, 리니에르가 임시 부왕으로 선출되었다.[14]
10--산티아고 데 리니에르스1807년 2월 10일 ~ 1809년 6월 30일임시 부왕으로 선출되었으며, 이후 스페인의 카를로스 4세에 의해 직무가 확정되었다. 세비야 훈타에 의해 교체됨.
11
발타사르 이달고 데 시스네로스
발타사르 이달고 데 시스네로스1809년 7월 15일 ~ 1810년 5월 25일1809년 2월 11일세비야 훈타에 의해 임명되었으나, 5월 혁명으로 축출되어 프리메라 훈타로 교체됨.
12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데 엘리오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데 엘리오1811년 1월 19일 ~ 1812년 1월1810년 8월 31일몬테비데오 주지사로서 스스로 "부왕"을 칭했으며, 이후 카디스 코르테스에 의해 정치 지도자로 인정받았다. 코르테스는 또한 몬테비데오를 부왕령의 새로운 수도로 선언하고 부에노스아이레스를 반란 도시로 규정했다.[14]
13
페드로 안토니오 올라녜타
페드로 안토니오 올라녜타1825년 5월 27일 (명목상)1825년1825년 5월, 스페인의 페르난도 7세는 페드로 안토니오 데 올라녜타를 라 플라타 부왕으로 임명했으나, 그가 임명 3개월 전 투무슬라 전투 (상부 페루)에서 이미 사망했다는 사실을 알지 못했다.[14]


참조

[1] 서적 Callao-Lima, Peru United States. Bureau of Naval Personnel
[2] 서적 Naval Warfare, 1815–1914
[3] 서적 Travels in Peru
[4] 서적 El virreinato de las provincias del Río de la Plata
[5] 서적 España en América Lulu.com
[6] 서적 América en el ordenamiento jurídico de las Cortes de Cádiz
[7] 웹사이트 Map of the Eastern Republic of Uruguay, 1893 http://www.wdl.org/e[...] 1893
[8] 웹사이트 Guinea Ecuatorial http://www.hubert-he[...] 2021-12-11
[9] 서적 The State And Underdevelopment In Spanish America
[10] 문서 Abad de Santillán, p. 195.
[11] 문서 Abad de Santillán, p. 197.
[12]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the Falkland Islands: Part 2 – Fort St. Louis and Port Egmont http://www.falklands[...] 2007-09-08
[13] 웹사이트 El Virreinato del Río de la Plata http://www.elhistori[...] 2009-12-05
[14] 웹사이트 Virreyes del Río de la Plata http://www.elhistori[...] 2009-10-15
[15] 뉴스 Viceroyalty of the Río de la Plata. http://www.britannic[...] Encyclopadia Britannica 2008
[16] 문서 高橋1997、pp.284-285
[17] 문서 大貫1987、p.452 ラ・プラタ諸国の項(松下洋執筆)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