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보이아카리냐노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보이아카리냐노가는 1620년 창설되어 1831년까지 존속된 가문으로, 사보이아 공작 카를로 에마누엘레 1세의 아들 토마소 프란체스코가 카리냐노 공작위를 받으면서 시작되었다. 이 가문은 프랑스와 스페인 왕실과 연관을 맺으며 외교적, 군사적으로 활약했으며, 특히 사보이아-수아송 가문은 오이겐 공과 같은 명장을 배출했다. 1751년 카리냐노는 부르봉가에 매각되었으나 프랑스 혁명으로 몰수되었고, 1831년 카를로 알베르토가 사르데냐 왕위를 계승하면서 사보이아 본가가 단절되자, 사보이아-카리냐노 가문이 사보이아 왕가를 이었다. 이 가문은 이탈리아 통일 운동을 주도하여 이탈리아 왕국을 건국하는 데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보이아카리냐노가 - 카를로 알베르토
카를로 알베르토는 사르데냐 왕국의 국왕(재위 1831년~1849년)으로, 자유주의적 성향에도 불구하고 보수적인 정책을 펼쳤으며, 제1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을 주도했으나 패배 후 퇴위, 알베르티노 헌장 반포 및 국가 현대화 개혁 등 긍정적 업적에도 우유부단함과 정치적 판단 미숙으로 비판받았다. - 사보이아가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는 사보이아 왕가 출신으로, 카부르 백작과 협력하여 리소르지멘토를 이끌고 이탈리아 왕국을 건국하여 통일 이탈리아의 초대 국왕이 되었다. - 사보이아가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디 사보이아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디 사보이아는 이탈리아 왕위 계승자였으나 왕가 추방 이후 스위스에서 거주하며 사업가로 활동했고, 2002년 이탈리아 귀환이 허용되었지만 논란을 겪었으며, 2024년 사망했다.
사보이아카리냐노가 |
---|
2. 역사
1620년 사보이아 가문의 분가인 사보이아-카리냐노 가문이 창설되어 7대 211년간 지속되었다. 사르데냐의 왕 카를로 펠리체가 후사 없이 사망하여 사보이아 본가가 단절되자, 방계였던 카리냐노 공작 카를로 알베르토가 사르데냐의 왕으로 추대되어 사보이아 왕가를 이었다.[1]
토마스 프란시스는 사보이아 공작 카를로 에마누엘레 1세와 에스파냐 국왕 펠리페 2세의 딸 에스파냐의 카탈리나 미카엘라 사이에서 태어난 막내아들로, 젊은 시절 스페인을 섬기며 이탈리아에서 군사 활동을 했다.[1]
1630년 만토바 계승 전쟁 당시 사보이아 군 사령관으로 참전한 토마스 프란시스는 마자랭 추기경에 의해 1632년까지 사보이아 궁정에서 프랑스 첩자로 활동했다. 1631년 체라스코 조약에서 피네롤로가 프랑스에 넘어가자, 토마스 프란시스는 형 모리스 공자와 함께 스페인군에 합류했다.[4]
프랑스-스페인 전쟁 (1635-1659) 발발 후, 토마스 프란시스는 스페인령 네덜란드에서 펠리페 4세의 형제 추기경-인판테 페르디난트 휘하에서 복무했다. 1636년 스페인-제국군 연합으로 프랑스를 침공했으나 파리 진격을 앞두고 중단했고, 같은 해 오타비오 피콜로미니와 갈등을 겪었다. 1638년 생토메르 포위전에서 생토메르 방어에 기여했다.[5]
2. 1. 카리냐노 공국
1620년, 사보이아 공작 카를로 에마누엘레 1세는 아들 토마소 프란체스코 디 사보이아에게 카리냐노를 분봉으로 내려 카리냐노 공작위를 수여했다. 카리냐노는 토리노에서 남쪽으로 20km 떨어진 작은 봉토였으나, 형식적인 것에 불과했으며, 토마소 프란체스코는 독립 영주도 아니었고, 카리냐노로부터 공납을 받을 권리도 인정받지 못했다.[3] 그 대신 막대한 상속 재산을 받았다.토마소 프란체스코는 뛰어난 외교적, 군사적 수완을 발휘하여 가문의 위상을 높였다. 그는 프랑스 왕실과 스페인 왕실 모두와 혈연 관계를 맺고 있었기 때문에 양측 모두에게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다.
1641년 토마소 프란체스코의 매형인 루이 드 부르봉 (수아송 백작)이 사망하자, 그의 아내 마리 드 부르봉 (수아송 백작 부인)이 수아송 백작위를 상속받았다. 이후 사보이아-카리냐노 가문에서 분가한 사보이아-수아송 가문은 외젠 공과 같은 뛰어난 군사 지도자를 배출했다.
1751년, 사르데냐 국왕 카를로 에마누엘레 3세는 빚을 갚기 위해 카리냐노를 프랑스 팡티에브르 공작 루이 장 마리 드 부르봉에게 매각했다. 팡티에브르 공작 사후 카리냐노는 그의 딸 루이즈 마리 드 부르봉-팡티에브르에게 상속되었으나, 프랑스 혁명 와중에 몰수되었다.
카리냐노 공의 후손들은 다음과 같다.
이름 | 재위 기간 |
---|---|
토마소 프란체스코 | 1620년 - 1656년 |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 1656년 - 1709년 |
비토리오 아메데오 1세 | 1709년 - 1741년 |
루이지 비토리오 | 1741년 - 1778년 |
비토리오 아메데오 2세 | 1778년 - 1780년 |
카를로 에마누엘레 | 1780년 - 1800년 |
카를로 알베르토 | 1800년 - 1831년 |
1831년, 카를로 알베르토가 사르데냐 왕위에 오르면서, 이후 사보이아-카리냐노 가문은 왕위를 계승하게 된다.
2. 2. 사르데냐 왕위 계승
1831년 사보이아 본가가 단절되자, 카리냐노 공작 카를로 알베르토가 사르데냐 왕위를 계승하였다.[1] 그는 자유주의적인 성향으로 이탈리아 통일 운동을 주도하였으며, 그의 아들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는 1861년 이탈리아 왕국을 선포하고 초대 국왕이 되었다.2. 3. 빌라프랑카 백작 가문
루이지 비토리오의 막내아들 에우제니오 일라리오네는 1781년 귀천상혼을 했고, 그와 그의 직계 자손은 빌라프랑카 백작(Conte di Villafranca) 칭호를 받아 사보이아-빌라프랑카 가문을 형성했다.[1]3. 카리냐노 공작 (1620년 - 1831년)
- 토마소 프란체스코 (1620년 - 1656년)[1]
- 에마누엘레 필리베르토 (1656년 - 1709년)
- 비토리오 아메데오 1세 (1709년 - 1741년)
- 루이지 비토리오 (1741년 - 1778년)
- 비토리오 아메데오 2세 (1778년 - 1780년)
- 카를로 에마누엘레 (1780년 - 1800년)
- 카를로 알베르토 (1800년 - 1831년)
카를로 알베르토가 사르데냐 왕국 국왕이 되면서, 사보이아카리냐노 가는 사실상 사보이아 가를 가리키게 되었다.
4. 사보이아-카리냐노 가문의 주요 인물
토마소 프란체스코는 사보이아카리냐노가의 시조이다. 그의 아들 사보이아의 외젠 모리스 공은 수아송 백작 및 드뢰 백작이자, 수아송 백작 올림피아 만치니와 결혼하였다. 이 둘의 아들인 사부아의 외젠 공자는 신성 로마 제국 원수로,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에서 큰 공을 세웠다.[1]
루이지 비토리오의 다섯째 딸 마리아 루이차는 프랑스 왕비 마리 앙투아네트의 시녀장을 맡아 랑발 공비(Princesse de Lamballe)로 알려졌지만, 프랑스 혁명 당시 왕당파로 몰려 민중에게 학살당했다.[10]
카를로 알베르토는 사르데냐 왕국의 왕으로 즉위하여 이탈리아 통일 운동을 주도하였으며, 그의 아들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는 이탈리아 왕국의 초대 국왕으로 이탈리아 통일을 완수했다.
참조
[1]
서적
Relation de la Cour de France
https://archive.org/[...]
Mercure de France
[2]
웹사이트
Rulers of Italy and Savoy: Savoy 3
http://genealogy.euw[...]
2008-03-27
[3]
간행물
Carignano
[4]
서적
Mazarin
[5]
서적
Histoire du cardinal de Richelieu
[6]
서적
Mémoires du maréchal de Gramont [and] Mémoires des divers emplois et des principales actions du Maréchal du Plessis (2 vols.)
1826-07
[7]
서적
Histoire de la France pendant la minorité de Louis XIV
https://archive.org/[...]
[8]
서적
Histoire de la France sous le ministère de Mazarin (1651-1661)
[9]
문서
Theatrum Europaeum
[10]
서적
Relation de la Cour de France
https://archive.org/[...]
Mercure de Franc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