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31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631년은 명나라 숭정 4년, 후금 천총 5년, 일본 간에이 8년 등이며, 브라이텐펠트 전투에서 스웨덴군이 승리하고, 뭄타즈 마할이 사망하는 등의 사건이 있었다. 주요 사건으로 30년 전쟁에서 스웨덴과 프랑스의 동맹, 마그데부르크 학살, 정두원의 서양 문물 도입 등이 있으며, 구스타브 2세 아돌프가 프라하를 점령하기도 했다. 또한, 존 드라이든, 존 던 등이 탄생하거나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31년 - 브라이텐펠트 전투 (1631년)
1631년 9월 17일 라이프치히 인근 브라이텐펠트 평원에서 스웨덴-작센 연합군이 틸리 백작의 신성 로마 제국군을 격파하며 프로테스탄트 진영에 승리를 가져다 준 30년 전쟁의 주요 전투이다. - 1631년 - 대릉하 전투
1631년 홍타이지가 이끈 후금이 대릉하성을 공격하여 점령한 대릉하 전투는 한인 포병 부대의 활용으로 만주족의 포위전 능력을 보여주었으며, 조대수의 항복과 여러 논란을 낳으며 후금이 중국 대륙을 지배하는 발판이 되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1631년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연도 | 1631년 |
세기 | 17세기 |
10년 | 1630년대 |
사건 | |
주요 사건 | 1631년에 일어난 여러 사건들 |
문화 | |
문화적 의미 | 1631년에 나타난 문화적 경향과 특징 |
기타 | |
연도 표시 | 1631년 |
기년법 | 1631 |
2. 연호
3. 기년
4. 사건
- 9월 17일 - 브라이텐펠트 전투에서 구스타브 2세 아돌프가 이끄는 스웨덴군이 교황군을 격파했다.[1]
- 조선의 정두원이 명나라에 진주사(陳奏使)로 갔다가 귀국하면서 이탈리아인 로드리게스로부터 한역(漢譯) 과학서적(《천문서》, 《직방외기》, 《서양풍속기》), 천주교 서적과 홍이포, 천리경, 자명종 등 서양 기계 등 여러 문물을 가져왔다.[13] 이는 천주교 전래에 관한 가장 명확한 연대기적 기사로 평가받는다.
- 2월 5일 - 청교도 지도자 로저 윌리엄스가 보스턴에 도착했다.[2]
- 5월 18일 - 매사추세츠주 도시체스터에서 존 윈스럽이 취임 선서를 하고 최초의 매사추세츠 주지사가 되었다.
- 5월 28일 - 윌리엄 클레이번이 잉글랜드에서 출항하여 켄트 섬에 무역 기지를 설립했다. 이곳은 메릴랜드 최초의 영국 정착지이다.[4]
- 6월 17일 - 뭄타즈 마할이 부르한푸르에서 출산 중 사망하자, 남편 샤 자한이 아그라에 그녀를 위한 무덤인 타지마할 건설을 의뢰했다.
- 9월 12일 - 80년 전쟁 - 알브롤료스 해전: 안토니오 데 오켄도 제독이 이끄는 스페인 함대가 브라질 연안에서 네덜란드 함대를 격파했다.
- 9월 13일 - 80년 전쟁 - 슬라크 해전: 네덜란드 공화국을 점령하기 위해 5,500명의 병사를 태운 95척의 스페인 함대가 네덜란드 연안에서 네덜란드 함대에 격침당한 후 거의 완전히 궤멸되었다(83척 침몰).
- 12월 7일 - 지구에서 금성의 태양면 통과가 일어났다.[12]
- 일본에서 봉서선 제도가 시작되었다.
- 에도 막부가 마치부교를 설치했다.(설치 시기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음)
4. 1. 30년 전쟁
- 1월 23일 - 스웨덴과 프랑스가 베어발데 조약을 체결하여 군사 동맹을 맺었다. 이에 따라 프랑스는 독일 북부를 침략하는 스웨덴 군대에 자금을 지원하게 되었다.[1]
- 4월 13일 - 구스타브 2세 아돌프가 오데르 강변 프랑크푸르트에서 제국 수비대를 패퇴시켰다.
- 5월 20일 - 요한 체르클라에스 틸리가 이끄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군이 프로테스탄트 독일 도시 마그데부르크를 함락하고, 2만 명이 넘는 주민들을 학살했다. 이 학살에 충격을 받은 신성 로마 제국의 많은 프로테스탄트 국가들이 구스타브 2세 아돌프와 동맹을 맺고 그의 침략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 5월 30일 - 바이에른과 프랑스가 퐁텐블로 조약을 체결하여 비밀 동맹을 맺었지만, 오래가지 못했다.
- 7월 22일 - 베르벤 전투: 요한 체르클라에스 틸리가 구스타브 2세 아돌프(스웨덴)를 패배시켰지만 결정적인 승리는 아니었다.
- 8월 - 보급품이 부족해진 요한 체르클라에스 틸리는 보급을 확보하고 작센 선제후 요한 게오르크 1세와 구스타브 2세 아돌프(스웨덴)의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군대를 작센 선제후국으로 보내야만 했다.
- 9월 11일 - 요한 체르클라에스 틸리의 침략으로 인해, 그때까지 중립을 지켜왔던 작센 선제후 요한 게오르크 1세가 제국군을 작센에서 몰아내기 위해 구스타브 2세 아돌프(스웨덴)와 동맹을 맺었다.
- 9월 17일 - 브라이텐펠트 전투에서 구스타브 2세 아돌프(스웨덴)가 요한 체르클라에스 틸리의 신성 로마 제국군을 결정적으로 패배시켰다. 이로써 신성 로마 제국의 제국군이 붕괴되고, 전쟁에서 프로테스탄트의 첫 번째 중요한 승리를 거두었다.
- 10월 10일 - 작센 군대가 프라하를 점령했다.
- 11월 15일 - 구스타브 2세 아돌프(스웨덴) 국왕이 보헤미아의 수도 프라하를 점령했다.
- 12월 23일 - 구스타브 2세 아돌프(스웨덴)가 아무런 저항 없이 마인츠를 점령했다.
4. 2. 기타 유럽 지역
- 1월 23일 - 30년 전쟁: 스웨덴과 프랑스가 베어발데 조약을 체결하여 프랑스가 독일 북부를 침략하는 스웨덴 군대에 자금을 지원하는 군사 동맹을 체결하다.[1]
- 2월 16일 - 스웨덴 국왕 구스타브 2세 아돌프에 의해 에스토니아 탈린에 레발 김나지움이 설립되다.
- 2월 20일 - 웨스트민스터 홀에서 화재가 발생했지만 큰 피해를 입히기 전에 진화되다.[3]
- 3월 20일 - 가톨릭 동맹이 독일 프로테스탄트 도시 마그데부르크를 포위 공격하기 시작하여, 도시가 함락되고 주민들이 학살당하기 전까지 두 달 이상 지속되다.
- 4월 13일 - 삼십년 전쟁: 구스타프 2세 아돌프가 오데르 강변 프랑크푸르트에서 제국 수비대를 패퇴시켰다.
- 5월 20일 - 삼십년 전쟁: 두 달간의 포위 공격 끝에 요한 체르클라에스 틸리가 이끄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군이 프로테스탄트 독일 도시 마그데부르크를 함락하고, 2만 명이 넘는 주민들을 학살하였다. 이 학살에 충격을 받은 신성 로마 제국의 많은 프로테스탄트 국가들이 구스타프 2세 아돌프와 동맹을 맺고 그의 침략을 지원하기로 결정하였다.
- 5월 30일
- * 삼십년 전쟁: 바이에른과 프랑스가 퐁텐블로 조약을 체결하여 비밀 동맹을 맺지만, 오래가지 못했다.
- * 프랑스 최초의 주간 신문인 ''가제트 드 프랑스''가 발행되었다.
- 6월 19일 - 만투아 계승 전쟁: 체라스코 조약이 체결되어 만투아 계승 전쟁이 종식되었다.
- 7월 16일 - 구스타프 2세 아돌프(Gustavus Adolphus of Sweden)가 뷔르츠부르크(Würzburg)를 점령함으로써 뷔르츠부르크 마녀 재판(Würzburg witch trial)이 종결되었다. 하지만 그전까지 도시와 그 주변 지역에서 약 900명이 마녀 사냥으로 화형을 당했다.
- 7월 22일 - 30년 전쟁 - 베르벤 전투(Battle of Werben): 틸리 백작(Johann Tserclaes, Count of Tilly)이 구스타프 2세 아돌프(Gustavus Adolphus of Sweden)를 패배시키지만 결정적인 승리는 아니었다.
- 8월 22일 - 헤세-카셀(Hesse-Cassel)과 스웨덴 사이에 베르벤 조약(Treaty of Werben)이 체결되었다.
- 8월 - 30년 전쟁: 보급품이 부족해진 틸리 백작(Johann Tserclaes, Count of Tilly)은 보급을 확보하고 작센 선제후 요한 게오르크 1세(John George I, Elector of Saxony)와 구스타프 2세 아돌프(Gustavus Adolphus of Sweden)의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군대를 작센 선제후국(Electorate of Saxony)으로 보내야만 했다.
- 9월 11일 - 30년 전쟁: 틸리 백작(Johann Tserclaes, Count of Tilly)의 침략으로 인해, 그때까지 중립을 지켜왔던 작센 선제후 요한 게오르크 1세(John George I, Elector of Saxony)가 제국군을 작센에서 몰아내기 위해 구스타프 2세 아돌프(Gustavus Adolphus of Sweden)와 동맹을 맺었다.
- 9월 17일 - 30년 전쟁 - 브라이트펠트 전투 (1631년)(Battle of Breitenfeld (1631)): 틸리 백작(Johann Tserclaes, Count of Tilly)의 신성 로마 제국군이 구스타프 2세 아돌프(Gustavus Adolphus of Sweden)에게 결정적으로 패배하여 신성 로마 제국의 제국군이 붕괴되고, 전쟁에서 프로테스탄트의 첫 번째 중요한 승리를 거두었다.
- 10월 10일 - 30년 전쟁: 작센(Saxony) 군대가 프라하(Prague)를 점령하였다.
- 11월 15일 - 스웨덴의 구스타프 2세 아돌프 국왕이 보헤미아(Bohemia)의 수도 프라하를 점령하였다.
- 11월 21일 - 베네치아(Venice)에서 2년간 수천 명의 목숨을 앗아간 1629년-1631년 이탈리아 페스트(1629–1631 Italian plague)의 종식을 기념하는 특별 미사가 거행되었다.
- 11월 29일 - 스웨덴의 구스타프 2세 아돌프 국왕과 헤세-다름슈타트(Hesse-Darmstadt)의 게오르크 2세(George II) 사이에 뢰슈트 조약(Treaty of Höchst)이 체결되었다. 다름슈타트는 스웨덴의 다름슈타트 중립 인정을 대가로 뤼셀스하임(Rüsselsheim) 요새를 포기하였다.
- 12월 16일 - 몇 세기 만에 처음으로 폼페이(Pompeii)의 베수비오 화산(Mount Vesuvius)이 분화하였다.[5]
- 12월 23일 - 30년 전쟁: 스웨덴의 구스타프 2세 아돌프가 아무런 저항 없이 마인츠(Mainz)를 점령하였다.
4. 3. 아시아
- 정두원이 명나라에 진주사로 갔다가 귀국하면서 이탈리아인 로드리게스로부터 한역 과학 서적(《천문서》, 《직방외기》, 《서양풍속기》), 천주교 서적, 홍이포, 천리경, 자명종 등 여러 서양 문물을 가져왔다.[13] 이는 천주교 전래에 관한 가장 명확한 연대기적 기사로 평가받는다.
- 6월 17일 - 뭄타즈 마할이 부르한푸르에서 출산 중 사망하자, 남편 샤 자한이 아그라에 그녀를 위한 무덤인 타지마할 건설을 의뢰했다. 건설은 1632년에 시작되어 1653년에 완료되었다.
- 6월 20일 - 알제 해적들이 아일랜드 밸티모어를 약탈했다.
- 7월 9일 - 오스만 제국의 이집트 총독 코차 무사 파샤가 페르시아 침공을 계획했던 터키군 사령관 키타스 베이의 살해를 지시했다.
- 8월 29일 - (1041년 A.H. 1 사파르) 메카의 에미르 압둘라 이븐 하산이 아들 무함마드 이븐 압둘라와 조카 자이드 이븐 무신에게 자리를 물려주고 퇴위했다.
4. 4. 아프리카
- 3월 7일 - 콩고 왕국(현재 앙골라 지역)의 통치자 암브로시오 1세 니미 아 칸가가 5년간의 통치 후 사망하였다.[1]
- 3월 10일 - 아부 마르완 압드 알말릭 2세의 사망으로 알 왈리드 벤 지단이 새로운 모로코 술탄이 되었다.
- 6월 20일 - 알제 해적들이 아일랜드 밸티모어를 약탈하였다.
- 7월 9일 - 오스만 제국의 이집트 총독 코차 무사 파샤가 페르시아 침공을 계획했던 터키군 사령관 키타스 베이의 살해를 지시하였다.
- 8월 29일 - (1041년 A.H. 1 사파르) 메카의 에미르 압둘라 이븐 하산이 자신의 아들 무함마드 이븐 압둘라와 조카 자이드 이븐 무신에게 자리를 물려주고 퇴위하였다.
5. 문화
6. 탄생
- 1월 2일 - 안토니 반 보르솜(Anthonie van Borssom), 네덜란드 화가 (사망 1677년)
- 1월 6일 - 앤 해밀턴(Anne Hamilton), 제3대 해밀턴 공작 부인, 스코틀랜드 귀족 (사망 1716년)
- 1월 12일 - 하산우딘(Hasanuddin) 혹은 하산우딘 고와(Hasanuddin of Gowa), 고와 술탄국(Sultanate of Gowa)의 16대 통치자 (사망 1670년)
- 1월 23일 - 뱅상 우드리(Vincent Houdry), 프랑스 예수회 설교가이자 금욕주의에 관한 저술가 (사망 1729년)
- 2월 6일 - 에드워드 애브니(Edward Abney), 잉글랜드 정치인 (사망 1727년)
- 2월 10일 - 루이제 안할트데사우(Louise of Anhalt-Dessau), 올라바(Oława)와 볼루프(Wołów)의 여공작 자작권에 의한 (1672–1680) (사망 1680년)
- 2월 22일 - 페데르 시브(Peder Syv), 덴마크 역사가 (사망 1702년)
- 3월 3일 - 에사이어스 부르세(Esaias Boursse), 네덜란드 화가 (사망 1672년)
- 3월 9일 - 클로드-프랑수아 메네스트리에(Claude-François Ménestrier), 프랑스 문장학자, 예수회 신부, 궁정인 (사망 1705년)
- 3월 13일 - 로데비크 휘헌스(Lodewijck Huygens), 네덜란드 외교관 (사망 1699년)
- 3월 16일 - 르네 르 보슈(René Le Bossu), 프랑스 비평가 (사망 1680년)
- 4월 8일 - 코르넬리스 드 헤임(Cornelis de Heem), 네덜란드 화가 (사망 1695년)
- 4월 15일
- * 피에로 데 본치(Piero de Bonzi), 이탈리아 가톨릭 추기경 (사망 1703년)
- * 월터 빈센트(Walter Vincent), 잉글랜드 정치인 (사망 1680년)
- 4월 21일 - 프란체스코 마이다르키니(Francesco Maidalchini), 이탈리아 가톨릭 추기경 (사망 1700년)
- 4월 29일 - 조셉 브리저(Joseph Bridger), 버지니아 식민지 총독 (사망 1686년)
- 5월 2일 - 존 머레이, 초대 애솔 백작(John Murray, 1st Marquess of Atholl) (사망 1703년)
- 5월 4일 - 윌리엄 브레러턴, 제3대 브레러턴 남작(William Brereton, 3rd Baron Brereton), 잉글랜드 정치인 (사망 1680년)
- 5월 10일 - 플라비오 키지(Flavio Chigi) (1631년-1693년), 이탈리아 가톨릭 추기경 (사망 1693년)
- 5월 18일 - 스타니스와프 파프친스키(Stanislaus Papczyński), 폴란드 사제 (사망 1701년)
- 5월 19일 - 크리스토펠 피어슨(Christoffel Pierson), 네덜란드 화가 (사망 1714년)
- 5월 28일 - 루이 앙드레(Louis André), 프랑스 예수회 사제, 선교사, 번역가 (사망 1715년)
- 5월 29일 - 로버트 패스턴, 초대 야머스 백작(Robert Paston, 1st Earl of Yarmouth), 잉글랜드 정치인, 백작 (사망 1683년)
- 6월 13일 - 길버트 헤이, 제11대 에롤 백작(Gilbert Hay, 11th Earl of Erroll), 스코틀랜드 귀족 (사망 1674년)
- 6월 17일 - 가우하라라 베굼(Gauharara Begum), 무굴 제국의 귀족 여성 (사망 1706년)
- 6월 22일 - 프랜시스 롬바우츠(Francis Rombouts), 네덜란드 뉴욕시 시장 (사망 1691년)
- 6월 25일 - 안토니우 다스 샤가스(António das Chagas), 포르투갈 프란체스코회 수사이자 영적 저술가 (사망 1682년)
- 6월 26일 - 빈첸초 알브리치(Vincenzo Albrici), 이탈리아 작곡가 (사망 1695년)
- 7월 15일
- * 리처드 컴벌랜드(Richard Cumberland), 잉글랜드 철학자 (사망 1718년)
- * 옌스 율(Jens Juel), 덴마크 외교관 (사망 1700년)
- 8월 5일 - 아담 아담안디 코하친스키(Adam Adamandy Kochański), 폴란드 수학자 (사망 1700년)
- 8월 7일 - 세 번째 써닛 백작 니콜라스 터프턴(Nicholas Tufton, 3rd Earl of Thanet), 잉글랜드 (사망 1679년)
- 8월 19일
- * 마페오 바르베리니(Maffeo Barberini), 팔레스트리나 공작 (사망 1685년)
- * 존 드라이든(John Dryden), 잉글랜드 작가 (사망 1700년)[7]
- 8월 24일 - 필립 헨리(Philip Henry), 잉글랜드 목사 (사망 1696년)
- 8월 29일 - 헨리 노리스(Henry Noris), 이탈리아 가톨릭 추기경 (사망 1704년)
- 9월 1일 - 앤 크로포드-린드세이(Anne Crawford-Lindsay), 스코틀랜드 귀족 여성 (사망 1689년)
- 9월 6일 - 찰스 포터(Charles Porter), 아일랜드 대법관(Lord Chancellor of Ireland), 잉글랜드 출신 판사 (사망 1696년)
- 9월 29일
- * 리처드 에들린(Richard Edlin), 잉글랜드 점성가 (사망 1677년)
- * 요한 하인리히 로스(Johann Heinrich Roos), 네덜란드 화가 (사망 1685년)
- 10월 1일
- * 투생 드 포르뱅-장송(Toussaint de Forbin-Janson): 프랑스의 가톨릭 추기경이자 보베 주교 (사망 1713년)
- * 외제니 막시밀리안, 호른스 공작(Eugene Maximilian, Prince of Hornes) (사망 1709년)
- 10월 3일 - 제바스티안 안톤 셰러(Sebastian Anton Scherer): 독일의 오르가니스트이자 작곡가 (사망 1712년)
- 10월 6일 - 에마뉘엘, 안할트-쾨텐 공작(Emmanuel, Prince of Anhalt-Köthen): 아스카니아 가문의 독일 공작 (사망 1670년)
- 10월 12일 - 조지 손더슨, 5대 캐슬턴 자작(George Saunderson, 5th Viscount Castleton): 영국의 국회의원 (사망 1714년)
- 10월 13일 - 리처드 햄든(Richard Hampden): 영국의 정치인 (사망 1695년)
- 10월 18일
- * 하인리히 뮐러(Heinrich Müller): 독일의 신학자이자 작가 (사망 1675년)
- * 마이클 위글스워스(Michael Wigglesworth): 미국의 청교도 목사 (사망 1705년)
- 10월 22일 - 질 부아유(Gilles Boileau): 프랑스의 번역가 (사망 1669년)
- 10월 26일 - 레오폴드 카를 폰 콜로니치(Leopold Karl von Kollonitsch): 헝가리의 가톨릭 추기경 (사망 1707년)
- 10월 30일 - 피에르 보샹(Pierre Beauchamp): 프랑스의 안무가, 무용수, 작곡가 (사망 1705년)
- 11월 4일 - 메리, 공주 겸 오렌지 공주(Mary, Princess Royal and Princess of Orange) (사망 1660년)
- 11월 10일 - 다니엘 하비(Daniel Harvey): 영국의 상인이자 정치인 (사망 1672년)
- 11월 17일 - 마르코 다비아노(Marco d'Aviano): 이탈리아의 카푸친 수사 (사망 1699년)
- 11월 21일 - 카타리나 케스티에르(Catharina Questiers): 네덜란드의 시인 (사망 1669년)
- 11월 28일 - 아브라함 브뤼헐(Abraham Brueghel): 플랑드르 바로크 화가 (사망 1690년)
- 12월 14일 - 앤 콘웨이(Anne Conway): 영국의 철학자 (사망 1679년)
- 12월 24일
- * 베른하르트 구스타프 바덴-두르라흐 공작(Bernhard Gustav of Baden-Durlach): 스웨덴의 장군, 풀다와 켐프텐의 수도원장이자 추기경 (사망 1677년)
- * 가브리엘 수숑(Gabrielle Suchon): 프랑스의 가톨릭 도덕 철학자, 페미니스트 (사망 1703년)
- 호아킴 훈코사(Joaquim Juncosa), 카르투시오 수도사이자 바로크 화가 (사망 1708년)[8]
- 클라라 이사벨라 파코바(Klara Izabella Pacowa), 정치적으로 활동적인 폴란드 궁정 관리 (사망 1685년)
- 윌리엄 스토턴(William Stoughton (judge)), 세일럼 마녀 재판의 미국 판사 (사망 1701년)
- 1월 1일 또는 1632년 – 캐서린 필립스(Katherine Philips), 앵글로-웨일스 시인 (사망 1664년)[6]
- 1월 11일 (율리우스력1월 1일) - 니콜라우스 스테노(Nicolaus Steno), 덴마크의 지질학자 (사망 1687년)
- 7월 26일 (관영 8년 6월 27일) - 호리타 마사노부(堀田正信), 시모우사 사쿠라번 제2대 번주 (사망 1680년)
- 8월 9일 - 존 드라이든(John Dryden), 잉글랜드의 시인, 문예 비평가, 극작가 (사망 1700년)
- 10월 30일 - 피에르 보샹(Pierre Beauchamps), 안무가 (사망 1705년)
- 스미요시 구케이(住吉具慶), 화가 (사망 1705년)
- 이노우에 신카이(井上真改), 도공 (사망 1682년)
7. 사망
참조
[1]
서적
Venice, Austria, and the Turks in the Seven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2]
서적
Footprints of Roger Williams
https://books.google[...]
Tibbitts & Preston
[3]
서적
Fires, Great
C. and E. Layton
[4]
서적
The Government of Kent County, Maryland, Historical and Descriptive
https://books.google[...]
Published through the cooperation of Washington College
[5]
웹사이트
Vesuvius {{!}} Facts, Location, & Eruptions
https://www.britanni[...]
2019-04-07
[6]
서적
Cylchgrawn Llyfrgell Genedlaethol Cymru
https://books.google[...]
Council of the National Library of Wales
[7]
서적
Restoration and 18th-Century Drama
https://books.google[...]
Macmillan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1980-11-01
[8]
웹사이트
Joaquim Juncosa Donadeu
https://dbe.rah.es/b[...]
Real Academia de la Historia
2023-11-26
[9]
서적
The Variorum Edition of the Poetry of John Donne: The epigrams, epithalamions, epitaphs, inscriptions, and miscellaneous poems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10]
서적
Revival: A History of Spanish Literature (1930)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8-05-08
[11]
서적
The New River: A Legal History
https://books.google[...]
OUP Oxford
1985-05-16
[12]
웹사이트
1631 December 7th Transit of Venus
http://astro.ukho.go[...]
HM Nautical Almanac Office
2017-09-16
[13]
서적
한국사 이야기 15:문화군주 정조의 나라 만들기
한길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