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숙왕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숙왕후는 고려 선종의 왕후이자 헌종의 어머니로, 선종 사후 헌종이 즉위하자 왕태후로서 섭정을 수행했다. 섭정 기간 동안 자신의 궁전을 중화전으로 부르고 영녕부를 설치하여 독자적인 정치 기구를 운영했으나, 이로 인해 왕권이 약화되고 이자(李資義)의 난이 발생하자 섭정을 중단했다. 이후 숙종이 즉위하며 중화전과 영녕부가 폐지되었으며, 예종 2년에 선종묘에 배향되었다. 인종 때 정화, 고종 때 광숙의 시호가 추가되었으며, 능은 선종과 함께 개성의 인릉에 조성되었다. 사숙왕후는 문벌 귀족의 딸로서 섭정을 통해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긍정적, 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63년 출생 - 야율순
    야율순은 요나라 황족으로 도종의 총애를 받아 연왕에 책봉되었고 천조제 시기에 진진왕, 도원수를 지냈으며, 1122년 야율대석 등에 의해 황제로 옹립되어 북요를 건국했으나 즉위한 해에 사망했다.
  • 1063년 출생 - 원오극근
    원오극근은 1063년 쓰촨성에서 태어나 오조 법연의 제자가 되었으며, 벽암록을 저술하여 임제종 선불교에 영향을 미친 중국의 선승이다.
  • 1107년 사망 - 킬리지 아르슬란 1세
    킬리지 아르슬란 1세는 룸 셀주크 왕조의 술탄으로, 말리크샤 1세 사망 후 왕조를 재건하고 십자군 전쟁에 맞서 싸우며 영토를 확장했으나, 카부르 강 전투에서 패배 후 익사했다.
  • 1107년 사망 - 호리카와 천황
    호리카와 천황은 시라카와 천황의 아들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시라카와 상황의 원정 정치 하에서 학문과 예술에 심취했으며, 그의 아들이 도바 천황으로 즉위했다.
  • 이자겸 - 척준경
    척준경은 고려 중기의 무신으로, 윤관과 함께 여진 정벌에 공을 세워 동북 9성 축조에 기여했으나, 이자겸과 결탁하여 권세를 누리다 유배되어 생을 마감했다.
  • 이자겸 - 예종 (고려)
    예종은 고려의 제16대 왕으로, 여진과의 갈등, 9성 반환, 교육 진흥 등에 힘썼으며 1122년 종양으로 사망했다.
사숙왕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칭호연화궁비 (延和宮妃)
국원공빈 (國原公賓)
국원공비 (國原公妃)
사숙태후 (思肅太后)
사숙왕태후 (思肅王太后)
추증 시호광숙정화사숙왕후 (匡肅貞和思肅王后)
광숙정화사숙태후 (匡肅貞和思肅太后)
왕후 정보
왕후사숙왕후 (思肅王后)
이 (李)
본관경원 이씨
출생1065년경
사망1107년경 (40대 중반 추정)
매장지일릉
재위 정보
왕후 즉위1083년
왕후 폐위1094년
선대 왕후정신현비
계승 왕후명의왕후
왕태후 즉위1094년 - 1095/7년
선대 왕태후인예왕후
계승 왕태후명의왕후
섭정헌종 (아들)
섭정 유형군주 섭정
가족 관계
배우자선종 (1083년 결혼)
자녀헌종
이름 미상의 딸
수안택주
아버지이석
어머니(미상)

2. 생애

선종이 국원공으로 있을 때 혼인하여 연화궁비(延和宮妃)에 책봉되었으며, 1083년 순종의 뒤를 이어 즉위하자 왕후가 되었다. 1094년 선종이 승하하고 아들 헌종이 즉위하자 왕태후가 되어 11세의 어린 헌종을 대신하여 섭정하였다. 사숙태후는 자신이 살던 궁전을 중화전(中和殿)으로 부르게 하고, 휘하에 영녕부(永寧府)라는 독자적인 정치 기구를 설치하였다.

그러나 이로 인해 왕권이 약화되고 이자의의 난이 일어나는 등 국가적 혼란이 일어나자 1년 만에 섭정을 거두었다. 1095년 헌종은 숙부 계림공에게 왕위를 빼앗겼고, 숙종은 왕권 강화를 위해 중화전과 영녕부를 폐지하였다. 1097년 헌종이 승하한 후에도 사숙왕후는 옛 궁에 살면서 허물이 없었다고 한다.

고려사에 예종 2년(1107년) 사숙왕후를 선종묘에 배향했다는 기록[8]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 무렵 승하한 것으로 보인다. 인종 18년에 정화(貞和), 고종 40년에 광숙(匡肅)이라는 시호가 추가되었다. 능은 개성에 있는 인릉(仁陵)으로 남편인 선종과 합장된 것으로 추정된다.

2. 1. 혼인과 왕후 책봉

선종이 국원공이었을 때 혼인하여 연화궁비가 되었으며, 1083년 선종이 순종의 뒤를 이어 즉위하자 왕후로 책봉되었다.[4] 1084년 6월, 헌종과 딸 둘을 낳았으나, 장녀는 일찍 사망했고,[1] 다른 딸은 시각장애인으로 태어나 혼인하지 못했다.[2]

2. 2. 섭정과 왕권 강화 노력

1094년 선종이 승하하고 아들인 헌종이 즉위하자 왕태후가 되었으며, 왕실의 어른으로서 11세의 어린 헌종을 대신하여 섭정을 하였다. 이 기간 동안 사숙태후는 자신이 살던 궁전을 중화전(中和殿)으로 부르게 하였으며, 휘하에 부(府)를 두어 독자적인 정치 기구인 영녕부(永寧府)를 설치하였다.[4] 사숙태후는 직접 조정에 나아가 국정을 관찰했으며, 그녀의 명령은 국왕의 명령과 같은 '제(制)'였다.

그러나 이로 인해 왕권이 약화되고 이자의(李資義)가 반란을 일으키는 등 국가적 혼란이 일어나게 되자 사숙태후는 1년 만에 섭정을 거두었다. 헌종은 얼마 지나지 않아 숙부인 계림공(鷄林公)에게 왕위를 빼앗겼다. 1095년 계림공이 숙종으로 즉위한 이후, 숙종은 왕권 강화를 목적으로 사숙태후의 궁전인 중화전(中和殿)의 호(號)와 사숙태후가 설치한 영녕부(永寧府)를 폐지하였다.[4]

2. 3. 이자의의 난과 섭정 중단

1094년 선종이 승하하고 아들인 헌종이 즉위하자 왕태후가 되었으며, 왕실의 어른으로서 11세의 어린 헌종을 대신하여 섭정을 하였다. 이 기간 동안 사숙태후는 자신이 살던 궁전을 중화전(中和殿)으로 부르게 하였으며, 휘하에 부(府)를 두어 자신의 독자적 정치 기구인 영녕부(永寧府)를 설치하였다.[4] 그녀는 직접 조정에 나아가 국정을 관찰했으며, 그녀의 명령은 국왕의 명령과 같은 '제(制)'였다.

그러나 이로 인해 왕권이 약화되고 이자의(李資義)가 반란을 일으키는 등 국가적 혼란이 일어나게 되자 사숙태후는 1년 만에 섭정을 거두었다.[3] 1095년 헌종은 숙부인 계림공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숙종이 즉위하였다. 숙종은 왕권 강화를 목적으로 사숙태후의 궁전인 중화전(中和殿)의 호(號)와 사숙태후가 설치한 영녕부(永寧府)를 폐지하였다.[4]

2. 4. 숙종 즉위와 말년

1083년, 선종이 순종의 뒤를 이어 즉위하자 왕후(王后)로 책봉되었다.[8] 1094년 선종이 승하하고 아들인 헌종이 즉위하자 왕태후(王太后)가 되었으며, 왕실의 어른으로서 11세의 어린 헌종을 대신하여 섭정을 하였다.[4] 사숙태후는 자신이 살던 궁전을 중화전(中和殿)으로 부르게 하고 휘하에 부(府)를 두어 독자적 정치 기구인 영녕부(永寧府)를 설치하였다.[4]

그러나 이로 인해 왕권이 약화되고 이자의(李資義)가 반란을 일으키는 등 국가적 혼란이 일어나 1년 만에 섭정을 거두었다.[3] 얼마 지나지 않아 헌종은 숙부인 계림공(鷄林公)에게 왕위를 빼앗겼다. 1095년, 계림공이 고려의 제15대 왕인 숙종으로 즉위하였는데, 숙종은 왕권 강화를 목적으로 사숙태후의 궁전인 중화전(中和殿)과 영녕부(永寧府)를 폐지하였다.[4] 1097년에는 헌종마저 승하하였으나 이후에도 옛 궁에 살면서 오래도록 조금도 허물이 없었다고 한다.[6]

3. 사후

예종 2년(1107년) "사숙왕후(思肅王后) 이씨를 선종묘(宣宗廟)에 배향하였다"[8]라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이 무렵 승하한 것으로 보인다. 인종 18년(1140년)에 정화(貞和)라는 시호를 추가하고, 고종 40년(1253년)에 광숙(匡肅)을 추가하였다. 능은 개성에 있는 인릉(仁陵)으로 남편인 선종과 합장된 것으로 추정된다.[4]

예종은 그녀를 남편과 함께 개성의 인릉에 안장하고 제사를 지냈다.[4] 그녀는 숙종 치세에 아들이 왕위에서 폐위된 후 많은 고통을 받았다고 전해진다.

어떤 사람들은 "사숙태후는 고려의 문벌귀족 정치가 성하던 시절 대표 문벌가문의 딸로서 섭정을 하며 최고의 권력을 누렸던 여성이라 할 수 있다"라고 말한다.

4. 평가

사숙태후는 고려 문벌귀족 정치 시기에 섭정을 하며 권력을 누렸던 인물로 평가받는다. 그녀는 아들 헌종이 왕위에서 물러난 후 고통을 겪었지만, 남편과 함께 개성의 일릉에 안장되고 제사를 받는 등 예우를 받았다.[4]

신하들은 정신현비보다 사숙태후가 남편을 더 잘 내조하고 아들 헌종을 보필한 공이 크다고 평가했다. 이는 사숙태후가 섭정으로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음을 보여준다.[7]

4. 1. 긍정적 평가

예종은 그녀를 남편과 함께 개성의 일릉에 안장하고 제사를 지냈다.[4] 그녀는 숙종 치세에 아들이 왕위에서 폐위된 후 많은 고통을 받았다고 전해진다. 예종이 정신현비를 선종의 묘에 합사하는 것을 논의했을 때, 신하들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정신현비|貞信賢妃중국어는 국원공의 비(妃)로 있은 기간이 오래지 않았고, 태후는 국원공의 비빈으로서 왕비가 될 때까지 내조한 공이 많습니다. 그리고 아들인 헌종이 왕위를 계승하고 이후 퇴거할 때까지 그 덕을 잃은 것이 없으니 태후를 합사하는 것이 옳습니다.

이로부터 이씨가 국원공의 배우자로서, 그리고 어린 나약한 왕을 대신하여 섭정을 하기 위해 사용했던 태후의 정치적 권력을 지칭하는 ''고려사''의 임조칭제(臨朝稱制, Imjochingje)에서 일정한 역할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녀는 섭정으로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7]

어떤 사람들은 사숙태후|思肅太后중국어는 고려의 문벌귀족 정치가 성하던 시절 대표 문벌가문의 딸로서 섭정을 하며 최고의 권력을 누렸던 여성이라 할 수 있다고 말한다.

4. 2. 부정적 평가

사숙태후는 숙종 치세에 아들 헌종이 왕위에서 폐위된 후 많은 고통을 받았다고 전해진다. 예종은 그녀를 남편과 함께 개성의 일릉에 안장하고 제사를 지냈다.[4] 예종이 정신현비를 선종의 묘에 합사하는 것을 논의했을 때, 신하들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정신현비''는 국원공(이정)의 비(妃)로 있은 기간이 오래지 않았고, 태후는 국원공의 비빈으로서 왕비가 될 때까지 내조한 공이 많습니다. 그리고 아들인 헌종이 왕위를 계승하고 이후 퇴거할 때까지 그 덕을 잃은 것이 없으니 태후를 합사하는 것이 옳습니다."

이는 이씨가 국원공의 배우자로서, 그리고 어린 헌종을 대신하여 섭정을 하기 위해 사용했던 태후의 정치적 권력을 가리키는 고려사의 '임조칭제(臨朝稱制, Imjochingje)'에서 일정한 역할을 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녀는 섭정으로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7]

어떤 사람들은 "사숙태후는 고려의 문벌귀족 정치가 성하던 시절 대표 문벌가문의 딸로서 섭정을 하며 최고의 권력을 누렸던 여성이라 할 수 있다."라고 평가한다.

5. 가족 관계

관계이름
조부이자연
백부이정
사촌이자의
숙부이호
사촌이자겸
아버지이석
어머니개성 왕씨
오빠이자지
남편선종
장남헌종
장녀수안택주


참조

[1] 웹사이트 고려시대 史料 Database http://db.history.go[...] 2021-10-08
[2] 웹사이트 고려시대 史料 Database http://db.history.go[...] 2021-10-08
[3] 웹사이트 고려시대 史料 Database http://db.history.go[...] 2021-10-08
[4] 웹사이트 선종 후비 사숙태후 이씨 http://db.history.go[...] 2021-07-11
[5] 웹사이트 고려시대 史料 Database http://db.history.go[...] 2021-10-13
[6] 웹사이트 사숙 태후 - 디지털미추홀구문화대전 http://michuhol.gran[...]
[7] 서적 고려 宣宗妃 思肅太后와 仁宗妃 恭睿太后 https://m.academic.n[...] Korean History Research Institute 2011
[8] 문서 고려사절요 제7권 睿宗文孝大王 정해 2년 기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