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준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척준경은 고려 시대의 무신으로, 1070년경 황해도 곡주에서 태어났다. 숙종 때 벼슬길에 올라 여진족 정벌에 참여하여 동북 9성 축조에 기여했으며, 뛰어난 무예로 명성을 떨쳤다. 이후 인척인 이자겸과 결탁하여 권력을 얻었으나, 이자겸의 난 진압 후 탄핵을 받아 유배되었다. 1144년 사망했으며, 사후 관직이 회복되고 자손들이 등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44년 사망 - 교황 첼레스티노 2세
교황 첼레스티노 2세는 12세기 중반에 재임한 로마 가톨릭 교황으로, 귀족 가문 출신에 피에르 아벨라르에게 교육을 받고 교황청 서기관과 추기경을 거쳐 선출되었으며, 짧은 재위 기간 동안 시칠리아 왕국과의 관계에서 다른 행보를 보이고 프랑스 국왕과의 관계 개선에 힘썼다. - 1144년 사망 - 조자칭
조자칭은 북송 태조 조광윤의 후손으로 사시에 합격하여 여러 관직을 역임했으며, 그의 둘째 아들 조백종이 고종의 양자가 되면서 황실과 깊은 관계를 맺고 사후 수왕에 추봉되었다. - 고려의 호부상서 - 김부식
신라 왕족 후예인 김부식은 고려 중기 문신이자 학자로,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서경천도운동 진압에 공을 세웠으며 《삼국사기》를 편찬했다. - 고려의 호부상서 - 장연우
장연우는 고려 초기의 문신으로, 거란 침입에 공을 세우고 현종 몽진을 호종했으며, 김훈·최질의 난을 야기하기도 했으나 호부상서에 복직되었고, 사후 상서우복야로 추증, 안경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척준경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척준경 |
한자 표기 | 拓俊京 |
로마자 표기 | Cheok Jungyeong |
다른 이름 | 탁준경 (Tak Jungyeong) |
기본 정보 | |
출생 | 미상 |
출생지 | 고려 |
사망일 | 1144년 2월 (음력) |
사망지 | 고려 개성 |
국적 | 고려 |
가족 관계 | |
배우자 | 미상 |
자녀 | 척순 |
아버지 | 척위공 |
가문 | 곡산 척씨 |
관직 정보 | |
주요 직위 | 조봉대부 검교 호부상서, 문하시랑평장사 |
2. 생애
1070년경 황해도 곡주(現 황해북도 곡산군)에서 태어났다. 가난한 향리 집안 출신으로 학문을 배우지 못했지만, 숙종이 왕자 시절 "계림공 옹"으로 불릴 때 인연을 맺어 1095년(숙종 원년) 추밀원별가로 정계에 진출했다.[1]
1104년(숙종 9년)부터 1109년까지 윤관, 오연총, 왕자지 등과 함께 함경도에 침입한 여진족을 몰아내고 동북 9성을 쌓는 데 큰 공을 세웠다. 1104년 임간이 이끄는 고려군이 패배했을 때, 척준경은 용감하게 적진에 돌진하여 적장을 죽이고 고려군이 후퇴할 수 있도록 도왔다.[2][4] 1108년 윤관이 이끄는 여진 정벌군에 합류한 척준경은 석성(石城) 전투에서 성벽을 기어올라 여진 족장들을 죽이고,[2][5] 여진족의 기습 공격을 받은 윤관과 오연총을 구출하는 등 뛰어난 용맹을 보여주었다.[2][6] 윤관은 척준경을 아들처럼 아꼈으며, 여진 정벌이 끝난 후 척준경은 합문지후(閤門祗候)와 공부원외랑(工部員外郎)에 임명되었다.[7]
1109년 위위시소경이 되었다.[7] 여진 정벌 이후, 척준경은 금나라 건국 후 요나라의 지원 요청에 대해 국력 소모를 이유로 반대하는 등 여진족에 대한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2]
1123년 참지정사, 이부상서를 거쳐 1124년 중서시랑평장사에 임명되었으나,[1] 1125년 문신 관료들의 멸시로 사직했다가 인종의 설득으로 복귀했다. 이자겸의 난 당시 척준경은 이자겸과 함께 난을 일으켰으나, 이후 인종의 설득으로 이자겸을 제거하는 데 공을 세웠다. 그러나 정지상 등의 탄핵으로 암태도로 유배되었고,[19] 1128년 황해북도 곡주로 이배되었다.[19] 1144년 (인종 22) 등창으로 사망했다.
2. 1. 생애 초반
1070년경 검교대장군(檢校大將軍) 척위공의 아들로 황해도 곡주(황해북도 곡산군)에서 태어났다. 그의 가문은 한미한 지역 향리 집안으로, 가난하여 학문을 제대로 배우지 못하고 무뢰배와 어울렸다. 숙종이 왕자 신분으로 계림공(鷄林公) 옹(顒)으로 불릴 때 숙종을 섬기게 되었고, 1095년 (숙종 즉위년)에 추밀원 별가(樞密院別駕)가 됨으로써 벼슬길에 올랐다.[1]2. 2. 여진족 정벌
1104년(숙종 9년)부터 1109년까지 윤관, 오연총, 왕자지 등과 함께 함경도에 침입한 여진족을 몰아내고 동북 9성을 쌓는 데 기여했다.척준경은 고려의 북동쪽 국경에서 동여진과의 전쟁에 참전했다. 1104년, 임간이 이끄는 고려군이 동여진 군에게 패배하자, 척준경은 임간에게 무기와 갑옷, 말을 요청하여 적진으로 돌진했다. 적 지휘관을 죽이고, 추격하려던 적 지휘관 둘을 활로 사살하여 고려군이 전장에서 물러날 수 있게 하였다.[2][4] 이후 척준경은 윤관 장군 휘하에서 여진 정벌에 참여했다.
1108년 1월 18일, 윤관은 여진과의 전쟁을 시작했다. 윤관은 척준경과 김부필에게 여진 족장들을 매복하여 살해하도록 지시했다. 1월 29일, 윤관, 척준경과 고려군은 석성(石城)에 도달했다. 척준경은 이관진 장군과 함께 성을 공격, 갑옷을 입고 방패를 들고 성벽을 기어올라 여진 족장 여러 명을 죽여 윤관이 성을 정복하는데 기여했다.[2][5]
2월 27일, 윤관과 부사령관 오연총은 8000명의 병력과 함께 여진의 기습 공격을 받았다. 척준경은 10명의 병사를 이끌고 윤관과 오연총을 지원, 적군 10명을 죽이고 윤관과 오연총이 여진군의 매복을 저지하는 것을 도왔다. 최홍정과 이관진이 이끄는 고려 증원군이 도착하자, 척준경은 여진군을 추격하여 여진 병사 36명의 목을 베었다. 윤관은 척준경을 자신의 아들처럼 여기겠다고 말했다.[2][6] 1109년 여진 정벌이 끝날 무렵 척준경은 합문지후(閤門祗候)와 공부원외랑(工部員外郎)에 임명되었다.[7]
2. 2. 1. 제1차 여진족 토벌 (1104년)
1104년(숙종 9) 음력 2월, 동북면 병마사 임간이 정주(定州)에서 훈련되지 않은 군사를 이끌고 동여진과 싸워 크게 패하고 정주성이 함락될 위기에 처했다.[2][4] 이때 척준경은 적장 둘을 베는 등 용맹을 떨쳐 여진족의 기세를 꺾었고, 여진족은 퇴각하였다. 이 덕분에 남은 고려군 병사들은 무사히 돌아올 수 있었다. 척준경은 임간에게 무기와 갑옷을 입힌 말을 얻은 뒤 혼자 여진족 기병대를 향해 돌진, 창에 찔리는 부상을 입었으나 여진족 기병대 사이를 헤치고 적장 1명을 베었다. 또한 포로로 잡혀있던 준민, 덕린과 함께 활로 각각 여진족 1명씩을 쏘아 죽여 여진족 군사들을 동요시켰다.척준경이 물러나려 하자 여진 기병 100여 명이 추격해 왔는데, 척준경은 숲으로 들어가 추격해오는 여진족 장수 1명을 사살하였다. 성벽에서는 대상(大相) 인점이 적장 1명을 죽였고, 지휘관을 잃은 여진족 군사들은 달아났다. 고려군은 많은 전사자가 발생하여 패전의 책임을 지고 황유현, 송충, 왕공윤, 조규 등이 파면되었으나, 척준경은 이 싸움을 계기로 이름이 널리 알려지게 되었고, 그 공으로 천우위 녹사 참군사(千牛衛錄事參軍事)에 임명되었다.[2][4]
2. 2. 2. 제2차 여진족 토벌 (1107년 ~ 1109년)
1107년 예종은 윤관을 도원수, 오연총을 부원수로 삼아 17만 대군으로 여진족 정벌에 나섰다. 척준경은 윤관을 따라 중군 병마녹사(中軍兵馬錄事)로 출정하였다.[2]
1107년 음력 12월, 척준경은 김부필, 최홍정과 함께 고려로 유인된 여진족 추장들을 모두 잡아 죽였다. 석성(石城) 전투에서는 선두에 서서 여진족을 무찌르고 성을 점령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이 공으로 비단 30필을 하사받았다.[2]

1108년 음력 1월 14일, 가한촌(加漢村) 전투에서 윤관과 오연총이 여진족에게 포위당하자, 척준경은 정예병을 이끌고 적진에 돌격하여 윤관과 오연총을 구출했다. 이때 척준경의 동생 척준신은 위험을 무릅쓰지 말라고 설득했으나, 척준경은 듣지 않았다. 척준경은 적군 10명을 죽이고 윤관과 오연총을 구출했으며, 뒤이어 도착한 최홍정과 이관진이 이끄는 고려 증원군과 함께 여진군을 격파했다. 윤관은 척준경의 용맹에 감탄하여 그를 양자로 대우하고 합문지후(閤門祗候)로 승격시켰다.[2][6]
이후 척준경은 왕자지와 함께 함주(咸州), 영주(英州), 사지령(沙至嶺) 등지에서 여진족을 격파하며 큰 공을 세웠다. 1109년 여진 정벌이 끝날 무렵 척준경은 합문지후(閤門祗候)와 공부원외랑(工部員外郎)에 임명되었다. 이는 일반 문관에게는 10년이 걸리는 승진이었지만, 척준경은 무관으로서 약 2년 만에 승진한 것이었다.[7]
2. 2. 3. 여진족에 대한 태도 변화
척준경은 여진족 정벌에 큰 공을 세웠지만, 전쟁 이후에는 여진족을 신중하게 대해야 한다는 입장을 보였다. 1115년 여진족이 금나라를 건국한 후, 요나라가 고려에 지원을 요청했을 때, 척준경은 국력 소모를 이유로 이를 반대했다.[2]2. 3. 정치 활동
1109년 7월 위위시소경이 되었다. 여진족 정벌에서 큰 공을 세운 척준경은 전쟁 후에는 여진족에 대한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1115년 금나라가 건국되고 요나라가 고려에 군사 지원을 요청했을 때, 척준경은 김부일, 김부식 등과 함께 국력 회복을 이유로 반대하여 출병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1123년 참지정사, 이부상서를 거쳐 1124년 12월 중서시랑평장사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1125년 4월, 문신 관료들의 멸시로 사직했다가 인종의 설득으로 복귀했다. 1126년 음력 3월, 고려 조정이 금나라를 섬기는 문제에 대해 논의할 때, 척준경은 이자겸과 함께 금나라를 섬기는 것이 옳다고 주장하여 고려와 금나라 사이에 군신관계가 맺어지는 데 영향을 주었다.
2. 3. 1. 이자겸과의 협력
인종 즉위 후 권력을 잡은 이자겸은 척준경을 자기 사람으로 만들기 위해 그의 딸과 자신의 아들 이지원(李之元)을 혼인시켜 사돈 관계를 맺었다.[8] 이자겸의 후원으로 척준경은 1123년 이부상서와 참지정사에 임명되었고,[1] 1126년 1월 20일에는 문하시랑평장사로 승진했다.[9] 또한 병부상서로 병권을 장악하였다.2. 3. 2. 이자겸의 난 (1126년)
1126년(인종 4) 음력 2월, 인종의 측근인 김찬, 안보린, 지녹연 등이 이자겸과 척준경을 제거하려 했다.[13] 이들은 오탁, 권수, 고석 등과 함께 거사를 일으켜 대궐을 장악하고, 척준경의 동생 척준신과 아들 척순을 살해했다.[14] 그러나 이자겸에게 이 사실이 보고되었고, 이자겸은 척준경과 함께 반격을 준비했다.[14][15]척준경은 최식, 이후진, 윤한 등에게 군사를 이끌고 궁성문을 열라고 지시했고, 개경 왕궁에 도착한 이자겸의 아들 의장이 거느린 승려 3백 명과 함께 궁궐을 공략했다.[14] 척준경은 자신의 동생과 아들의 시체를 발견하고 복수를 다짐하며 군사를 모아 궁성을 포위했다.[14]
인종이 직접 나타나 무장 해제를 명했으나, 척준경의 군사들은 듣지 않았다.[14] 척준경은 화공을 하기로 하고 동화문에 불을 질렀고, 불길은 내침까지 번져 궁궐 대부분이 불탔다.[16] 척준경은 궁궐을 빠져나오는 사람들을 죽이라고 명령했고, 인종을 호위하던 오탁은 낭장 장성에게 살해되었다.[16] 최탁, 권수, 고석 등도 척준경이 보낸 병사들에게 죽임을 당했다.[16]
결국 인종은 거처를 이자겸의 집으로 옮겨야 했고, 이 일로 이자겸과 척준경의 권세는 더욱 커졌다.[16] 궁궐은 대부분 불타고 산호정, 상춘정, 상화정 등 일부만 남았다.[16]
2. 3. 3. 이자겸 제거
1126년 이자겸의 권력 독점에 대한 불만이 커지자, 인종은 최사전 등의 조언에 따라 척준경을 회유하여 이자겸을 제거하려 했다.[17] 척준경은 이자겸의 아들 이지언이 자신이 궁궐에 불을 지른 것을 비난하는 것에 불만을 품고 있었다.[15]인종은 척준경에게 밀지를 내려 이자겸을 제거하고 왕실에 충성할 것을 종용했다.[17] 척준경은 이자겸의 아들 이지언의 종과 자신의 종 간의 싸움에서 이지언의 종이 척준경을 비난하는 말을 듣고 분노하여, 이자겸과의 관계를 끊을 결심을 굳혔다.[17]
인종의 밀지를 받은 척준경은 이자겸을 배신하고, 장교 7명과 관노 20여 명을 이끌고 궁궐로 향했다.[18] 이들은 무기가 없어 목책나무를 몽둥이 삼아 들고 갔다.[18] 궁궐에 도착한 척준경은 군사를 모아 이자겸을 체포하고 영광으로 유배 보냈다.[18]
이 공으로 척준경은 추충정국협모동덕위사공신(推忠靖國協謀同德衛社功臣)에 책봉되고, 검교태사 수태보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 판호부사 겸 서경유수(檢校太師 守太保 門下侍郞 同中書門下平章事 判戶部事 兼 西京留守)에 임명되었다.[18]
2. 4. 탄핵과 유배, 그리고 죽음
1127년 음력 3월, 정지상이 "이자겸을 제거한 일은 일시의 공이나 궁궐을 침범하고 불사른 것은 만세의 죄"라며 척준경을 탄핵하여 암태도로 유배되었다.[19] 1128년 음력 4월, 이자겸을 제거한 공을 참작하여 척준경의 귀양지를 암태도에서 고향인 황해북도 곡주로 옮겼다.[19] 1130년 음력 10월에는 "죄는 중하나 또한 공도 적지 않다" 하며 가족들과 한곳에 살도록 했다. 1132년 음력 11월에는 척준경의 아들에게 직전(職田)을 돌려주었다.1144년 (인종 22) 음력 2월, 인종은 척준경을 검교호부상서(檢校戶部尙書)에 임명했고, 척준경은 바로 상경했으나 얼마 가지 못해 등창으로 세상을 떠났다. 이후 인종은 그의 관직을 회복하고, 자손들에게도 출사길을 열어주었다.
3. 평가
척준경은 고려의 북동쪽 국경에서 동여진과의 전쟁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1104년(숙종 9년) 임간(林幹)이 이끄는 고려군이 패배했을 때, 척준경은 용감하게 적진에 돌입하여 적장을 죽이고 고려군이 퇴각할 수 있도록 도왔다.[2][4] 1108년(예종 3년)에는 윤관 장군 휘하에서 여진 정벌에 참여하여 석성(石城) 전투에서 큰 공을 세웠다.[2][5] 특히, 윤관과 오연총이 이끄는 고려군이 여진의 기습 공격을 받았을 때, 척준경은 동생 척준신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용감하게 싸워 윤관과 오연총을 구하고, 여진군을 격퇴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2][6]
이러한 공로로 척준경은 합문지후(閤門祗候)와 공부원외랑(工部員外郎)에 임명되는 등 빠른 승진을 거듭했다.[7] 하지만, 인척인 이자겸의 휘하로 들어가 권력을 남용하고, 인종 때 이자겸의 난 진압에 공을 세웠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유배되어 생을 마감했다.
이처럼 척준경은 뛰어난 무예와 용맹으로 여진족 정벌에 큰 공을 세웠으나, 권력 투쟁에 휘말려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는 외세 침략에 맞서 싸운 그의 공로를 높이 평가하는 한편, 권력 남용과 관련된 과오도 함께 고려하여 균형 있는 시각으로 바라본다.
4. 기타
척준경은 싸움을 매우 잘했으며, 당대 고려 최고의 무예 실력으로 명성을 떨쳤다.[1]
인종이 꾼 꿈을 척준경이 해몽한 일화가 전해진다.[1]
이자겸이 제거된 후 그의 두 딸도 왕비 자리에서 쫓겨났기 때문에 새로운 왕비를 맞이하게 되었다. 이 무렵 인종은 깨 다섯 되와 황규(黃葵) 서 되를 얻는 꿈을 꾸었는데, 척준경은 이 꿈이 아들 다섯을 얻고 그중 세 명이 왕위에 오를 것이라고 풀이하였다. 그의 말대로 새 왕비가 된 공예태후 임(任)씨의 자식들 중 의종, 명종, 신종이 나왔다.[1]
5. 가계
참조
[1]
웹사이트
척준경 (拓俊京)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5-28
[2]
웹사이트
척준경[拓俊京]: 칼 한 자루로 헤쳐 간 인생
http://contents.hist[...]
2024-05-28
[3]
웹사이트
척준경
https://www.doopedia[...]
2024-05-28
[4]
웹사이트
임간이 여진과 싸워 패하다
https://db.history.g[...]
2024-05-28
[5]
웹사이트
예종(睿宗) 2년 12월
https://db.history.g[...]
2024-05-29
[6]
웹사이트
예종(睿宗) 3년 1월
https://db.history.g[...]
2024-05-29
[7]
간행물
척준경拓俊京의 무공과 출세 : 장군
https://www.dbpia.co[...]
2024-05-29
[8]
논문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ruling class from late Silla to early Koryŏ
https://www.proquest[...]
University of Washington
2024-05-28
[9]
웹사이트
인종(仁宗) 3년 12월
https://db.history.g[...]
2024-05-29
[10]
웹사이트
인종(仁宗) 4년 2월
https://db.history.g[...]
2024-05-29
[11]
웹사이트
인종(仁宗) 4년 4월
https://db.history.g[...]
2024-05-29
[12]
서적
A History of Korea: From "Land of the Morning Calm" to States in Conflict
Indiana University Press
2012-11-05
[13]
서적
한권으로 읽는 고려왕조실록
도서출판 들녘
1996
[14]
서적
한권으로 읽는 고려왕조실록
도서출판 들녘
1996
[15]
서적
우리 한국사:정치사중심의 새로운 한국통사
푸른역사
2006
[16]
서적
한권으로 읽는 고려왕조실록
도서출판 들녘
1996
[17]
서적
한권으로 읽는 고려왕조실록
도서출판 들녘
1996
[18]
서적
한권으로 읽는 고려왕조실록
도서출판 들녘
1996
[19]
서적
한권으로 읽는 고려왕조실록
도서출판 들녘
1996
[20]
문서
참고문헌에 기록된 관직명 중 가장 자세히 기록된 것을 실었다.
[21]
문서
이 사실은 한국의 사료에는 나타나 있지 않으며, [[서긍]](徐兢)의 저서인 《[[고려도경]]》에 기록된 것이다.
[22]
문서
이 무렵 인종이 병들어 위중했는데, 무당이 척준경의 혼령이 병들게 했다고 하자 이를 달래기 위해 벼슬을 회복시켰다고 한다.
[23]
문서
"[[1963년]], 북한 사회과학 고전연구소 편찬, 대한민국 아름출판사 펴냄."
[24]
문서
"[[서긍]] 지음, 민족문화추진회 옮김, 서해문집 펴냄."
[25]
웹인용
이하의 저서 내용은 〈[http://www.minchu.or.kr/MAN/index.jsp 한국고전번역원]
http://www.minchu.or[...]
2013-08-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