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종 (고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종은 고려의 제13대 왕으로, 문종과 인예왕후의 아들로 태어났다. 형 순종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왕위에 올랐으며, 재위 기간 동안 불교와 유교의 균형적인 발전을 도모하고, 송, 일본, 여진 등과 광범위한 교역을 추진하여 국력을 안정시켰다. 의천의 귀국을 지원하고, 흥왕사에 교장도감을 설치하는 등 불교 진흥에도 힘썼다. 46세에 사망했으며, 능은 인릉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49년 출생 - 진관
진관은 북송 시대의 문인으로, 소식의 문하에서 배우고 친교를 맺었으며, 고문과 시에 능하고 특히 사에 뛰어나 ≪회해집≫과 ≪회해장단구≫ 등을 저술했으며, 그의 작품은 신세지감을 담아 완약사의 새로운 경지를 열었다고 평가받는다. - 1094년 사망 - 마흐무드 1세 (셀주크 제국)
마흐무드 1세는 셀주크 제국의 말리크샤 1세의 아들로, 어린 나이에 술탄으로 즉위했으나 권력 다툼과 내전, 그리고 천연두로 인해 사망하면서 셀주크 제국의 분열을 초래했다. - 1094년 사망 - 인목덕비
고려 문종의 왕비인 인목덕비는 경주 김씨 김원충의 딸이자 용절덕비의 자매로, 1049년 왕비로 책봉되었으나 1094년 사망하였고 문종과의 사이에서 낳은 딸은 요절하였다.
선종 (고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선종 (宣宗) |
휘 | 왕운 (王運), 왕증(王蒸), 왕기(王祈) |
자 | 계천 (繼天) |
시호 | 관인현순안성사효대왕(寬仁顯順安成思孝大王) |
묘호 | 선종 (宣宗) |
생년월일 | 1049년 10월 9일 |
사망일 | 1094년 6월 17일 (향년 44세) |
능묘 | 인릉(仁陵) |
신상 정보 | |
출생지 | 개성 정궁 |
아버지 | 문종 |
어머니 | 인예태후 이씨 |
형제자매 | 13남 7녀 중 차남 |
재위 정보 | |
왕위 계승 | 순종의 뒤를 이음 |
즉위년도 | 1083년 |
폐위년도 | 1094년 |
후임 | 헌종 |
가족 관계 | |
왕비 | 사숙왕후 이씨, 정신현비 이씨 |
후궁 | 원신궁주 |
자녀 | 2남 2녀 (4남 3녀) |
아들 | 헌종, 한산후, 2명의 이름 없는 왕자 |
딸 | 연화공주, 수안택주, 왕씨 공주 |
2. 생애
1049년 10월 15일(음력 9월 10일) 경자일에 태어났다. 고려 문종의 둘째 아들로 인예왕후 소생이었다. 처음 이름은 증(蒸) 또는 기(祈)이다. 글과 시를 잘 썼다. 부왕 문종에 의해 '''국원공'''(國原公)에 봉해졌으며, 1083년 형 순종이 병약하여 재위 3개월 만에 병사하자 바로 왕위를 계승하였다.
문종과 인예태후 이씨의 아들이다. 현종과 원혜왕후 김씨의 손자이며, 이자연과 계림국대부인 경주 김씨의 외손자이다.
선종의 집권기는 불교와 유교의 균형적인 발전을 토대로 매우 안정되었으며, 외교에서도 거란을 포함한 송, 일본, 여진 등과 광범위한 교역을 추진하며 주도권을 행사하였다.
1084년(선종 1년)에는 승과를 설치하고 불교를 장려하였으며, 변경을 지키는 사졸들에게 저고리와 바지를 하사하였다.
1085년(선종 2년) 왕의 아우 의천(義天)이 몰래 송나라에 들어가 2년 동안 불법을 공부하고 돌아오자 송나라에서 항의하였으나 선종은 사절을 보내 이를 무마시켰다. 의천을 태운 배가 예성강 포구에 도착하자 선종은 친히 마중나가 환영의식을 성대하게 하였는데 의천은 불경과 경서 1,000권을 바쳤고, 흥왕사(興王寺)에 교장도감(敎藏都監)을 세울 것을 건의하였으며, 송, 요, 일본 등지에서 서적을 사들여 거의 4,000여 권에 달하였는데 모두 간행하게 하였다.
1089년(선종 6년) 회경전에 13층 금탑을 세우고, 인예왕후의 청에 따라 천태종(天台宗)의 중심사찰인 국청사를 짓게 하였다.
1091년(선종 8년) 예부의 주장으로 국학에 72현의 상을 벽에 그려 붙였는데, 그 차례는 송나라 국자감의 예를 따르고, 그 복장은 10철(十哲)을 모방하게 하였다.
1092년(선종 9년) 병이 들어 의원이 처방한 약을 먹고 문득 시를 지었는데 “약효가 있고 없음이야 무엇을 염려하랴. 덧없는 인생 시작이 있었으니 어찌 끝이 없으리. 오직 원하는 것은 여러 가지 선행을 닦아 청청한 곳에 올라 부처에게 예를 드림이네.”라는 구절이 있어 만백성이 안타까워 하였다.
1094년(선종 11년) 2월, 열병식을 한 뒤 향년 46세로 승하하였다. 능은 개성 성동(城東)에 있는 인릉(仁陵)이며, 시호는 '''사효'''(思孝)이다.
불교와 유교의 균형적인 발전을 토대로 매우 안정되었으며, 외교에서도 거란을 포함한 송, 일본, 여진 등과 광범위한 교역을 추진하여 주도권을 행사했다.
1094년 5월에 재위 10년 7개월, 4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3. 가족 관계
관계 이름 비고 아버지 문종 제11대 국왕 어머니 인예태후 이씨 할아버지 현종 할머니 원혜왕후 김씨 외할아버지 이자연 외할머니 계림국대부인 경주 김씨
이씨 가문 출신 왕비 3명이 선종의 왕후였다.[4][5][6] 첫 번째 왕비는 사숙왕후로 이석과 강릉군부대부인 왕씨의 딸이다. 두 번째 왕비는 정신현비로 이예와 상궁 왕씨의 딸이다.[5] 후궁 원신궁주는 이정과 상당현군 왕씨의 딸로, 이자의의 난으로 유배되었다.[6][7]이름 생몰년 생모 배우자 비고 1 헌종
獻宗욱
昱1084년 - 1097년 사숙왕후 이씨 미혼[8] 제14대 국왕 2 한산후
漢山侯윤
昀[9]미상 원신궁주 이씨 미상 이자의의 난으로 유배 3 ▨▨군
▨▨君[10]미상 미상 미상 미혼 조졸 4 ▨▨군
▨▨君[11]미상 미상 미상 미혼 조졸
선종에게는 4명의 왕자가 있었다.[10][11] 첫째 아들은 헌종으로, 1084년에 태어나 1097년에 사망하였다.[8] 둘째 아들은 한산후 왕윤으로, 이자의의 난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9] 셋째와 넷째 아들은 이름이 전해지지 않으며, 어려서 일찍 죽었다.[10][11]
경화왕후는 정신현비 이씨 소생으로 1079년에 태어나 1109년에 사망하였으며, 예종의 제1왕후가 되었다. 수안택주는 사숙왕후 이씨 소생으로 1088년에 태어나 1128년에 사망하였으며, 미혼이었다. 이외에 이름이 전해지지 않는 공주가 한 명 더 있었는데, 사숙왕후 이씨 소생이며 미혼이었다.
3. 1. 부모
문종과 인예태후 이씨의 아들이다. 현종과 원혜왕후 김씨의 손자이며, 이자연과 계림국대부인 경주 김씨의 외손자이다.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문종 | 제11대 국왕 |
어머니 | 인예태후 이씨 | |
할아버지 | 현종 | |
할머니 | 원혜왕후 김씨 | |
외할아버지 | 이자연 | |
외할머니 | 계림국대부인 경주 김씨 |
3. 2. 왕후, 후궁
이씨 가문 출신 왕비 3명이 선종의 왕후였다.[4][5][6] 첫 번째 왕비는 사숙왕후로 이석과 강릉군부대부인 왕씨의 딸이다. 두 번째 왕비는 정신현비로 이예와 상궁 왕씨의 딸이다.[5] 후궁 원신궁주는 이정과 상당현군 왕씨의 딸로, 이자의의 난으로 유배되었다.[6][7]3. 3. 왕자
獻宗昱
漢山侯
昀[9]
▨▨君[10]
▨▨君[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