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우디아라비아 국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우디아라비아 국왕은 사우디아라비아의 국가 원수이자 사우드 가문의 수장이며, 2021년까지 총리를 겸임했다. 초대 국왕은 1932년 사우디아라비아를 통일한 이븐 사우드이며, 그의 아들들이 대를 이어 왕위를 계승해왔다. 현재 국왕은 살만이며, 왕세자는 무함마드 빈 살만이다. 국왕에 대한 비판은 불경죄로 간주되어 처벌받을 수 있으며, 왕실기는 녹색 바탕에 흰색 아랍어 서체와 칼, 금색 국장으로 구성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우디아라비아 국왕 - 사우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사우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는 사우디아라비아의 국왕(1953년~1964년)으로, 아버지의 통치 기간 동안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왕세자 시절 외교 활동과 국내 개혁을 추진했으나, 재정난과 이복형제 파이살과의 권력 투쟁으로 퇴위당한 후 망명 생활을 하다 사망하여 그의 통치는 사우디아라비아 근대화 과정에서 복합적인 평가를 받는다.
  • 사우디아라비아 국왕 - 파흐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파흐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제5대 국왕으로, 교육부 장관과 내무장관을 역임 후 1982년 국왕에 즉위하여 걸프 전쟁 등 국제적 사건에 대처하고 "두 성지의 수호자" 칭호를 사용하며 이슬람적 권위를 강조하다 2005년 사망했다.
  • 사우디아라비아의 역사 - 아바스 칼리파국
    아바스 칼리파국은 750년 우마이야 칼리파국을 멸망시키고 건국된 이슬람 제국으로, 메소포타미아를 중심으로 이슬람 황금기를 이끌었으나 1258년 몽골 제국에 의해 멸망하고 카이로에서 명맥을 유지하다 1517년 오스만 제국에 의해 종식되었다.
  • 사우디아라비아의 역사 - 이크완
    이크완은 1913년경 이븐 사우드가 시작한 와하비즘 종교 운동이자 군사 조직으로, 사우디 확장에 기여했으나 근대 문명 반발과 정책 차이로 사우드 가문에 의해 진압되었으며, 이후 사우디 아라비아 국가방위군의 모체가 되었다.
사우디아라비아 국왕
기본 정보
살만 국왕
국가사우디아라비아
직위국왕
관저알 야마마 궁전(리야드)
스타일두 성모스크의 수호자(공식)
웹사이트사우드 왕가 웹사이트
통치
현 국왕살만
즉위일2015년 1월 23일
후계자무함마드 빈 살만
초대 국왕압둘아지즈
건국일1932년 9월 23일
권한 및 역할
역할국가 원수 및 정부 수반
정치
정치 체제절대군주제
관련 문서
관련 정보사우디아라비아의 정치
사우디아라비아의 국왕 목록

2. 역사

압둘아지즈 알 사우드 국왕은 1932년 9월 23일 사우디아라비아 왕국을 건국했다.[5][6]

1992년 제정된 기본법에 따라 사우디아라비아 국왕과 두 성지 모스크의 수호자 지위는 초대 국왕 아브드 알 아지즈 이븐 사우드의 남자 후손이 계승한다. (사우드 가문 참조). 초대 국왕은 일부다처제를 채택하여 36명의 아들이 있었기 때문에, 제2대 국왕부터 제7대 국왕까지 형제들이 왕위를 계승해 왔다. 1986년 "국왕 폐하"에서 "두 성지 모스크의 수호자"로 호칭이 변경되었다.

이름사진출생사망재위 시작재위 종료비고
1압둘아지즈
عبد العزيزar
--1875년 1월 15일1953년 11월 9일1932년 9월 23일1953년 11월 9일정복을 통해 왕국 건설, 압둘 라흐만과 사라 빈트 아흐메드 알 수다이리의 아들, 사우드 가
2사우드
سعودar
--1902년 1월 12일1969년 2월 23일1953년 11월 9일1964년 11월 2일
(퇴위)
압둘아지즈 국왕과 와다 빈트 무함마드 알 오라이르의 아들, 사우드 가
3파이살
فيصلar
--1906년 4월 14일1975년 3월 25일1964년 11월 2일1975년 3월 25일
(암살)
압둘아지즈 국왕과 타르파 빈트 압둘라 알 셰이크의 아들, 사우드 가
4할리드
خالدar
--1913년 2월 13일1982년 6월 13일1975년 3월 25일1982년 6월 13일압둘아지즈 국왕과 알 자우하라 빈트 무사드 알 사우드의 아들, 사우드 가
5파흐드
فهدar
--1921년 3월 16일2005년 8월 1일1982년 6월 13일2005년 8월 1일압둘아지즈 국왕과 후사 빈트 아흐메드 알 수다이리의 아들, 사우드 가
6압둘라
عبد اللهar
--1924년 8월 1일2015년 1월 23일2005년 8월 1일2015년 1월 23일압둘아지즈 국왕과 파흐다 빈트 아시 알 샴마리의 아들, 사우드 가
7살만
سلمانar
--1935년 12월 31일현직2015년 1월 23일현직압둘아지즈 국왕과 후사 빈트 아흐메드 알 수다이리의 아들, 사우드 가


2. 1. 사우디아라비아 통일 과정

서방 세계에서 이븐 사우드로 알려진 압둘아지즈 알 사우드 국왕은 1902년에 현재의 사우디아라비아로 알려진 그의 세습 영지를 되찾았다. 그는 자신의 가문을 리야드 토후국의 아미르로 복원한 후, 1922년에는 네지드 술탄국을 자신의 본부로 삼았다. 리야드를 자신의 국가의 수도로 건설한 후, 이븐 사우드는 1925년에 헤자즈 왕국을 점령했다.[4]

이븐 사우드는 지역 통일을 완료하기 직전인 1921년에 자신의 영토를 네지드 술탄국으로 선포했다. 그는 1926년 헤자즈의 국왕(말리크)으로 선포되었고, 1927년에는 나지드를 왕국으로 승격시켰다. 그 후 5년 동안 이븐 사우드는 자신의 영토를 헤자즈와 네지드 왕국이라는 두 개의 별도 단위로 통치했다. 1932년 9월 23일, 그는 자신의 영토를 사우디 아라비아 왕국으로 정식으로 통합했다.[5][6]

3. 왕위 계승

이븐 사우드의 사망 이후 역대 국왕은 모두 그의 아들이었으며, 현 국왕 살만의 즉위 시 가장 유력한 후계자 역시 그의 자손 중에서 나올 가능성이 크다.[7] 이는 광범위하고 명확하게 정의된 왕족과 왕위 계승 서열을 특징으로 하며, 장자 상속 제도를 사용하는 서구 군주제와는 사뭇 다른 모습이다. 무함마드 빈 나예프는 2017년 왕세자 자리에서 왕실 칙령에 의해 폐위되기 전, 이븐 사우드의 손자 중 처음으로 왕위 계승 서열에 포함된 인물이었다.[8]

사우디아라비아 왕위와 두 성지 모스크의 수호자 지위는 1992년에 제정된 기본법에 의해 초대 국왕인 아브드 알 아지즈 이븐 사우드의 남자 후손이 계승하도록 정해져 있다. (사우드 가문 참조). 초대 국왕은 일부다처제를 채택하여 36명의 아들이 있었기 때문에, 제2대 국왕부터 제7대 국왕까지 형제들이 왕위를 계승해 왔다. 1986년에 "국왕 폐하"에서 "두 성지 모스크의 수호자"로 호칭을 변경했다.

3. 1. 역대 국왕

국왕출신 가문재위 기간비고
1압둘아지즈
알사우드

(이븐 사우드)
사우드 가문1932년 8월 14일
~ 1953년 11월 9일
2사우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사우드 가문1953년 11월 9일
~ 1964년 11월 2일
압둘아지즈의 2번째 아들
3파이살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사우드 가문1964년 11월 2일
~ 1975년 3월 25일
압둘아지즈의 3번째 아들
4칼리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사우드 가문1975년 3월 25일
~ 1982년 6월 13일
압둘아지즈의 5번째 아들
5파흐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사우드 가문1982년 6월 13일
~ 2005년 8월 1일
압둘아지즈의 9번째 아들
6압둘라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사우드 가문2005년 8월 1일
~ 2015년 1월 23일
압둘아지즈의 12번째 아들
7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사우드 가문2015년 1월 23일
~ 현재
압둘아지즈의 25번째 아들


3. 2. 현재 왕위 계승자

무함마드 빈 살만


현재 왕위 계승자는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이다. 1985년 8월 31일에 태어났으며, 살만 국왕과 파흐다 빈트 팔라 알 하슬라인의 아들이다.[11] 2017년 6월 21일에 왕세자로 책봉되었다.

직책사진이름생몰년임기 시작비고
왕세자무함마드 빈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محمد بن سلمان بن عبد العزيز آل سعودar
2017년 6월 21일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국왕의 아들


4. 국왕의 권한 및 역할

사우디아라비아 국왕은 사우드 가문의 수장이며, 2021년까지 총리를 겸임했다. 왕세자는 2021년까지 "부총리"였으며, 현재는 총리이다. 파이살 이후 국왕들은 왕세자 다음 후계자로 "제2부총리"를 임명해 왔다.

4. 1. 비판에 대한 탄압

국왕, 종교 지도자 또는 정부에 대한 비판은 허용되지 않으며, 비판자에게는 일반적으로 징역형이 부과될 수 있다. 또한,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9][10]

5. 왕실기

왕실기는 녹색 바탕에 흰색 아랍어 서체와 칼이 그려져 있으며, 오른쪽 하단에는 금색으로 국장이 수놓아져 있다.[12]

국왕의 왕실기


깃발의 글자는 술루스체로 쓰여 있으며, 이슬람 신앙 고백인 ''샤하다''이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 لَا إِلٰهَ إِلَّا الله مُحَمَّدٌ رَسُولُ الله|lā ʾilāha ʾillā-llāh, muhammadun rasūlu-llāh|알라 외에는 신이 없으며, 무함마드는 알라의 사도이다.ar [13]

참조

[1] 웹사이트 Saudi Arabia - Government and society https://www.britanni[...] 2020-07-26
[2] 웹사이트 Story behind the king's title https://www.arabnews[...] 2015-01-27
[3] 웹사이트 King Salman of Saudi Arabia Ranked as the Most Influential Muslim in 2023 https://theislamicin[...] 2022-10-31
[4] 웹사이트 History {{!}} The Embassy of The Kingdom of Saudi Arabia https://www.saudiemb[...] 2020-07-26
[5] 웹사이트 About Saudi Arabia https://www.sa.undp.[...] 2020-07-26
[6] 웹사이트 History of Saudi Arabia. ( The Saudi National Day 23, Sep ) https://www.pmu.edu.[...] 2020-07-26
[7] 웹사이트 Governance and Politics of Saudi Arabia https://fanack.com/s[...] 2020-07-26
[8] 웹사이트 Mohammed bin Salman becomes Saudi Crown Prince with 31 out of 34 votes https://english.alar[...] 2017-06-21
[9] 웹사이트 Saudi expats launch opposition party on anniversary of Jamal Khashoggi's death https://www.theguard[...] 2020-10-02
[10] 서적 Saudi Arabia: Events of 2019 https://www.hrw.org/[...] 2019-12-12
[11] 뉴스 Who is Saudi Crown Prince Mohammed? https://www.bbc.com/[...] BBC News 2020-07-28
[12] 웹사이트 Royal Standard (Saudi Arabia) https://www.crwflags[...] 2020-07-28
[13] 웹사이트 About Saudi Arabia: Facts and figures http://www.saudiemba[...] The Royal Embassy of Saudi Arabia, Washington D.C 2012-04-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