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리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말리크는 아카드어에서 유래된 칭호로, 메소포타미아의 군주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이후 레반트와 가나안 지역의 통치자를 뜻하는 북서 셈어 mlk에서 파생되었다. '말리크'는 아랍어로 왕을 의미하며, 현재 바레인, 요르단, 모로코, 사우디 아라비아 등 일부 아랍 왕국에서 국왕의 칭호로 사용된다. 또한, '말리크'는 부족 지도자나 특정 계급을 지칭하는 데에도 사용되었으며, 아르메니아, 조지아, 남아시아 등 다양한 지역에서 그 용법이 나타난다.
"말리카"(Maloka)라는 이름의 가장 초기 형태는 동셈어의 아카드어에서 유래했으며,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아카드 제국, 아시리아, 바빌로니아, 칼데아의 군주나 족장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1] 후기 청동기 시대부터 레반트와 가나안 지역에서는 아모리인, 수테안, 가나안인, 페니키아인, 아람인 등이 거주하는 도시 국가들의 통치자를 일컫는 말로 북서 셈어 "mlk"가 사용되었다. 이 단어에서 파생된 형태로는 아람어, 신아시리아어, 만다어, 아랍어의 "말리크"(Malik), "말레크"(Malek), "말릭"(Mallick), "말카"(Malkha), "말카"(Malka), "말카이"(Malkai)와 히브리어의 "메레크"(Melek)가 있다.
'말리크'는 본래 '맘라카'라고 불리는 왕국의 통치 군주를 뜻한다. 그러나 이 용어는 "영토"와 같은 더 넓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며, 사히브 알-맘라카와 같이 일반적으로 더 낮은 직함을 가진 통치자에게도 사용된다. 파슈툰족처럼 부족 지도자를 지칭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2. 어원
몰렉(Moloch)은 전통적으로 "왕"과 같은 신의 칭호로 해석되었는데, 바알은 "주인", 아돈은 "주"라는 칭호였다. 몰렉은 히브리어 "보세트"(bosheth, "수치")의 모음을 사용하여 "멜레크"(Meleḵ) 대신 "몰레크"(Moleḵ)로 의도적으로 잘못 발음되었다.[2]
3. 정치적 용법
말리크는 일반적으로 지배자를 의미하며, 중동의 군주 칭호 중 하나이다. 쿠란에는 "신만이 왕이다"라는 구절이 있으며, 이슬람교의 예언자 무함마드 사후 칼리파에 의한 아랍 일대의 통치가 이루어지면서 말리크는 비이슬람 지배자를 의미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슬람 지배자였던 우마이야 왕조의 칼리파는 비이슬람 왕권을 행사했기 때문에 우마이야 왕조의 군주는 칼리파가 아닌 말리크로 여겨졌다.
아바스 왕조의 최전성기였던 9세기 이후, 아라비아에서는 옛 사산 제국의 지배 영역에 여러 왕조가 성립되었는데, 이들의 군주는 말리크, 또는 페르시아 제국의 '샤한샤'(페르시아어로 '대왕'을 의미) 등의 군주 칭호를 사용하게 되었다.
11세기 이후 성립한 셀주크 제국에서는 군주 칭호가 술탄으로 일반화되었지만, 말리크 칭호도 함께 사용되었다. 20세기에 들어 중동의 이슬람권에서 여러 왕국이 수립되었고, 국왕의 칭호로 말리크가 채택되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중동의 이슬람 소왕국은 잇따라 붕괴되었고, 말리크 칭호의 지위도 하락했다.
말리크라는 단어는 때때로 아랍어로 외국 통치자의 대략적인 동등한 칭호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연대기 작가 바하 알-딘 이븐 샤다드는 잉글랜드의 리처드 1세를 ''말리크 알-잉키타르''라고 언급한다.
말리크는 아랍어를 차용어로 사용하는 언어(주로 이슬람 문화권)에서 다양한 왕자나 낮은 계급 및 기능에 사용되기도 한다.
3. 1. 현대의 말리크 칭호 사용 국가
현재 말리크 칭호를 사용하는 국가는 다음과 같다.국가 군주 즉위일 비고 바레인 하마드 빈 이사 알할리파 2002년 2월 14일 1971년 8월 16일까지 하킴(통치자), 이후 에미르(왕자) 칭호 사용 요르단 압둘라 2세 1999년 2월 7일 이전 트란스요르단 토후국 모로코 무함마드 6세 1999년 7월 23일 이전 술탄국 사우디아라비아 살만 빈 압둘아지즈 2015년 1월 23일 1932년 9월 22일 건국, 정식 명칭 '말리크 알-맘라카 알-아라비야 아스-사우디야 (사우디아라비아 왕국의 왕), 1986년부터 카딤 알-하라마인 아시-샤리파인''(메카와 메디나의 봉사자(즉, 보호자)) 칭호 추가
헤자즈는 1916년 6월 10일, 메카의 대샤리프가 헤자즈의 왕이라는 칭호를 사용하면서 건국되었다. 1916년 10월 29일부터는 "아랍의 왕이자 신자들의 지휘관"이었으며, 1916년 11월 6일부터는 연합국에 의해 헤자즈의 왕, 신자들의 지휘관, 대샤리프 및 메카의 에미르로 인정받았다. 또한 1924년 3월 11일에는 칼리프라는 칭호도 사용했다. 1924년 10월 3일부터는 헤자즈의 왕이자 메카의 대샤리프였다. 1925년 네지드가 헤자즈를 정복하여 네지드의 술탄은 "헤자즈의 왕"이라는 칭호를 추가했다.[5]
3. 2. 과거의 말리크 칭호 사용 국가
3. 3. 기타 용법
본래 '말리크'는 '맘라카'라고 불리는 왕국의 통치 군주를 뜻하지만, 파슈툰족과 같이 부족 지도자를 지칭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말리크는 아랍어를 차용어로 사용하는 언어(주로 이슬람 문화권)에서 다양한 왕자나 낮은 계급 및 기능에 사용되기도 한다.
말리크라는 단어는 때때로 아랍어로 외국 통치자의 대략적인 동등한 칭호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연대기 작가 바하 알-딘 이븐 샤다드는 잉글랜드의 리처드 1세를 '말리크 알-잉키타르'라고 언급한다.
4. 종교적 용법
"말리카"(Maloka)라는 이름의 가장 초기 형태는 동셈어의 아카드어로, 메소포타미아의 아카드 제국, 아시리아, 바빌로니아, 칼데아의 군주나 족장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1] 북서 셈어 "mlk"는 주로 아모리인, 수테안, 가나안인, 페니키아인, 아람인이 거주하던 레반트와 가나안의 도시 국가들의 통치자를 일컫는 칭호였으며, 후기 청동기 시대부터 사용되었다. 최종 파생형으로는 아람어, 신아시리아어, 만다어, 아랍어 형태인 "말리크"(Malik), "말레크"(Malek), "말릭"(Mallick), "말카"(Malkha), "말카"(Malka), "말카이"(Malkai)와 히브리어 형태인 "메레크"(Melek)가 있다.
''몰렉''(Moloch)은 전통적으로 "왕"과 같은 신의 칭호로 해석되었는데, 바알은 "주인"이라는 칭호였고, 아돈은 "주"라는 칭호였다. 몰렉의 경우, 히브리어 "보세트"(bosheth, "수치")의 모음을 사용하여 "멜레크"(Meleḵ) 대신 일부러 잘못 발음하여 "몰레크"(Moleḵ)로 불렀다.[2]
아시리아 동방 교회의 거룩한 누룩 성사에도 관련 내용이 있다.[3] 이슬람교에서는 신의 이름 중 하나이며, 절대적인 의미에서 ''알 말리크''(الملك) 또는 ''만국의 왕'' (정관사로 표시)으로, 모든 지상 통치자 위에 있는 왕 중의 왕을 의미한다. 따라서 압델멜리크("왕[알라]의 종")는 아랍 남성 이름이다. 성경 히브리어에서 몰렉은 신의 이름이거나 역사적으로 북아프리카와 레반트의 페니키아 및 관련 문화와 관련된 특정 종류의 제물이다. 멜카르트("도시의 왕")는 페니키아 및 푸니 신이었다. 멜키트인(시리아어 ''malkāyâ'', ܡܠܟܝܐ, "제국")은 중동의 여러 기독교 교회 구성원이며, 원래 비잔틴 황제를 지지했던 사람들이다.
5. 파생 칭호
- '''말리카'''(Malika)는 아랍어에서 파생된 여성형으로, 페르시아에서 왕비의 칭호로 사용되었다. 여성의 이름으로도 자주 사용되며, 예로 '말리카-이-자한'(Malika-i-Jahan)은 '세계의 여왕'이라는 뜻이다.
- '''사히브 우스-수무 알-말리크'''(Sahib us-Sumuw al-Malik, 여성형: Sahibat us-Sumuw al-Malik)는 전하를 위한 아랍식 칭호이며, 특히 이집트 말리크 왕조의 왕자들에게 사용되었다.
다음은 페르시아에서 흔히 사용되는 칭호의 구성 요소이며, 인도의 무굴 전통 등 다른 곳에서도 사용되었다.
- '''- 울-물크'''(ul-Mulk 또는 ul-Molk): 왕국의. 예: 구자라트의 술탄을 위해 라호르의 총독으로 봉사한 말리크 우스만 칸(Malik Usman Khan)은 세습적 칭호로 '주브다트 울-물크'(Zubdat ul-Mulk, '왕국의 최고')라는 칭호를 받았으며, 이는 그의 상속자들, 팔란푸르의 통치 디완(1910년부터 나와브로 승격) 칭호의 일부로 유지되었다.
- '''- 울-마말루크'''(ul-Mamaluk, ''울-물크''의 복수형): 왕국들의.
인도 무슬림의 거대한 예우 국가인 하이데라바드에서 무굴 파드샤(황제)의 고귀한 페르시아 궁정 의례를 모방한 첫 번째 계급의 봉신은 '''몰크'''라는 단어가 통치 니잠 궁정의 고귀한 무슬림 가신에게 사용되는 칭호 중 하나가 되었다. 실제로 자 (가장 높은)와 우마라 다음으로 세 번째 계급이지만, 다울라, 장, 나와브, 칸 바하두르 및 칸보다 높았다. 니잠의 힌두 가신에게는 몰크에 해당하는 반트와 같은 다른 칭호가 사용되었다.
6. 남아시아에서의 용법
아랍어 용어는 파키스탄 북서부 부족 지역에서 "부족장"을 지칭하는 용어로 채택되었다. 파키스탄의 부족 파슈툰 사회에서 말리크는 지역 분쟁의 사실상 중재자, 국가 정책 결정의 대화 상대, 세금 징수자, 마을 및 읍 의회 수장, 그리고 지방 및 국가 ''지르가''(jirgas) 및 의회 대표 역할을 한다.
펀자브에서 "말리크"(Malik)는 문자 그대로 "왕" 또는 "군주"를 의미하며, 펀자브의 명망 있는 특정 귀족 가문, 더 공식적으로는 자민다르들이 사용하는 칭호이다. 이 존경받는 칭호를 보유하고 시작한 실제 씨족은 "아완" 부족이다. 그들은 무술 전사 부족이며, 여러 세대와 역사적 시대를 통해 다양한 측면과 관련되어 왔다. 그들은 전사 씨족으로 시작하여 부유한 지주로 정착한 것으로 여겨진다. 펀자브 민족학에서 말리크 아완은 존경받는 전사로 여겨진다.
무슬림 말리크 공동체는 파키스탄 전역에 정착해 있으며, 시크교도 말리크는 인도에 정착해 있다. 말리크는 가트왈라(Gathwala)로도 알려져 있다. 가트왈라는 현재 자신들을 말리크로 칭하고 있다. 말리크 칭호의 인기로 인해, 구자라티 펀자비 등 많은 펀자브 하위 카스트가 펀자브 카스트 제도에서 인정을 받기 위해 이 칭호를 채택했다.
7. 이름
말리크(Malik) 또는 말렉(Malek)은 이름과 성에 흔히 사용되는 요소이며, 일반적으로 귀족적인 의미는 없다.
이름 | 설명 |
---|---|
말리크 암바르 | 아흐마드나가르 술탄국의 에티오피아 군사 지도자 |
말리크 알 나시르 | 영국의 작가이자 시인 |
말리크 샤킬 아완 | 파키스탄 정치인 |
Malik Basit영어 | 미국의 래퍼 (1972–2020) |
Malik Beasley영어 | 미국의 농구 선수 (1996년 출생) |
Malik Bendjelloul영어 | 스웨덴의 아카데미상 수상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자, 저널리스트, 아역 배우 |
말리크 카니 | 미국의 미식축구 선수 (1995년 출생) |
말리크 클레멘츠 | 미국의 미식축구 선수 (1996년 출생) |
말리크 커닝햄 | 미국의 미식축구 선수 (1998년 출생) |
말리크 데이비스 | 미국의 미식축구 선수 (1998년 출생) |
말리크 딕슨 | 미국의 농구 선수 (1975년 출생) |
말리크 엘리슨 | 미국 농구 선수 (1996년 출생) |
말리크 에반스 | 미국 정치인 (1980년 출생) |
말리크 피츠 | 미국의 농구 선수 (1997년 출생) |
말리크 플라워스 | 미국의 미식축구 선수 (1999년 출생) |
말리크 프리카 | 프랑스 배우이자 브레이크 댄서 (2006년 또는 2007년 출생) |
말리크 가브둘린 | 카자흐스탄 작가 |
말리크 게인스 | 미국 예술가 (1973년 출생) |
말리크 가이신 | 러시아 사업가 (1959년 출생) |
말리크 골든 | 미국 미식축구 선수 (1993년 출생) |
말리크 헤어스턴 | 미국의 농구 선수 (1987년 출생) |
말리크 햄 | 미국의 미식축구 선수 (2000년 출생) |
말리크 해리스 | 독일의 가수 (1997년 출생) |
말리크 해리슨 | 미국의 미식축구 선수 (1998년 출생) |
말리크 히스 | 미국의 미식축구 선수 (2000년 출생) |
말리크 헨리 | 미국의 미식축구 선수 (1997년 출생) |
말리크 헤링 | 미국의 미식축구 선수 (1997년 출생) |
말리크 후커 | 미국의 미식축구 선수 (1996년 출생) |
말리크 잭슨 | 여러 명 |
말리크 제퍼슨 | 미국의 미식축구 선수 (1996년 출생) |
말리크 존슨 | 미국의 농구 선수 (1997년 출생) |
말리크 존슨 | 캐나다의 축구 선수 (1998년 출생) |
말리크 아타 무함마드 칸 | 말리크-아완 씨족의 족장, 저명한 봉건 영주이자 정치가 |
나와브 말리크 아미르 모하마드 칸 | 칼라바그의 나와브, 말리크-아완 부족의 족장 |
말리크 페로즈 칸 눈 | 전 파키스탄 총리 |
말리크 키자르 하야트 티와나 | 펀자브 연합당 펀자브 총리 |
말리크 코샤바 | 티아레 부족의 아시리아 부족 지도자 |
말리크 놀스 | 미국의 미식축구 선수 (2000년 출생) |
말리크 맥도웰 | 미국의 미식축구 선수 (1996년 출생) |
말리크 몽크 | 미국의 농구 선수 (1998년 출생) |
말리크 마더실 | 잉글랜드의 축구 선수 (2003년 출생) |
말리크 네이버스 | 미국의 미식축구 선수 (2003년 출생) |
말리크 뉴먼 | 미국의 농구 선수 (1997년 출생) |
말리크 오바마 | 케냐계 미국인 사업가 (1958년 출생) |
말리크 오스본 | 미국 농구 선수 (1998년 출생) |
말리크 페리스 | 스리랑카 과학자 |
말리크 핀토 | 미국 축구 선수 (2002년 출생) |
말리크 포프 | 미국 농구 선수 (1996년 출생) |
말리크 라힘 | 미국의 활동가 (1948년 출생) |
말리크 리브스 | 미국의 미식축구 선수 (1995년 출생) |
말리크 리드 | 미국의 미식축구 선수 (1996년 출생) |
말리크 르노 | 미국의 농구 선수 (2003년 출생) |
말리크 리아즈 | 파키스탄의 사업가이자 부동산 투자자 |
말리크 로즈 | 미국의 농구 선수 (1974년 출생) |
말리크 로지어 | 미국의 미식축구 선수 (1995년 출생) |
말리크 스콧 | 미국의 권투 선수 (1980년 출생) |
말리크 시리 | 미국의 농구 선수 (1970–2000) |
말리크 세쿠 | 미국의 변호사 (1964년 출생) |
말리크 샤바즈 | 말콤 엑스로도 알려진 미국의 이슬람 지도자이자 인권 운동가 (1925–1965) |
말리크 스탠리 | 미국의 미식축구 선수 (1996년 출생) |
말리크 테일러 | 미국의 미식축구 선수 (1995년 출생) |
말리크 쵸쿤테 | 프랑스 축구 선수 (1988년 출생) |
말리크 틸먼 | 미국의 축구 선수 (2002년 출생) |
말리크 터너 | 미국의 래퍼 |
말리크 터너 (미식축구) | 미국의 미식축구 선수 (1996년 출생) |
말리크 워싱턴 | 미국의 미식축구 선수 (2001년 출생) |
말리크 윌리엄스 | 미국의 농구 선수 (1998년 출생) |
말리크 윌리스 | 미국의 미식축구 선수 (1999년 출생) |
말리크 요바 | 미국의 배우이자 때때로 가수 (1967년 출생) |
말리크 자이르 | 미국의 미식축구 선수 (1995년 출생) |
압둘 말리크 | 준장(퇴역), 파키스탄 최초의 심장병 전문의, 국립 심장 재단 설립자 |
아누 말리크 | 인도 가수, 음악 감독 |
아르만 말리크 | 인도 가수 |
아트 말리크 | 파키스탄 출생 영국 배우 |
후마이마 말리크 | 파키스탄 출생 파키스탄 배우 |
페로즈 말리크 | 파키스탄 출생 파키스탄 배우, 원래 페로즈 칸으로 알려짐 |
케난 말리크 | 인도 출생 영국 과학 저술가 (1960년 출생) |
니쿤지 말리크 | 인도 배우 |
라미 말렉 | 미국 배우 |
쇼이프 말리크 | 파키스탄 크리켓 선수 |
스티브 말리크 | 미국 사업가, 스포츠 팀 구단주 (1965년 출생) |
타슈핀 말리크 | 파키스탄계 미국인 테러리스트 |
테렌스 맬릭 | 아시리아계 미국 영화 감독, 각본가, 프로듀서 (1943년 출생) |
비나 말리크 | 파키스탄 배우, TV 호스트, 모델 |
웬디 말리크 | 미국 배우, 전직 모델 |
야코프 말리크 | 소련 외교관 |
야신 말리크 | 카슈미르 정치인 |
제인 말리크 | 영국 가수 (1993년 출생) |
8. 현대의 말리크를 칭하는 국왕 및 왕비 (일본어 위키백과 참고)
2016년 7월 현재, 말리크를 칭하는 현역 국왕은 전 세계에 4명이 있다. 즉위 순서대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이름 | 국가 | 즉위일 | 비고 |
---|---|---|---|
압둘라 2세 | 요르단 | 1999년 2월 | |
무함마드 6세 | 모로코 | 1999년 7월 | |
하마드 빈 이사 알 할리파 | 바레인 | 2002년 2월 | 1999년 3월부터 2002년 2월까지는 수장(아미르) |
살만 빈 압둘아지즈 | 사우디 아라비아 | 2015년 1월 |
위 국왕들의 생존 배우자는 현역 마리카(왕비)이다. 배우자인 국왕의 즉위 순서대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이름 | 국가 | 즉위일 | 비고 |
---|---|---|---|
라니아 왕비 | 요르단 | 1999년 2월 | 압둘라 2세와 왕위 취임 전부터 혼인, الحسين بن عبد الله الثاني|후세인 황태자|en|Hussein, Crown Prince of Jordanar의 어머니 |
라라 살마 왕비 | 모로코 | 2002년 3월 | 무함마드 6세와 결혼, الحسن بن محمد|물레이 하산 황태자|en|Moulay Hassan, Crown Prince of Moroccoar의 어머니 |
سبيكة بنت إبراهيم آل خليفة|사비카 왕비|en|Sabika bint Ibrahim Al Khalifaar | 바레인 | 2002년 2월 | 하마드 빈 이사 알 할리파와 왕위 취임 전(1968년 10월)부터 혼인, سلمان بن حمد آل خليفة|살만 황태자|en|Salman, Crown Prince of Bahrainar의 어머니 |
사라 왕비 (Sarah bint Faisal Al Subai'ai) | 사우디 아라비아 | 2015년 1월 | 살만 빈 압둘아지즈의 두 번째 부인[5], 사우드 왕자 (Saud Bin Salman Bin Abdulaziz)의 어머니 |
파흐다 왕비 (Fahda bint Falah bin Sultan Al Hithalayn) | 사우디 아라비아 | 2015년 1월 | 살만 빈 압둘아지즈의 세 번째 부인[6], 무함마드 빈 살만 부황태자의 어머니 |
참조
[1]
서적
Ancient Mesopotamia
[2]
백과사전
Molech
http://www.britannic[...]
2008-03-22
[3]
서적
The Concise Oxford Dictionary of World Religions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4]
문서
Thaareekhuge therein Lakshadheebu
[5]
문서
1番目の妻スルターナ (Sultana bint Turki Al Sudairi) は、サルマーンがまだ王子であった(皇太子ですらなかった)2011年7月に亡くなっている。
[6]
문서
イスラームの法シャリーアでは最大で4人まで妻を娶ることが認められているが、サルマーンの妻は、スルターナ、サーラ王妃、ファハダ王妃の3名だけである。
[7]
문서
年齢の高い順に、スルターナの儲けたスルタン・ビン・アブドゥルアズィーズ・アル・サウード|スルターン王子、スルターナの儲けたアブドゥルアズィーズ王子|ar|عبد العزيز بن سلمان بن عبد العزيز آل سعود|en|Abdulaziz bin Salman、サーラ王妃の儲けたサウード王子 (Prince Saud Bin Salman Bin Abdulaziz) とな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