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이마 운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이마 운하는 핀란드 라펜란타 근처에서 시작하여 러시아 비보르크에서 끝나는 운하로, 사이마호와 비보르크만을 연결한다. 총 길이는 42.9km이며, 8개의 갑문과 14개의 교량이 설치되어 있다. 1856년 건설되었으나, 1940년 소련에 영토가 할양되면서 분단되었다. 1963년 핀란드가 소련의 운하지역을 조차하여 1968년부터 운행이 재개되었고, 2010년 조차 계약을 연장했다. 핀란드와 러시아 양국 간의 협력과 복잡한 역사를 보여주는 사례로,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국제 정세 변화가 운하 운영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운하 - 그리보예도프 운하
    그리보예도프 운하는 상트페테르부르크 중심부를 가로지르는 5km 길이의 수로로, 도시 배수 시스템 개선을 위해 건설되었으며 외교관이자 극작가인 그리보예도프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고 주요 관광 명소가 주변에 위치한다.
  • 러시아의 운하 - 쿠마마니치 운하
    카스피해와 흑해를 연결하기 위해 쿠마-마니치 단구 바닥을 따라 건설이 제안된 쿠마마니치 운하는, 기존의 수심이 얕은 운하를 대체하여 대형 선박의 항해를 가능하게 하고자 유라시아 운하라는 이름으로 카자흐스탄과 러시아에 의해 검토되고 있다.
  • 카렐리야 지협 - 안트레아 그물
    안트레아 그물은 고환경 연구와 한국과의 비교 연구에 활용되는 유물이며, 발견된 지역의 고환경 분석을 통해 당시 호수와 숲이 우거진 환경이었음을 추정하게 한다.
  • 카렐리야 지협 - 뇌테보리 화약
    뇌테보리 조약은 1323년 스웨덴과 노브고로드 간에 체결되어 스웨덴-노브고로드 전쟁을 종식시키고, 노브고로드가 3개의 카렐리아 교구를 스웨덴에 양도하며 핀란드 지역으로의 스웨덴 영향력 확대를 가져온 조약이다.
사이마 운하
지도 정보
사이마 운하
사이마 운하
일반 정보
이름사이마 운하
원어 이름 (핀란드어)Saimaan kanava
원어 이름 (스웨덴어)Saima kanal
원어 이름 (러시아어)Сайменский канал
길이42.9km
갑문 수8개
최대 선박 길이82.5m
최대 선박 폭12.6m
최대 선박 흘수4.35m
최대 선박 높이 제한24.5m
시작점사이마 호, 핀란드
종점핀란드 만 인근 비보르크, 러시아
역사
착공1845년
완공1856년
소유
기타

2. 지리

사이마 운하는 핀란드 라펜란타 근교 라우리찰라에서 시작하여 러시아 비보르크에서 끝나는 운하이다. 사이마호와 비보르크 만을 연결하며, 핀란드와 러시아 국경에 있는 누이야마 호와 러시아 내 3개의 작은 호수를 통과한다.

2. 1. 제원

총 길이는 42.9km이며, 이 중 핀란드 구간은 23.3km, 러시아 구간은 19.6km이다. 폭은 34m에서 55m 사이이다. 사이마호핀란드만의 표고차는 75.7m이다.

운하를 통과할 수 있는 선박의 최대 크기는 파나막스에 비유하여 "사이맥스" 규격으로 정해져 있다. 주요 제원은 다음과 같다.

항목제원
선박의 길이82.5m
선폭 (너비)12.6m
흘수4.35m
돛의 최고 높이24.5m



이 외에도 상선은 VHF 라디오 2대와 자동 식별 장치(AIS)를 갖춰야 하는 등의 요구 사항이 있다. 운하 임대 구역과 러시아 본토 사이에는 217개의 경계 기둥이 설치되어 있다.

2. 2. 갑문

사이마 운하에는 총 8개의 갑문이 있다. 핀란드 쪽에는 맬키아(Mälkiä), 무스톨라(Mustola), 소스쿠아(Soskua) 3개의 갑문이 있고, 러시아 쪽에는 팰리(Pälli), 일리스트오(Ilyistoye), 츠베토치노예(Tsvetochnoye), 이스크로프카(Iskrovka), 브루스니치노예(Brusnichnoye) 5개의 갑문이 있다.[1]

사이마 운하 갑문[1]
번호이름높이 (m)좌표국가
1브루스니치노예10.0러시아
2이스크로프카11.4러시아
3츠베토치노예5.5러시아
4일리스토예10.2러시아
5팰리11.7러시아
6소스쿠아8.3핀란드
7무스톨라7.3핀란드
8맬키아12.4핀란드



맬키아 갑문은 최대 낙차(12.4m)를, 츠베토치노예 갑문은 최소 낙차(5.5m)를 가진다.[1]

2. 3. 교량

사이마 운하에는 총 14개의 교량이 있다.

종류핀란드러시아
도로교 (총 12개)6개 (가동교 3개, 부동교 3개)6개 (가동교 4개, 부동교 2개)
철도교 (총 2개)1개 (부동교)1개 (부동교)


3. 역사

1856년 라펜란타비푸리(현재 러시아 비보르크) 사이에 사이마 운하가 건설되었다. 당시 두 도시는 모두 러시아 제국핀란드 대공국에 속해 있었다.[2]

1940년 모스크바 평화 조약에 따라 카렐리야 지협과 비보르크가 소비에트 연방에 할양되면서 사이마 운하는 분단되어 통행이 불가능해졌다.[2]

1963년 소련 측 운하 지대와 말리 비소츠키 섬을 50년 동안 핀란드에 조차하는 조약이 체결되었다. 핀란드는 운하 확장 공사를 진행하여 42.9km 길이의 운하를 1968년부터 운행하기 시작했다.[2]

2010년 핀란드는 러시아와 2013년부터 50년간 조차를 연장하는 협정을 체결했다(말리 비소츠키 섬 제외).[2] 2008년 협상에서 연간 조차료는 122만유로로 인상되었으며(10년마다 재검토), 새 협정은 2012년 2월 17일에 발효되었다.[2]

해운 규칙 및 운하 직원 고용에 관한 규정은 핀란드 관할 하에 있으며, 그 외의 모든 경우에는 러시아 법률이 적용된다. 국제 경계에서는 여권이 필요하지만, 운하 통과 시 러시아 비자는 필요하지 않다.

4. 국제 관계

1963년 소련의 운하 지대와 말리비소츠키 섬을 50년 동안 핀란드에 조차하는 조약이 체결되었다.[2] 핀란드는 운하 확장 공사를 진행했고, 1968년부터 운행이 시작되었다. 운하의 길이는 42.9km이다.

2008년에는 2013년 이후의 조차에 대해 연간 조차료를 29만유로에서 122만유로로 인상하고, 추가로 50년간 조차를 지속하기로 결정했다.[2] 조차료는 10년마다 재검토될 예정이다.

해운 규칙 및 운하 직원 고용에 관한 규정은 핀란드 관할이지만, 그 외의 경우에는 러시아 법률이 적용된다. 국제 경계에서는 여권이 필요하지만, 운하를 통과하는 데에는 러시아 비자가 필요하지 않다.

참조

[1] 웹사이트 Information on the Saimaa Canal locks https://vayla.fi/web[...] Finnish Transport Infrastructure Agency 2020-03-15
[2] 웹사이트 Russian-Finnish agreement on the lease of Saimaa Canal ratified http://en.kremlin.ru[...] 2011-1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