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항공본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림항공본부는 산림청 소속기관으로, 산불 진화, 산림 병해충 방제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1971년 산림청 항공대로 창설되어, 산림항공관리소, 산림항공관리본부를 거쳐 2010년 산림항공본부로 개편되었다. 본부에는 항공지원과, 산림항공과, 항공정비과, 항공안전과가 있으며, 전국에 산림항공관리소를 두고 있다. 산림항공본부의 주요 임무는 산불 진화, 산림 병해충 방제 등이며, 여러 차례의 항공기 추락 사고가 발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산림청 - 중부지방산림청
중부지방산림청은 대한민국 산림청 소속으로 대전, 세종, 충청남북도 지역의 산림 행정을 담당하며, 산림 재해 예방, 지속 가능한 산림 경영 및 자원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 대한민국 산림청 - 국립수목원
국립수목원은 조선 시대 왕실 숲에서 시작된 대한민국 최초의 국립수목원으로, 광릉 주변 지역을 보호하며 한국 전쟁 이후 수목원과 산림 박물관으로 조성되었으나, 2020년 노키즈존 지정으로 논란이 있었다. - 원주시 소재의 관공서 -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은 범죄 수사와 관련된 법의학, 법과학, 법공학 분야의 감정과 연구를 수행하는 행정안전부 소속 책임운영기관으로, 1955년 설립되어 강원도 원주시에 본원을 두고 전국에 걸쳐 과학수사 업무를 수행하며 전문 인력 양성에도 기여한다. - 원주시 소재의 관공서 - 국민건강보험공단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라 설립된 보건복지부 산하 준정부기관으로, 건강보험, 노인장기요양보험 사업을 관장하며, 2000년 국민의료보험관리공단과 직장 의료보험조합의 통합으로 출범하여 현재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에 본부를 두고 건강보험료 부과·징수, 보험급여 관리, 건강검진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 2010년 설립 - 대한민국 고용노동부
대한민국 고용노동부는 고용, 노동 관련 사무를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사회부 노동국에서 출발하여 노동청, 노동부를 거쳐 2010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고용정책, 근로조건, 노사관계, 산업안전보건 등의 업무를 관장한다. - 2010년 설립 - 대한민국 여성가족부
대한민국 여성가족부는 여성 정책, 가족 및 다문화가족 정책, 아동·청소년 관련 사무를 수행하며,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2005년 출범했지만, 셧다운제 시행, 예산 낭비 논란 등 다양한 논란에 휩싸여 존폐론이 제기되기도 한다.
| 산림항공본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현지어 이름 | Forest Aviation Headquarters |
| 설립일 | 2010년 10월 18일 |
| 전신 | 산림항공관리본부 |
| 소재지 |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지정면 구재로 229 |
| 직원 | 207명 |
| 상급 기관 | 대한민국 산림청 |
| 조직 | |
| 기관장 이름 | 본부장 |
2. 연혁
- 1971년 4월 1일: 산림청항공대 창설.[3]
- 1991년 5월 31일: 산림청 소속 산림항공관리소 설치.[3]
- 1996년 12월 31일: 익산·양산지소 설치.[4]
- 1998년 8월 1일: 원주지소 설치.[5]
- 2000년 6월 23일: 영암지소 설치.[6]
- 2001년 12월 31일: 안동·강릉지소 설치.[7]
- 2004년 5월 24일: 진천지소 설치.[8]
- 2006년 7월 27일: 산림항공관리본부로 개편 및 익산·양산·원주·영암·안동·강릉·진천산림항공관리소로 개편.[9][10]
- 2009년 4월 30일: 함양산림항공관리소 설치.[11]
- 2010년 10월 18일: 산림항공본부로 개편.[12]
- 2013년 5월 22일: 청양산림항공관리소 설치.[13]
- 2013년 9월 26일: 원주산림항공관리소 폐지, 서울산림항공관리소 설치.[14]
- 2013년 10월 22일: 강원도 원주시로 청사 이전.[15]
- 2014년 8월 27일: 울진산림항공관리소 설치.[16]
- 2017년 6월 20일: 제주산림항공관리소 설치.[17]
2. 1. 창설 및 초기 발전 (1971년 ~ 1991년)
1971년 4월 1일, 산림청 항공대가 창설되었다. 1991년 5월 31일에는 산림청 소속으로 산림항공관리소가 설치되었다.[3]2. 2. 산림항공관리소 설치 및 확장 (1991년 ~ 2006년)
1991년 5월 31일 산림청 소속으로 산림항공관리소가 설치되었다.[3] 1996년 12월 31일에는 익산과 양산에 지소가 설치되었고,[4] 1998년 8월 1일에는 원주지소가 설치되었다.[5] 2000년 6월 23일에는 영암지소가,[6] 2001년 12월 31일에는 안동과 강릉지소가 설치되었다.[7] 2004년 5월 24일에는 진천지소가 설치되었다.[8]2006년 7월 27일 산림항공관리본부로 개편되면서,[9] 익산, 양산, 원주, 영암, 안동, 강릉, 진천지소는 익산, 양산, 원주, 영암, 안동, 강릉, 진천산림항공관리소로 개편되었다.[10]
2. 3. 산림항공관리본부 및 산림항공본부로의 개편 (2006년 ~ 현재)
2006년 7월 27일 산림항공관리본부로 개편되었다.[9] 이와 함께 익산, 양산, 원주, 영암, 안동, 강릉, 진천지소를 익산, 양산, 원주, 영암, 안동, 강릉, 진천산림항공관리소로 개편하였다.[10] 2009년 4월 30일에는 함양산림항공관리소를 설치하였고,[11] 2010년 10월 18일 산림항공본부로 개편되었다.[12]2013년 5월 22일 청양산림항공관리소를 설치하였으며,[13] 같은 해 9월 26일 원주산림항공관리소를 폐지하고 서울산림항공관리소를 설치하였다.[14] 2013년 10월 22일에는 청사를 강원도 원주시로 이전하였다.[15] 2014년 8월 27일 울진산림항공관리소가,[16] 2017년 6월 20일에는 제주산림항공관리소가 설치되었다.[17]
3. 조직
산림항공본부는 본부와 소속기관으로 구성된다. 본부에는 항공지원과, 산림항공과, 항공정비과, 항공안전과가 있다. 소속기관으로는 익산, 양산, 영암, 안동, 강릉, 진천, 함양, 청양, 서울, 울진, 제주 산림항공관리소가 있다.
3. 1. 본부
3. 2. 소속기관
4. 사건사고
산림항공본부는 헬기 추락 사고가 여러 번 있었다. 2001년 양산항공관리소 KA-32 헬기가 신불 산불 진화 중 추락했고[23], 2006년 강릉항공관리소, 2007년 진천항공관리소 헬기가 방제 작업 중 추락했다.[24][25] 2011년과 2013년에도 헬기가 추락했다.[26][27] 이 사고들로 여러 명의 조종사와 승무원이 순직했다.
4. 1. 주요 사건
| 발생일 | 소속 | 기종 | 사고 내용 | 인명 피해 |
|---|---|---|---|---|
| 2001년 5월 17일 | 양산항공관리소 | KA-32 | 신불 진화 중 추락[23] | 3명 순직 |
| 2006년 7월 27일 | 강릉항공관리소 | ANSAT305 | 방제 작업 중 추락[24] | 1명 순직 |
| 2007년 8월 20일 | 진천항공관리소 | Bell206-L3 | 방제 작업 중 추락[25] | 3명 순직 |
| 2011년 5월 5일 | 산림항공본부 | AS-350 | 추락[26] | 2명 순직 |
| 2013년 5월 9일 | 안동산림관리소 | S-64E | 추락[27] | 2명 순직 |
참조
[1]
규칙
산림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별표6
[2]
규칙
산림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제12조제1항
[3]
대통령령
대통령령 제13381호
[4]
대통령령
대통령령 제15249호
[5]
농림부령
농림부령 제1289호
[6]
농림부령
농림부령 제1365호
[7]
농림부령
농림부령 제1410호
[8]
농림부령
농림부령 제1473호
[9]
대통령령
대통령령 제19623호
[10]
농림부령
농림부령 제1532호
[11]
농림수산식품부령
농림수산식품부령 제69호
[12]
대통령령
대통령령 제22454호
[13]
농림축산식품부령
농림축산식품부령 제32호
[14]
농림축산식품부령
농림축산식품부령 제42호
[15]
뉴스
산림항공본부 원주로 이전…22일 업무 개시
https://news.naver.c[...]
2013-10-16
[16]
농림축산식품부령
농림축산식품부령 제101호
[17]
농림축산식품부령
농림축산식품부령 제271호
[18]
문서
서기관 또는 행정사무관으로 보한다.
[19]
문서
기술서기관으로 보한다.
[20]
문서
임기제공무원으로 보할 수 있다.
[21]
문서
서기관·기술서기관·행정사무관·임업사무관 또는 항공사무관으로 보한다.
[22]
문서
행정사무관 또는 항공사무관으로 보한다.
[23]
뉴스
산불 진화헬기 추락 기장등 3명 숨져
https://news.naver.c[...]
2001-05-17
[24]
뉴스
농약살포 중 헬기 추락, 조종사 사망
https://news.naver.c[...]
2006-07-27
[25]
뉴스
공주서 산림방제 헬기추락, 3명 사망
http://news.mt.co.kr[...]
2007-08-20
[26]
뉴스
산림청 헬기 추락…2명 생사 불명
http://news.kmib.co.[...]
2011-05-05
[27]
뉴스
안동서 산림청 헬기 추락… 2명 실종 1명 부상
http://www.segye.com[...]
2013-05-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