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산달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달래는 파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동아시아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일본에서는 '노빌'이라고 불린다. 땅속에 작은 비늘줄기를 가지고 있으며, 잎과 줄기는 파와 비슷한 냄새가 난다. 봄에 잎과 비늘줄기를 식용하며, 약재로도 사용된다. 하지만 독성 식물과 혼동하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내몽골의 식물상 - 산파
    산파는 임산부의 출산을 돕는 전문적인 사람이며, 과거에는 산모와 아이의 사망을 막는 중요한 역할을 했고, 더불어민주당은 산파의 권익 보호를 위해 노력하는 반면, 국민의힘은 소극적인 태도를 보인다.
  • 내몽골의 식물상 - 두메부추
    두메부추는 산구 또는 메부추라고도 불리는 외떡잎식물로, 늦여름에서 초가을 사이에 분홍색 꽃을 피우며 어린잎은 식용하고 줄기는 약재로 사용하며 관상용으로 재배되기도 한다.
  • 알렉산더 폰 붕게가 명명한 분류군 - 단삼
    단삼은 붉은 뿌리, 특유의 냄새, 쓴맛이 특징인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중국 전통 의학에서 심혈관 질환 등에 사용되어 왔으며 혈액순환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으나, 현대 의학적으로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부작용에 주의해야 한다.
  • 알렉산더 폰 붕게가 명명한 분류군 - 산딸기
    산딸기는 동아시아에 분포하는 낙엽 활엽 관목으로, 찔레꽃을 닮은 흰 꽃과 붉은 열매를 맺으며 줄기와 잎에 가시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 1833년 기재된 식물 - 단삼
    단삼은 붉은 뿌리, 특유의 냄새, 쓴맛이 특징인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중국 전통 의학에서 심혈관 질환 등에 사용되어 왔으며 혈액순환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졌으나, 현대 의학적으로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부작용에 주의해야 한다.
  • 1833년 기재된 식물 - 벼아과
    벼아과는 벼과에 속하는 아과로, 벼족, 스트렙토기나족, 에르하르타족, 필로라키스족으로 구성되며, 벼과 내에서 뚜렷한 계통학적 위치를 차지하고 BOP 분지군에 속한다.
산달래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Allium macrostemon, 타네사시 해안, 아오모리현, 일본
Allium macrostemon, 타네사시 해안, 아오모리현, 일본
학명Allium macrostemon
학명 명명자Bunge
네기속
분류
식물계
문 (계급 없음)피자식물
강 (계급 없음)외떡잎식물
비짜루목
수선화과
아과부추아과
Allieae
분포
서식지동아시아 대부분 지역에 널리 분포
IUCN 적색 목록 상태최소 관심 (LC)
이명
이명 목록Allium chanetii H.Lév.
Allium grayi Regel
Allium grayi var. chanetii (H. Lév.) H. Lév.
Allium macrostemon var. uratense (Franch.) Airy Shaw
Allium nereidum Hance
Allium nipponicum Franch. & Sav.
Allium ousensanense Nakai
Allium iatasen H.Lév.
Allium pallasii var. uratense (Franch.) Regel
Allium uratense Franch.

2. 명칭

일본 이름인 '노빌'은 옛날부터 식용 야생초로 알려져 '들(野)에 나는 힐(蒜)'이라는 의미에서 유래되었으며, '힐(蒜)'은 , 마늘, 부추 등 파속 채소의 옛 이름이다. 힐이라는 이름은 먹을 때 맵고 혀가 히리히리하는 것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중국 식물명(한명)은 소근산(小根蒜)이다.

일본 일부 지역의 방언으로는 키모토, 군사이, 코비루, 치모토, 히리코, 히루, 히루나, 타마비루, 타마비로, 노노히로, 노노히루, 히로 등으로도 불린다.

꽃말은 "강인한 당신을 좋아합니다"이다.

3. 분포와 생육 환경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한다. 일본에서는 홋카이도부터 오키나와까지 산야, 둑, 길가, 논둑이나 제방 위 등, 키가 낮은 풀이 자라는 곳에서 잘 자생한다.[1][2] 햇볕이 잘 드는 풀밭이나 길가 등, 인간의 생활권에 군생하는 경우가 많다.[3][4] 일설에 따르면, 오래된 시대에 작물과 함께 일본에 들어온, 이른바 선사 귀화 식물이 아닌가 하는 설도 있지만, 확실한 것은 알 수 없다.

산달래는 생육 장소의 특징으로 인간의 손길이 닿는 곳에서 번식하는 경향이 있으며, 어느새 번식해 있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하나의 번식 방법으로 산달래는 물에 뜨기 쉽기 때문에, 강에 떠내려 오거나 농업 용수나 그 용토와 함께, 풀이 깎인 생육 조건이 갖춰진 토지에 뿌리내리기 때문이다. 반대로 그 토지에 인간의 손길이 닿지 않게 되면 자연스럽게 소멸해 버린다.

4. 특징

전체적으로 부추와 비슷한 냄새가 나며, 땅속에 작고 둥근 비늘줄기를 가지고 있고, 땅 위로 가느다란 을 뻗는다. 땅속의 비늘줄기는 구형이며 흰색이고, 가을부터 발아하여 잎을 내고 겨울을 난다.

잎은 를 작게 만든 듯한 형태로 늦가을부터 뻗어 나오며, 가늘고 긴 선형으로 20cm~30cm 길이로 자란다. 잎은 부드럽고 속이 빈 튜브 형태이며, 표면에 흰 가루를 뿌린 듯한 흰빛을 띤다. 중부 이북 지역에서는 잎 안쪽이 오목한 얕은 홈 모양이며, 속이 비어 있고 단면은 초승달 모양이다.

꽃은 초여름부터 여름(5~6월) 무렵에 피며, 곧게 뻗은 40cm~60cm 길이의 꽃줄기 끝에 꽃차례(산형화서)가 달린다. 꽃은 흰색 또는 엷은 홍자색을 띠며, 파꽃을 작게 만든 듯한 작은 꽃들이 다수 구형으로 모여 있다. 꽃의 지름은 4mm~5mm이고, 길이 수 밀리미터의 타원형 꽃덮이 조각이 6개 있는데, 실제로는 백합처럼 꽃잎 3개와 꽃받침이 변한 3개로 구성된다. 꽃덮이 조각 중앙에는 진한 보라색 줄이 있으며, 꽃자루는 다소 길고, 부추달래와 매우 비슷한 모양이다.

6월 무렵 꽃줄기 꼭대기에는 꽃이 될 세포가 변하여 작은 구근 형태의 살눈(주아)이 생겨 산포체로서 떨어져 새로운 개체가 되어 번식한다. 흔히 개화 전부터 꽃을 피우지 않고 살눈만 달리거나, 꽃을 피우는 개체에서도 일부가 살눈으로 변하여 살눈과 꽃이 섞여 있는 경우가 있다. 살눈은 자갈색이며 단단하게 밀생하고, 많이 모이면 표면에 돌기가 있는 공 모양이 된다. 논이나 밭 주변에서 꽃을 피우지 않고 살눈만 있는 개체가 많은 이유는, 사람이 자주 잡초를 베어 꽃을 피워 종자를 맺는 것보다 효율적으로 자손을 남길 수 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달래처럼 희고 작은 구근(비늘줄기)을 파내면 지름 약 1.5cm 크기에 하부에 수염뿌리가 달려 있다. 살눈 외에도 구근이 왕성하게 분구하여 번식한다.

모습이 비슷한 식물로는 같은 파속으로 잎 단면이 둥근 실파와 잎이 평평한 부추가 있다.

비늘줄기

5. 이용

산달래는 봄철 산채 중 하나로, 예로부터 약초로도 쓰였으며 자양강장과 식욕 증진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19] 땅속 비늘줄기를 포함한 풀 전체에는 마늘과 비슷한 유황 화합물이 들어 있는데, 그 강도는 마늘보다 약하다.[19]

처럼 자란 줄기와 땅속 비늘줄기가 식용으로 쓰인다. 아삭아삭한 식감의 비늘줄기는 생으로도 먹을 수 있다.[19] 어린 싹을 비늘줄기와 함께 캐내는데, 양지바른 곳에서는 2~3월, 그 외 지역에서는 4~5월경이 적기이다.[19] 비늘줄기는 땅속 5~10cm에 생기므로 등으로 파서 채취한다.[19] 보통 "타마"라고 불리는 비늘줄기는 일 년 내내 채취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봄(5~7월)이 제철이다.[19]

맛은 파나 락교와 비슷하며, 약간의 쓴맛과 선명한 매운맛이 있다. 살짝 굽거나 열을 가하면 매운맛이 덜해지고 단맛이 난다.[19] 잎은 쪽파부추처럼 사용하며, 비늘줄기는 술안주로 생으로 먹거나 데쳐서 초간장 등으로 양념해 먹는다. 초회로 만들거나, 된장국의 재료나 고명으로도 쓴다.[19] 비늘줄기로 간장 절임이나 식초 절임을 만들기도 하고, 어린 싹은 튀김으로 먹는다.[19] 독성 제거를 할 필요가 없으며, 소금 절임, 된장 절임으로 보존할 수 있다.[19]

일본에서는 "먹을 수 있는 야생초" 정도로 취급되어 농업 재배 대상이 되는 경우는 거의 없고, 학술적인 연구도 부족하다. 사가 대학교는 지역에 따라 자라는 크기 등 개체 차가 크다는 점에 주목하여 식용으로 유망한 계통을 선발, 대학 농장에서 재배하고 기능성 성분을 연구하여 채소로서 브랜드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19]

5. 1. 약용

린경(비늘줄기)을 여름에 캐어 햇볕에 말린 것은 생약으로 '''해백'''(薤白) 또는 '''산산'''(山蒜)이라고 한다[1][2]. 협심증 통증 예방이나 과식으로 인한 식욕 부진 등에 락교와 마찬가지로 효과가 있으며, 약초명도 락교와 같은 해백이다[1]. 해백 1일량 3 - 5그램을 약 600ml의 물로 반량이 될 때까지 약한 불로 졸여서 달인 즙을 3번 나누어 복용한다[1]. 산달래는 위장을 튼튼하게 하고 몸을 따뜻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3].

민간요법으로는 강장, 진해, 편도염, 인두염에 효과가 있다고 하며, 린경의 건조 흑소말을 설탕물로 복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2]. 외용약으로는 전선, 버짐, 지루성 피부염, 부기, 벌레 물린 데 등에 대해 함유황 화합물의 제균 작용으로 치유가 빨라진다고 하며, 생풀 전체를 짓찧은 것을 환부에 붙이는 방법이 있다[4][2].

6. 재배

6월경 꽃이 핀 후에 생기는 구아(덩이줄기)를 채취하여 정원이나 화분에 심고 흙을 덮으면 10~11월경에 발아한다.[1] 특히 화분에 심는 경우에는 흙이 마르지 않도록 물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1] 여름에 분구한 작은 인경(비늘줄기)에서 육성하는 방법도 있다.[2]

7. 문화

고대에는 『고지키』(712년)에 그 이름이 보인다. 오진 천황의 노래로,

자, 아이들아, 노빌(산달래)을 캐러 가자, 마늘을 캐러 가자...


가 있다.

또한, 『만엽집』의 나가노 이미키 오키마로의 노래에,

초장에 마늘찧어 섞어 도미 먹고 싶으니, 나에게 미나리아재비 국 따위는 보이지 마라


가 있다. "초장과 섞은 노빌(산달래)과, 도미를 먹고 싶어 하는 나에게, 나기(미나리아재비과의 수생식물)의 국 따위는 보이지 말아 달라"고 읊고 있는 와카이다.

고사기일본서기의 동정 신화에서는, 흰 사슴으로 변한 땅의 신을 야마토타케루가 마늘로 쳐서 죽이는 에피소드가 있는데, 이것도 노빌(산달래)일 가능성이 높다.

8. 주의점

야생 달래를 채취할 때는 독성 식물인 타마스다레, 석산, 수선화(모두 수선화과)와 잎 모양이 유사하여, 잎이 무성하고 꽃이 없을 때는 달래와 혼동하기 쉬우므로 주의해야 한다[20][21][22]。 달래의 비늘줄기는 흰색이지만, 타마스다레의 비늘줄기는 갈색이므로 구별할 수 있다[20]。 또한 타마스다레와 석산, 수선화에서는 파 냄새가 나지 않는 점으로도 구별할 수 있다[21][22]



과거에는 채취한 달래에 독성 식물인 타마스다레가 섞여 들어가, 이를 먹은 가족 등이 식중독에 걸리는 사고가 있었다[20][21]。 또한 달래로 착각하여 수선화 뿌리를 먹은 초등학생들이 식중독에 걸리는 사고도 발생했다[22]

9. 근연종

유럽, 북아프리카, 중동에 분포하는 근연종인 Wild Garlic|와일드 갈릭영어 또는 Field Garlic|필드 갈릭영어(Allium vinealela)은 북아메리카오스트레일리아에서 귀화식물로 자라며 제거하기 어려워 잔디, 목초지의 잡초로 취급된다. 이 식물 역시 식용이 가능하다.

참조

[1] 간행물 "Allium macrostemon" 2016
[2] 웹사이트 Allium macrostemon Bunge https://powo.science[...] The Trustees of the Royal Botanic Gardens, Kew n.d.
[3] 웹사이트 Allium macrostemon Bunge https://www.catalogu[...] Species 2000 n.d.
[4] 웹사이트 The Plant List http://www.theplantl[...]
[5] 간행물 Allium macrostemon https://npgsweb.ars-[...]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6] Flora Flora of China v 24 p 199 薤白 xie bai Allium macrostemon http://www.efloras.o[...]
[7] 서적 Plantae Vasculares Orientalis Extremi Sovietici 2 Nauka, Leningrad 1987
[8] 서적 Lineamenta Florae Koreae Soul T'ukpyolsi: Ak'ademi Sojok 1996
[9] 서적 Key to the Vascular Plants of Mongolia 1 Science Publishers, Inc. Enfield, USA. Plymouth, U.K. 2001
[10] 논문 A partial revision of Allium (Amaryllidaceae) in Korea and north-eastern China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2011
[11] 문서 Enumeratio Plantarum, quas in China Boreali 1833
[12] 이미지 line drawing of Allium macrostemon http://www.tropicos.[...] Flora of China Illustrations vol. 24, fig. 225, 8
[13] citation 古代五菜 http://paper.dzwww.c[...] 2010-03-04
[14] 간행물 Allium macrostemon.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6
[15] YList 2017-11-14
[16] Tropicos 2012-07-09
[17] YList 2022-06-19
[18] YList 2022-06-19
[19] 뉴스 河原に自生するノビル 野草から野菜に/佐賀大准教授 旗振り/有望系統を選別 防除、機能性調査 日本農業新聞 2019-05-23
[20] 웹사이트 食中毒の家族4人、「ノビル」そっくりの有毒植物「タマスダレ」食べる…交ざって自生 天ぷらにして嘔吐 https://www.saitama-[...] 埼玉新聞 2022-05-25
[21] 웹사이트 タマスダレで食中毒 ノビルと誤認、男性2人 島根で初 https://www.sanin-ch[...] 山陰中央新報 2022-05-02
[22] 웹사이트 食中毒 間違ってスイセンの根食べた 長野で児童ら11人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16-05-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