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낭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낭자는 몽골 투메드 부족을 다스린 여성으로, 알탄 칸의 세 번째 부인이라는 의미에서 명나라에서 불린 이름이다. 그녀는 투메드와 명나라 사이의 중재자 역할을 했으며, 여러 차례 결혼을 통해 권력을 유지했다. 삼낭자는 알탄 칸 사후 충순왕의 옥새를 상속받아 투메드와 명나라 간의 관계를 관리했으며, 셍게, 추르게 등과 결혼하여 칭호를 상속하게 했다. 그녀는 만년에 손자 부수이투와 결혼했으나 옥새를 넘겨주지 않았고, 1612년 사망할 때까지 친명 정책을 유지하며 명나라와 투메드 사이의 평화를 유지하는 데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골의 군주 - 주치 칸
주치 칸은 칭기즈 칸의 장남으로 몽골 제국 초기에 활약하며 서방 원정에 참여하여 중앙아시아 북부를 정복했으나, 동생과의 불화로 어려움을 겪었고, 1225년경 사망 후 그의 영토는 아들 바투에게 상속되어 킵차크 한국의 기반이 되었다. - 몽골의 군주 - 아리크부카
아리크부카는 칭기즈 칸의 손자이자 툴루이의 아들, 몽케 칸의 동생으로, 1260년 몽케 칸 사후 카라코룸에서 칸으로 추대되었으나 쿠빌라이 칸과의 제위 계승 전쟁에서 패배하여 항복 후 의문사했다. - 1612년 사망 - 아리마 하루노부
아리마 하루노부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기리시탄 다이묘로, 히젠 아리마 씨의 당주이자 히노에 번 번주였으며, 가톨릭 개종 후 덴쇼 소년사절단 파견, 임진왜란 참전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으나, 이후 사건에 연루되어 유배 후 처형되었고, 그의 죽음은 에도 막부의 기독교 탄압 강화와 시마바라의 난의 배경이 되었다. - 1612년 사망 - 사사키 코지로
사사키 코지로는 암류 검술 유파를 창시하고 츠바메가에시 검법으로 이름을 알린 검객으로, 미야모토 무사시와의 간류지마 결투에서 패배하여 사망했으며, 그의 삶과 죽음은 여러 논란과 함께 대중매체에서 다양하게 재해석되고 있다.
삼낭자 | |
---|---|
기본 정보 | |
![]() | |
작위 | |
칭호 | 충순부인 충의왕의 인장 소지자 |
상세 정보 | |
출생일 | 1551년경 |
사망일 | 1612년 6월 24일 |
종교 | 불교 |
직업 | 투메드의 섭정 |
가문 | |
가문 | 보르지긴 가문 |
배우자 | |
배우자 | 알탄 칸 셍게 추루케 부수투 |
2. 생애
에르케튀 카툰(Erketü Qatun)이라는 칭호로 알려진 삼낭자는 본명이 전해지지 않는다.[2] 그녀는 투메드의 알탄 칸과 결혼하였으며, 알탄 칸 사후에는 그의 '충순왕' 옥새를 상속받아 명나라와의 외교 관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2][3] 명나라는 그녀를 알탄 칸의 세 번째 부인이라는 의미에서 '삼낭자(三娘子)'라고 불렀다.[3]
알탄 칸 사후, 삼낭자는 그의 아들 셍게, 손자 추르게, 증손자 부수이투와 차례로 재혼하며 투메드 내에서의 정치적 영향력을 유지하고 명나라와의 관계를 주도했다.[2] 그녀는 셍게와 추르게가 충순왕 칭호를 계승하도록 도왔으며, 추르게와의 결혼 이후에는 명나라로부터 독자적으로 '충순 부인'이라는 칭호를 받기도 했다.[2] 삼낭자는 상당한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결혼을 통해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했다.[2]
1612년 사망할 때까지[2] 삼낭자는 일관되게 친명 정책을 펼쳐 투메드와 명나라 사이에 오랜 평화 시대를 이끌었다.[2] 명나라는 그녀의 공로를 인정하여 사후에 제단을 보내는 등 예를 갖추어 애도했다.[2]
2. 1. 초기
삼낭자의 몽골식 이름은 鐘金哈屯|중긴하툰mn (Junggin qatun)이며, 중국에서는 克兔哈屯|커투하툰중국어 또는 也兒克兔哈屯|에르커투 하툰중국어으로 표기되었다.[4] 그녀는 투메드의 섭정으로 활동하며 얻게 된 Erketü Qatun|에르케튀 카툰mn이라는 칭호로도 알려져 있으나, 본명은 전해지지 않는다.[2]삼낭자는 오이라트 몽골 기라구트부(奇喇古特部) 수령인 철항아합(哲恆阿哈)의 딸이다.[4] 일부 기록에서는 그녀가 첫 남편인 알탄 칸의 외손녀[4] 혹은 손녀[2]라고도 하지만, 역사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두 사람 사이에 직접적인 친족 관계는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4] 삼낭자는 외모가 아름다웠을 뿐만 아니라 총명했으며, 몽골 문자에 능통하여 독서를 즐기는 등 뛰어난 재능을 지녔다.[4]
1558년(명나라 가정 37년), 당시 몽골 투메드부의 수령이었던 알탄 칸은 오이라트 투멘부(土綿部)를 방문한 후, 삼낭자의 아버지 철항아합에게 사신을 보내 화친을 제안했다. 이에 철항아합은 자신의 딸 중긴하툰을 알탄 칸에게 보냈는데, 이때 삼낭자의 나이는 불과 8세였다. 이 사건을 계기로 삼낭자는 역사 무대에 본격적으로 등장하게 된다.[4]
다른 기록에 따르면, 삼낭자는 원래 오르도스 몽골의 왕자와 결혼할 예정이었으나, 알탄 칸이 그녀와 직접 결혼하기로 결정했다고 전해진다. 대신 알탄 칸은 자신의 손자가 본래 약혼했던 바야-아치를 오르도스 왕자에게 제안했다. 이에 분노한 바야-아치가 명나라로 망명하는 사건이 발생했지만, 결국 명나라에 의해 송환되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알탄 칸은 명나라 융경제로부터 '충순왕(忠順王)'이라는 칭호를 받게 되었다.[2] 명나라에서는 그녀를 알탄 칸의 세 번째 부인이라는 의미에서 "삼낭자(三娘子)"라고 불렀다.[3]
삼낭자는 알탄 칸과의 사이에서 부타시리(不他失禮)[4](혹은 부다시리(Budashiri)[2])를 포함하여 총 세 명의 자녀를 두었다.[2] 1568년(명나라 융경 2년)에는 알탄 칸이 오이라트를 다시 침공하는 사건도 있었다.[4]
2. 2. 알탄 칸 사후
1582년 알탄 칸이 사망한 후, 에르케튀 카툰은 충순왕의 옥새를 상속받았다. 이를 통해 그녀는 투메드와 명나라 사이의 중요한 중재자 역할을 맡게 되었으며, 양측 궁정에서 높은 명성을 얻었다.[2] 명나라에서는 그녀를 알탄 칸의 세 번째 부인이라는 의미로 "삼낭자(三娘子)"라고 불렀다.[3]삼낭자는 1582년, 알탄 칸의 장남인 셍게(Sengge)와 재혼하여 그가 충순왕 칭호를 계승하도록 도왔다. 결혼 조건으로 삼낭자는 셍게에게 이전의 모든 부인들과 관계를 끊을 것을 요구했으며, 자신은 군대를 지휘하며 남편이 있는 곳과 떨어진 서부 순찰대에 주둔했다.[2]
몇 달 후 바야-아치가 사망하면서 경쟁 관계가 형성되었다. 그의 미망인 바야-베이지(Baya-beyiji)는 셍게의 아들인 추르게(Curüge)와 결혼했다. 이로 인해 통치 가문 내부에 긴장이 고조되었고, 삼낭자는 임박한 공격을 예상했다. 1586년경 셍게가 사망하자, 삼낭자는 자신의 아들에게 옥새를 물려주기 위해 충순왕 옥새를 숨겼다. 옥새를 가진 삼낭자의 승인 없이는 명나라와의 관계 개선이 어려웠기에, 추르게는 명나라로부터 삼낭자와 혼인 동맹을 맺으라는 압력을 받았다. 당시 삼낭자는 1만 명의 군대를 지휘하고 있었다.[2]
1586년, 삼낭자는 추르게와 세 번째 결혼을 했다. 이번에도 그녀는 새 남편에게 바야-베이지를 포함한 이전 부인들과의 관계를 정리하도록 강요했다. 추르게는 충순왕의 옥새와 칭호를 상속받았지만, 명나라는 삼낭자에게 별도로 '충순 부인(忠順夫人)'이라는 칭호를 수여하며 그녀의 독자적인 지위를 인정했다.[2]
1606년 추르게가 병에 걸려 1607년에 사망하자, 충순왕 칭호와 옥새는 다시 삼낭자의 손에 들어왔다. 그녀는 한동안 재혼을 거부했으나, 결국 추르게의 손자인 부수이투(Bosuyitu)와 네 번째 결혼을 했다.[2]
삼낭자는 마지막 남편인 부수이투에게 옥새를 넘겨주지 않았다. 대신 수년간 명나라로부터 받은 다양한 선물들을 불교 사찰에 보관하며 자신의 영향력을 유지했다. 부수이투가 명나라에 새로운 칭호를 요청했지만, 이를 받기 전인 1612년 7월 24일 삼낭자는 사망했다. 명나라는 그녀의 죽음을 애도하며 사후에 일곱 개의 제단을 보내 예를 표했다. 삼낭자는 평생 동안 확고한 친명 정책을 유지했으며, 이는 명나라와 투메드 사이에 가장 긴 평화 시대를 가져오는 데 기여했다.[2]
2. 3. 추르게와의 결혼과 투메드 통치
1586년경 셍게가 사망하자,[2] 에르케튀 카툰(삼낭자)은 자신의 아들에게 충순왕의 옥새를 물려주기 위해 이를 숨겼다.[2] 옥새를 가진 삼낭자의 승인 없이는 명나라와의 관계 개선이 어려웠기 때문에, 셍게의 아들 추르게는 그녀의 협조가 필요했다.[2] 당시 삼낭자는 1만 명의 군대를 지휘하고 있었으며, 명나라는 추르게에게 삼낭자와의 혼인 동맹을 맺도록 압력을 가했다.[2]결국 1586년, 추르게와 삼낭자는 결혼했다.[2] 삼낭자는 결혼 조건으로 추르게에게 이전의 모든 부인들(경쟁자였던 바야-베이지 포함)과의 관계를 끊도록 강요했다.[2] 추르게는 충순왕의 옥새와 칭호를 상속받았지만, 명나라는 삼낭자에게 독립적으로 '''충순 부인'''(忠順夫人중국어)이라는 칭호를 수여하며 그녀의 영향력을 인정했다.[2]
1606년 추르게가 병에 걸려 이듬해 사망하자, 충순왕 칭호와 옥새는 다시 삼낭자의 손에 들어갔다.[2] 그녀는 한동안 재혼을 거부했으나, 결국 추르게의 손자인 부수이투와 결혼했다.[2] 하지만 삼낭자는 새 남편 부수이투에게 옥새를 넘겨주지 않았고, 수년간 명나라로부터 받은 다양한 선물들을 불교 사찰에 보관했다.[2] 부수이투는 명나라에 새로운 칭호를 요청했지만, 이를 받기 전인 1612년 7월 24일 삼낭자는 사망했다.[2] 명나라는 그녀의 사후 그녀를 기리기 위해 일곱 개의 제단을 보냈다.[2] 삼낭자는 평생 동안 확고한 친명(親明) 성향을 유지했으며, 이는 명나라와 투메드 사이에 가장 긴 평화 기간을 가져오는 데 기여했다.[2]
2. 4. 만년
1606년 추르게가 병으로 사망하자 순의왕의 옥새와 충순 부인의 칭호는 다시 삼낭자에게 돌아왔다.[2] 삼낭자는 얼마간 재혼하지 않았으나, 결국 추르게의 손자인 보쇽투(mn, 博碩克圖)와 혼인했다.[2] 이는 알탄 칸의 정식 계승자인 보쇽투 대신 자신의 손자 수낭 타이지(素囊台吉)를 후계자로 내세우려는 의도와 관련이 있었다. 삼낭자는 서초(西哨)의 병권을 쥐고 있던 수낭의 군사력과 판승(板升, 바이신) 장악을 통해 얻은 경제력을 바탕으로 보쇽투를 몰아내려 시도했다.[6]그러나 삼낭자는 새 남편이 된 보쇽투에게 순의왕의 옥새를 넘겨주지 않았고, 대신 수년간 명나라로부터 받은 선물들을 불교 사찰에 보관하며 과시했다.[2] 보쇽투가 명나라에 새로운 칭호를 요청하는[2] 한편, 투메드 내부에서는 수낭을 지지하는 삼낭자 측과 보쇽투 지지 세력 간의 갈등이 심화되었다. 1611년(만력 39년), 나물타이지(那木兒台吉)를 비롯한 73개 부족(타이니, 七十三家撦尼)이 연합하여 수낭을 공격하려 하자, 삼낭자와 수낭은 군대를 동원해 무력으로 맞서려 했다.[6]
명나라 조정은 변방의 혼란을 우려하여 선대총독(宣大總督) 도종준(塗宗浚)을 파견해 중재에 나섰다.[6] 이러한 갈등이 지속되던 중, 삼낭자는 1612년 7월 24일(만력 40년)[2] 6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6] 명나라는 그녀의 죽음을 기리기 위해 제단 일곱 개(祭七壇)를 보내는 등 예를 표했다.[2][6] 당시 사람들은 그녀의 공적을 "변방의 장사 10만 명보다 높다(功比邊壯士十萬不止)"고 평가했다.[6] 삼낭자는 생전에 확고한 친명(親明) 노선을 견지하며 명나라와 투메드 간의 오랜 평화 유지에 크게 기여했다.[2]
삼낭자 사후, 명나라의 중재를 통해 1613년(만력 41년) 보쇽투가 순의왕 작위를 정식으로 계승했으며, 수낭 타이지는 도독동지(都督同知) 직위를 받았다.[6]
참조
[1]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Volume II: Tang Through Ming 618 - 1644
[2]
서적
Amazons to Fighter Pilots: A Biographical Dictionary of Military Women
Greenwood Press
2003
[3]
서적
The Role of Women in the Altaic World
https://books.google[...]
Harrassowitz
2007
[4]
웹사이트
https://www.weibo.co[...]
2020-02-17
[5]
웹사이트
http://www.hlnmg.com[...]
2020-02-17
[6]
웹사이트
http://www.mgl9.com/[...]
2020-02-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