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탄 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탄 칸은 16세기 몽골의 지배자로서, 몽골 제국 다얀 카안의 후손이다. 그는 투메트부를 다스리며 세력을 확장했고, 명나라와 교역을 시도했으나 무역 거절로 인해 베이징을 공격하는 경술의 변을 일으켰다. 이후 명나라와 화의를 맺고 순의왕에 봉해졌으며, 티베트 불교를 받아들여 몽골에 불교를 부흥시켰다. 알탄 칸은 3대 달라이 라마에게 달라이 라마 칭호를 헌정하고, 몽골의 종교적, 사회적 통합에 기여했다. 그는 몽골의 도시 후허하오터를 건설하는 등 내정에도 힘썼으며, 몽골 역사에서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순의왕 - 셍게두우렌 칸
    셍게두우렌 칸은 알탄 칸의 장남이자 칭기즈 칸의 후손으로, 명나라와의 협상에 참여하여 벼슬을 받았고, 아버지 사후 투메드부의 칸이 되었으나 삼낭자의 영향력 아래 정사를 제대로 돌보지 못했다.
  • 원나라의 황자 - 보르지긴 다르마발라
    쿠빌라이 칸의 손자이자 진킴의 아들인 보르지긴 다르마발라는 아버지 사후 유력한 후계자 후보였으나 요절했고, 사후 그의 아들 카이산이 원 무종으로 즉위하며 소성연효황제로 추존되었다.
  • 원나라의 황자 - 보르지긴 카말라
    보르지긴 카말라는 쿠빌라이 칸의 손자이자 원나라 시대의 정치가이며 군인으로서, 북방 변경 방어와 몽골 고원 통치에 기여했으나 칸위 계승에는 실패했고, 사후 아들에 의해 황제로 추존되었다.
  • 투메드부의 칸 - 군빌리크 메르겐
    군빌리크 메르겐은 바르수볼라드 칸의 장남으로 1532년 오르도스부 지농 직을 계승하여 몽골 우익을 이끌었으며, 동생 알탄 칸과 함께 명나라를 침략하는 등 군사 활동을 펼쳤으나 만년에 방종한 생활로 권력을 동생에게 넘겨주고 1542년에 사망했다.
  • 투메드부의 칸 - 셍게두우렌 칸
    셍게두우렌 칸은 알탄 칸의 장남이자 칭기즈 칸의 후손으로, 명나라와의 협상에 참여하여 벼슬을 받았고, 아버지 사후 투메드부의 칸이 되었으나 삼낭자의 영향력 아래 정사를 제대로 돌보지 못했다.
알탄 칸
기본 정보
칭호순의왕 (顺义王)
이미지
재위1571년 4월 21일 – 1582년 2월 26일
이전최초
다음셍게 뒤으렝
배우자에르케튀 카툰
왕가보르지긴
아버지바르스 볼루드 지농
출생일1507년
사망일1582년
종교티베트 불교
몽골어 표기ᠠᠯᠲᠠᠨ ᠬᠠᠨ, Алтан хан
중국어 표기俺答汗
몽골어 표기Алтан Хаан
기타 정보
기타 사람알탄 칸 (할하부)

2. 생애

1507년 1월 2일 몽골 제국 다얀 카안의 셋째 아들인 바르수볼라트 지농(사인 알락 카안)의 아들로 카탄 고르 강(황하의 몽골어식 발음) 강변에서 태어났고, 어머니는 호소이 타부낭의 딸인 보딘 카툰이다.[5] 할아버지는 몽골 제국을 재통합한 바투몽케 다얀 카안으로, 칭기즈 칸의 17세손이다. 알탄 칸의 생일은 음력 12월 19일 출생 설과 음력 12월 30일 출생 설이 있다.

본명은 안다(諳達)인데, 몽골어만주어로 친구, 의형제를 뜻한다. 뒤에 황금을 뜻하는 몽골어인 알탄으로 개명했다.[6] 명나라 사서에는 엄답(俺答), 아륵탄(阿勒坦), 암달(諳達) 등으로도 나타난다.

1519년에 아버지가 사망한 뒤 영지를 상속받았고, 1524년에 할아버지가 사망하자 보디 알락 칸의 종주권을 인정하고 협력했다. 1538년, 내란 진압의 공으로 칭기즈 칸을 묘사할 때 사용되는 "수투(suu tu ; 天恵をもつ)"라는 칭호를 받았다.

1524년군빌리크 메르겐의 우량카이 3위 원정에 출전했고, 오이라트 부족을 서쪽으로 몰아내고 막북 고원을 장악해 나갔다. 알탄 칸은 몽골 제국의 대칸 자리는 아버지 바르수볼라드 저넌 칸이 자신에게 물려줘야 할 자리이며, 보디 알라크 칸을 따르는 자들이 불법으로 빼앗아갔다고 생각했다.

1531년 혹은 1533년 아버지 바르수볼라드 칸이 죽자, 알탄은 투메드 부 내의 일부 영지를 물려받았다. 1532년 알탄 칸과 군빌리크 메르겐은 청해를 원정하여 1532년1534년에 서해전투에서 이브라힘과 부라카이 무리를 격파하고 청해를 점령했으며, 한동안 티베트에서 용병을 모집하기도 했다.

1547년 차하르부, 할하의 칸인 보디 알라크 칸이 죽자, 다라이손 구텐 칸을 압박하여 이듬해 다싱안링산맥과 랴오닝 주변으로 축출했다. 1551년 다라이손 구텐 칸은 알탄 칸에게 '''게겐 칸'''(현명한 칸)이라는 직위를 주어 회유하였다.[5]

1542년 귄 빌리그가 사망한 후, 알탄은 우익 전체의 사실상 지도자가 되었고 "퇴쉐튀 세첸 칸"이라는 칭호를 받았다.[5]

1550년부터 1554년까지 알탄 칸은 내몽골 남부에 성곽과 건물을 짓고 현재 내몽골 자치구 후허하오터 시인 쾨케호타를 건설했다. 1565년 명나라에서 넘어온 한인들을 대량으로 받아들여 이곳에 정착시키면서 크게 성장하였다.

알탄 칸은 명나라와 여러 차례 갈등을 겪었다. 1529년, 1530년, 1542년다퉁, 허베이를 공격하여 많은 가축과 전리품을 약탈했다. 1541년1542년에는 사신을 보내 무역을 요청했으나 가정제가 거절했다. 이후에도 여러 차례 무역을 요청했으나 거절당했다.

1550년 경술의 변을 일으켜 베이징을 포위하기도 했으나, 소수의 병력으로 명나라를 장기간 점령하는 것이 어렵다고 보아 8월 철군하였다.

1570년 10월 9일, 알탄 칸의 손자 바간나기가 명나라에 투항하자, 1571년 3월 명나라와 평화 조약을 맺었다.[33][34] (융경화의) 명나라 황제는 투메드부의 칸에게 특별 독점무역권을 부여했다.[33][34]

알탄 칸의 장막 (알탄 칸과 그의 아내 삼낭자)


1571년 3월 28일 명나라는 대동, 득승보(대동 북쪽), 장가구, 영하, 홍산, 청수영, 감숙 등 11개 국경 무역 도시를 열었다.

대소사에 있는 알탄 칸 동상 (내몽골 자치구 후허하오터 시 소재)


알탄 칸은 티베트 불교 겔룩파에 큰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관계를 맺었다. 1577년 소남 갸초를 몽골에 초청하여 테첸 쫀코르 수도원을 건립하게 했다. 1578년 5월 15일 청해호 남쪽 찹찰(현재의 궁허현)에서 소남 갸초를 만나,[35] '달라이 라마'라는 칭호를 헌정하였다. '달라이'는 티베트어 '갸초'(바다)의 몽골어 번역으로, '바다와 같은 지혜'를 의미한다.[17]

소남 갸초는 몽골이 불교를 받아들여야 하며, 동물 희생과 인명 살상을 금하고, 여성 순장 풍습을 없애야 한다고 강조했다.[26] 알탄 칸은 이러한 가르침에 따라 피의 희생 제사를 금지하는 칙령을 내렸다.[27]

1580년경부터 병석에 누웠고, 1582년 1월 13일 10시(酉時) 혹은 2월 26일 10시에 카탄 고르(황하) 근처에서 사망했다.[21] 향년 76세였다.

2. 1. 생애 초기

1507년 1월 2일 몽골 제국 다얀 카안의 셋째 아들인 바르수볼라트 지농(사인 알락 카안)의 아들로 카탄 고르 강(Хатан гол, 황하의 몽골어식 발음) 강변에서 태어났고, 어머니는 호소이 타부낭의 딸인 보딘 카툰(Бодон хатан 博坦哈屯)이다.[5] 칭기즈 칸의 17세손으로, 할아버지는 몽골 제국을 재통합한 바투몽케 다얀 카안이다. 알탄 칸의 생일은 다른 설도 있어서 음력 12월 19일 출생 설과 음력 12월 30일 출생 설이 있다. 쌍둥이 형제로 뫼겐(Мөнгөн)이 있었다.

형제로는 형 군빌리크 메르겐, 동생 우르진(Лабуг тайж 우르진부), 혼도카이 또는 바야스칼 혼도르(Баясхал хөндлөн хан, 하르친부), 나림(Нарийн тайж 차간타타르부, 백타타르(白鞑靼)), 아타나르(용시예브부), 일찍 요절한 타라카이 등이 있었다.

본명은 안다(ᠠᠨᠳᠠ Анд, Амнд 諳達, 暗達)인데, 한자어 암달(諳達 혹은 暗達)로 표기된다. 몽골어로 친구, 의형제를 뜻한다. 만주어로도 친구를 뜻한다. 뒤에 알탄(Алтан)으로 개명했다. 알탄은 몽골어황금을 뜻한다.[6] 존칭은 투메드인 먕간 알탄 쿠르딩 에르굴레치 차크라바르티 세첸 카안(Түмэдийн Мянган алтан хүрднийг эргүүлэгч Чакраварди сэцэн хаан)으로, '투메드의 천 개의 황금 바퀴를 움직이는 알탄, 차크라바르티이자 현명한 카안'이라는 뜻이다. 명나라 사서에는 엄답(俺答), 아륵탄(阿勒坦), 암달(諳達)로도 표기되는데, 알탄의 한자 음역이다. 『명실록』에는 엄답, 아륵탄, 『명사』, 청나라 사서에는 암달로 나타난다.

알탄 아부하이로도 불려 엄답아불해(俺答阿不孩)로도 표기된다. 아불해, 즉 아부하이는 몽골어로 '어른, 노인, 아버지'를 뜻한다. 엄답, 아부하이가 두 명으로 보는 설과, 엄답아불해는 동일인 이름으로, 아불해(아부하이)를 존칭으로 보는 설이 있다.

1519년에 아버지가 사망하자, 뒤를 이었다. 이 당시에는 내몽골의 토메트부를 다스리는 작은 영주에 불과했다. 1524년에 할아버지가 사망하자, 뒤를 이은 보디 알락 칸(ボディ・アラグ・ハーン)의 종주권을 인정하고, 그의 통치에 협력했다.

1538년, 내란 진압의 공으로 칭기즈칸을 묘사할 때 사용되는 "수투(suu tu ; 天恵をもつ)"라는 칭호를 받았다.

2. 2. 권력 강화

1524년군빌리크 메르겐의 우량카이 3위 원정에 출전, 동행하였다. 알탄 칸은 후에 목초지를 개척하기 위해 오이라트 부족을 서서히 서쪽으로 몰아내고 막북 고원을 장악해 나갔다. 알탄 칸은 몽골 제국의 대칸 자리는 아버지 바르수볼라드 저넌 칸이 자신에게 물려줘야 될 자리라 생각했다. 그런데 보디 알라크 칸을 따르는 자들이 불법으로 빼앗아갔다고 봤다.

1524년 명나라대동(大同)에서 병사들이 반란을 일으키자, 알탄은 형 군빌리크 메르겐과 각각 몽골인 병력을 보내 이들의 소요사태를 지원했다. 대동의 반란군은 순무도어사 장순금을 살해했다. 쿠데타가 실패하고 대동의 병력이 대량으로 피신하자, 형 군빌리크 메르겐과 함께 이들의 피신과 망명, 몽골 정착을 적극 도와주었다.

1531년 혹은 1533년 아버지 바르수볼라드 칸이 죽자, 알탄은 투메드 부 내의 일부 영지를 물려받았다. 오르도스, 투메드, 우량카이, 우이고드, 옹기라트부 등 우익 내부의 다얀 카안 반대자들이 있었고, 군빌리크는 동생 알탄 칸의 도움을 얻어 이들 내부 반대파를 제압해나갔다.

몽골 동부 우익 3만호를 점령한 알탄 칸은 할하 북서부, 외할하의 아바타이 사인 칸을 지원, 자기 세력을 구축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초기에 안다 칸은 투메드부 내의 작은 소 영지를 통치하는 통치자였다. 안다의 영지는 인산산맥(陰山山脈) 근처에 있었다. 후일 투메드부를 차지한 아버지 바르수볼라트 카안의 뒤를 이어 형 군빌리크 메르겐이 칸을 계승하였으며, 군빌리크 메르겐 사후 투메드부를 넘겨받았다. 그는 보디 알라크 칸의 종주권을 인정하고 그의 통치에 협조하였다.

1532년 알탄 칸과 군빌리크 메르겐은 청해(靑海)를 원정했다. 1509년 다얀 카안이 우익 3만호를 점령하기 전 오르도스의 영주 이브라힘은 다얀 카안에게 패하고 청해로 도주하였다. 다얀 카안에게 태사(太師) 직책을 받았던 그의 이부형제 부라카이 등은 1532년 청해로 건너갔다. 1532년과 1534년에는 서해전투에서 이브라힘의 무리와 부라카이 무리를 최종 격파하고 청해를 점령했으며, 한동안 티베트에서 티베트인 용병을 모집하여 병력을 동원하기도 했다.

1533년 명나라 대동에서 병사들이 반란을 일으키자 이들을 지원하였고, 총병(總兵) 이근이 살해되었다. 그러나 반란군은 곧 명나라 군대에 진압되었고, 일부 명나라 장병들은 알탄 칸의 영지로 도피했다. 그의 영지로 귀순한 명나라 장병들은 알탄 칸의 명나라 원정대의 길잡이이자 안내인이 되었다.

호르호트의 대소사


1547년 대칸이자 차하르부, 할하의 칸인 보디 알라크 칸이 죽자, 다라이손 구텐 칸을 압박하여 이듬해 다싱안링산맥과 랴오닝 주변으로 축출했다. 빈 땅에는 바야시르 콘돌렌 칸과 알탄 칸의 장남 셍게 뒤렝 황태자를 보내 장악하게 하여, 알탄 칸의 영향력은 강해졌다.

1548년 명나라다퉁에 사자를 보내 무역 허용을 요청했으나, 가정제는 이를 거절했다.

1551년 차하르부의 칸이자 대칸 다라이손 구텐 칸은 알탄 칸에게 '''게겐 칸'''(Гэгээн хан 格堅汗, 현명한 칸)이라는 직위를 주어 그를 회유하였다.[5]

1542년 귄 빌리그가 사망한 후, 알탄은 우익 전체의 사실상 지도자가 되었고 "퇴쉐튀 세첸 칸(Tösheetü Sechen Khan)"이라는 칭호를 받았다.[5] 황하 또는 황하(Yellow River)의 오르도스 투멘(Ordos tumen)을 장악한 알탄 칸은 농업과 무역을 발전시키면서 중국과 티베트의 오이라트 몽골에 압력을 유지하는 데 유리한 위치에 있었다.[6]

1550년부터 1554년 알탄 칸은 내몽골 남부에 성곽과 건물을 짓고 도시 쾨케호타(--|]]|17px|Хөх хот|쾨케호타mn)를 건설했다. 몽골어로 푸른 도시, 푸른 고양이를 의미하며 현재 내몽골 자치구 후허하오터 시이다. 알탄 칸은 잃어버린 대도(大都)의 재건을 선언하고 도시 공사, 성곽 수축을 시작했다. 도시의 이름은 초기에 대 바이신(大板升)으로 정해졌는데, 중국어 백성을 몽골 발음으로 음차했던 것이다. 쾨게호트는 원래 그가 머무르는 주요 도시, 수도이자 오르도스와 함께, 투메드부 및 내몽골의 주요 중심도시의 하나로 성장했고, 그의 영토 내에서 공예와 무역의 중심지로 성장했다. 쾨게호타 성은 1572년에 완공된다.

1565년 명나라에서 넘어온 한인들을 대량으로 받아들여 이곳에 정착시키면서 호르호트는 크게 성장하였다. 알탄 칸은 또한 현재 중화인민공화국내몽골 자치구의 수도인 쾨케 코타(후허하오터, "푸른 도시"라는 뜻)를 건설했다.[7]

2. 3. 명나라와의 관계

알탄 칸은 1529년, 1530년, 1542년명나라다퉁, 허베이를 공격하여 많은 양의 가축과 전리품을 약탈해 돌아왔다. 그는 조선에 북로의 추장으로 명나라 변방을 약탈하는 인물로 알려졌다.

1541년 7월 알탄 칸은 한인 석천작(石天爵)을 명나라에 사신으로 파견하여 대동에서 무역을 요청하는 조서를 바쳤으나 가정제가 이를 거절했다. 명나라 상서 번계조(樊繼祖)는 대동에서 알탄 칸에게 현상금을 걸었다. 알탄 칸은 석령관(石嶺關)을 공격하여 함락하고 태원(太原)을 공격했다. 군빌리크는 평로위(平虜衛)와 평정(平定), 수양(壽陽) 등 여러 곳에 침입하여 약탈하였다. 이 과정에서 명나라 총병 정장(丁璋), 유격 주우(周宇) 등이 전사했고, 가정제는 살아남은 명나라 장군들을 처벌했다.

1542년 5월 알탄 칸은 다시 석천작을 사신으로 보내 조공과 무역을 요청했으나, 대동 순무 용대유(龍大有)가 석천작을 체포하여 북경으로 보낸 뒤 처형했다. 같은 해 7월 알탄 칸은 직접 만리장성을 넘어 명나라 삭주를 침공, 산서성, 섬서, 량주와 진주를 약탈하고 기현(祁縣)을 점령했다. 이 과정에서 부총병 장세충(張世忠) 군 3천 명을 포위, 분전 끝에 장세충을 화살로 쏘아 죽이고 부장 장선(張宣), 장신(張臣)과 3천 병력을 몰살시켰다. 알탄 칸의 군대는 다시 삭주를 공격하여 20만 명의 남녀를 학살하고 8만 채의 가구를 불태웠으며, 2백만 마리의 소와 말, 양 등을 노획했다.

1546년 5월 알탄 칸은 대동에 사자를 보내 화의와 무역을 요청했으나 사자는 살해되었다. 7월에 다시 다퉁으로 사자를 보내 무역을 요청했으나 명나라는 답변을 거부했다. 알탄 칸은 명나라에 말 무역을 요청하였으나 가정제는 거절했다.

1550년 12월 알탄 칸은 사자를 명나라 선부(宣府)와 다퉁에 보내 교역을 요청하였으나, 명나라는 무반응이었다. 1551년 3월 사자 토토(脫脫)를 선부에 보내 교역 허용과 함께 말 시장, 우시장, 양 시장을 열어줄 것을 요구했다.

1551년 4월 명나라와 협상을 체결하여 다퉁과 선부(宣府)에서 몽골의 말 무역 시장이 재개되었다. 그러나 명나라가 몽골의 소와 양 거래 요청을 거부하고 일방적으로 말 시장을 폐쇄하자, 알탄 칸은 1552년 2월 다시 명나라 다퉁 등 변경을 공격했다. 1553년 봄에는 선부와 연수(延綏)를 공격했고, 여름에는 감숙성과 대동, 가을에는 량주, 영구(靈丘), 광창(廣昌) 등을 공격했다가 물러났다. 1554년 봄 선부를 공격했고, 1555년 다시 선부를 공격하여 명나라 장군 조경규(趙傾葵)를 전사시켰다. 1557년에는 2만 명의 병력을 이끌고 대동을 공격했다.

1563년 봄, 알탄 칸은 다시 선부를 공격했으나 명나라 대동총병 유한(劉漢)의 군대에게 격퇴당하고 물러났다.

2. 3. 1. 경술의 변 (1550년)

1550년 알탄 칸은 명나라에 말 무역을 요청하였으나 가정제는 거절했다. 가정제의 무역 거절을 이유로 알탄 칸은 아들 셍게 뒤렁과 군사를 이끌고 1550년 6월 만리장성을 넘어 다퉁을 공격, 명나라 총병 장달(張達) 등을 전사시키고, 고북구를 거쳐 통주, 백하 등을 격파했다. 부총병 임춘(林椿)의 군사를 전멸시켰다. 같은 6월 북경을 공략, 포위하고 북경 교외와 주변 지역에 불을 지르는 경술의 변을 일으켰다. 몽골인들은 북경과 그 주변 지역을 불태웠고[31], 한때 명나라군을 북경 성안으로 몰아넣고 포위하기도 했다. 그러나 알탄 칸의 병력은 몽골 제국 전체 군대의 4분의 1 정도였고, 소수의 병력으로 명나라를 장기간 점령하는 것이 어렵다고 보아 8월 동쪽으로 후퇴했다가, 8월 23일 철군하였다. 알탄 칸은 자신이 작은 군대로 이겼다는 사실이 명나라에 알려지는 것과 명나라의 역습이 두려워 오랫동안 자신의 우위를 유지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퇴각했다. 알탄 칸의 군대는 명나라의 문헌, 사서에서 말하는 북로(北虜)의 대명사가 되었다.

2. 3. 2. 융경화의 (1571년)

1570년 10월 9일, 알탄 칸의 손자 바간나기(把漢納吉)가 10여 명의 무리를 이끌고 명나라에 투항했다. 이를 계기로 명나라는 1571년 3월 알탄 칸과 평화 조약을 맺었다.[33][34] 1570년 손자 바한나기가 명나라로 망명하자, 명나라는 바한나기에게 사족지휘사(四疋指揮使)와 소용장군(昭勇將軍)직을 제수했다. 알탄 칸은 사자를 보내 명나라 조정과 협상하여, 몽골에 포로로 붙잡혀온 조전(趙全) 등 한인과 손자 바한나기 송환을 명나라에 제시했다.

1571년 3월 28일, 명나라는 총독 왕숭고(王崇高)를 보내와 협상했다. 명나라는 알탄 칸을 순의왕(順義王)에 봉하고, 거성을 귀화성(歸化城)이라 부르며 명나라와 교역하게 했다. (\알탄봉공 / 융경화의) 명나라 황제는 투메드부의 칸에게 특별 독점무역권을 부여했다.[33][34] 왕숭고를 통해 순의왕작에 책봉되고, 홍망의(紅蟒衣, 붉은 관복) 1벌을 받았다. 알탄 칸의 동생 곤도르(昆都力哈 хөндлөн)와 아들 셍게 뒤렁은 도독동지(都督同知)를 제수받고, 각각 붉은 사자의(獅子衣) 1벌, 채폐(綵幣) 비단 4장을 받았다. 빈토태길(賓兎台吉) 등 10명은 지휘동지(指揮同知)를, 나목아태길(那木兒台吉) 등 19명은 지휘첨사(指揮僉事), 타아한태길(打兒漢台吉) 등 18명은 정천호(正千戶)직을, 아배태길(阿拜台吉) 등 12명은 부천호(副千戶)를, 흡태길(恰台吉) 등 2명은 백호(百戶)직을 받았다.

1571년 3월 28일 명나라는 대동, 득승보(得勝堡, 대동 북쪽), 장가구, 영하(寧夏), 홍산(紅山), 청수영(淸水營), 감숙 등 11개 국경 무역 도시를 열었다. 알탄 칸은 사자를 보내 북경에 티베트 라마의 가르침, 티베트 경전 및 번역본을 선물로 주었다.

융경제는 그에게 귀화라는 이름을 내렸는데, 이는 문명으로의 복귀를 뜻한다. 말과 비단 등이 무역의 대상이었고, 이후 이로 인해 튀메드는 경제적으로 크게 신장되었다. 그러나 몽골 백성들은 명나라에 침입하여 약탈함으로써 많은 돈을 벌었기 때문에 불만을 품기 시작했고, 평화를 명분으로 명나라를 약탈하는 것이 불가능해졌다.

1571년 알탄 칸은 명나라 조정에 자신의 동생으로 욘시에브부, 하르친부를 다스리던 곤도르(昆都力哈 хөндлөн) 혹은 바야스칼 곤도르(Баясхал хөндлөн)에게도 왕작 수여를 청하였으나, 거절당했다. 명나라에서는 알탄 칸의 사절을 환대한 뒤 되돌려보냈다. 곤도르는 1572년 사망하여 곤도르에게 중국 왕작을 수여하려는 계획은 실패했다.

2. 4. 티베트 불교와의 관계

(내몽골 자치구 후허하오터 시 소재)]]

알탄 칸은 티베트 불교 겔룩파에 큰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관계를 맺었다. 1569년 소남 갸초를 초청했으나, 소남 갸초는 직접 오지 않고 자신의 제자를 보내 몽골 전역에 불교를 전파할 기회에 대해 논의하게 했다.[15] 1573년에는 티베트 불교 승려들을 포로로 잡기도 했다.[16]

1577년 소남 갸초는 알탄 칸의 초청을 받아들여 몽골을 방문했고, 알탄 칸은 만남의 장소에 몽골 최초의 수도원인 테첸 쫀코르를 건립했다.[18] 할하 몽골의 지도자 압타이 사이 칸도 달라이 라마를 만나기 위해 투메드로 왔다.[19]

알탄 칸은 호르호트에 대소사(大召寺) 또는 이크 조(ᠡᠬᠡ ᠵᠤᠤ, Их Зуу, 몽골어로 큰 사원이라는 뜻)를 세웠으며, 테그친 촌호르(Тэгчин Чонхорыг)로도 불린다.

2. 4. 1. 달라이 라마 칭호 헌정

1578년 5월 15일 알탄 칸은 청해호 남쪽 찹찰(察布査爾, 현재의 궁허현)에서 소남 갸초를 만났다.[35] 이 자리에서 알탄 칸은 소남 갸초에게 '달라이 라마'라는 칭호를 헌정하였다. '달라이'는 티베트어 '갸초'(바다)의 몽골어 번역으로, '바다와 같은 지혜'를 의미한다.[17] 알탄 칸은 몽골에 티베트 불교의 포교와 확산을 지원했고, 이로 인해 티베트 불교는 다시 몽골 전역으로 퍼져나가게 되었다.[35] 소남 갸초는 쿠빌라이 칸을 개종시킨 티베트 삭야 승려 드로굔 쵸갰 팍파의 환생이며, 알탄 칸은 쿠빌라이 칸의 환생이라고 선언하며 불교 전파에 협력할 것을 천명했다.[21][22]

알탄 칸은 소남 갸초에게 성식일절 와제이달랄(울제이트) 달라이 라마(聖識一切 瓦齊爾達喇 達賴喇嘛), '거룩함이 일절이며 축복 받은 달라이 라마'라는 존호를 올렸다.[35] 1578년 제3대 달라이 라마로부터 전륜왕(轉輪王)의 칭호를 수여받았다.

소남 갸초는 몽골이 불교를 받아들여야 하며, 동물 희생과 인명 살상을 금하고, 여성의 순장 풍습을 없애야 한다고 강조했다.[26] 알탄 칸은 이러한 가르침에 따라 피의 희생 제사를 금지하는 칙령을 내렸다.[27]

2. 4. 2. 불교 전파와 사회 통합

알탄 칸은 불교 포교를 통해 몽골인을 종교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통합하려 했다. 그는 티베트겔룩파 종교 지도자들과 관계를 맺고, 소남 갸초를 초청하여 불교를 몽골에 전파했다.[17] 소남 갸초는 알탄 칸에게 "달라이"(갸초의 몽골어 번역으로 "대양"이라는 뜻)라는 칭호를 받았고,[17] 이후 "달라이 라마"로 알려지게 되었다.

알탄 칸은 소남 갸초의 가르침에 따라 동물 희생, 인명 살상, 여성 순장 등 몽골의 전통적인 풍습을 금지하는 칙령을 발표했다.[26][27] 그는 또한 몽골의 피 희생 관습을 금지했다.[27] 이러한 노력은 불교를 통해 몽골 사회의 질서를 확립하고 백성을 통합하려는 그의 의지를 보여준다.

티베트어산스크리트어 경전을 몽골어로 번역하는 대규모 사업이 시작되었고, 50년 안에 대부분의 몽골인들이 불교 신자가 되었다.[18] 수만 명의 승려들이 달라이 라마에게 충성하며 겔룩파에 소속되었다.[18]

2. 5. 최후

1580년경부터 정확히 알 수 없는 이유로 병석에 누웠고, 1582년 1월 13일 10시(酉時) 혹은 2월 26일 10시에 카탄 고르(황하) 근처에서 사망했다.[21] 알탄칸전에 의하면 저녁 10시이고 황하 근처라 한다. 일설에는 그해 2월 4일에 사망했다는 설이 있다. 향년 76세였다. 장남 두렝 셍게 황태자가 투메드부의 칸 지위를 이었고, 명나라로부터 순의왕작을 물려받았다.[30] 알탄 칸의 사후 몽골 제국은 분열되었다. 알탄 칸의 증손자 욘텐 갸초는 4대 달라이 라마로 선출되었다.

3. 평가 및 영향

알탄 칸은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정치적 수완을 바탕으로 몽골 부족을 통합하고, 명나라와의 관계를 개선했으며, 티베트 불교를 부흥시킨 군주로 평가받는다.[35] 그는 몽골 제국의 대칸 자리는 자신의 아버지 바르수볼라드 저넌 칸이 자신에게 물려줘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는 몽골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했으며, 특히 몽골과 명나라 간의 관계, 몽골 불교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1578년 제3대 달라이 라마로부터 전륜왕(轉輪王)의 칭호를 수여받았다.[35] 청사고에 따르면, 만년의 알탄 칸은 출병을 귀찮아하여 오르도스에 체류했다고 한다. 그는 몽골불교를 재중흥시켜 다그신 보그드 알탄 칸(дагшин богд Алтан хаан)으로 존경받았는데, 이는 몽골어로 성스럽고 위대한 알탄 칸이라는 뜻이다.

알탄 칸은 달라이 라마와 협력하여, 이전 쿠빌라이 칸이 팍스파와 협력하여 추구한 정치, 종교적 연대를 모방하려 했다. 이때부터 불교는 몽골에 다시 퍼지게 됐다.

알탄 칸이 건설한 후허하오터는 오늘날 내몽골 자치구의 수도이자 몽골의 주요 도시 중 하나로 남아 있다. 그는 재위 기간 동안 몽골의 농업, 축산 및 수공예 산업을 발전시켰고 한족과 티베트 문화를 흡수했으며, 불교를 통한 사상적 단결을 꾀하였다. 그의 계속된 명나라 공격은 명나라 북부 섬서성, 산서성 지역의 황폐화로 이어졌고, 후일 명나라만주족에게 패배하게 된 여러 가지 이유의 하나가 되었다.[36]

그가 명나라로부터 얻어낸 마시장과 무역은 이후 투메드부의 주요 수입원이 되었다. 그가 세운 후허하오터는 이후 투메드부의 수도이자, 투메드 멸망 후에는 내몽골의 중심지가 되었다.

3. 1. 한국사와의 관련성

조선 시대에 '북로(北虜)'는 북쪽 오랑캐, 즉 몽골 세력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알탄 칸은 이 북로의 대표적인 인물 중 하나였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알탄 칸과 관련된 기록이 여러 차례 등장한다.

1550년 알탄 칸은 명나라 가정제에게 무역을 요구했으나 거절당하자, 군사를 이끌고 만리장성을 넘어 다퉁을 공격하고, 경술의 변을 일으켜 베이징을 포위하고 주변 지역을 약탈했다.[31] 이 사건은 조선에도 큰 충격을 주었다. 조선 조정은 명나라에 사신을 보내 상황을 파악하고, 북방 수비를 강화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알탄 칸의 침입은 조선의 대북방 정책에도 영향을 미쳤다. 조선은 몽골과의 관계를 안정시키기 위해 여진 세력을 견제하는 정책을 펼치기도 했다.

참조

[1] 웹사이트 Алтан хан https://www.mongolto[...]
[2] 서적 Ming China, 1368-1644: A Concise History of a Resilient Empire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3] 서적 Tibetan Civiliza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Tibet & its History. Second Edition, Revised and Updated Shambhala
[5] 서적 The Thirteenth Dalai Lama on the Run (1904-1906): Archival Documents from Mongolia https://books.google[...] BRILL 2013-06-28
[6] 백과사전 The New Encyclopædia Britannica
[7] 백과사전 The New Encyclopædia Britannica
[8] 서적 The Story of Tibet: Conversations with the Dalai Lama Grove Press
[9] 백과사전 The New Encyclopædia Britannica
[10] 문서 History of Ming
[11] 서적 China Marches West: The Qing Conquest of Central Eurasi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9-06-30
[12] 서적 The Story of Tibet: Conversations with the Dalai Lama Grove Press
[13] 웹사이트 1571 年,明廷封俺答汗为"顺义王",其弟把都儿、侄子吉能(袄儿都思部济农)等人以下台吉60 多人被封为都督、指挥、千户、百户等明朝官职,按职给赏,俺答汗等人每年向明朝贡马,右翼蒙古终于与明朝建立了通贡互市关系。In 1571, the Ming Dynasty granted Anda Khan the title of "King of Shunyi". His younger brother Badu'er, nephew Ji Neng (Yao'erdu Sibu Ji Nong) and others, more than 60 people were assigned to governor, commander, Qianhu and Baifu official positions of the Ming Dynasty. Rewards were granted according to their posts. Anda Khan and others paid tribute to the Ming Dynasty every year. Right-wing Mongolia finally established a mutual tribute and trade relationship with the Ming Dynasty. https://m.sohu.com/a[...]
[14] 문서 History of Ming
[15] 서적 Tibet: An account of the history, religion and the people of Tibet Touchstone Books
[16] 서적 Tibetan Civiliza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17] 서적 McKay 2003
[18] 서적 The Story of Tibet: Conversations with the Dalai Lama Grove Press
[19] 웹사이트 Erdene Zuu Monastery - mandal http://www.mandal.ca[...] 2007-12-07
[20] 웹사이트 Discover Mongolia http://www.discover.[...] 2007-12-07
[21] 서적 The Story of Tibet: Conversations with the Dalai Lama Grove Press
[22] 서적 Tibet: An account of the history, religion and the people of Tibet Simon & Schuster
[23] 문서 明实录
[24] 서적 McKay 2003
[25] 서적 McKay 2003
[26] 서적 Tibet: An account of the history, religion and the people of Tibet Touchstone Books
[27] 서적 Tibetan Civiliza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28] 서적 The Fourteen Dalai Lamas: A Sacred Legacy of Reincarnation Clear Light Publishers
[29] 백과사전 The New Encyclopædia Britannica
[30] 서적 Buddhism in Mongolian History, Culture,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1] 서적 The Story of Tibet: Conversations with the Dalai Lama Grove Press
[32] 백과사전 The New Encyclopædia Britannica
[33] 서적 Ming China, 1368-1644: A Concise History of a Resilient Empire Rowman & Littlefield
[34] 서적 China Marches West: The Qing Conquest of Central Eurasia Harvard University Press
[35] 뉴스 티베트하면 달라이라마밖에 모르는 이를 위하여 https://www.hankyung[...] 한국경제 2013-06-27
[36] 서적 Buddhism in Mongolian History, Culture, and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