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육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육대학교는 1906년 평안남도 순안군에 의명학교로 개교하여, 일제강점기 신사 참배 강요에 저항하여 자진 폐교했다가 광복 후 서울 동대문구에서 재개교했다. 1949년 현재 부지로 이전하였고, 삼육신학원, 삼육신학대학을 거쳐 1967년 삼육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고, 1992년 현재의 삼육대학교로 변경되었다. 8개의 단과대학, 일반대학원과 특수대학원을 운영하며, 다양한 연구소를 보유하고 있다. Adventist Colleges Abroad(ACA) 프로그램을 통해 국제 교류를 진행하며, 저명한 동문과 교수진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삼육대학교 - 한국삼육중학교
한국삼육중학교는 1953년 재림중학교로 개교하여 교명을 변경한 사립 중학교로, 기독교 정신을 바탕으로 인성 교육과 전인적 성장을 목표하며 영어 교육 강화, 종교 수업 등 특색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 1942년 폐교 - 구세군사관대학원대학교
구세군사관대학원대학교는 2014년에 설립되어 2015년에 개교한 대한민국의 신학대학원대학교이며, 구세군성경대학으로 시작하여 구세군사관학교로 교명을 변경하고 석사 과정만 운영한다. -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 삼육식품
삼육식품은 1978년경 설립된 대한민국의 식품 제조 기업으로, 두유, 육류 대체 식품, 라면, 김 등을 생산하며, 특히 삼육두유 제품으로 유명하고, 유기농 친환경대상, e-Biz 브랜드 혁신대상 등을 수상하고 FSSC 22000, ISO 14001, ISO 45001 인증을 획득하는 등 품질과 안전, 환경 경영을 강화해왔다. -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 바빌론의 대탕녀
바빌론의 대탕녀는 요한 묵시록에 등장하는 상징적인 존재로, 세상 권력의 부패와 사치를 나타내며 다양한 종교적, 사회적, 정치적 맥락에서 여러 대상(로마 제국, 예루살렘, 로마 가톨릭교회, 거짓 종교의 세계 제국 등)을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삼육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정식 명칭 | 삼육대학교 |
영문 명칭 | Sahmyook University |
표어 | 지(知), 영(靈), 체(體) |
영문 표어 | Mind, Spirit, Body |
라틴어 표어 | prudentia, animus, corpus corporis |
설립일 | 1906년 10월 10일 |
이전 명칭 | 의명대학 (1906-1951) |
대학 종류 | 사립 |
종교 | 개신교(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
총장 | 김성익 |
이사장 | 황춘광 |
위치 | 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815 |
캠퍼스 면적 | 302 ha (3 km²) |
웹사이트 | 삼육대학교 홈페이지 |
규모 | |
대학 | 8개 대학 |
대학원 | 4개 대학원 |
학부생 | 5,332명 (2022년) |
대학원생 | 530명 (2022년) |
전임 교원 | 215명 (2022년) |
비전임 교원 | 354명 (2022년) |
기타 | |
2. 연혁
연도 | 내용 |
---|---|
1906년 10월 10일 | 평안남도 순안에 의명학교 개교[1] |
1917년 | 2년제 고등반으로 신학과 병설 |
1931년 4월 | 의명학교 신학과를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본부교회로 이전 |
1937년 | 일제 강점기 신사 참배 강요에 대응하여 종교적 신념을 지키기 위해 자진 경영 철수[1] |
1937년 5월 | 사역자 양성소로 재개교 |
1942년 5월 | 일제의 탄압으로 폐교 |
1947년 9월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에서 조선합회 신학교로 재개교[1] |
1949년 11월 | 현재 학교 부지로 이전[1] |
1951년 11월 | 삼육신학원으로 교명 변경[1] |
1954년 3월 | 4년제 과정 각종학교 인가 |
1961년 6월 | 4년제 일반대학으로 전환, 삼육신학대학으로 교명 변경 |
1962년 3월 | 삼육실업초급대학 병설 |
1967년 3월 | 삼육대학으로 교명 변경 |
1973년 12월 | 삼육기술전문학교 병설 |
1980년 9월 | 대강당 준공 |
1984년 7월 | 도서관 준공 |
1992년 3월 | 삼육대학교로 교명 변경 |
1993년 2월 | 유즈노사할린스크에 분교 러시아 삼육대학 설치 |
1996년 10월 | 개교 90주년 행사 개최 |
1997년 9월 | 바울관 준공 |
1997년 10월 | 터전마련 50주년 행사 개최 |
2000년 1월 | 제2과학관 준공 |
2000년 3월 | 신학관 준공 |
2000년 11월 | 체육관 준공 |
2002년 11월 | 새로운 U.I. 제정 및 선포 |
2005년 12월 | 교육인적자원부로부터 삼육의명대학과 통합 승인 |
2006년 10월 | 개교 100주년 기념 행사 개최 및 기념 우표 발행 |
2007년 1월 | 미국 ETS 주관 TOEFL IBT 시험센터 인증 |
2007년 2월 | 한국 TOEIC 위원회 주관 토익시험센터 유치 |
2007년 10월 | 백주년기념관 준공 |
2008년 5월 | 음악관 준공 |
2008년 9월 | 한국사학진흥재단 주관 2008 전국대학 경영평가 전국 8위 |
2009년 5월 | 교육과학기술부 주관 교육역량강화사업 선정 |
2013년 9월 | 교육부·한국대학평가원 대학기관평가인증 인증 |
2014년 7월 | 수도권대학특성화(CK-II) 사업 선정 |
2016년 6월 | 수도권대학특성화(CK-II) 사업 계속 지원 대학 선정, 중장기 발전계획 SU-MVP+ 플랜 2025 마련 |
2016년 7월 | 다니엘관, 요한관, 박물관 준공 |
2017년 4월 | 교육부 주관 ‘대학자율역량강화지원사업( ACE+)’ 선정 |
2017년 12월 |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주관 ‘교육국제화역량인증제(IEQAS)’ 인증대학 선정 |
2018년 3월 | 교육국제화역량(IEQAS) 인증 획득(3년) |
2018년 5월 | ‘해외취업연수사업(K-Move스쿨)’ 선정 |
2018년 8월 | 교육부 대학기본역량진단 ‘자율개선대학’ 최종 선정 |
2019년 4월 | 대학혁신지원사업 국고 지원 |
2019년 6월 | 한국대학평가원 대학기관평가인정 획득 및 우수대학 선정 |
2020년 3월 | 김일목 박사 제15대 총장 취임 |
2020년 6월 | 생활교육원 브니엘관 준공(레지덴셜 칼리지) |
2020년 11월 |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산학연 기술개발 인프라 구축 업무협약(MOU)’ 체결 |
2021년 4월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프트웨어중심대학 선정 |
2021년 9월 | 교육부 대학기본역량진단 ‘일반재정지원대학’ 최종 선정 |
2021년 10월 | SU-GLORY 2030′ 비전 선포 |
2021년 11월 | 국제학술대회 ‘ICSU 2021’ 개최 |
2022년 4월 | 개교 116주년 기념 ‘옛터 기념비 세우기’ 사업 시행 |
2022년 5월 | 교육부 ‘2022~2024년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선정 |
2022년 6월 | 교육부·산업통상자원부·한국산업기술진흥원 반도체 전공트랙 사업 선정 |
2022년 7월 | 교육부·특허청 신산업분야 지식재산 융합인재 양성사업’ 선정 |
2. 1. 설립 초기 (1906년 ~ 1945년)
1906년 10월 10일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선교사들이 평안남도 순안에 '의명학교'를 설립했다.[1] 이 학교는 한국 교회 종사자들의 교육 향상을 목표로 했다. 1917년에는 2년제 고등반에 신학과를 병설했다.1931년 4월, 의명학교 신학과는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본부교회로 이전되었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 신사 참배 강요에 대응하여 종교적 신념을 지키기 위해 1937년에 자진하여 학교 경영에서 물러났다.[1] 이후 1937년 5월 사역자 양성소로 재개교했지만, 1942년 5월 일제의 탄압으로 폐교되었다.
2. 2. 광복 이후 (1945년 ~ 현재)
1945년 광복 이후, 학교는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동의 본부교회에서 조선합회 신학교로 재개교하였다.[1] 1949년 11월에는 현재의 학교 부지로 이전하였다.[1] 1951년 11월, '삼육신학원'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1]1954년 3월, 4년제 각종학교로 인가받았으며, 1961년 6월에는 4년제 일반대학으로 전환하면서 '삼육신학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62년 3월에는 삼육실업초급대학을 병설하였고, 1967년 3월에는 삼육대학으로 교명을 변경하였다. 1973년 12월에는 삼육기술전문학교를 병설하였다.
1980년 9월 대강당, 1984년 7월 도서관을 준공하였다. 1992년 3월, 현재의 교명인 '삼육대학교'로 변경하였다. 1993년 2월에는 유즈노사할린스크에 분교인 러시아 삼육대학을 설치하였다.
1996년 10월 개교 90주년 행사를 개최하였고, 1997년에는 9월 바울관 준공, 10월 터전마련 50주년 행사를 개최하였다. 2000년에는 1월 제2과학관, 3월 신학관, 11월 체육관을 준공하였다. 2002년 11월에는 새로운 U.I.를 제정 및 선포하였다.
2005년 12월, 교육인적자원부로부터 삼육의명대학과의 통합을 승인받았다. 2006년 10월에는 개교 100주년 기념 행사와 기념 우표를 발행하였다. 2007년에는 1월 ETS 주관 TOEFL IBT 시험센터 인증, 2월 한국 TOEIC 위원회 주관 토익시험센터를 유치하였으며, 10월에는 백주년기념관을 준공하였다. 2008년 5월에는 음악관을 준공하였다.
2008년 9월, 한국사학진흥재단 주관 전국대학 경영평가에서 전국 8위를 기록하였다. 2009년 5월에는 교육과학기술부 주관 교육역량강화사업에 선정되었다. 2013년 9월, 교육부와 한국대학평가원으로부터 '대학기관평가인증'을 받았다.
2014년 7월, 수도권대학특성화(CK-II) 사업에 선정되었으며, 2016년 6월에는 계속 지원 대학으로 선정되었다. 2016년 6월, 중장기 발전계획 SU-MVP+ 플랜 2025를 마련하였고, 7월에는 다니엘관, 요한관, 박물관을 준공하였다. 2017년 4월, 교육부 주관 ‘대학자율역량강화지원사업( ACE+)’에 선정되었고, 12월에는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 주관 ‘교육국제화역량인증제(IEQAS)’ 인증대학으로 선정되었다.
2018년 3월, 교육국제화역량(IEQAS) 인증을 3년 획득하였고, 5월에는 ‘해외취업연수사업(K-Move스쿨)’에 선정되었다. 2018년 8월, 교육부 대학기본역량진단에서 ‘자율개선대학’으로 최종 선정되었다. 2019년 4월, 대학혁신지원사업 국고 지원을 받았으며, 6월에는 한국대학평가원으로부터 대학기관평가인정을 획득하고 우수대학으로 선정되었다.
2020년 3월, 김일목 박사가 제15대 총장으로 취임하였다. 2020년 6월, 생활교육원 브니엘관(레지덴셜 칼리지)을 준공하였고, 11월에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산학연 기술개발 인프라 구축 업무협약(MOU)’을 체결하였다. 2021년 4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프트웨어중심대학에 선정되었으며, 9월에는 교육부 대학기본역량진단에서 ‘일반재정지원대학’으로 최종 선정되었다.
2021년 10월, SU-GLORY 2030′ 비전을 선포하였고, 11월에는 국제학술대회 ‘ICSU 2021’을 개최하였다. 2022년 4월, 개교 116주년 기념 ‘옛터 기념비 세우기’ 사업을 시행하였다. 2022년 5월, 교육부 ‘2022~2024년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에 선정되었으며, 6월에는 교육부,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이 주관하는 반도체 전공트랙 사업에 선정되었다. 2022년 7월, 교육부와 특허청이 주관하는 신산업분야 지식재산 융합인재 양성사업’에 선정되었다.
3. 교육 및 연구
삼육대학교는 학부 및 대학원 과정과 여러 연구소를 운영하며 교육 및 연구 활동을 지원한다.
3. 1. 학부
삼육대학교는 8개의 단과대학으로 구성되어 있다.[4]신학대학 | 인문사회대학 | 간호대학 | 약학대학 | 보건복지대학 | 과학기술대학 | 미래융합대학 | 문화예술대학 |
---|---|---|---|---|---|---|---|
3. 2. 대학원
'''일반대학원'''인문사회계열 | 자연과학계열 | 예체능계열 |
---|---|---|
'''특수대학원'''
- https://www.syu.ac.kr/grad/ 일반대학원
- 특수대학원
- * https://www.syu.ac.kr/gtheology/ 신학대학원
- * https://www.syu.ac.kr/mba/ 경영대학원
- * https://www.syu.ac.kr/ghealth/ 임상간호대학원
3. 3. 연구소
- 지구과학연구소
- 한국 HIV/AIDS 예방 연구소
- 생명과학연구소
- 선교와 사회 연구소
- 한국알코올문제연구소
- 신학연구소
- 의명 뇌과학연구소
4. 국제 교류
삼육대학교는 Adventist Colleges Abroad (ACA) 프로그램을 공동 주관하고 있으며, 이 프로그램을 통해 자격을 갖춘 학생들은 삼육대학교 졸업 요건을 이수하면서 해외에서 공부할 수 있다.[1] 학부생들은 해외 유학도 가능하다.[1]
푸에르토리코, 남아프리카, 멕시코, 영국, 자메이카, 캐나다, 루마니아, 인도, 러시아, 태국, 이탈리아, 우크라이나, 볼리비아 및 미국에서 제휴 및 연장 프로그램이 제공된다.[1] (자매 대학 전체 목록은 여기 참조)[1]
5. 저명한 동문
- 이한, 테너, 상지대학교 교수
- 이동훈, 남자 피겨 스케이팅 선수
- 진구, 배우
- 이승렬, 축구 선수
6. 저명한 교수진
참조
[1]
웹사이트
Sahmyook University Introduction
http://with.syu.ac.k[...]
2009-06-19
[2]
웹사이트
Fishing for Souls
https://web.archive.[...]
2009-07-19
[3]
웹사이트
대학알리미 개별 공시
http://www.academyin[...]
[4]
텍스트
교직이수 과정 설치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삼육대, 8일부터 2026학년도 수시모집 원서접수… 825명 선발
삼육대, 시니어모델 최고과정 3기 개강… 지도자 과정 신설
삼육대, 개교 120주년 슬로건 공모… 기념사업 시동
삼육대, 학생 1인당 장학금 6년 연속 ‘서울권 1위’
삼육대 김성익·김일목 전 총장 정년퇴임
논술전형…‘약술형 논술’ 100%로 선발
삼육대 김영미 교수, ‘2025 KPC 장애인스포츠 심판아카데미’ 운영
삼육대, ‘2025 SW 산학협력 네트워크 데이’ 개최
내신 자신 없으면…극복할 수 있는 논술전형 도전해보자
삼육대, 60명 캐나다·호주 해외연수… ‘파란사다리’ 성료
삼육대 ‘시각장애인’ 윤선미 박사, 두 번째 박사·여섯 번째 학위 취득
삼육대, ‘2024학년도 후기 대학원 학위수여식’ 개최
삼육대-삼육치과병원, ‘기부자 예우·의료복지 확대’ MOU 체결
삼육대 이완희 교수팀, 단계별 산후 재활운동 ‘5R 시스템’ 개발
삼육대-가천대, ‘2026 논술 연합설명회’ 14일 개최
삼육대, 대학혁신지원사업 성과평가 최고 ‘S등급’ 획득
삼육대, ‘2025 여름 노원 어린이 원어민 영어캠프’ 성료
삼육대, 연천교육지원청과 MOU… 청소년 국제교류 프로그램 운영
삼육대, 캄보디아서 국제교육협력 모델 구축… ‘에듀브리지 프로젝트’ 성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