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동대문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대문구는 서울특별시 동부에 위치한 구로, 1943년 설치되었다. 서울의 동부 중앙에 위치하며, 성동구, 중랑구, 광진구, 성북구, 종로구 등과 접한다. 주요 간선도로와 청량리역을 비롯한 여러 지하철 노선이 지나 교통이 발달했다. 14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2년 말 기준 375,683명이 거주하고 있다. 주요 문화 시설로는 중랑천, 경동시장, 세종대왕 기념관 등이 있으며, 경희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등 여러 교육 기관이 있다. 춘천시, 여주시 등 국내외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3년 설치 - 종로구
    종로구는 서울특별시 중심에 위치한 자치구로서, 조선 시대 한양의 중심지이자 대한민국 정치·행정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며, 구 이름은 종루가 있던 종로에서 유래했고, 청와대, 정부서울청사, 경복궁, 창덕궁 등 주요 기관과 유적지가 위치한 "한국 정치 1번지"로 불리는 지역이다.
  • 1943년 설치 - 서대문구
    서대문구는 서울특별시 중서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산과 하천이 어우러진 지형적 특징을 지니며, 대학교와 역사 유적지가 위치하고 신촌 지역을 중심으로 젊은 세대의 문화가 발달한 14개 행정동으로 구성된 지역이다.
  • 서울 동대문구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세종대왕기념사업회는 세종대왕 관련 문헌 간행 및 유물·유적 수집·보관 사업을 통해 민족 문화 정체성 확립에 기여하는 단체이다.
  • 서울 동대문구 - 동대문도서관
    동대문도서관은 1971년에 개관하여 관외대출, 디지털자료실 개설, 리모델링 등 변화를 거쳐 종합자료실, 자율학습실, 어린이실, 식당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 서울 동대문구의 행정 구역 - 신설동
    신설동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에 위치한 지역으로, 조선시대 ‘신설계’에서 유래되어 갑오개혁 이후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으며,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2009년 용두동과 통합, 신설동역과 서울풍물시장 등의 명소가 있다.
  • 서울 동대문구의 행정 구역 - 휘경동
    휘경동은 조선 순조의 생모 묘소에서 유래된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의 법정동이며, 과거에는 휘경리, 휘경정으로 불리다가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다양한 교육 기관과 삼육서울병원이 위치해 있다.
동대문구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코레일 청량리역 건물
코레일 청량리역 건물
동대문구 깃발
동대문구 깃발
공식 명칭동대문구 · 東大門區
로마자 표기Dongdaemun-gu
한글 표기동대문구
한자 표기東大門區
일본어 표기平仮名: とうだいもんく
片仮名: トンデムング
행정 구역 종류특별 자치구
위치서울특별시
하위 행정 구역14개 행정동
면적14.22 km²
인구340,686명 (2024년 9월 기준)
우편 번호02400~02699
지역 번호02-900, 2200
웹사이트동대문구청
구 상징구목: 느티나무
구화: 목련
구조: 백로
정치
구청장이필형 (국민의힘)
국회의원동대문구 갑: 안규백 (더불어민주당)
동대문구 을: 장경태 (더불어민주당)
지방 의회동대문구의회
역사
설립미상
행정
행정동14개
법정동10개
기타
행정구역 분류 코드11060

2. 역사

조선 시대에는 현재 동대문구 지역에 제기리, 전농리, 답십리, 청량리 등의 마을이 있었으며, 인창방에 소속되었다.[9]대동여지도》의 「경조오부도」에는 제기현, 전농리, 답십리, 청량사 등의 명칭이 수록되어 있다. 1698년(숙종 24년)에는 제기리에 호랑이가 마을에 들어온 일이 기록되었다.[9]

1943년 6월 10일 최초의 구제 실시로 돈암정, 창신정, 숭인정, 신설정, 용두정, 안암정, 제기정, 청량리정, 회기정, 이문정, 휘경정, 전농정, 종암정, 답십리정, 성북정을 관할로 하여 경기도 경성부 동대문구가 설치되었다.[9] 1946년 10월 9일 동대문구에 속한 행정구역의 일본식 명칭이 한국식으로 개칭되었다.[9][2](→서울의 역사)

1949년 8월 13일 돈암동, 안암동, 종암동, 성북동이 성북구로 편입되었다.[10] 1955년 신설동 일부를 관할로 보문동이 분리되었다. 1962년 12월 12일 경기도 양주군 구리면 상봉리 등과 성동구 면목동이 동대문구에 편입되었고,[11] 1963년 1월 1일 구리면에서 편입한 5개동 지역에 망우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68년 1월 1일 망우출장소가 폐지되었다.[12]

1975년 10월 1일 창신동숭인동 등이 종로구로 편입되었고(이 과정에서 흥인지문(동대문)도 종로구로 넘어갔다.), 보문동이 성북구로 편입되었다.[13] 1988년 1월 1일 면목동 등을 관할로 중랑구가 설치되었다.[14]

2008년 8월 11일 행정동 용두1동과 용두2동을 용두동으로, 청량리1동과 청량리2동을 청량리동으로, 전농4동을 전농2동으로, 답십리5동이 답십리3동으로 합동하였다.[15] 2009년 5월 4일 용두동과 신설동을 용신동으로, 제기1동과 제기2동을 제기동으로, 전농2동을 전농1동으로, 답십리3동을 답십리1동으로, 답십리4동을 답십리2동으로, 장안3동을 장안1동으로, 장안4동을 장안2동으로, 이문2동을 이문1동으로 합동하였고, 전농3동을 전농2동으로, 이문3동을 이문2동으로 개칭하여[16] 현재의 14개 행정동 체제가 완성되었다.

3. 지리

서울특별시 동부 중앙에 위치하며, 남쪽으로는 성동구, 동쪽으로는 중랑천을 경계로 중랑구광진구, 북쪽으로는 성북구, 서쪽으로는 종로구와 접한다.[17] 천호대로, 왕산로, 고산자로 등 주요 간선도로가 관통하며, 청량리역을 비롯한 서울 지하철 1호선2호선이 통과하는 교통의 요지이다.[17]

중랑천은 서울에서 가장 긴 하천으로, 자전거 도로와 운동 시설이 잘 조성되어 있어 주민들의 휴식 공간으로 활용된다.

동대문구는 북서쪽으로 성북구, 동쪽으로 중랑구(중랑천이 경계를 이룸), 남동쪽으로 광진구, 남쪽으로 성동구와 접하며, 남서쪽 끝에서 중구와 만나고, 서쪽으로 종로구와 접한다. 구 내에서 가장 번화한 지역은 서울의 2차 중심업무지구 중 하나인 청량리역을 중심으로 형성된 대규모 상업지역인 청량리 지역이다. 동대문구는 서울 성곽의 동쪽 문인 동대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지만, 정작 동대문은 종로구에 위치한다. 이는 행정 경계 변경 때문이다.

4. 행정 구역

행정구역도


동대문구의 행정 구역은 10개의 법정동을 14개의 행정동으로 관리하며, 면적은 14.20km2이다. 동대문구의 인구는 2012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157,650세대, 375,683명이다.[18]

동대문구는 현재 용신동, 제기동, 전농제1동, 전농제2동, 답십리제1동, 답십리제2동, 장안제1동, 장안제2동, 청량리동, 회기동, 휘경제1동, 휘경제2동, 이문제1동, 이문제2동 14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있다.[3]

행정동한자면적 (km2)세대인구 (명)
용신동龍新洞1.6115,78233,602
제기동祭基洞1.1813,08329,474
전농제1동典農第1洞1.1912,67027,251
전농제2동典農第2洞0.867,78021,753
답십리제1동踏十里第1洞0.868,66120,582
답십리제2동踏十里第2洞0.8012,22632,184
장안제1동長安第1洞1.2514,97338,129
장안제2동長安第2洞1.0812,95833,121
청량리동淸凉里洞1.2010,92025,438
회기동回基洞0.765,78012,664
휘경제1동徽慶第1洞0.638,10817,724
휘경제2동徽慶第2洞1.0510,57126,392
이문제1동里門第1洞1.0415,41933,770
이문제2동里門第2洞0.698,78823,673
동대문구東大門區14.20157,650375,683



법정동은 신설동, 용두동, 제기동, 전농동, 답십리동, 장안동, 청량리동, 회기동, 휘경동, 이문동 10개이다.

행정동법정동
용신동(龍新洞)신설동, 용두동
제기동(祭基洞)제기동
전농제1동(典農第1洞)전농동(典農洞)
전농제2동(典農第2洞)
답십리제1동(踏十里第1洞)답십리동(踏十里洞)
답십리제2동(踏十里第2洞)
장안제1동(長安第1洞)장안동(長安洞)
장안제2동(長安第2洞)
청량리동(淸凉里洞)청량리동(淸凉里洞)
회기동(回基洞)회기동(回基洞)
휘경제1동(徽慶第1洞)휘경동(徽慶洞)
휘경제2동(徽慶第2洞)
이문제1동(里門第1洞)이문동(里門洞)
이문제2동(里門第2洞)



몇 차례 동의 통합을 거쳐 현재는 14개 동이 존재하며, 2023년 현재 구청장은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초선된 국민의힘 소속 이필형이다.

5. 인구

1966년 521,148명이던 동대문구의 인구는 1985년까지 꾸준히 증가하여 942,275명에 달했다. 이후 인구가 감소하여 2010년에는 339,599명까지 줄었으나, 2015년에는 364,787명으로 다시 소폭 증가하였다. 2012년 12월 31일 기준 동대문구에는 157,650세대, 375,683명이 거주하고 있었다.

연도총인구
1966년521,148명
1970년737,191명
1975년737,871명
1980년847,620명
1985년942,275명
1990년503,257명
1995년415,232명
2000년366,282명
2005년371,024명
2010년339,599명
2015년364,787명


6. 문화·관광

한강으로 흘러들어가는 중랑천


'''중랑천'''은 성동구 금호동과 성수동 1가의 강변북로 다리에서 한강과 합류하는 하천이다. 경기도 부분의 중랑천은 지방하천으로 분류되며 서울특별시에 접어들면 국가하천으로 등급이 바뀐다. 또, 동부간선도로 강북 구간이 서울특별시 구간부터 중랑천과 나란히 뻗어있다. 총 길이는 45.3 km으로 서울특별시내의 하천 중에서 제일 길다. 자전거 도로와 여러가지 운동시설이 잘 조성되어 있다.

'''경동시장'''은 전통적인 시장으로, 다양한 물품을 판매한다.

세종대왕 기념관 (King Sejong Memorial)과 서울시 문화재인 선농단(Seonnongdan 先農壇), 세종대왕신도비(King Sejong Sindobi 世宗大王神道碑)가 있다. 국보인 수표(Supyo 水標)와 사적인 영휘원(Yeonghuiwon 永徽園)이 있다.[2] 김병로(Kim Byeongro 金炳魯), 한용운(Han Yongwoon 韓龍雲), 안창호오세창(Oh Sechang 吳世昌)의 묘소 또한 이 지역에 위치해 있다.[2]

서울 영휘원과 숭인원은 사적 361호로, 서울 선농단은 사적 436호로 지정되어 있다.[2] 서울 선농단 향나무는 천연기념물 제240호이고, 서울 영휘원 산사나무는 천연기념물 제506호이다.[2] 세종대왕신도비는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2-1호이며, 청량리역 검수차고는 등록문화재 제269호이다.[2] 김병로, 한용운, 안창호오세창의 묘소 또한 이 지역에 위치해 있다.[2]

선농제는 매년 봄, 조선 시대 임금이 풍년을 기원하며 제를 올리던 선농단 제사를 복원, 재현하는 행사이다.

6. 1. 명소



'''중랑천'''은 성동구 금호동과 성수동 1가의 강변북로 다리에서 한강과 합류하는 하천이다. 경기도 부분의 중랑천은 지방하천으로 분류되며 서울특별시에 접어들면 국가하천으로 등급이 바뀐다. 또, 동부간선도로 강북 구간이 서울특별시 구간부터 중랑천과 나란히 뻗어있다. 총 길이는 45.3 km으로 서울특별시내의 하천 중에서 제일 길다. 자전거 도로와 여러가지 운동시설이 잘 조성되어 있다.

'''경동시장'''은 전통적인 시장으로, 다양한 물품을 판매한다.

세종대왕 기념관 (King Sejong Memorial)과 서울시 문화재인 선농단(Seonnongdan 先農壇), 세종대왕신도비(King Sejong Sindobi 世宗大王神道碑)가 있다. 국보인 수표(Supyo 水標)와 사적인 영휘원(Yeonghuiwon 永徽園)이 있다.[2] 김병로(Kim Byeongro 金炳魯), 한용운(Han Yongwoon 韓龍雲), 안창호오세창(Oh Sechang 吳世昌)의 묘소 또한 이 지역에 위치해 있다.[2]

6. 2. 문화재

서울 영휘원과 숭인원은 사적 361호로, 서울 선농단은 사적 436호로 지정되어 있다.[2] 서울 선농단 향나무는 천연기념물 제240호이고, 서울 영휘원 산사나무는 천연기념물 제506호이다.[2] 세종대왕신도비는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2-1호이며, 청량리역 검수차고는 등록문화재 제269호이다.[2] 김병로, 한용운, 안창호오세창의 묘소 또한 이 지역에 위치해 있다.[2]

6. 3. 행사

선농제는 매년 봄, 조선 시대 임금이 풍년을 기원하며 제를 올리던 선농단 제사를 복원, 재현하는 행사이다.

7. 교육

동대문구에는 대학교, 전문대학, 고등학교 및 평생교육 시설 등 다양한 교육기관이 있다. 대학교로는 경희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과학기술원 서울캠퍼스, 경희사이버대학교,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가 있다.

경희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전문대학으로는 삼육간호보건대학이 있다.

고등학교로는 경희고등학교, 경희여자고등학교, 대광고등학교, 동국대학교사범대학부속고등학교, 정화여자상업고등학교, 청량고등학교, 해성국제컨벤션고등학교, 해성여자고등학교, 휘경공업고등학교, 휘경여자고등학교, 휘봉고등학교가 있다. 평생교육 시설로는 정암미용고등학교, 청량정보고등학교가 있다.

8. 교통

코레일서울메트로



동대문구에는 한국철도공사서울교통공사, 우이신설경전철 노선이 지난다.

코레일은 청량리역에서 새마을호, 무궁화호, ITX-청춘 열차를 운영한다.[5] 경원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신이문역, 외대앞역, 회기역을 지나며, 중앙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경춘선)은 청량리역회기역을 지난다. 분당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은 청량리역을 지난다.[6]

서울교통공사서울 지하철 1호선 (청량리역, 제기동역, 신설동역),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지선 (용두역, 신설동역), 서울 지하철 5호선 (답십리역, 장한평역)을 운영한다.

우이신설경전철은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신설동역)을 운영한다.

8. 1. 철도

동대문구에는 한국철도공사서울교통공사, 우이신설경전철 노선이 지난다.

코레일은 청량리역에서 새마을호, 무궁화호, ITX-청춘 열차를 운영한다.[5] 경원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신이문역, 외대앞역, 회기역을 지나며, 중앙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경춘선)은 청량리역회기역을 지난다. 분당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은 청량리역을 지난다.[6]

서울교통공사서울 지하철 1호선 (청량리역, 제기동역, 신설동역),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지선 (용두역, 신설동역), 서울 지하철 5호선 (답십리역, 장한평역)을 운영한다.

우이신설경전철은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신설동역)을 운영한다.

9. 자매 도시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경기도 여주시, 연천군, 경상남도 남해군, 경상북도 청송군, 전라남도 나주시, 전라북도 순창군, 충청북도 제천시, 음성군과 자매 결연을 맺었다. 또한, 도쿄도 도시마구, 베이징시 옌칭구와도 자매 결연을 맺었다.



그 외, 안구/安國중국어, 상하이/上海중국어, 뉴욕/New York City영어, 로스앤젤레스/Los Angeles영어, 파리/Paris프랑스어, 리옹/Lyon프랑스어, 런던/London영어과도 자매결연을 맺었다.

10. 정당

11. 케이블 방송

참조

[1] Infobox https://jumin.mois.g[...]
[2] 웹사이트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008-04-16
[3] 웹사이트 Administrative District http://english.ddm.g[...] Dondaemun-gu 2015-01-05
[4]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5] 일반텍스트
[6] 일반텍스트
[7] 웹인용 2022년 11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8] 웹인용 2022년 11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9] 법률 조선총독부령 제163호 s:조선총독부령 제163호 1943-06-09
[10] 법률 대통령령 제159호 시·도의관할구역및구·군의명칭·위치·관할구역변경의건 1949-08-13
[11] 법률 법률 제1172호 서울특별시·도·군·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62-11-21
[12] 조례 서울특별시조례 제492호
[13] 법률 대통령령 제7816호 구의증설및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5-09-23
[14] 법률 대통령령 제12367호 서울특별시송파구등13개구설치와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7-12-31
[15] 조례 구조례 제753호 행정기구 설치 조례 2008-07-10
[16] 조례 구조례 제784호 행정기구 설치 조례 2009-04-30
[17] 웹사이트 동대문구의 지역특성 http://www.ddm.go.kr[...] 2012-06-25
[18] 간행물 제28회 동대문통계연보(2013) 동대문구청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