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포세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포세대는 2011년 경향신문 기획 기사에서 처음 사용된 용어로, 연애, 결혼, 출산을 포기한 세대를 의미한다. 이 용어는 이후 오포세대, 칠포세대, N포세대와 같은 신조어로 확장되었으며, 청년들의 불안정한 사회적 위치를 보여주는 지표로 사용된다. 삼포세대는 욕망의 포기를 넘어 욕망의 재정립을 의미하며, 청년들의 이데올로기를 분석하는 틀을 제공한다. 하지만, 삼포세대 담론이 청년 세대를 일반화하고 부정적인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삼포세대 현상은 결혼관 변화, 청년 실업 문제 등 다양한 사회 현상과 연결되며, 개인적, 사회적 차원의 극복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해외에서는 일본의 사토리 세대, 중국의 바링허우, 그리스의 500유로 세대 등과 유사한 사례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회 계층 - 노동계급
노동계급은 마르크스주의적 정의에 따라 노동력 외에는 판매할 것이 없는 모든 사람을 포함하며, 사회의 부를 창출하지만 고등교육 접근, 노동 환경, 정치 참여 등 다양한 과제에 직면해 있다. - 2010년대 신조어 - 브렉시트
브렉시트는 영국의 유럽 연합 탈퇴를 의미하며, 2016년 국민투표로 결정되어 2020년 1월 31일 공식 탈퇴 후 영국 경제, 정치, 사회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고 장기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 2010년대 신조어 - 딥페이크
딥페이크는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영상이나 이미지를 조작, 합성하여 실제와 구별하기 어렵게 만드는 기술이며, 가짜 뉴스, 명예훼손, 신원 위장 등 다양한 문제점을 야기한다.
삼포세대 | |
---|---|
개요 | |
명칭 | 삼포세대 (三抛世代) |
다른 명칭 | N포세대 |
로마자 표기 | Sampo sedae |
한글 | 삼포세대 |
한자 | 三抛世代 |
영어 | Three giving-up generation |
정의 | |
의미 |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연애, 결혼, 출산을 포기하는 세대 |
확장된 의미 | 내 집 마련 포기 인간관계 포기 희망 포기 건강 포기 |
배경 | |
사회적 배경 | 높은 실업률 치솟는 집값 불안정한 고용 환경 과도한 경쟁 사회 |
경제적 배경 | 소득 불평등 심화 학자금 대출 부담 미래에 대한 불안감 |
특징 | |
가치관 | 현재 중심적 사고 개인주의적 성향 낮은 사회 참여 의식 |
생활 방식 | 비혼주의 확산 저출산 심화 소비 위축 자기 계발 소홀 |
영향 | |
사회적 영향 | 인구 감소 경제 성장 둔화 사회 불안 심화 |
개인적 영향 | 삶의 만족도 저하 우울증, 불안감 증가 사회적 고립 심화 |
관련 용어 | |
관련 용어 | 5포세대 7포세대 N포세대 헬조선 |
2. 용어의 기원 및 확산
'삼포세대'란 2011년 경향신문의 <복지국가를 말한다> 특별취재 기획 시리즈에서 처음 사용된 용어이다.[10] 여기서 '삼포세대'란 연애, 결혼, 출산 세 가지를 포기한 세대를 뜻한다. 이 용어는 미래를 계획하기 어려운 청년들의 불안정한 사회적 위치를 조명했다.[10]
어떤 조사에 따르면, 삼포세대가 된 이유로 가장 많은 것은 "'''저축이 없어서'''"(53.5%)였다. 다음으로 "'''할 수 있는 한 저축을 해도 부족해서'''"(42.1%), "'''집안이 넉넉하지 않아서'''"(36.4%), "'''취업이 늦어져서'''"(33.1%), "'''수입이 낮아서'''"(32.1%), "'''막대한 빚을 지고 있어서'''"(16.8%) 순이었다.[3]
2. 1. 언론의 역할
경향신문과 한겨레신문 등 주요 언론 매체들은 '삼포세대' 용어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며 관련 담론을 재생산하고, 사회적 관심을 환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0] '삼포세대'라는 용어가 등장한 이래로, '오포세대'(삼포 + 인간관계, 내 집 마련), '칠포세대'(오포 + 꿈, 희망), 심지어는 N포세대(모든 것을 포기한 세대)와 같은 신조어들이 등장했다.[10]2. 2. 신조어의 등장
한겨레신문과 경향신문은 '삼포세대'라는 용어가 대중적으로 사용된 이후, 이와 관련된 미디어 담론을 계속해서 재생산하고 있다. ‘삼포세대’라는 용어가 등장한 이래로, ‘오포세대’(삼포 + 인간관계, 내 집 마련), ‘칠포세대’(오포 + 꿈, 희망) 심지어는 N포세대(모든 것을 포기한 세대)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했다.[10]이 단어와 그 정의는 다양한 매체와 인터넷을 통해 빠르게 퍼져나갔다. 대한민국 통계청에 따르면 2015년 국내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10.0%로 두드러지게 높았다.[5]。 대학을 졸업한 후 몇 년 동안 취업 활동을 계속해야 했고, 직업을 갖지 못한 젊은이들은 경제적으로 곤궁해져서 '연애', '결혼', '출산'뿐만 아니라 '취업', '내 집 마련'의 5가지를 포기해야 하는 "오포세대", 나아가 '인간관계', '꿈'의 7가지를 포기해야 하는 "칠포세대"라는 표현도 나타났다.[5]
명칭 | 읽는 법 | 수 | 포기한 것 |
---|---|---|---|
삼포세대 | 삼포세대 | 1 | 연애 |
2 | 결혼 | ||
3 | 출산 | ||
오포세대 | 오포세대 | 4 | 취업 |
5 | 내 집 마련 | ||
칠포세대 | 칠포세대 | 6 | 인간관계 |
7 | 꿈 |
2. 3. 사회적 의미
한겨레신문과 경향신문은 '삼포세대'라는 용어가 대중적으로 사용된 이후, 이와 관련된 미디어 담론을 계속해서 재생산하고 있다. ‘삼포세대’라는 용어가 등장한 이래로, ‘오포세대’(삼포 + 인간관계, 내 집 마련), ‘칠포세대’(오포 + 꿈, 희망) 심지어는 N포세대(모든 것을 포기한 세대)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했다.[10]이 단어와 그 정의는 다양한 매체와 인터넷을 통해 빠르게 퍼지기 시작했다. 한국에서 가정을 꾸려야 할 부담은 한계에 다다랐는데, 그 이유는 그 가정이 한국 정부가 기꺼이 제공하거나 책임을 받아들이려 하지 않는 복지 의무를 떠맡아 왔기 때문이다. 즉 삼포세대는 전통적인 가족 단위의 구조가 놀라운 속도로 붕괴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삼포세대’는 청년들의 ‘욕망의 포기’를 의미하는 용어이다. 욕망의 포기는 단순히 욕망의 소멸이라기보다는 욕망의 재정립을 뜻한다. 가령 청년들이 출산을 포기하는 것 역시도 포기하기를 욕망하는 것이다. 나아가 욕망의 재정립은 기존에 한국 사회에서 작동하는 이데올로기들의 지배가 힘을 잃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동시에 기존과는 다른 방식으로 이데올로기들이 작동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런 청년들이 자신들의 욕망들을 정립하는 방식을 읽어냄으로써, 현재 한국 사회의 청년들의 이데올로기를 분석할 수 있다.
3. 삼포세대 담론 분석
삼포세대 담론은 현재 우리 사회가 당면한 과제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11] 이 담론은 청년들의 이데올로기를 이해하는 중요한 틀을 제공한다.[10]
3. 1. 이데올로기적 관점
삼포세대 담론은 자아(삼포하는 청년), 현실(불안정한 사회경제적 조건), 이상적 자아, 이상적 현실이라는 네 가지 영역을 통해 청년 세대의 이데올로기를 분석할 수 있게 한다.[10] 여기서 '자아'는 '삼포(연애, 결혼, 출산)한 청년'이며, '현실'은 청년들을 삼포하게 만드는 '불안정한 사회 경제적 조건'이다.[10]어떤 조사에 따르면, 삼포세대가 된 이유로 가장 많은 것은 "'''저축이 없어서'''"(53.5%)였다. 다음으로 "'''할 수 있는 한 저축을 해도 부족해서'''"(42.1%), 세 번째는 "'''집안이 넉넉하지 않아서'''"(36.4%), 네 번째는 "'''취업이 늦어져서'''"(33.1%), 다섯 번째는 "'''수입이 낮아서'''"(32.1%), 여섯 번째가 "'''막대한 빚을 지고 있어서'''"(16.8%)였다.[3]
3. 2. 부정적 시선
삼포세대 담론은 청년 세대를 지나치게 일반화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청년 개개인이 처한 상황은 다양한데, '결혼을 희망하지 않는다'는 응답을 '돈이 없어 결혼을 포기했다'고 단정 짓는 것은 문제라는 지적이다.[12] 희망하지 않는 것과 포기는 다르며, 희망하지 않는 데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12]이러한 일반화는 청년들을 경제적, 정신적으로 부족한 집단으로 보이게 하고, 정부 지원에만 의존하는 존재로 인식하게 만들어 사회 구성원으로서 동등한 대접을 받지 못하게 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12] 이는 한국 사회 전반에 걸쳐 청년층의 능력을 불신하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12]
결과적으로 '삼포'라는 일반화된 담론이 청년들의 가능성을 제한하는 족쇄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12] 어떤 조사에 따르면, 삼포세대가 된 이유로 가장 많은 응답은 "저축이 없어서"(53.5%)였으며, "할 수 있는 한 저축을 해도 부족해서"(42.1%), "집안이 넉넉하지 않아서"(36.4%), "취업이 늦어져서"(33.1%), "수입이 낮아서"(32.1%), "막대한 빚을 지고 있어서"(16.8%) 순으로 나타났다.[3]
4. 삼포세대를 둘러싼 사회 현상
어떤 조사에 따르면, 삼포세대가 된 이유로 가장 많은 것은 "'''저축이 없어서'''"(53.5%)였다. 다음으로 "'''할 수 있는 한 저축을 해도 부족해서'''"(42.1%), "'''집안이 넉넉하지 않아서'''"(36.4%), "'''취업이 늦어져서'''"(33.1%), "'''수입이 낮아서'''"(32.1%), "'''막대한 빚을 지고 있어서'''"(16.8%) 순으로 나타났다.[3]
4. 1. 변화하는 결혼관
삼포세대는 한국 사회의 결혼 풍조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결혼정보회사 듀오의 조사에 따르면, 조사 대상 여성 1,446명 중 34% 이상이 배우자를 선택할 때 경제적 능력과 직업을 우선순위로 꼽았으며, 성격(30%), 기타(9%)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제적 능력이 결혼의 중요한 조건으로 부상하면서, 결혼 적령기 여성들의 배우자 선택 기준에도 변화가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14]어떤 조사에 따르면, 삼포세대가 된 이유로 가장 많은 응답은 "저축이 없어서"(53.5%)였다. 다음으로 "할 수 있는 한 저축을 해도 부족해서"(42.1%), "집안이 넉넉하지 않아서"(36.4%), "취업이 늦어져서"(33.1%), "수입이 낮아서"(32.1%), "막대한 빚을 지고 있어서"(16.8%) 순으로 나타났다.[3]
4. 2. 청년 실업 문제
높은 청년 실업률은 삼포세대를 넘어 오포세대, 칠포세대, N포세대로 이어지는 악순환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다. 대한민국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5년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10.0%로 전체 실업률보다 훨씬 높았다.[5] 졸업 후 몇 년 동안 취업 활동을 계속해야 하는 상황은 청년들을 경제적으로 곤궁하게 만들었고, 이는 연애, 결혼, 출산뿐 아니라 취업과 내 집 마련까지 포기하는 오포세대, 더 나아가 인간관계와 꿈까지 포기하는 칠포세대로 이어졌다.[5]5. 극복을 위한 노력
삼포세대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한 해답이 나오지 않고 있다. 개인적인 차원의 조언은 아래에서 다룬다.
5. 1. 개인적 차원의 조언
야놀자 이수진 대표는 스스로 극복해나가는 마음이 중요하다며 n포세대에게 환경과 현실을 탓하기보단 변화와 현상을 파악하며 소비 트렌드를 파악해야 한다고 말한다. 자기 결핍을 알고 그 결핍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고, 목적을 가지고 소비한다면 자신을 흙수저라 칭했던 틀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조언한다.[13]6. 해외 유사 사례
중국의 '바링허우', 일본의 사토리 세대, 그리스의 '500유로 세대', 대만의 '딸기세대', 이탈리아의 '네네족' 등은 1980년대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태어난 청년들을 일컫는 용어로, 한국의 삼포세대와 유사하게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적 압박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청년 세대를 지칭한다.[15]
6. 1. 일본: 사토리 세대
일본에는 사토리 세대가 있다. 사토리 세대는 득도한 것처럼 욕망을 억제하며 살아가는 일본의 청년 세대를 일컫는다.[15]6. 2. 중국: 바링허우
바링허우는 중국에서 1980년대 이후 출생한 젊은 세대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세상에는 세대를 일컫는 수많은 용어들이 있는데, 한국에는 삼포세대가 있고, 일본에는 사토리 세대가 있다. 그리스에는 '500유로 세대'가 있고, 대만에는 '딸기 세대', 이탈리아에는 '네네족'이 있다. 이들은 모두 1980년대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태어난 청년들을 일컫는다.[15]6. 3. 그리스: 500유로 세대
그리스의 '500유로 세대'는 월 500유로(약 65만원) 정도의 저임금으로 살아가는 그리스 청년들을 지칭한다.[15]6. 4. 대만: 딸기 세대
중국에서 1980년대에 등장한 '바링허우'라는 용어처럼, 세상에는 여러 세대를 지칭하는 다양한 표현들이 있다. 한국의 삼포세대, 일본의 사토리 세대, 그리스의 '500유로 세대', 이탈리아의 '네네족'과 같이, 대만에는 '딸기 세대'가 있다. 이들은 모두 1980년대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태어난 청년들을 가리킨다.[15]6. 5. 이탈리아: 네네(NEET)족
이탈리아의 '네네(NEET)족'은 일하지 않고 일할 의지도 없는 청년 무직자를 뜻하는 신조어이다. 이들은 1980년대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태어난 청년들을 일컫는다.[15]참조
[1]
웹사이트
すべてを諦めて生きる「N放世代」。韓国の青年たちの過酷な生活に迫る(金 敬哲)
https://gendai.ismed[...]
2023-12-04
[2]
서적
빚지기 전에 알았더라면 좋았을 것들
http://books.google.[...]
[3]
뉴스
20~30대 10명중 4명 "나는 삼포세대"
http://www.asiae.co.[...]
アジアエコノミー
2012-02-01
[4]
간행물
OECD Employment Outlook 2021
OECD
2021-07
[5]
뉴스
夢も仕事も恋愛も手が届かない 韓国「七放世代」の絶望
http://news.yahoo.co[...]
Yahoo!ニュース
2016-01-08
[6]
서적
연애,결혼,출산을 포기한 "삼포시대"
상원
[7]
웹인용
"[Column] “Hell Joseon” -- a country where sleepless toil brings no mobility"
http://english.hani.[...]
2019-04-21
[8]
웹인용
"[복지국가를 말한다]볼보, 대량해고에도 파업은 없었다"
http://news.khan.co.[...]
2019-04-21
[9]
웹인용
취업준비생 이별 이유 1위…삼포세대의 비극
http://www.segye.com[...]
2019-04-21
[10]
서적
청년들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비판적 분석 : 삼포세대 담론을 중심으로
학위논문(석사)경희대학교 대학원
[11]
서적
시사상식사전
http://www.pmg.co.kr
[12]
뉴스
"청론 담론 규정하는 '삼포세대' 오히려 청년 가능성 막아요"
http://www.hani.co.k[...]
한겨레
[13]
저널
숙박어플 '야놀자' 이수진 대표가 '삼포세대'에게 전하는 희망 메시지
http://gonggam.korea[...]
[14]
웹인용
New economics of tying the knot
http://www.koreatime[...]
2019-04-21
[15]
서적
바링허우, 사회주의 국가에서 태어나 자본주의를 살아가다
미래의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