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향신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향신문은 1946년 천주교 서울대교구 재단 신문으로 창간된 대한민국의 일간 신문이다. 창간 초기에는 반공적, 보수적 성향을 보였으나, 1959년 여적 필화 사건으로 폐간된 후 4·19 혁명 이후 복간되었다. 이후 박정희, 전두환 정권 시기에는 친군부 성향을 보였으나, 1998년 사원주주회사로 독립한 이후 진보적인 논조로 변화했다. 현재는 스포츠경향, 주간경향, 레이디경향 등의 자매지를 발행하며, 2024년부터는 주 5일 발행 체제로 전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향신문 - 손충무
손충무는 김구 암살 사건 진상규명에 집중한 저술 활동과 대한민국 정권에 대한 비판적 보도를 한 언론인이자 저술가이다. - 경향신문 - 윤남경
윤남경은 1931년 출생하여 소설가, 언론인, 사회 봉사자로 활동했으며, 《5급 공무원》으로 등단하고 《코리아 타임즈》 기자, 동아방송 프로듀서 등을 거쳐 1976년부터 생명의 전화 상담역으로 봉사하다 2008년에 사망했다. - 종업원지주회사 - 글렌코어
글렌코어는 1974년 설립된 세계적인 원자재 거래 및 광산 회사로, 여러 논란 속에서 인수합병과 기업공개를 통해 성장하여 세계 최대 광산 기업이 되었으나, 경영 및 환경 관련 어려움에 직면해 에너지 전환 투자를 진행하며 탄소 배출량 감축을 목표하고 있다. - 종업원지주회사 - 에어아시아 제스트
에어아시아 제스트는 필리핀의 항공사로, Asian Spirit으로 시작하여 Zest Airways를 거쳐 에어아시아 필리핀과 제휴하여 AirAsia Zest로 브랜드명을 변경했으나, 2015년 에어아시아 필리핀에 합병되어 소멸되었다. - 1946년 창간 - 닛칸스포츠
아사히 신문과 연계된 일본의 스포츠 신문 닛칸스포츠는 전국 발행망을 통해 스포츠, 연예, 사회 뉴스를 보도하며, 경마 예상과 격투기 보도에 강점을 지니고, 오보 논란으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 1946년 창간 - 매일신문
매일신문은 1946년 대구에서 창간되어 언론 자유 수호 활동을 펼쳤고, 언론 통폐합 속에서도 발행을 지속하며 인터넷 홈페이지 개설, 조간 전환 등을 거쳐 2022년 코리아와이드에 인수된 대한민국 지역 신문이다.
경향신문 |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일간신문 |
형태 | 브로드시트 |
창간일 | 1946년 10월 6일 |
소유주 | 경향신문사 |
본사 | 서울특별시, 대한민국 |
편집인 | 조호연 |
발행 부수 | 350,000부 |
웹사이트 | khan.co.kr |
언어 | 한국어 |
한국어 이름 | 경향신문 |
로마자 표기 | Gyeonghyang Sinmun |
일본어 이름 | 경향신문 |
일본어 가나 표기 | キョンヒャンシンムン |
정치 성향 | 중도중도 ~ 중도좌파중도좌파 |
역사적 정치 성향 (1966년 – 1998년) | 반공주의 보수주의 친군부 |
역사 | |
창간일 | 1946년 10월 6일 |
폐간일 | 1959년 4월 30일 ~ 1960년 4월 27일 |
관련 정보 | |
자매지 | |
기타 | |
ISSN | |
OCLC |
2. 역사
『경향신문』은 일제 강점기에 폐간된 구 『경향신문』의 제호를 계승하여, 1946년 10월 6일 가톨릭 재단의 신문으로 창간되었다.[9] 1950년 한국 전쟁 발발로 임시 휴간되었다가 1953년 8월에 업무를 재개하였고, 1954년 11월에는 한국 신문 역사상 최초로 신문 축쇄판을 발행하였다.
1959년 여적 필화 사건으로 이승만 정권에 의해 강제 폐간되었다가, 1960년 4·19 혁명 이후 복간되었다.
5·16 군사정변 이후 민간에 불하되면서 종교적 성향을 띠지 않게 되었다. 박정희 정권 시절에는 정부에 비판적인 논조로 인해 중앙정보부의 압력을 받아 강제 매각되는 등 여러 차례 소유권 변동을 겪었다.[16] 1974년에는 문화방송(MBC)과 통합되었다가 1981년 다시 분리되었다.
1990년 한화그룹에 인수되었으나, 1998년 4월 1일 한화그룹으로부터 분리되어 국내 최초의 사원주주회사가 되었다. 2008년 5월에는 촛불 시위 이후 경향신문 구독 운동이 확산되기도 했다.
2024년에는 토요판 발행을 중단하고 주5일제로 전환했다.[18]
2. 1. 창간과 이승만 정권 시기 (1946~1960)
1946년 10월 6일 천주교 서울대교구에서 경향신문을 창간했다.[15] 초기에는 가톨릭 계열 언론사로서 이승만의 단정 노선에 비판적이었고, 김구의 남북협상론은 비현실적이라고 주장했다.[15] 미소공위와 좌우합작에는 많은 기대를 걸었다.[15]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는 민국당과 민주당을 지지했다. 제1공화국 기간 동안 국무총리와 부통령을 지낸 장면을 정치적으로 지지하여, 1958년 이승만과 자유당으로부터 정간 처분을 받기도 했다. (경향신문 필화 사건 참조)1950년 한국 전쟁으로 임시 휴간했다가 1953년 8월에 복간했다. 1954년 11월에는 한국 신문 역사상 최초로 신문 축쇄판을 발행했다.
1957년 9월 28일부터 12월까지는 장면 부통령 암살 미수사건(9·28 사태)과 관련하여 정부를 강하게 비판했다.
1959년 2월 4일에는 경향신문 여적 필화 사건이 발생하여 논설위원 주요한이 구속되었고, 4월 30일에는 이승만 정권에 의해 강제 폐간되었다.
1960년 4월 27일, 4·19 혁명으로 이승만이 하야한 후 복간되었으며, 5월 29일에는 이승만 전 대통령의 하와이 망명을 특집으로 보도했다.
2. 2. 박정희 정권 시기 (1961~1979)
5·16 쿠데타 이후 경향신문은 민간에 불하되면서 종교적 성향을 띠지 않게 되었다. 박정희 대통령 시절, 정부에 비판적인 논조는 주요 인사 교체, 주가 및 판권 매각으로 이어졌고, 이는 정수장학회와 여러 대기업으로 소유권이 이전되는 결과를 낳았다.[16] 1960년대 중·후반, 경향신문은 심각한 경영난을 겪었다.[9]연도 | 내용 |
---|---|
1962년 2월 | 이준구가 천주교 서울대교구로부터 신문사를 불하받아 주식회사로 출범했다.[9] |
1964년 7월 | 6.3 항쟁 이후 이준구 사장이 구속되었다. |
1964년 5월 13일 | 난국 타개는 이제부터라는 제목의 기사로 인해 필화 사건이 발생했다.[9] |
1965년 5월 | 이준구 사장이 반공법 위반 혐의로 구속되었다. (경향신문 매각 사건)[16] |
1966년 | 중앙정보부의 압력으로 경향신문이 강제 매각되어 기아산업에 인수되었다.[16] |
1969년 1월 | 신진자동차가 경영권을 인수했다.[16] |
1974년 11월 |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문화방송(MBC)과 통합되어 소공동 시대를 마감하고, "주식회사 문화방송·경향신문"으로 회사명이 변경되었다.[16] |
1978년 3월 | 《경향신문》 발행 10,000호를 맞았다. |
1980년 언론 통폐합으로 폐간된 신아일보를 인수하고, 1981년 1월 이전에는 8면이었던 신문 지면을 12면으로 늘리는 등 안정적인 신문 운영을 하게 되었다.[9]
2. 3. 전두환 정권 이후 (1980~현재)
1980년 11월, 언론 통폐합 조치로 신아일보를 흡수했다.[16] 1981년 3월, 문화방송과 분리되어 사단법인 경향신문으로 출범했다.[16] 1988년 3월 18일에는 경향신문 노동조합이 결성되었다.[16]1990년 8월 1일, 한화그룹이 경향신문을 인수했다.[16] 1991년 4월에는 석간에서 조간으로 발행 형태를 변경했고,[16] 같은 해 11월에는 경향기자윤리강령을 선포했다.[16]
1998년 4월 1일, 한화그룹으로부터 분리되어 국내 첫 사원주주회사로 출범했다.[16]
2008년 5월, 2008년 한국 촛불 시위 이후 경향신문 구독 운동이 확산되기도 했다.
2024년, 토요판 발행을 중단하고 주5일제로 전환했다.[18]
3. 논조
1946년 가톨릭 계열 언론사로 창간된 경향신문은 초기에는 반공주의적이고 보수적인 성격을 띠었다. 제1공화국 기간 내내 국무총리와 부통령을 지낸 장면을 정치적으로 지지하였으며, 1959년 이후 자유당 독재체제가 굳어지자 반독재 노선을 분명히 했다.[15]
5·16 쿠데타 이후 민간에 불하되면서 종교 성향을 띠지 않게 되었다. 박정희 대통령 시절, 경향신문은 정수장학회와 여러 대기업의 소유가 되었고, 언론통폐합으로 MBC와 합쳐져 친군부 성향 언론사로 변질되었다. 1980년에는 미테랑 프랑스 대통령의 장기 집권을 유럽의 좌경화로 표현하는 등 친군부, 반공주의적 논조를 보였다. 이러한 경향 때문에 1987년 6월 항쟁 당시 시위 군중들이 서울역 앞에 쌓여 있던 경향신문을 대량으로 소각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16]
1990년 한화그룹에 매각되었다가 1998년 사원주주회사로 독립한 후에는 진보 성향을 띠는 신문이 되었다.[17] 현재는 한겨레와 함께 "진보적" 또는 "중도 진보적"으로 평가받는다.[4]
4. 자매지
5. 논란
2010년 9월, 경찰 내부 교육자료로 쓸 목적의 천안함 침몰 홍보 동영상 상영에 대해 일선 초등학교들이 반대했음에도, 경향신문이 2개 초등학교에서 상영을 강행했다는 주장을 제기하면서 논란이 되었다. 또한 이 동영상이 인터넷 보수언론이 제작해 웹사이트에 올린 영상과 동일하다고 보도하여 논란이 되었는데,[20] 의문이 제기된 코나스넷 측은 '북한문제연구소'가 제작한 것이라고 반박했다.[21] 코나스는 이 동영상을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했다.[22]
2011년 8월, 경향신문은 뉴데일리 고문이자 조선일보 칼럼니스트 출신인 류근일을 칼럼진에 영입하였다. 이에 대해 내부에서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독자층을 포함한 외부에서는 경향신문이 균형 강박증에 걸렸다는 비판과 함께 헛발질이라는 우려 섞인 시각도 제기되었다.[23][24][25]
2012년 5월 1일 사장 선거를 앞두고 송영승 사장과 강병국 변호사가 경합하게 되었다. 송영승 사장의 측근인 이대근 편집국장은 강병국 변호사에게 "무슨 일이 있더라도 당신의 입후보를 막겠다"며 출마하지 말 것을 종용했다.[26][27] 결국 강병국 변호사가 불출마하면서 송영승 사장이 연임되었다.[26][27]
5. 1. 천안함 침몰 영상
2010년 9월, 경찰 내부 교육자료로 쓸 목적으로 만든 천안함 침몰 홍보 동영상을 상영하는 것에 대해 일선 초등학교들이 반대했음에도 불구하고 2개 초등학교에서 상영을 강행하였다는 주장이 《경향신문》을 통해 제기되었다. 또한 이 동영상을 한 인터넷 보수언론이 제작해 웹사이트상에 올려놓은 영상과 동일하다고 보도하였는데,[20] 의문이 제기된 코나스넷 측은 '북한문제연구소'가 제작한 것이라고 반박했다.[21] 코나스는 이 동영상을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했다.[22]5. 2. 류근일 영입
2011년 8월, 경향신문은 뉴데일리 고문이자 조선일보 칼럼니스트 출신인 류근일을 칼럼진에 영입하였다. 이에 대해 내부에서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독자층을 포함한 외부에서는 경향신문이 균형 강박증에 걸렸다는 비판과 함께 헛발질이라는 우려 섞인 시각도 제기되었다.[23][24][25]5. 3. 사장선거 외압
2012년 5월 1일 사장 선거를 앞두고 송영승 사장과 강병국 변호사가 경합하게 되었다. 송영승 사장의 측근인 이대근 편집국장은 강병국 변호사에게 "무슨 일이 있더라도 당신의 입후보를 막겠다"며 출마하지 말 것을 종용했다.[26][27] 결국 강병국 변호사가 불출마하면서 송영승 사장이 연임되었다.[26][27]6. 역대 사장
- (故)이준구
- (故)정구호
- 장준봉 (2000년 ~ 2002년)
- 조용상 (2005년 ~ 2006년)
- 고영재 (2006년 ~ 2008년)
- 이영만 (2008년 ~ 2009년)
- 송영승 (2009년 ~ 2010년, 2012년 ~ 2015년)
- 이동현 (2015년 ~ 2020년)
- 김석종 (2020년 ~ '''현재''')
7. 외부 기고자
이름 | 직함 |
---|---|
박래군 | 인권재단 사람 소장, 4·16연대 공동대표 |
김택근 | 시인, 작가 |
이범 | 교육평론가 |
정태춘 | 가수, 시인 |
제현주 | 임팩트투자사 옐로우독 대표 |
전인권 | 가수 |
홍경한 | 미술평론가 |
조광희 | 변호사 |
타이거JK | 가수 |
이상엽 | 한국과학기술원 특훈교수 |
조진만 | 건축가 |
임종진 | 사진치유자·공감아이 대표 |
이권우 | 도서평론가 |
8. 일본 산케이신문과의 관계
1983년 이후 일본의 산업경제신문사와 제휴 관계를 맺고 있다. 1980년대 당시에는 『경향신문』(京郷)과 『산케이』(産経) 모두 보수 성향 신문으로, 1995년경까지는 입장이 비슷했다. 그러나 한화그룹으로부터 독립한 1990년대 후반에 경향신문이 좌파 논조의 신문이 되고[10] 2002년부터 혁신 지향을 명확히 하면서, 산케이가 보수 지향을 유지함에 따라 논조의 차이가 발생했다. 이 때문에 사내에서 관계 청산을 요구하는 논의가 있었다. 하지만 경향신문사 경영진은 일본에 거점이 필요하지만 경영 상황이 좋지 않다는 이유로[11] "어쩔 수 없다"며 해소하지 않았다.
참조
[1]
서적
The Korean Women's Movement and the State: Bargaining for Chang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01-10
[2]
서적
Developmental Liberalism in South Korea: Formation, Degeneration, and Transnationaliza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9
[3]
뉴스
폐간→복간→강제매각→독립언론 '격랑의 기록'
https://www.khan.co.[...]
Kyunghyang Shinmun
2009-10-29
[4]
웹사이트
Who is the Kyunghyang Shinmun (Kyunghyang Daily News)
http://www.khan.co.k[...]
2011-10-06
[5]
뉴스
Korean Priest Who Fled Iron Curtain Preaches Here
https://news.google.[...]
1950-05-18
[6]
뉴스
Opposition Paper Closed in Korea; News Falsification Charged—Shutdown Protested by U. S. Embassy
https://www.nytimes.[...]
1959-05-02
[7]
서적
Handbook of the media in Asia
https://archive.org/[...]
Sage Publications
[8]
뉴스
「朴槿恵氏は非常識で恥知らず」「鳥肌立つ」韓国・京郷新聞報道 左派系が辛辣批判
https://www.sankei.c[...]
산케이 신문
[9]
기타
[10]
뉴스
「朴槿恵氏は非常識で恥知らず」「鳥肌立つ」韓国・京郷新聞報道 左派系が辛辣批判
https://www.sankei.c[...]
산케이 신문
[11]
뉴스
경향신문-MBC, "이젠 <산케이>와 결별해야"
http://www.pressian.[...]
2005-04-11
[12]
웹사이트
독립언론 10년, 경향신문의 빛과 그림자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08-03-27
[13]
웹사이트
1946년 경향신문 창간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6-02-23
[1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zine.cbck.or.[...]
2010-12-02
[15]
서적
1면으로보는 근현대사 - 1945~1960년
서해문집
[16]
웹사이트
폐간→복간→강제매각→독립언론 ‘격랑의 기록’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9-10-29
[17]
뉴스
케이블TV 대주주 많이 바뀐다
https://newslibrary.[...]
매일경제
1997-05-17
[18]
웹인용
새해 이렇게 바뀝니다
https://www.khan.co.[...]
2023-12-27
[19]
기타
[20]
웹사이트
경찰이 초등교에 “천안함 동영상 상영하라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0-09-27
[21]
웹인용
경찰의 학생안보교육, 비난 받을 일인가?
http://www.konas.net[...]
2010-09-29
[22]
웹인용
「6.25동란 60주년과 천안함 피격」동영상 보기
http://www.konas.net[...]
2010-09-29
[23]
웹사이트
류근일 전 조선 주필, 경향에 게재한 첫 칼럼 반응은?
http://media.daum.ne[...]
미디어오늘
2011-08-17
[24]
웹사이트
(경향을 읽고) 류근일 칼럼에 이의 있다
http://media.daum.ne[...]
경향신문
2012-03-28
[25]
웹사이트
경향·한겨레의 '균형강박증', 뭐하자는 걸까요
http://media.daum.ne[...]
오마이뉴스
2011-08-16
[26]
웹사이트
경향 간부, '사장선거 부당개입' 논란
http://www.mediaus.c[...]
[27]
웹사이트
"경향 이대근 편집국장, '사장 나오지 말라' 압력행사" 논란
http://www.mediatod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