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새우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새우말은 한국, 일본, 중국 등 온대에 주로 분포하는 여러해살이 해초이다. 바다 수심 1-8m 깊이의 바위틈에서 자라며, 땅속줄기로 뻗어 잎이 뭉쳐나는 특징을 보인다. 잎은 3개의 잎맥과 잔 톱니를 가지며, 3월에 꽃이 피고 암수딴그루이다. 꽃의 싹이 새우를 닮아 새우말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상 보호대상 해양생물 - 물개
    북방털개는 북태평양에 서식하며 성적 이형을 보이는 바다사자과의 해양 포유류로, 과거 남획으로 개체 수가 급감하여 현재는 보호받고 있으며, 어류와 오징어를 주식으로 하고 번식기에는 하렘을 형성한다.
  •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상 보호대상 해양생물 - 고래상어
    고래상어는 세계에서 가장 큰 어류로 플랑크톤 등을 먹으며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널리 분포하지만, 혼획, 선박 충돌, 서식지 파괴, 해양 오염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새우말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새우말속
새우말 (P. iwatensis)
학명Phyllospadix iwatensis
명명자Makino, 1931
생물 분류
식물계
미분류 군 (문)속씨식물군
미분류 군 (강)외떡잎식물군
택사목
거머리말과

2. 분포

한국, 일본, 중국 등 주로 온대 지역 바다의 수심 1-8m 되는 깊은 곳 바위틈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해초이다.[1]

3. 특징

식물체는 땅속줄기로 기어가고 마디 사이가 짧으며 뭉쳐난다. 잎은 끝이 둥글고 길이는 20cm~100cm, 너비는 2mm~4.5mm이다. 잎에는 3개의 잎맥이 세로로 뻗고 윗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으며 기부에는 잎집이 있어 넓어진다. 꽃은 3월에 피고 땅속줄기에서 포에 싸여 자라며 길이는 10cm 정도이다. 꽃줄기는 길이가 3cm 정도이다. 암수딴그루로서 암꽃은 작은 꽃줄기가 없는 1개의 씨방으로 되며, 수꽃은 꽃줄기가 없고 꽃가루주머니가 1실로 되어 있다. 열매는 심장형이며 길이와 너비가 4mm 정도이고 양 끝이 좁다. 꽃의 싹을 옆에서 보았을 때 새우와 비슷하기 때문에 새우말이라고 한다.

4. 생태

새우말은 한국, 일본, 중국 등 주로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 해초로, 수심 1m~8m의 바위틈에서 자란다. 새우말은 다양한 해양 생물의 서식처 및 산란장을 제공하고, 연안 생태계에서 1차 생산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4. 1. 서식 환경

한국, 일본, 중국 등 주로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 해초로, 수심 1m~8m의 바위틈에서 자란다.

4. 2. 생태적 역할

새우말은 다양한 해양 생물의 서식처 및 산란장을 제공한다. 또한 연안 생태계에서 1차 생산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5. 한국에서의 분포 및 중요성

한국에서는 남해안과 제주도 해역에 주로 분포한다. 일본, 중국 등 온대 해역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 해초로, 수심 1-8m의 바위틈에서 자란다. 해양 생태계 보전을 위한 주요 관리 대상종이다.

참조

[1] 논문 Journal of Japanese Botany 7(7): 15 1931
[2] 웹사이트 Phyllospadix iwatensis in Flora of China @ efloras.org http://www.efloras.o[...] 2017-02-02
[3] 서적 Flora of Japan (in English) Smithsonian Institution, Washington, D.C. 1984
[4] 서적 Vascular Plants of Russia and Adjacent States (The Former USS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5] 간행물 Plantae Vasculares Orientalis Extremi Sovietici 2 Nauka, Leningrad 1987
[6] 서적 Lineamenta Florae Koreae Soul T'ukpyolsi: Ak'ademi Sojok 1996
[7] 서적 Seagrass taxonomy and identification key. Global Seagrass Research Methods Elsevier Science B.V., Amsterdam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