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베리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샤베리아는 프랑스 앵주에 위치한 마을이다. 브레스와 동브 지역 사이에 있으며, 메제리아, 방뎅, 몽트라콜 등과 접한다. 이랑스 강, 부 하천, 마레주니용 하천 등 여러 하천이 마을 주변을 흐르며, 온화한 대륙성 기후를 보인다. 샤베리아는 갈로로망스어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993년 문헌에 처음 등장하며, 중세 시대에는 리옹 교구에 속했다. 17세기 이후 프랑스 영토가 되었으며, 1800년 앵주에 편입되었다. 주요 교통 수단은 D26 지방도로이며, 과거에는 철도가 있었으나 현재는 TER 노선이 인접 지역을 지난다. 마을에는 로마네스크 양식의 생장 밥티스트 교회와 전쟁 추모비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샤베리아 | |
|---|---|
| 지리 | |
| 좌표 | 46.1833° N 5.0667° E |
| 해발고도 | 245m |
| 최소 해발고도 | 188m |
| 최대 해발고도 | 260m |
| 면적 | 16.87km2 |
| 행정 | |
| 국가 | 프랑스 |
| 레지옹 | 오베르뉴론알프 |
| 데파르트망 | 앵주 |
| 아롱디스망 | 부르캉브레스 아롱디스망 |
| 캉통 | 보나 캉통 |
| 코뮌 공동체 | 벨 코뮌 공동체 |
| 앙제 번호 | 01096 |
| 정치 | |
| 시장 | 클로드 자케 |
| 임기 시작 | 2020년 |
| 임기 종료 | 2026년 |
| 인구 | |
| 총 인구 | 1,003명 (2015년 기준) |
| 인구 밀도 | 59명/km2 |
| 기타 | |
| 우편 번호 | 01660 |
2. 지리
샤베리아 마을은 보나 캉통의 브레스 지역과 동브 지역 사이에 위치해 있다. 북쪽 방면부터 시계방향으로 메제리아, 방뎅, 몽트라콜, 콩데시아, 샤노즈샤트네, 보나와 마주한다. 샤베리아의 기후는 대륙성 기후가 살짝 섞인 온화한 기후다.
샤베리아 남쪽으로 벨 강의 지류인 이랑스 강이 흐른다. 이랑스 강은 계속해서 서쪽으로 흐르다 메제리아에서 벨 강으로 합류한다. 또 부 하천 (Voux)은 샤베리아 남쪽을 흐르며 코랑 연못을 지나고 나면 이랑스 강에 흘러들며, 마레주니용 하천 (Marais Genillon)은 샤네 부근까지 북상하여 흐르다 보나에서 벨 강으로 흘러든다.
2. 1. 위치
샤베리아 마을은 보나 캉통의 브레스 지역과 동브 지역 사이에 위치해 있다. 북쪽 방면부터 시계방향으로 메제리아, 방뎅, 몽트라콜, 콩데시아, 샤노즈샤트네, 보나와 마주한다. 샤베리아의 기후는 대륙성 기후가 살짝 섞인 온화한 기후다.샤베리아 남쪽으로 벨 강의 지류인 이랑스 강이 흐른다. 이랑스 강은 계속해서 서쪽으로 흐르다 메제리아에서 벨 강으로 합류한다. 또 부 하천 (Voux)은 샤베리아 남쪽을 흐르며 코랑 연못을 지나고 나면 이랑스 강에 흘러들며, 마레주니용 하천 (Marais Genillon)은 샤네 부근까지 북상하여 흐르다 보나에서 벨 강으로 흘러든다.
2. 2. 수계
샤베리아 마을은 보나 캉통의 브레스 지역과 동브 지역 사이에 위치해 있다. 북쪽 방면부터 시계방향으로 메제리아, 방뎅, 몽트라콜, 콩데시아, 샤노즈샤트네, 보나와 마주한다.샤베리아 남쪽으로 벨 강의 지류인 이랑스 강이 흐른다. 이랑스 강은 계속해서 서쪽으로 흐르다 메제리아에서 벨 강으로 합류한다. 부 하천 (Voux)은 샤베리아 남쪽을 흐르며 코랑 연못을 지나고 나면 이랑스 강에 흘러들며, 마레주니용 하천 (Marais Genillon)은 샤네 부근까지 북상하여 흐르다 보나에서 벨 강으로 흘러든다.
2. 3. 기후
샤베리아 마을은 보나 캉통의 브레스 지역과 동브 지역 사이에 위치해 있다. 북쪽 방면부터 시계방향으로 메제리아, 방뎅, 몽트라콜, 콩데시아, 샤노즈샤트네, 보나와 마주한다. 샤베리아의 기후는 대륙성 기후가 살짝 섞인 온화한 기후다.샤베리아 남쪽으로 벨 강의 지류인 이랑스 강이 흐른다. 이랑스 강은 계속해서 서쪽으로 흐르다 메제리아에서 벨 강으로 합류한다. 또 부 하천 (Voux)은 샤베리아 남쪽을 흐르며 코랑 연못을 지나고 나면 이랑스 강에 흘러들며, 마레주니용 하천 (Marais Genillon)은 샤네 부근까지 북상하여 흐르다 보나에서 벨 강으로 흘러든다.
3. 역사
샤베리아는 갈로로망스어에 기원을 두고 있는 '카바리아쿠스' (Cavariacus)라는 말에서 유래한 지명이다.[3] 샤베리아 마을이 문헌상에 처음으로 언급된 것은 993년 클뤼니 헌장으로, 여기서는 '카바리아코' (Cavariaco)라고 쓰여져 있었다.[3] 같은 기록물에서 974년과 994년에는 카바리아쿠스라고 표기되었다.
1250년경에는 리옹 교구에 속하게 되었으며 이때는 '샤베리아쿠스' (Chavairiacus)라 불렸다. 1325년경에는 샤베리아쿠스 (Chavayriacus)로 철자가 바뀌었으며 1365년에 들어서 비로소 '샤베리아' (Chavayria)라는 지명이 등장하였다. 14세기 말이던 1378년 코트도르 지역 기록물에서는 '샤베리아쿠스' (Chaveyriacus / Chaveiriacus)라 적었고 1417년에는 다시 샤베리아로 돌아갔다. 앵 지역의 기록물에 따르면 1443년경에도 역시 샤베리아쿠스라고 불렀던 것으로 보인다.
1536년에는 샤베리아즈 (Chaveyriaz)란 이름으로 등장하며, 1584년 론 지역의 기록물에서도 등장한다. 그러나 17세기 들어서부터는 다시 샤베리아 (Chavériat)라 쓰게 되었다. 1601년 프랑스-사보이아 전쟁이 끝난 뒤 맺어진 리옹 협약에 따라 브레스, 발로메, 뷔제, 젝스 일대가 프랑스로 넘어가면서 이 마을 역시 프랑스 영토가 되었으며, 부르고뉴 주에 속하게 되었다.
프랑스 혁명 직후인 1790년부터 1795년까지는 샤티용레동브 캉통에 속하게 되었으며 동시에 샤티용레동브 디스트리크에도 속하였다. 지금의 '샤베리아' (Chaveyriat)란 표기는 1800년경 앵주의 일부로 묶이면서부터 등장하였다.
샤베리아 성은 1376년 보죄 영주의 군대에 의해 파괴되었는데, 이는 위그 드 마르샹의 거처였으며, 이후 콜럼버스, 슈미낭, 바락스, 드 라 클레이 가문이 차례로 소유했다.
3. 1. 중세
샤베리아는 갈로로망스어에 기원을 두고 있는 '카바리아쿠스' (Cavariacus)라는 말에서 유래한 지명이다.[3] 샤베리아 마을이 문헌상에 처음으로 언급된 것은 993년 클뤼니 헌장으로, 여기서는 '카바리아코' (Cavariaco)라고 쓰여져 있었다.[3] 같은 기록물에서 974년과 994년에는 카바리아쿠스라고 표기되었다.1250년경에는 리옹 교구에 속하게 되었으며 이때는 '샤베리아쿠스' (Chavairiacus)라 불렸다. 1325년경에는 샤베리아쿠스 (Chavayriacus)로 철자가 바뀌었으며 1365년에 들어서 비로소 '샤베리아' (Chavayria)라는 지명이 등장하였다. 14세기 말이던 1378년 코트도르 지역 기록물에서는 '샤베리아쿠스' (Chaveyriacus / Chaveiriacus)라 적었고 1417년에는 다시 샤베리아로 돌아갔다. 앵 지역의 기록물에 따르면 1443년경에도 역시 샤베리아쿠스라고 불렀던 것으로 보인다.
1536년에는 샤베리아즈 (Chaveyriaz)란 이름으로 등장하며, 1584년 론 지역의 기록물에서도 등장한다. 그러나 17세기 들어서부터는 다시 샤베리아 (Chavériat)라 쓰게 되었다. 1601년 프랑스-사보이아 전쟁이 끝난 뒤 맺어진 리옹 협약에 따라 브레스, 발로메, 뷔제, 젝스 일대가 프랑스로 넘어가면서 이 마을 역시 프랑스 영토가 되었으며, 부르고뉴 주에 속하게 되었다.
샤베리아 성은 1376년 보죄 영주의 군대에 의해 파괴되었는데, 이는 위그 드 마르샹의 거처였으며, 이후 콜럼버스, 슈미낭, 바락스, 드 라 클레이 가문이 차례로 소유했다.
프랑스 혁명 직후인 1790년부터 1795년까지는 샤티용레동브 캉통에 속하게 되었으며 동시에 샤티용레동브 디스트리크에도 속하였다. 지금의 '샤베리아' (Chaveyriat)란 표기는 1800년경 앵주의 일부로 묶이면서부터 등장하였다.
3. 2. 근세
샤베리아는 갈로로망스어에 기원을 두고 있는 '카바리아쿠스' (Cavariacus)라는 말에서 유래한 지명이다.[3] 샤베리아 마을이 문헌상에 처음으로 언급된 것은 993년 클뤼니 헌장으로, 여기서는 '카바리아코' (Cavariaco)라고 쓰여져 있었다.[3] 같은 기록물에서 974년과 994년에는 카바리아쿠스라고 표기되었다.[3]1250년경에는 리옹 교구에 속하게 되었으며 이때는 '샤베리아쿠스' (Chavairiacus)라 불렸다. 1325년경에는 샤베리아쿠스 (Chavayriacus)로 철자가 바뀌었으며 1365년에 들어서 비로소 '샤베리아' (Chavayria)라는 지명이 등장하였다. 14세기 말이던 1378년 코트도르 지역 기록물에서는 '샤베리아쿠스' (Chaveyriacus / Chaveiriacus)라 적었고 1417년에는 다시 샤베리아로 돌아갔다. 앵 지역의 기록물에 따르면 1443년경에도 역시 샤베리아쿠스라고 불렀던 것으로 보인다.
1536년에는 샤베리아즈 (Chaveyriaz)란 이름으로 등장하며, 1584년 론 지역의 기록물에서도 등장한다. 그러나 17세기 들어서부터는 다시 샤베리아 (Chavériat)라 쓰게 되었다. 1601년 프랑스-사보이아 전쟁이 끝난 뒤 맺어진 리옹 협약에 따라 브레스, 발로메, 뷔제, 젝스 일대가 프랑스로 넘어가면서 이 마을 역시 프랑스 영토가 되었고, 부르고뉴 주에 속하게 되었다.
프랑스 혁명 직후인 1790년부터 1795년까지는 샤티용레동브 캉통과 샤티용레동브 디스트리크에 속하였다. 지금의 '샤베리아' (Chaveyriat)란 표기는 1800년경 앵주의 일부로 묶이면서부터 등장하였다.
샤베리아 성은 1376년 보죄 영주의 군대에 의해 파괴되었는데, 이는 위그 드 마르샹의 거처였으며, 이후 콜럼버스, 슈미낭, 바락스, 드 라 클레이 가문이 차례로 소유했다.
3. 3. 근현대
샤베리아는 갈로로망스어에 기원을 두고 있는 '카바리아쿠스'(Cavariacus)라는 말에서 유래한 지명이다.[3] 샤베리아 마을이 문헌상에 처음으로 언급된 것은 993년 클뤼니 헌장으로, 여기서는 '카바리아코'(Cavariaco)라고 쓰여져 있었다.[3]1250년경에는 리옹 교구에 속하게 되었으며 이때는 '샤베리아쿠스'(Chavairiacus)라 불렸다. 1325년경에는 샤베리아쿠스 (Chavayriacus)로 철자가 바뀌었으며 1365년에 들어서 비로소 '샤베리아'(Chavayria)라는 지명이 등장하였다. 14세기 말이던 1378년 코트도르 지역 기록물에서는 '샤베리아쿠스'(Chaveyriacus / Chaveiriacus)라 적었고 1417년에는 다시 샤베리아로 돌아갔다.
1536년에는 샤베리아즈 (Chaveyriaz)란 이름으로 등장하며, 1584년 론 지역의 기록물에서도 등장한다. 그러나 17세기 들어서부터는 다시 샤베리아 (Chavériat)라 쓰게 되었다. 1601년 프랑스-사보이아 전쟁이 끝난 뒤 맺어진 리옹 협약에 따라 브레스, 발로메, 뷔제, 젝스 일대가 프랑스로 넘어가면서 이 마을 역시 프랑스 영토가 되었으며 부르고뉴 주에 속하게 되었다.
프랑스 혁명 직후인 1790년부터 1795년까지는 샤티용레동브 캉통과 디스트리크에 속하였다. 지금의 '샤베리아'(Chaveyriat)란 표기는 1800년경 앵주의 일부로 묶이면서부터 등장하였다.
샤베리아 성은 1376년 보죄 영주의 군대에 의해 파괴되었는데, 이는 위그 드 마르샹의 거처였으며, 이후 콜럼버스, 슈미낭, 바락스, 드 라 클레이 가문이 차례로 소유했다.
4. 교통

샤베리아의 주요 길목은 D26 지방도이며 샤베리아를 관통한다. 이 도로를 따라 북쪽의 메제리아로, 남쪽의 콩데시아로 갈 수 있으며 마를리외와 퐁드보를 잇는다.
D936 지방도는 샤베리아 최남단을 살짝 지나치며 콩데시아와의 경계선 역할을 한다. 이 도로를 따라서는 서쪽으로 뇌빌레담, 샤티용쉬르샬라론, 생트리비에쉬르무아냥에 갈 수 있고 동쪽으로는 레투알과 라카피탈, 생드니레부르, 부르캉브레스로 갈 수 있다. 전체적으로는 생디디에르드포르망과 도르탕을 잇는다. 북쪽으로는 D96 지방도가 지나며, 보나와 방뎅을 잇지만 코르모랑슈옹손이 시작점이다.
1898년에는 자상에서 부르를 잇는 47km 길이의 철도가 개통되어 운행된 적이 있었다. 앵 전차회사에서 운영했던 이 노선은 1937년에 영업을 종료하고 철거되었다. 그 이후로는 이 마을을 지나는 철도노선이 없으나 바로 근처에 마콩과 앙베리외를 잇는 TER 노선이 지나간다. 보나와 메제리아에 각각 철도역을 두고 있다.
4. 1. 도로
샤베리아의 주요 길목은 D26 지방도이며 샤베리아를 관통한다. 이 도로를 따라 북쪽의 메제리아로, 남쪽의 콩데시아로 갈 수 있으며 마를리외와 퐁드보를 잇는다.
D936 지방도는 샤베리아 최남단을 살짝 지나치며 콩데시아와의 경계선 역할을 한다. 이 도로를 따라서는 서쪽으로 뇌빌레담, 샤티용쉬르샬라론, 생트리비에쉬르무아냥에 갈 수 있고 동쪽으로는 레투알과 라카피탈, 생드니레부르, 부르캉브레스로 갈 수 있다. 전체적으로는 생디디에르드포르망과 도르탕을 잇는다. 북쪽으로는 D96 지방도가 지나며, 보나와 방뎅을 잇지만 코르모랑슈옹손이 시작점이다.
1898년에는 자상에서 부르를 잇는 47km 길이의 철도가 개통되어 운행된 적이 있었다. 앵 전차회사에서 운영했던 이 노선은 1937년에 영업을 종료하고 철거되었다. 그 이후로는 이 마을을 지나는 철도노선이 없으나 바로 근처에 마콩과 앙베리외를 잇는 TER 노선이 지나간다. 보나와 메제리아에 각각 철도역을 두고 있다.
4. 2. 철도
샤베리아에는 1898년에 자상에서 부르를 잇는 47km 길이의 철도가 개통되어 운행된 적이 있었다. 앵 전차회사에서 운영했던 이 노선은 1937년에 영업을 종료하고 철거되었다. 그 이후로는 이 마을을 지나는 철도 노선이 없으나, 바로 근처에 마콩과 앙베리외를 잇는 TER 노선이 지나가며, 보나와 메제리아에 각각 철도역이 있다.5. 인구
샤베리아의 인구는 2006년 885명, 2007년 896명, 2008년 907명, 2009년 922명, 2010년 927명, 2011년 943명, 2012년 959명, 2013년 975명, 2014년 993명, 2015년 1,003명, 2016년 1,006명이었다.[2] 1968년에는 616명, 1975년에는 567명, 1982년에는 598명, 1990년에는 766명, 1999년에는 810명, 2007년에는 896명, 2012년에는 959명, 2017년에는 1,008명이었다.[2]
| 연도 | 인구 |
|---|---|
| 2006 | 885 |
| 2007 | 896 |
| 2008 | 907 |
| 2009 | 922 |
| 2010 | 927 |
| 2011 | 943 |
| 2012 | 959 |
| 2013 | 975 |
| 2014 | 993 |
| 2015 | 1003 |
| 2016 | 1006 |
| 연도 | 인구 |
|---|---|
| 1968 | 616 |
| 1975 | 567 |
| 1982 | 598 |
| 1990 | 766 |
| 1999 | 810 |
| 2007 | 896 |
| 2012 | 959 |
| 2017 | 1008 |
6. 명소
샤베리아에는 로마네스크 양식으로 건축된 생장 밥티스트 교회가 있으며, 1947년 6월 23일 프랑스 사적지로 등재되었다. 또한 전쟁으로 세상을 떠난 마을 아이들을 기억하는 추모비가 세워져 있다.
6. 1. 생장 밥티스트 교회
샤베리아에는 로마네스크 양식으로 건축된 생장 밥티스트 교회가 있으며, 1947년 6월 23일 프랑스 사적지로 등재되었다.6. 2. 전쟁 추모비
샤베리아에는 로마네스크 양식으로 건축된 생장 밥티스트 교회가 있으며, 1947년 6월 23일 프랑스 사적지로 등재되었다. 또한 전쟁으로 세상을 떠난 마을 아이들을 기억하는 추모비가 세워져 있다.참조
[1]
웹사이트
Répertoire national des élus: les maires
https://www.data.gou[...]
data.gouv.fr, Plateforme ouverte des données publiques françaises
2022-09-13
[2]
Webarchive
Population en historique depuis 1968
https://www.insee.fr[...]
INSEE
2022-07-26
[3]
웹인용
Noms de lieux de Suisse romande, Savoie et environs
http://henrysuter.ch[...]
henrysuter.c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