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43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443년은 명나라 정통 8년, 조선 세종 25년, 후 레 왕조 다이호아 원년 등으로, 훈민정음이 창제되고, 아시카가 요시마사가 쇼군으로 선출되는 등 동아시아와 유럽에서 다양한 사건이 발생한 해이다. 주요 사건으로 조선에서 훈민정음이 창제되었으며, 일본에서는 가키 조약이 체결되었다. 유럽에서는 취리히 구시 전쟁과 니시 전투가 벌어졌으며, 아프리카에서는 포르투갈 탐험가 누누 트리스타웅이 아르귄 만으로 진입했다. 1443년에는 알브레히트 3세, 머대서 1세, 율리우스 2세 등이 태어났으며, 라 일, 아시카가 요시카쓰, 제아미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다른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다른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1443년 | |
---|---|
연도 정보 | |
기원후 | 1443년 |
간지 | 계해년(癸亥年) |
세기 | 15세기 |
한국 | |
연호 | 조선 정통 8년 |
명나라 | |
연호 | 정통 8년 |
일본 | |
연호 | 가키쓰 3년(嘉吉三年) |
주요 사건 | |
사건 | 조선에서 최해산 등이 야인을 쳐서 파저강을 회복하고 공주진을 쌓음 |
2. 연호
3. 기년
4. 주요 사건
1443년에 일어난 주요 사건은 다음과 같다.
지역 | 사건 |
---|---|
조선 | 세종대왕이 학자들과 함께 한국어의 고유 문자인 훈민정음을 창제했다.[5] |
명나라 | 정통제 8년 |
일본 | 가키쓰 3년 |
후 레 왕조 | 다이호아 원년 |
일본 | 아시카가 요시마사가 무로마치 막부 제8대 세이이타이쇼군으로 선출되었다. (1449년 정식 취임) |
일본 | (가키 3년 9월 24일) 금궐의 변 발생, 신사가 고난초에게 빼앗김. |
일본 | 가키 조약 체결 |
유럽 | 7월 22일 장크트 야콥 안 데어 질 전투(취리히 구시 전쟁): 취리히 군대 패배. |
유럽 | 11월 8일 니시 전투: 헝가리의 후녀디 야노시와 바르나 십자군이 오스만 제국 군대 3개 부대를 격파하고 세르비아 니시 점령. 스칸데르베그는 오스만 진영을 탈주하여 알바니아로 향함. |
유럽 | 11월 28일 스칸데르베그와 그의 군대가 오스만 제국에 반기를 들고 중부 알바니아 크루여 해방, 알바니아 국기 게양. |
유럽 | 몰다비아에서 일리아시와 스테판 2세 간의 갈등 발생. 스테판이 일리아시를 사로잡아 눈을 멀게 하고 유일한 통치자가 됨. |
유럽 | 블라드 2세 드라쿨이 바사라브 2세의 뒤를 이어 왈라키아 통치자로서 두 번째 임기를 시작. |
유럽 | 강력한 지진으로 헝가리 왕국 티미쇼아라 요새 파괴. |
아프리카 | 포르투갈 탐험가 누누 트리스타웅이 아프리카 서해안 아르귄 만으로 진입.[1] |
4. 1. 한국
(음력) 12월, 조선 세종대왕이 학자들과 함께 한국어의 고유 문자인 훈민정음을 창제했다.[5]4. 2. 동아시아
明중국어 정통 8년日本일본어 가키쓰 3년
후 레 왕조 다이호아 원년
아시카가 요시마사, 무로마치 막부 제8대 세이이타이쇼군으로 선출. (1449년에 정식으로 취임)
(가키 3년 9월 24일) - 금궐의 변, 신사가 고난초에게 빼앗김.
가키 조약이 체결됨.
4. 3. 유럽
- 7월 22일 - 장크트 야콥 안 데어 질 전투(취리히 구시 전쟁): 취리히 시의 군대가 패배했지만, 스위스 연방은 도시를 포위하고 점령할 만큼 충분한 힘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 11월 8일 - 니시 전투: 헝가리의 후녀디 야노시와 바르나 십자군의 군대가 오스만 제국 군대 3개 부대를 격파하고, 오늘날 세르비아의 니시를 점령했다. 스칸데르베그는 오스만 진영을 탈주하여 알바니아로 향했다.
- 11월 28일 - 스칸데르베그와 그의 군대는 오스만 제국에 반기를 들고 중부 알바니아의 크루여를 해방시키고, 알바니아 국기를 게양했다.
- 몰다비아에서 공동 통치자이자 형제인 일리아시와 스테판 2세 간의 갈등이 다시 불거져 스테판이 일리아시를 사로잡아 눈을 멀게 하고 유일한 통치자가 되었다.
- 블라드 2세 드라쿨이 바사라브 2세의 뒤를 이어 왈라키아 통치자로서 두 번째 임기를 시작했다.
- 강력한 지진으로 헝가리 왕국의 티미쇼아라 요새가 파괴되었다.
4. 4. 아프리카
포르투갈 탐험가 누누 트리스타웅이 아프리카 서해안의 아르귄 만으로 진입했다.[1]5. 탄생
1443년은 다양한 지역에서 여러 인물들이 태어난 해이다.
- 1월 27일 - 알브레히트 3세, 작센 공작[1]
- 2월 2일 - 엘리자베트 폰 바이에른, 작센 선제후[1]
- 2월 12일 - 조반니 2세 벤티볼리오, 이탈리아 귀족[1]
- 2월 23일 - 마차시 코르비누스, 헝가리의 왕[1]
- 5월 17일 - 에드먼드, 잉글랜드 국왕 에드워드 4세와 리처드 3세의 형제[1]
- 5월 29일 - 뮌스터베르크의 빅토르 공작, 라이히스그라프, 뮌스터베르크와 오파바 공작, 글라츠 백작[1]
- 5월 31일 - 마거릿 보퍼트, 잉글랜드 귀족, 헨리 7세 국왕의 어머니이자 헨리 8세의 할머니[1]
- 6월 29일 - 앤서니 브라운, 잉글랜드 기사[1]
- 9월 8일 - 존 드 비어, 잉글랜드의 귀족, 옥스퍼드 백작
- 11월 10일 - 아돌프 3세 폰 나사우-비스바덴-이돌슈타인, 독일 귀족[1]
- 12월 1일 - 마들렌 드 프랑스, 프랑스 공주이자 나바라의 섭정[1]
- 12월 5일 - 율리우스 2세 교황[2]
추정되는 인물:
- 피에로 델 폴라이우올로, 이탈리아 화가
- 이고 갈레스 갈라마, 프리슬란트의 군벌이자 자유 투쟁 반군
- 토머스 하워드, 잉글랜드의 귀족, 노퍽 공작
하위 섹션에 출생자가 구체적으로 나열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출생자 목록을 간략하게 요약했다.
5. 1. 동아시아
- 이치조 마사후사 : 무로마치 시대 공경 (+ 1469년)
- 우츠노미야 아키츠나 : 무로마치 시대 무장, 우츠노미야 씨의 제15대 당주 (+ 1463년)
- 깃카와 구니쓰네 : 무로마치 시대, 전국 시대 무장, 깃카와 씨의 당주 (+ 1531년)
- 사타케 요시하루 : 무로마치 시대, 전국 시대의 수호 다이묘, 사타케 씨의 제14대 당주 (+ 1490년)
- 쇼하쿠 : 무로마치 시대, 전국 시대의 렌가사, 가인, 승려 (+ 1527년)
- 나가오 가게하루 : 무로마치 시대, 전국 시대의 무장 (+ 1514년)
- 진세이 : 천태종 승려
5. 2. 유럽
- 1월 27일 - 알브레히트 3세, 작센 공작[1]
- 2월 2일 - 엘리자베트 폰 바이에른, 작센 선제후[1]
- 2월 12일 - 조반니 2세 벤티볼리오, 이탈리아 귀족[1]
- 2월 23일 - 마차시 코르비누스, 헝가리의 왕[1]
- 5월 17일 - 에드먼드, 잉글랜드 국왕 에드워드 4세와 리처드 3세의 형제[1]
- 5월 29일 - 뮌스터베르크의 빅토르 공작, 라이히스그라프, 뮌스터베르크와 오파바 공작, 글라츠 백작[1]
- 5월 31일 - 마거릿 보퍼트, 잉글랜드 귀족, 헨리 7세 국왕의 어머니, 잉글랜드 국왕 헨리 8세의 할머니[1]
- 6월 29일 - 앤서니 브라운, 잉글랜드 기사[1]
- 9월 8일 - 존 드 비어, 잉글랜드의 귀족, 옥스퍼드 백작
- 11월 10일 - 아돌프 3세 폰 나사우-비스바덴-이돌슈타인, 독일 귀족[1]
- 12월 1일 - 마들렌 드 프랑스, 프랑스 공주이자 나바라의 섭정[1]
- 12월 5일 - 율리우스 2세 교황[2]
- ''추정''
- * 피에로 델 폴라이우올로, 이탈리아 화가
- * 이고 갈레스 갈라마, 프리슬란트의 군벌이자 자유 투쟁 반군
- * 토머스 하워드, 잉글랜드의 귀족, 노퍽 공작
6. 사망
- 4월 23일? - 모가미 미쓰이에, 무로마치 시대 무장, 모가미씨의 제4대 당주 (출생년도 미상)[4]
- 6월 4일 - 오구라노미야 쇼쇼, 남북조 시대, 무로마치 시대의 황족 (1406년? 출생)[5]
- 6월 6일 - 카이몬 쇼초, 남북조 시대, 무로마치 시대의 황족, 승려 (1374년? 출생)
- 7월 21일 - 아시카가 요시카쓰, 일본 무로마치 막부 제7대 쇼군 (1434년 출생)[1]
- 7월 23일 - 사가라 마에쓰구, 무로마치 시대의 수호, 사가라씨의 제9대 당주 (출생년도 미상)
- 9월 1일? - 제아미, 남북조 시대, 무로마치 시대의 사루가쿠 사범 (1363년? 출생)
- 10월 20일 - 히노 아리미쓰, 무로마치 시대의 공경 (1387년 출생)
- 10월 24일 - 히노 시게마사, 무로마치 시대의 공가 (출생년도 미상)
- 긴조주, 무로마치 시대 고난조 초대 상징적 지도자 (출생년도 미상)
- 쓰쓰이 요리히로,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출생년도 미상)
- 레 타이 통, 베트남 후 레 왕조 제2대 황제 (1423년 출생)
6. 1. 동아시아
- 7월 21일 - 아시카가 요시카쓰, 일본 무로마치 막부 제7대 쇼군 (1434년 출생)[1]
- 4월 23일? - 모가미 미쓰이에, 무로마치 시대 무장, 모가미씨의 제4대 당주 (출생년도 미상)[4]
- 6월 4일 - 오구라노미야 쇼쇼, 남북조 시대, 무로마치 시대의 황족 (1406년? 출생)[5]
- 6월 6일 - 카이몬 쇼초, 남북조 시대, 무로마치 시대의 황족, 승려 (1374년? 출생)
- 7월 23일 - 사가라 마에쓰구, 무로마치 시대의 수호, 사가라씨의 제9대 당주 (출생년도 미상)
- 9월 1일? - 제아미, 남북조 시대, 무로마치 시대의 사루가쿠 사범 (1363년? 출생)
- 10월 20일 - 히노 아리미쓰, 무로마치 시대의 공경 (1387년 출생)
- 10월 24일 - 히노 시게마사, 무로마치 시대의 공가 (출생년도 미상)
- 긴조주, 무로마치 시대 고난조 초대 상징적 지도자 (출생년도 미상)
- 쓰쓰이 요리히로,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출생년도 미상)
- 레 타이 통, 베트남 후 레 왕조 제2대 황제 (1423년 출생)
참조
[1]
서적
Margaret Beaufort: Mother of the Tudor Dynasty
https://books.google[...]
Amberley Publishing Limited
2010-09-15
[2]
서적
Lives of the Popes: Illustrated Biographies of Every Pope from St Peter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Barnes & Noble Books
[3]
서적
The Late Medieval Age of Crisis and Renewal, 1300-1500: A Biographical Dictionary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4]
서적
Schloss und Stadt Dillenburg. Ein Gang durch ihre Geschichte in Mittelalter und Neuzeit. Zur Gedenkfeier aus Anlaß der Verleihung der Stadtrechte am 20. September 1344 herausgegeben
Der Magistrat der Stadt Dillenburg
1983
[5]
서적
민음 한국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