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타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샤타르는 몽골의 전통 체스 게임이다. 체스를 기반으로 하지만, 기물의 움직임과 규칙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노얀(왕), 바라스(눈표범, 퀸과 유사), 테메(낙타, 비숍과 유사), 모리(말, 나이트와 유사), 테르게(수레, 룩과 유사), 쿠(폰) 등의 기물을 사용하며, 각 기물의 움직임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 히아샤타르는 샤타르의 변형으로, 10x10 보드에서 진행되며 퀸처럼 움직이는 바라스, 폰의 이동 방식, 보디가드라는 추가 기물이 특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골의 게임 - 히아샤타르
히아샤타르는 체스나 장기처럼 각기 다른 이동 방식을 가진 기물들을 사용하여 진행하는 보드 게임으로, 노얀, 바라스, 테르게, 모리, 테메, 쿠 등의 기물이 존재하며, 히아샤타르를 제외한 다른 기물들은 주변 8칸 내에서 1칸씩만 이동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 몽골의 체스 - 히아샤타르
히아샤타르는 체스나 장기처럼 각기 다른 이동 방식을 가진 기물들을 사용하여 진행하는 보드 게임으로, 노얀, 바라스, 테르게, 모리, 테메, 쿠 등의 기물이 존재하며, 히아샤타르를 제외한 다른 기물들은 주변 8칸 내에서 1칸씩만 이동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 차투랑가계 게임 - 장기
장기는 두 사람이 10줄 x 9줄의 판에서 각 16개 기물을 사용하여 상대방의 궁을 잡는 한국 전통 보드 게임으로, 다양한 기원설이 존재하며 삼국시대부터 기록이 있고 조선시대에는 상희라고도 불렸으며, 현대에는 주로 노년층 남성이 즐기고 대한장기협회에서 보급 및 관리를 한다. - 차투랑가계 게임 - 샹치
샹치는 두 경기자가 각 16개 기물로 상대방의 장 또는 수를 체크메이트하여 승리하는 중국 전통 보드 게임으로, 각 기물은 고유한 움직임 방식을 가지며 하계를 경계로 나뉜 장기판에서 다양한 전술과 전략을 구사하는 인기 게임이다.
샤타르 | |
---|---|
기본 정보 | |
다른 이름 | 몽골 장기, 몽골 체스 |
종류 | 체스 |
고안 시기 | 중세 시대 |
창시자 | 알려지지 않음 |
특징 | |
보드 크기 | 10x10 |
기물 수 | 각 플레이어당 16개 |
무작위 요소 | 없음 |
기술 요소 | 높은 수준 |
관련 게임 | |
조상 | 차투랑가 |
파생 | 서양 장기, 중국 장기, 쇼기, 한국 장기 |
2. 규칙
기본적으로 체스를 바탕으로 약간의 독자적인 규칙이 추가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7] 상세한 기물의 움직임과 게임 진행 방식, 옛 규칙과 현대 규칙의 차이점 등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설명한다.
2. 1. 기본 규칙
기본적으로 체스를 바탕으로 약간의 독자적인 규칙이 추가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7] 각 기물의 움직임은 다음과 같다.몽골어 이름 (표기) | 한국어 번역 | 설명 |
---|---|---|
노얀 (ᠨᠣᠶᠠᠨmon) | 왕 | 체스의 킹, 쇼기의 왕장/옥장처럼 전후좌우 및 대각선 한 칸 이동. 캐슬링은 할 수 없다.[7][1] 초기 배치는 체스의 킹과 비슷하다.[7] |
바라스 (ᠪᠠᠷᠰmon 또는 ᠪᠠᠷᠠᠰmon) | 눈표범 / 호랑이 | 현대 규칙: 체스의 퀸처럼 이동한다.[2] 옛 규칙: 쇼기의 용왕(승급한 비차)처럼 전후좌우 직선으로 몇 칸씩, 그리고 대각선으로 한 칸씩 움직일 수 있었다. 옛 샤타르 규칙에서는 절반의 힘을 가진 호랑이 또는 절반의 힘을 가진 사자라고 불렸다.[8][2] |
테메 (ᠲᠡᠮᠡᠭᠡmon) | 낙타 | 체스의 비숍처럼 대각선 방향으로 몇 칸씩 움직일 수 있다.[7][1] |
모리 (ᠮᠣᠷᠢmon) | 말 | 체스의 나이트처럼 직선 한 칸 이후 대각선 한 칸을 움직인다. 다른 말을 뛰어넘을 수 있다.[7] 옛 규칙: 모리로는 체크메이트를 만들 수 없었다.[2] 현대 규칙: 모리로 체크메이트를 만들 수 있다.[2] |
테르게 (terge) | 수레 | 체스의 룩, 장기의 차처럼 전후좌우 일직선으로 움직인다.[7][1] |
쿠 (ᠬᠦᠦmon) | 표범 새끼 / 폰 | 체스의 폰처럼 앞으로 한 칸씩만 움직일 수 있다. 잡을 때는 대각선 앞의 적만 잡을 수 있다.[7] 첫 수에 두 칸 전진은 게임 시작 시 d열 폰(백 1.d4, 흑 1...d5)만 가능하다. 다른 폰들은 첫 수에도 한 칸만 전진할 수 있다.[1][2] 폰이 마지막 행까지 도달하면 바라스(호랑이)로 승진한다.[8] 옛 규칙 승진: 8번째 행에 도달한 폰은 절반의 힘을 가진 호랑이로 승진해야 했다. 하지만 폰은 6번째 행으로 되돌아가서 모든 힘을 가진 호랑이(퀸처럼 이동)로 승진할 수도 있었다.[2] |
게임은 항상 백이 1.d4를 두고 흑이 1...d5로 응수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이것은 게임에서 쿠(폰)가 두 칸 전진할 수 있는 유일한 경우이다.[8][1] 일부 자료에서는 이 초기 이동을 e열 폰으로도 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1]
그 외 표준 체스와 다른 규칙들은 다음과 같다.
- 캐슬링: 노얀(왕)은 캐슬링을 할 수 없다.[7][1]
- 베어메이트(Baremated): 옛 샤타르 규칙에서는 상대방 기물이 노얀(왕)만 남은 상태(baremate)가 되면 무승부로 처리되었다.[8][2]
- 투흐(Tuuxəi) 규칙: 옛 샤타르 규칙에만 존재했던 특별한 규칙으로, 바둑의 덤과 유사한 개념이다.[8][2]
- 플레이어는 게임 막바지에 상대방에게 노얀(왕)과 다른 기물 하나만 남겨둘 수 있었다.
- 이 상태에서 테르게(수레) 또는 바라스(호랑이)를 사용하여 상대 노얀에게 연속으로 체크를 걸어야 하며, 체크메이트가 될 때까지 이 연속 체크를 유지해야 한다.
- 체크메이트 직전까지 성공한 연속 체크의 횟수가 '투흐' 점수가 된다.
- 만약 일반적인 방식으로 체크메이트를 시키면 투흐 1점만 받는다.
- 플레이어들은 연속 체크를 위한 유리한 위치를 잡을 시간을 벌기 위해, 일부러 상대방에게 노얀과 쿠(폰) 하나만 남겨두는 전략을 사용하기도 했다.[8][2]
2. 2. 특수 규칙 (옛 샤타르 규칙)
옛 샤타르 규칙에는 현대 체스나 현대 샤타르와 다른 몇 가지 독특한 규칙이 있었다.- 첫 수 강제: 게임은 항상 백이 1.d4를 두고 흑이 1...d5로 응답하는 것으로 시작해야 했다. 이는 게임에서 ᠬᠦᠦ|쿠mon(폰)가 두 칸 전진할 수 있는 유일한 경우였다.[7][1] 일부 지역에서는 첫 수에 대한 추가 규칙이 있었다. 우젬친부에서는 반드시 ᠪᠠᠷᠰ|바라스mon-쿠(d-폰)로, 차하르부에서는 ᠨᠣᠶᠠᠨ|노얀mon-쿠(e-폰)로 첫 두 수를 두어야 했다.[8][2]
- 쿠 승진: 8번째 행에 도달한 쿠는 '절반의 힘을 가진 호랑이'로 승진했다. 이 기물은 ᠪᠠᠷᠰ|바라스mon(눈표범/호랑이)와 유사하지만 능력이 제한적이었다. 하지만 쿠는 6번째 행으로 되돌아가서 '모든 힘을 가진 호랑이'(현대 체스의 퀸처럼 움직임)로 승진할 수도 있었다.[2]
- 바라스: 옛 규칙에서 바라스를 '절반의 힘을 가진 호랑이' 또는 '절반의 힘을 가진 사자'라고도 불렀다.[2] 이 기물은 쇼기의 용왕(승급한 비차)처럼 전후좌우 직선으로 몇 칸이든 움직일 수 있고, 추가로 대각선으로 한 칸씩 움직일 수 있었다.[8][2] (현대 샤타르 규칙에서는 퀸처럼 움직인다.[2])
- ᠮᠣᠷᠢ|모리mon(말): 옛 규칙에서는 모리(체스의 나이트에 해당)로 상대방 ᠨᠣᠶᠠᠨ|노얀mon(왕)을 체크메이트 시킬 수 없었다.[2] (현대 샤타르 규칙에서는 모리로 체크메이트가 가능하다.[2])
- 베어메이트(Baremate) 무승부: 상대방의 노얀만 남기고 모든 기물을 잡는 경우, 즉 베어메이트는 승리가 아닌 무승부로 처리되었다.[8][2]
- 투흐(Tuuxəi) 규칙: 옛 샤타르에는 바둑의 덤(코미)과 유사한 '투흐'(tuuxəi)라는 독특한 점수 계산 방식이 있었다.[8][2] 게임 막바지에 상대방에게 노얀과 다른 기물 하나만 남겨둔 상태에서, 자신의 ᠲᠡᠷᠭᠡ|테르게mon(수레)나 바라스를 사용하여 연속으로 체크를 해야 했다. 체크메이트에 이르기까지 연속으로 한 체크의 횟수가 '투흐' 점수가 되었다. 만약 일반적인 방식으로 체크메이트를 달성하면 투흐 1점을 얻었다. 플레이어들은 더 높은 투흐 점수를 얻기 위해, 연속 체크를 시작하기 전에 자신의 기물을 유리한 위치에 놓을 시간을 벌고자 일부러 상대방에게 노얀과 쿠 하나를 남겨두는 전략을 사용하기도 했다.[8][2]
3. 기물
기본적으로 체스를 바탕으로 약간의 독자적인 규칙이 추가된 구조이다.[7] 체스판과 마찬가지로 판은 8×8의 64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과거에는 단색이었으나 현재는 체스와 같이 체크 무늬로 칠해져 있다. 기물의 모양도 체스와 유사하다.
=== 기물 종류 및 움직임 ===
샤타르의 기물과 그 움직임은 다음과 같다. 기물의 움직임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아래 표는 1997년 몽골 체육 운동 위원회가 제정한 "몽골 장기 경기 규칙"[4]을 기준으로 한 표준 규칙과 알려진 지역/옛 규칙 변형을 함께 나타낸다.
몽골어 (원문) | 한국어 명칭/의미 | 로마자 음역 | 표준 규칙 | 지역/옛 규칙 변형 | 대응하는 체스 기물 |
---|---|---|---|---|---|
ᠨᠣᠶᠠᠨ|노얀mn | 왕야 | 노얀 (Noyan) | 킹과 같이 전후좌우, 대각선으로 1칸 움직인다. 캐슬링은 없다. | 왕으로 상대 왕을 직접 공격할 수 없다. | 킹 |
ᠪᠠᠷᠰ / ᠪᠠᠷᠠᠰ|바라스mn | 사자/호랑이 | 바라스 (Baras) | 퀸과 같이 세로, 가로, 대각선으로 몇 칸이든 움직일 수 있다.[2] | 옛 규칙에서는 쇼기의 용왕(승급한 비차)처럼 전후좌우 직선으로 몇 칸, 대각선으로 1칸 움직였다.[8][2] 이를 절반의 힘을 가진 호랑이/사자, 무력사, 반능호, 메구루 등으로 불렀다.[5][2] | 퀸 |
ᠲᠡᠮᠡᠭᠡ|테메mn | 낙타 | 테메 (Temee) | 비숍과 같이 대각선으로 몇 칸이든 움직일 수 있다. | 왕을 직접 공격할 수 없으며, 공격하면 무승부가 된다. | 비숍 |
ᠮᠣᠷᠢ|모리mn | 말 | 모리 (Mori) | 나이트와 같이 직선 1칸 후 대각선 1칸 움직인다(8방향 계마). 다른 말을 뛰어넘을 수 있다. 현대 규칙에서는 메이트(체크메이트)가 가능하다.[2] | 옛 규칙에서는 왕을 메이트 시킬 수 없었다.[2] 메이트 시키면 무승부가 된다. | 나이트 |
ᠬᠠᠩᠭᠠᠢ|항가이mn / 테르게 (Terge) | 륵륵차 / 수레 | 항가이 / 테르게 | 룩과 같이 세로, 가로로 몇 칸이든 움직일 수 있다. | 룩 | |
ᠬᠦᠦ|쿠mn | 병사 | 쿠 (Küü) | 폰과 같이 앞으로 1칸씩 움직인다. 대각선 앞의 적을 잡을 수 있다. 앙파상은 없다. 마지막 행(8번째 행)에 도달하면 바라스(Baras)로 승진한다.[8][6] 첫 수: 백은 1.d4 또는 1.e4, 흑은 1...d5 또는 1...e5로 응수하며, 이 경우에만 해당 폰이 2칸 전진할 수 있다.[1][6] | 옛 규칙: 첫 수 2칸 이동은 우젬친부에서는 바라스 앞의 폰(e열), 차하르부에서는 노얀 앞의 폰(d열)으로 강제되었다.[8][2] 승진 규칙 변형: 마지막 행에 도달해도 바로 승진하지 않고, 뒤로 대각선 이동해야 승진 자격을 얻는 규칙도 있었다. 뒤로 1번 물러나면 절반의 힘을 가진 호랑이, 3번 물러나면 완전한 힘을 가진 호랑이(바라스)가 될 수 있었다.[2][6] | 폰 |
=== 기물 배치 ===
기물의 초기 배치는 다음과 같다.
↓테르게 | ↓모리 | ↓테메 | ↓노얀 | ↓바라스 | ↓테메 | ↓모리 | ↓테르게 |
↓쿠 | ↓쿠 | ↓쿠 | ↓쿠 | ↓쿠 | ↓쿠 | ↓쿠 | ↓쿠 |
↑쿠 | ↑쿠 | ↑쿠 | ↑쿠 | ↑쿠 | ↑쿠 | ↑쿠 | ↑쿠 |
↑테르게 | ↑모리 | ↑테메 | ↑노얀 | ↑바라스 | ↑테메 | ↑모리 | ↑테르게 |
=== 히아샤타르의 기물 ===
'''히아샤타르'''는 샤타르만큼 대중적이지는 않지만 몽골에서 행해진 중세 체스 변형이다. 10×10 판에서 진행되며, 샤타르와 동일한 기물을 사용하지만 다음과 같은 차이점과 추가 기물이 있다.[3]
- '''바라스''': 체스의 퀸과 동일하게 움직인다.
- '''폰''': 첫 이동 시 1~3칸까지 움직일 수 있다.
- '''보디가드''': 추가된 기물로, 퀸처럼 움직이지만 한 번에 1칸 또는 2칸만 이동할 수 있다. 특수 능력으로, 보디가드로부터 킹의 이동 거리(1칸)만큼 떨어진 칸을 통과하려는 다른 기물은 이동을 멈춰야 하며, 해당 위치에 있는 기물은 1칸만 이동할 수 있다.[3]
4. 변형 규칙: 히아샤타르
'''히아샤타르'''는 샤타르만큼 인기가 많지는 않지만, 몽골에서 행해지던 중세 시대의 체스 변형이다. 이 게임은 10×10 보드에서 진행된다. 샤타르와 동일한 기물을 사용하지만,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다.
- ''바라스''는 체스의 퀸과 동일하게 움직인다.
- 폰은 첫 번째 이동 시 1칸에서 3칸까지 움직일 수 있다.
- ''보디가드''라는 추가 기물이 있다. 이 기물은 퀸처럼 움직이지만 한 칸 또는 두 칸만 이동할 수 있다. 보디가드는 다음과 같은 특수한 능력을 가진다.
- 보디가드로부터 킹의 이동 거리만큼 떨어진 모든 칸을 통과하려는 기물은 이동을 멈춰야 한다.
- 보디가드로부터 킹의 이동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있는 기물은 한 칸만 이동할 수 있다.[3]
참조
[1]
웹사이트
Shatar
http://www.chessvari[...]
[2]
서적
蒙古象棋
鄂爾多斯學研究會
2006-12
[3]
웹사이트
Mongolian Chess
http://www.geocities[...]
2022-01-12
[4]
서적
《蒙古象棋》
鄂爾多斯學研究會
2006-12
[5]
문서
蒙古象棋的玩法
http://www.nmgqipai.[...]
[6]
문서
蒙古族传统体育---蒙古象棋
http://www.nmgqipai.[...]
[7]
웹인용
Shatar
http://www.chessvari[...]
[8]
서적
蒙古象棋
鄂爾多斯學研究會
2006-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